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157
Télécharger pour lire hors ligne
2012환경보건표지(A3) 2012.6.1111:32AM 페이지1




                                                                    조
                                                                    사
                                                                    연
                                                                    구
                                                                    보
                                                                                                          조사연구보고서
                                                                    고
                                                                    서
                                                                    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의
                                                                    습
                                                                    기   노출실태와 건강영향 조사
                                                                    살
                                                                    균   Case Studies on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제
                                                                    피
                                                                    해                                         2012년 6월
                                                                    자
                                                                    의
                                                                    노
                                                                    출
                                                                    실
                             이 연구는 환경보건학회 회원들의 성금과 자원봉사로 수행되었습니다.
                                                                    태
                                                                    와
                                                                    건
                                                                    강
                                                                    영
                                                                    향
                                                                    조
                                                                    사




                                                                             살균소독제




              한국환경보건학회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21동 615호
              TEL.02-579-8896   Fax.02-579-8875   www.kseh.org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사례 조사연구
Case Studies on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2012년 6월




              한국환경보건학회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사례 조사연구
 Case Studies on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2012.6.11.




이 보고서를 한국환경보건학회에서 수행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사례
조사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




연구원
박동욱 (학회 편집위원장 , 방송대 )
박정임 (순천향대 )
백도명 (학회장 , 서울대 )
이경무 (방송대 )
임신예 (경희대 )
임종한 (인하대 )
임흥규 (환경보건시민센터 )
최경호 (학회 학술이사 , 서울대 )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
하종식 (한국환경보건학회 )


학생연구원
이새람 (서울대 )    이은정 (방송대 )        전재범 (방송대 )
지영아 (순천향대 ) 진별이 (순천향대 )
검토 및 자문위원
박석환 (서원대 )
양원호 (대구가톨릭대 )
유명순 (서울대 )
정지연 (용인대 )
조영태 (서울대 )




연구의 수행에 도움을 주신 가습기살균제피해자대책모임에 감사드립니다 .


이 연구는 한국환경보건학회 회원들의 성금으로 수행되었습니다 . 깊이 감사드립니다 .
김양호 , 김정훈 , 김판기 , 박동욱 , 박석환 , 박영식 , 박정임 , 백도명 , 안령미 , 양원호 , 어수미 , 이경무 , 이기영 , 이상우 ,
임국환 , 임신예 , 임종한 , 정지연 , 조혜리 , 주송이 , 최경호 , 황윤형 , 황지희 (가나다순 )
목        차


서문                                  1
요약문                                 3


I. 배경과 목적                           5
1. 사건의 배경
2. 가습기 살균제 피해의 규모
3.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실태
4. 조사연구의 목적


II. 조사 연구의 방법과 추진체계                 15
1. 조사 대상과 기간
2. 조사내용
3. 연구추진체계


III. 피해자의 일반특성과 건강영향                21
1. 조사연구 대상
2. 피해자의 인구학적 특성
3. 피해 대상자의 질병력
4.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특성
5. 소결


IV. 피해자의 가습기 살균제 노출특성               39
1.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년도
2.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3. 가습기 사용특성
4. 가습기 살균제 사용특성


V. 가습기 살균제 사용과 건강피해 상관성 분석          53
1. 질병발생 통계 분석
2. 건강피해 영향 요인 분석
3. 짝지은 환자-대조군 분석


                        - i -
4. 소결


VI.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가족의 정신 건강영향     81
1. 조사의 가설
2. 정신건강 조사 도구
3. 의미와 제한점
4. 소결
5. 설문조사 - 문제해결을 위한 의식조사 분석


VII. 결론                          109
1. 요약 및 결론
2. 제한점과 과제


VIII. 참고문헌                       114


IX. 부록                           117
1. 설문지 양식
2. 설문지 기입 사례
3. 가습기살균제 가족피해 사례소개
4. 설문조사 사진
5. 가습기 살균제 성분의 알려진 독성




                        - ii -
표      목      록


표 1.1. 가습기 살균제 피해사건의 경과일지
표 1.2. 피해신고사례의 유형과 연령집단 및 건강피해
표 1.3. 피해자들의 가습기살균제 제품별 사용빈도와 정부조치
표 2.1. 사례 조사연구 절차
표 3.1. 조사연구 및 분석대상 피해사례 (가족 )의 선정
표 3.2. 가구 당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포
표 3.3. 4인 가족과 5인 가족에서 자녀 순서에 따른 질병발생 빈도
표 3.4.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설문조사 응답자의 학력분포
표 3.5.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석대상의 지역별 분포
표 3.6. 가습기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의 성별 연령별 분포
표 3.7. 가습기살균제 피해 분석대상 중 0~9세 피해자 성별 연령별 분포
표 3.8. 가습기살균제 피해증상의 최초 발생월 분포와 우리나라의 월별 상대습도
표 3.9. 분석 대상사례 (95건 )에서의 과거 병력
표 3.10. 분석 대상사례 (95건 )에서의 증상 호소
표 3.11. 피해자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표 3.12. 사망 피해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표 3.13. 0~9세 사망 어린이의 성별 연령별 분포
표 3.14.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대상자 중 사망자의 성별 발생 비율
표 3.15.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대상자 중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
표 3.16. 어린이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
표 3.17. 성인의 성별 , 연령대별 피해자 및 사망자 분포
표 3.18. 가임기 피해여성 (20-49세 )의 최초증상 발생 시 임신여부
표 3.19. 최초 증상 발생 시 임산부 12건의 최종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표 3.20. 건강피해 최초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 분포
표 4.1. 가습기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9)
표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8)
표 4.3.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표 4.4. 하루 중 가습기 사용 및 종료 시각
표 4.5. 가습기 유형과 사용 양상의 특성
표 4.6. 가습기와 호흡기 부위 사이의 거리(단위: cm)
표 4.7. 환기 시간(단위: 분)
표 4.8. 조사대상자의 살균제 종류별 사용 특성



                             - iii -
표 5.1. 전국 0-2세 영유아의 폐질환 사망과 간질성 폐질환 사망의 연도별 변화
표 5.2.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
표 5.3.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
표 5.4.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 (개월 )
표 5.5.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 (개월 )
표 5.6.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중 노출 기간 (개월 )
표 5.7.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 기간 (개월 )
표 5.8.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중 노출 기간 (개월 )
표 5.9.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 기간 (개월 )
표 5.10. 노출 요인과 사망과의 연관성
표 5.11. 노출 요인과 치명적 손상과의 연관성
표 5.12. 사망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표 5.13. 치명적 손상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표 5.14.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 중 환자군-대조군 특성 비교
표 5.15.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가습기까지의 거리에 대한 교차비
표 5.16.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흡입량에 대한 교차비
표 5.17.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 중 환자군-대조군 특성 비교
표 5.18.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가습기 사용에 대한 교차비
표 5.19.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대한 교차비
표 5.20.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 중 환자군-대조군 특성 비
      교
표 5.21.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가습기 사용에 대한 교차비
표 5.22.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대한
      교차비
표 5.23.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 중 환자군-대조군 특성 비교
표 5.24.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임신여부에 대한 교차비
표 5.25.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가습기까지의 거리에 대한 교차비
표 5.26.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 중 환자군-대조군 특성 비교
표 5.27.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가습기 사용에 대한 교차비
표 5.28.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대한 교차비
표 6.1.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정신 건강 설문 응답자
표 6.2.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 성별
표 6.3.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연령
표 6.4.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교육수준
표 6.5. 설문 응답자 상태 구분
표 6.6.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조사대상자(피해자)와의 관계



                          - iv -
표 6.7. 정신건강 설문에 응답한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
표 6.8. 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인해      정신 치료 여부
표 6.9. 정신 치료 방법
표 6.10. 정신 치료 이후 현재 상태
표 6.11.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경과 시간
표 6.12. PTSD 증상 설문 응답자 상태
표 6.13. PTSD 증상자군 분율
표 6.14. 응답자들의 삶의 영역에서 문제가 되는 영역들
표 6.15. PTSD 증상으로 인하여 장애가 되는 삶의 영역의 수
표 6.16.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표 6.17. 환자 여부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표 6.18. 가족관계 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표 6.19.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PTSD 점수 및 고위험군 분율
표 6.20. 환자 여부별 PTSD 고위험군 분율
표 6.21. 가족관계 별 PTSD 점수 및 고위험군 분율
표 6.22. 불안 설문 응답자들에서의 불안의 정도
표 6.23.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불안 점수 및 불안 정도
표 6.24. 환자 여부별 불안 점수 및 정도
표 6.25. 가족관계 별 불안 점수 및 정도
표 6.26.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자살 충동 여부
표 6.27. 자살 충동 횟수
표 6.28.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자살 충동 여부
표 6.29. 환자 여부별 자살 충동 여부
표 6.30. 가족관계 별 자살 충동 여부
표 6.31. 자살 충동 여부에 따른 정신 건강 설문 점수
표 6.32. 자살 충동 여부에 따른 PTSD 및 불안군
표 6.33. 자살 충동 여부에 따른 불안 정도




                            - v -
그   림    목   록


그림 1.1. 가습기용 살균제 개발 기록 (1994년 11월 26일 매일경제신문 )
그림 1.2. 각종 가습기살균제 제품들
그림 2.1. 조사연구 추진 체계와 역할
그림 3.1.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전체)
그림 3.2.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0-9세 )
그림 3.3. 피해자의 건강중증도 분포
그림 3.4. 가습기 살균 피해 사망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전체)
그림 3.5. 가습기 살균 피해 사망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10세 미만)
그림 3.6.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중 연령별 사망자 발생 비율
그림 4.1. 가습기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9)
그림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8)
그림 4.3. 가습기 사용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비교
그림 4.4. 영유아 및 성인 피해자의 가습기 사용 분포 비교
그림 4.5. 영유아 및 성인 피해자의 가습기 살균제 사용 분포 비교
그림 5.1. 전국 0-2세 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그림 5.2. 전국 0-2세 간질성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그림 5.3. 전국 0-2세 폐질환 사망 중 간질성폐질환 사망 비율
그림 5.4. 하루 가습기 시간
그림 5.5. 가습기 사용년도와 사망자 분포
그림 5.6 가습기 살균제 사용년도와 사망자 분포
그림 9.1. 가족피해 사례 1
그림 9.2. 가족피해 사례 2
그림 9.3. 가습기 살균제 세퓨 노출 동물 폐의 육안소견 (질병관리본부 )
그림 9.4. 가습기 살균제 (세퓨 ) 동물실험과 폐손상환자의 폐사진 (질병관리본부 )
그림 9.5. 가습기 살균제 (옥시싹싹 ) 동물실험과 폐손상환자의 폐사진 (질병관리본부 )
그림 9.6. MIT/CMIT, PGH, PHMG 성분의 가습기살균제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연구
      (박창위 외 2012)




                           - vi -
서   문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생활용품 속에는 합성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이들은
우리 생활에 편리함을 주기도 하지만 적절히 사용되지 않을 때 우리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국가는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지난 2011년 5월 이후 사회적인 반향을 일으킨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사건을 심각한 우려로 지켜보았다. 현재까지 파악된 174건의 피해와 52건의 사망은
어쩌면     빙산의   일각일지도    모른다.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또   다른
‘가습기살균제’들이 있을 수 있고, 앞으로 비슷한 사건들이 우리에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우리의 안전 불감증을 돌이켜볼 계기이자 우리나라 화학물질 관리 체계의 총체적인
부실을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판단한다. 가정에서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할 중요한 시점이다.


사건 이후 한국환경보건학회 회원들 사이에서 2011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의
노출과   건강영향     등을   꼼꼼히    조사하여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는    제안이
제기되었다. 피해자들의 노출 실태와 건강영향 기록 등 관련된 모든 자료를 모아
기록으로 남김으로써 향후의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반면교사로 삼음은 물론 학문적
활용도 가능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학회 이사회는 2012년 1월 19일 논의를 통해 조사연구를 추진하기로 의결하였다.
조사의   재원을     회원의   성금으로   마련하고     회원의    자원봉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는데 그 이유는 신속한 조사와 중립적인 판단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2012년 2월부터 연구팀을 구성하고 연구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연구진들이
일일이 그동안 접수되었던 모든 피해자에게 연락하여 조사연구에 참여의사를
확인하였다. 이 중 76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거주 환경을 직접
방문하여 측정조사하였다.


이 연구만으로 가습기 또는 가습기 살균제 사용으로 인한 건강위험에 대한 모든



                            - 1 -
의문과 질문에 대답할 수는 없었다. 성급한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향후 필요한
학문적 그리고 행정적 과제가 무엇인지 끌어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번 조사 및
연구는 소중한 교육의 기회이기도 하였고 이를 통해 환경보건을 공부하는 우리
연구자의 영역과 지향을 진지하게 성찰해 볼 수 있었다.


이 보고서가 앞으로 필요한 과제를 설정하고 나아가 가정에서 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건강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유명을 달리한 피해자들의 명복을 빌며 아직도 고통 받고 있는 생존자와 유가족께
깊은 위로를 드린다.


2012년 6월 11일


한국환경보건학회




                     - 2 -
요약문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건강피해를 신고한 피해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살균제 사용
및 질병 특성을 설문과 인터뷰로 조사하였다 .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모임과 환경보건시
민센터에 접수된 피해사례 174건 (133가족 )을 대상으로 조사연구 참여희망 여부를 조사
한 결과 모두 105건 (76가족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 이 가운데 태아피해사례 (출생이전 )
와 호흡기 질환 이외의 건강영향 사례 등 모두 10건이 분석에서 제외되어 모두 95사
례 74가족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 조사대상자를 직접 방문하여 살균제의 사용
여부와 폐 질환을 포함한 질병은 피해자가 보관한 자료로 확인하였고 , 가습기가 사용
된 방과 노출조건 등은 직접 연구진이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 피해자와 그 가족의 정신
건강에 미친 영향도 함께 조사하였다 .


 이 조사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접수된 피해자 대부분은 사고 발생 이전에는 특별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상태였던
것으로 보인다 . 분석대상 피해자 95명 중 사망자는 31건 (33%)이며 , 어린이와 가임기
여성이 각각 65%와 26%로 거의 대부분이었다 . 이는 연령과 임신 여부 등 생물학적 특
성이 가습기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암시한다 .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증상이 처음으로 발생된 시점은 가습기 사용이 증가하는 겨
울철과 초봄 (1-4월 )에 67%가 집중되어 있으며 증상 발생으로부터 사망까지의 평균시간
은 2.5개월이었다 . 민감군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 이내에 심각한 건강영향이 초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전체 조사대상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 가습기 노출시간 , 가습기 살균제 사용량
등의 요인은 사망위험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거나 , 오히려 반대의 상관성을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영유아 형제 또는 성인을 각각
짝지은 환자 -대조군 연구 결과 가습기까지의 상대적인 거리가 짧을수록 , 주관적 흡입
량이 많을수록 환자군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 연령 또는 임신여부가
질병의 위중도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고려할 때 , 같은 방에서 취침한 짝지은 환자 -
대조군을 어린이와 성인으로 구분하고 임신 여부를 제어하여 수행한 분석결과는 가습
기 살균제 노출이 건강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일정부분 지시한다고 판단된다 . 다른 방
을 사용하여 가습기 살균제 노출 유무로 구분되는 , 짝지은 환자 -대조군 분석에서도 가



                         - 3 -
습기 살균제 사용자 집단에서 전적으로 건강영향이 관찰되었다 .


 피해자 및 그 가족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PTSD)나 불안의 경험 분율이 매우 높았
으며 자살 충동을 느끼는 사람도 많았다 . 정신건강영향은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건강
피해의 위중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가족 중 사망자가 있는 집단에서 사망
자가 없는 집단에 비해 자살충동 교차비가 4.97로 유의하게 높았다 . 가습기 살균제 피
해자와 그 가족을 정상적인 인간관계 및 사회활동에 지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
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


 이 조사연구는 가습기만의 건강영향은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 가습기 살균제 노
출과 질환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규명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러한 부
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이 경험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사용
하는 다양한 화학물질에 대한 철저한 안전성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
한 불철저한 화학물질 안전관리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은 피해자들에 대한 적절
한 구제와 비슷한 사건의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4 -
I. 배경과 목적 1)


                                                    1. 사건의 배경
                                      2. 가습기 살균제 피해의 규모
                                      3.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실태
                                              4. 조사연구의 목적




1) 최예용 외. 2012.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8, 164-174.를 토대로 작성되었음



                            - 5 -
1. 사건의 배경


 우리나라에서 가습기용 살균제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94년으로 추정된다 . 1994년 11
월 16일 매일경제신문은 국내 회사가 처음으로 가습기살균제를 개발했다는 기사를 보
도하며 ‘독성실험결과 인체에 전혀 해가 없다 ’는 개발회사의 광고를 소개했다 . 다른 나
라에서 생활제품으로써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예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




 그림 1.1. 가습기용 살균제 개발 기록 (1994년 11월 26일 매일경제신문 ).


 2011년 5월 11일 ‘미확인 바이러스 폐질환으로 산모들이 잇달아 사망한다 ’는 내용이
보도되었다 . 2011년 8월 31일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는 서울시내 한 종합병원에
입원한 산모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 결과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는 경우 원인
미상 폐손상의 발생 가능성이 47.3배 높다는 내용을 발표하였다 . 질병관리본부는 시민
들에게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지 말 것과 제조판매회사들에게 판매를 자제할 것을 권
고하였다 .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피해자모임 (http://cafe.daum.net/keepus)은 정부가
조사대상을 산모에 국한하여 영유아에 대한 피해조사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공개
적으로 피해사례를 접수하기 시작하였다 . 이후 2012년 4월 13일까지 모두 171건의 피



                           - 7 -
해사례가 접수되었다 .


 질병관리본부는 2011년 11월 11일 동물실험결과를 발표하고 ‘가습기살균제를 흡입시
킨 결과 해당물질이 세기관지 주변 폐 세포에 손상을 가하고 , 이러한 영향이 누적되어
폐조직의 섬유화성 병변이 나타났다 ’며 6개 제품에 대해 수거명령을 내렸다 . 같은 해
12월 30일 보건복지부 산하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가습기살균제를 의약외품으로 지정하
는 ‘의약외품 범위지정 ’ 고시 개정안 ’을 공포 및 시행하였다 . 이상과 같이 가습기 살균
제 사용과 관련된 건강영향과 피해의 경과를 표 1.1에 정리하였다 .




                       - 8 -
표 1.1. 가습기 살균제 피해사건의 경과일지

  일시                   주요 발표 및 보고                  비고
                                                  유공
1994년     가습기살균제 최초개발, 판매시작                       (현 SK케
                                                  미칼)

2 0 0 0 년 대 옥시, 세퓨 등 다양한 상품 판매, 소비 증가, 이후 2010년
중반          까지 대형 마트 PB 상품 등 약 20여종 연간 60만개 판매

2006년 초   의료계, ‘2006년 초에 유행한 소아급성 간질성 폐렴’ 논문 대한소아
          발표                                 학회지


2011년     서울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급성호흡부전 주 증상 중 서울아산
4월25일     증폐렴 임산부 환자 입원 증가’ 질병관리본부에 신고 및 병원
          조사요청

2011년     원인미상 폐질환으로 ‘산모연쇄사망’ 언론보도 (서울아산
5월11일     병원 중환자실 입원사례 8건, 이중 4명 사망, 3건 폐이식
          수술)

          보건복지부, 산모사망사건 역학조사결과 발표; ‘가습기살
          균제 사용 시 원인미상 폐손상 47.3배 높다’(교차비 47.3,
          부분적 독성 실험결과); 2004-2011 사이 서울아산병원 내
          원 고해상 컴퓨터단층촬영(High Resolution Computed
2011년     Tomography, HRCT) 촬영 1,500건 중 28건 확인, 이 중 질병관리
8월31일     18건 환자군과 호흡기내과 등에서의 121건의 대조군을 대 본부
          상으로 한 환자-대조군 조사결과. 연령, 성별, 곰팡이, 살
          충제사용 등을 보정한 후에도 가습기살균제 사용 교차비
          48.8(95% 신뢰구간 6.1~392.4) 가습기살균제 판매 및 소비
          자제권고.

2011년     시민단체, 피해사례 1차 발표; 영유아-사망 5건, 환자 1건, 환경보건
9월20일     산모-사망 1건, 피해 1건 등 8건                시민센터

2011년                                             환경보건
11월1일     국회토론회; 시민단체, 피해사례 2차 발표(50건 추가)         시민센터

2011년                                             환경보건
11월9일     시민단체, 피해사례 3차 발표(33건 추가)                시민센터

2011년
11월10일    간질성 폐렴 진단받고 폐이식 받았던 산모 서씨 사망


2011년     보건복지부, 1차 동물실험결과 중간발표; 10개 제품대상조 질병관리
11월11일    사결과 일부 성분(PHMG*, PGH†)의 독성 확인, 해당 6개 본부
          상품 수거명령, 나머지 제품 사용자제 권고 계속




                           - 9 -
일시                          주요 발표 및 보고                         비고
2011년                                                           식품의약
11월17일     보건복지부, 가습기살균제 의약외품 지정고시안 행정예고.                       품안전청

2011년
           김황식 국무총리 ‘가습기살균제 피해대책 마련하라’ 지시                       국무회의
11월22일

2011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대회 및 시민단체 피해사례 4차 발표 환경보건
11월30일     (62건 추가)                       시민센터


2011년      보건복지부, '생활화학용품 안전관리 종합계획' 추진발표
12월9일      (세정제, 방향제, 탈취제, 합성세제, 표백제 등 가정용 화
           학제품 8품목 순차적 조사대상 확대)

2011년      보건복지부, 가습기살균제 의약외품 지정 (‘의약외품 범위
12월30일     지정’ 고시 개정안 공포 및 시행, 이전까지는 일반 공산품
           취급, 이후 판매허가 및 흡입동성과 세포독성시험 의무화)

2012년      폐이식산모 윤모씨 사망 (2011년 5월 첫 보도 때 언급된
1월11일      8건 중 5명 사망, 폐이식 환자 2명 등 3명 생존 중)

           보건복지부, 1차 동물실험결과 최종 발표 (PHMG와 PGH
           성분 흡입 독성 최종 확인, CMIT/MIT‡ 성분 함유한 4개 질병관리
           제품 조사결과 독성 확인 안됨. 모든 제품사용자제 권고 본부
2012년      계속), 전국 보건소 등 통해서 141건 접수 받아 확인 중
2월2일       (이중 34건 가습기살균제 관련성 확인, 10건은 사망사례)

                                                                환경보건
           시민단체, 피해사례 5차 발표(17건 추가)                             시민센터

2012년      시민단체(녹색소비자연대, 여성환경연대 등), 80여건 옥시 소비자원
3월         싹싹제품 피해사례 집단분쟁조정 신청

2012년      시민단체, 174건 피해사례접수, 환경보건학회 정밀조사중, 환경보건
4월13일      이중 사망 52건(전체의 30%), 폐 또는 심장이식 7건, 가족 시민센터
           단위피해 28가구 69건(전체의 40%)
* PHMG(polyhexamethylene guanidine)
† PGH(Oligo(2-(2-ethoxy)ethoxyethyl guanidinium chloride)
‡ CMIT/MIT(chloromethyl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




                                   - 10 -
2. 가습기 살균제 피해의 규모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피해자모임에 접수된 피해사례는 2011년 9월 초
부터 2012년 4월13일까지 모두 174건이었다. 피해자 본인이나 가족의 전화접수가
대부분이며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모임에 참가하여 접수한 경우도 적지 않다. 접수내
용은 피해자의 인적사항, 병원기록, 가습기살균제 종류 및 사용기간 등이었다. 접
수사례 중 5건은 접수 당시 가습기살균제 를 사용했으며 , 피해가 있을까 봐 불안하다
거나 검사 중이라고 하였으나 , 이후 대부분 폐렴 등의 질병 진단을 받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


 표 1.2. 피해신고사례의 유형과 연령집단 및 건강피해




                      - 11 -
피해신고 내용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30%인 52건이 사망이고 , 122건이 생존 환자이
다 . 사망자의 연령대를 보면 , 태아 2건 , 영유아 29건 , 소아 4건 , 성인 17건 (이중 산모 7
건 ) 등이다 . 영유아 사망이 전체의 56%로 가장 많다 . 생존환자 122건 중 7건이 폐이식
혹은 폐와 심장이식수술로 살아남은 가장 심각한 생존사례다 . 연령대별로 보면 소아 1
건 , 성인 6건 (이 중 산모 2건 )이다 . 폐나 심장을 이식하였지만 이후 사망한 사례가 2건
보고되어 사망자로 분류되었다 . 한 가족에서 여러 명이 피해를 입은 가족단위 피해가
많은 것도 특징인데 전체 피해사례의 40%인 69명이 이에 해당한다 .




 3.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실태


 시중에 판매된 가습기살균제 제품은 모두 20종류로 파악된다 . 우리나라에서 가습기
살균제를 제조 또는 판매한 회사는 외국회사 5개 , 국내기업 22개사 등 모두 27개 회사
로 확인되었다 . 특히 국내 5개의 대기업이 포함 (또는 관련 )되어 있는데 , SK그룹의 SK
케미칼은 원료를 개발했고 , 삼성그룹 소속의 홈플러스 (1999년 4월부터 2011년 3월까지 ),
GS그룹의 GS리테일 , 롯데그룹의 롯데마트 그리고 신세계그룹의 이마트 등 4개 대형할
인마트들은 가습기살균제의 원료를 이용하여 자신들의 고유한 브랜드로 포장하여 판
매하는 소위 PB상품을 판매해왔다 .




그림 1.2. 각종 가습기살균제 제품들 .


 가습기살균제 시장규모는 연간 20억원 정도이며 연간 소비되는 상품 개수는 60만개
라고 알려져있다 . 가습기살균제의 첫 판매는 1994년부터이지만 2000년대 들어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본격적으로 판매망이 확대되었다고 한다 . 판매회사들은 TV광고
와 마트 등에서 사은품행사 등을 통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고 , 심지어 삼성전자와
같은 가습기 판매 가전사들도 가습기살균제를 사은품으로 포함시킨 사례도 확인되었
다.




                           - 12 -
조사에 따르면 가습기를 사용하는 비율이 일반 인구에서 37.2%이고 , 이 중 가습기살
균제 사용율은 절반 정도인 18.2%였다 . 연령 특성 상 노인인구군은 22.7%로 일반 인구
에 비해 약간 낮고 , 산모는 27.8~58.5%, 아토피 환아는 58.3%로 가습기 사용률이 매우
높다 (Jeon and Park 2012, Kim EH et al. 2012).


 가습기살균제가 20여종 , 연간 60만개가 판매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 가습기살
균제 사용인구규모는 연간 수백만명까지 추산이 가능하다 . 특히 산모와 아토피환자와
같은 민감군에서 가습기 사용자가 많은 것도 중요하다 . 가습기살균제의 종류와 사용
시 농도 , 노출의 집중도와 기간 , 개인 민감도 등 여러 가지 변수가 존재하겠지만 가습
기살균제 사용으로 인한 잠재적인 피해대상의 수가 적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 . 다만
상대적으로 심각하지 않은 증상의 피해자들의 경우 거의 신고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


 표 1.3은 20개의 제품명단과 174건의 접수된 피해자들이 사용한 가습기살균제 제품
에 대한 분석내용이다 . 피해자들이 사용한 제품은 모두 11종류였다 . 피해자들의 절반
정도는 한 종류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 나머지 절반은 여러 종류의 제품을 사용하였
다.


 4. 조사 연구의 목적


 (1)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현황 파악
 정부에서 이미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고 일련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바 ,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피해가 의심되는 사례들의 인구학적 특
성 , 가습기 살균제 사용 특성과 건강피해 현황 , 피해자 가족의 정신건강 현황 등에 관
한 실태를 파악하여 가습기 살균제 피해와 관련된 과학적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
다.


 (2) 가습기 살균제 노출과 건강영향의 기록
 가습기 살균제의 종류 , 사용량 , 사용기간 등을 고려하여 살균제 성분에 대한 노출특
성을 분석하고 , 피해자의 건강 문제 발생과 경과 , 현재 상태 등을 파악하여 기록하고
자 한다 .




                                    - 13 -
표 1.3. 피해자들의 가습기살균제 제품별 사용빈도와 정부조치




 (3) 피해자 정신건강 측정
 사건 발생 이후 호흡기질환으로 고생하게 된 환자들과 이들의 가족 , 그리고 사망자
나 이식자들의 가족들에서의 이로 인한 정신적 충격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4) 생활용품 중 화학물질 관리 강화의 필요성 제기
 위와 같은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향후 생활용품 중 화학물질의 유통과 사용을 엄격히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도입과 위험성 소통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 14 -
II. 조사 연구의 방법과 추진체계


            1. 조사 대상과 기간
                 2. 조사내용
               3. 연구추진체계




- 15 -
1. 조사대상과 기간


 조사대상 및 규모 : 조사의 대상은 2011년 9월 이후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
제피해자대책모임으로 접수된 피해 사례 174건 , 133가족이었다 . 이 중 설문조사 (방문
면담 조사 또는 자기기입식 )에는 105건이 참여하여 , 접수된 피해사례 중 이번 조사연
구에 참여율은 60%(105건 /174건 )이었다 .


 조사 기간 : 2012년 2월 ~ 2012년 5월


 2. 조사내용


 (1) 조사 내용 : 이 조사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아래와 같은 8가지 분야로 구성하였다
(부록 참조 ).


      1) 일반사항 : 응답자 정보 , 피해자 정보 , 가족관계
      2) 건강피해 사항 : 건강피해 중증도 , 건강피해의 최초 증상 , 최초 발생일 , 진단
        명 , 진료 이력 , 증거 자료 등
      3) 성인 피해자 건강 이력 사항 : 평소 건강상태 , 과거 병력 , 가족력 , 직업력 , 흡
        연력 , 음주력 등
      4)어린이 피해자 건강 이력 사항 : 출생시 건강상태 , 주요 생활공간 , 평소 건강
        상태 , 과거 병력 , 가족력
      5) 거주환경 사항 : 거주 형태 , 주변 유해 환경 , 취사 방식 , 가정 실내환경 , 실내
        흡연 , 실내 도면 등
      6) 가습기 사용 사항 : 가습기 종류 , 사용 기간 및 시간 , 환기 빈도 , 사용한 물
        의 종류 , 가습기 청소 빈도
      7) 가습기 살균제 사용 사항 : 살균제 종류 , 일회 사용량 , 사용 기간 , 사용 빈도 ,
        사용 동기 , 가습기 살균제의 위험성 인지 여부 등
      8) 정신건강 사항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불안
        질문검사 (Beck Anxiety Inventory), 자살 충동 및 시도


 (2) 조사방식
 설문응답자의 편의에 따라 자기기입식 (이메일 , 우편 )과 방문면접조사 방식을 선택하
였다 . 거주환경 , 방의 크기 및 가습기와 취침 위치와의 거리 등은 조사자가 실측하여



                                - 17 -
기록하기도 하였다 .


 (3) 조사 연구 절차
 이 조사연구는 한국환경보건학회 이사회의 의결에 따라 연구추진이 결정되었고 , 조
사절차는 조사연구 기획 , 설문조사표 설계 및 개발 , 설문조사 실시 , 조사결과 검증 , 결
과 분석 , 보고서 작성으로 이루어졌다 . 각 절차별 업무내용과 일정을 표 2.1에 요약하
였다 .




                       - 18 -
표 2.1. 사례 조사연구 절차

                                               일정
       조사절차                           내용
                                              (2012년)

                  - 연구팀 구성
                  - 조사 연구 계획 수립
        계획 수립                                   2월
                  - 조사연구비용 조달
                  - IRB 승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사례접수 피해자 목록 확인
 조사연구   조사대상
                  - 피해자 개별 연락, 연구 참여 의사 확인
  기획    점검 및 조사                                 2월
                  - 설문조사표 설계 및 개발
        문항 개발
                  - 면접조사를 위한 조사원 교육

                  - 방문조사를 위한 연구팀(조사원) 일정 조율
        조사 일정
                  - 예비조사를 통한 설문조사표 보완 및 수정      2월
        조율 및 협의
                  - 최종설문조사표 완성

        자기기입식     - 설문지 발송
                                               2-3월
 설문조사   설문조사      - 설문조사 관련 문의 응대
  실시    방문면접      - 방문조사 진행 (면담, 실측)
                                               2-4월
        조사 실시     - 조사 설문지 검토 후 추가보완 실시

        조사내용      - 입력 데이터 오류 사항 점검
                                                4월
 데이터    검증        - 피해자 병원 진단 기록 등 관련 자료 확보
  분석              - 자료 처리 및 분석
        결과 분석                                  4-5월
                  - 결과표 작성

 데이터              - 전문가 자문회의
        보고서 작성                                 5-6월
  정리              - 최종보고서 작성




                             - 19 -
3. 연구추진체계


 한국환경보건학회가 기획 및 총괄진행을 담당하고 , 회원 중심으로 분야별 연구팀을
구성하여 자료수집 , 조사 , 분석이 수행되었다 . 자문위원단은 조사연구의 진행과정과 최
종보고서 검토 과정에 기여하였다 (그림 2.1).




               그림 2.1. 조사연구 추진 체계와 역할 .




                        - 20 -
III. 피해자의 일반 특성과 건강영향


                1. 조사연구 대상
          2. 피해자의 인구학적 특성
            3. 조사대상자의 질병력
         4.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특성
                      5. 소결




- 21 -
1. 조사연구 대상


  설문조사의 대상은 2011년 9월 이후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모임
(인터넷카페 )로 접수된 피해 사례 174건 , 133가족이다 .


  이 조사 연구에서는 “가습기 살균제 사용과 관련하여 호흡기 증상과 호흡부전을 호
소하고 , 임상증상과 경과가 개인의 기존질환과는 구분되는 증상 및 질환군 ”으로 피해
사례를 정의하고 ,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는 피해사례로 접수된 경우라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


  설문조사 (방문 면담 조사 또는 자기기입식 )에는 105건 (76가족 )이 참여하여 접수된 피
해사례 중 이번 조사연구에 참여율은 60%(105건 /174건 )이다 .


  조사대상 74가족의 가족 수 구성은 전체 270명이었으며 , 이 중에서 95명이 최종 분
석된 피해사례였다 . 즉 , 조사된 105건 중 출생 이전의 태아 피해사례 2건 ,             보고된 건
강영향이 호흡기 질환이 아닌 경우 등 모두 10건이 분석에서 제외되어 , 이번 연구의
분석대상은 모두 95건 (74가족 )이었다 (표 3.1).


표 3.1. 조사연구 및 분석대상 피해사례 (가족 )의 선정

          구분          사례 수 (가족 수 )       비율           설명
 피해자 사례 접수 (가족 ) 건수      174 (133)       100%      신고접수 건수
 설문조사 사례 (가족 ) 건수        105 (76)      60% (57%)   설문 조사된 수
 분석 제외 (가족 ) 건수           10 (2)           -       출생 전 태아 등
 최종 분석 (가족 ) 건수           95 (74)          -           




   가습기 살균제 노출은 가족단위에서 비슷한 노출특성 (노출물질 , 노출강도 , 노출기간
등 )을 가지므로 피해발생도 가족단위인 경우가 많았다 . 가족구성원 중 2인 이상의 피
해가 발생한 경우는 74가족 중 16가구 (22%), 전체 95건 중 37건 (39%)에 달하였다 (표
3.2).




                              - 23 -
표 3.2. 가구 당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포

                      가족                 피해자
  가족 내 피해자수 *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1         58          78%    58         61%
       2         12          16%    24         25%
       3         3            4%    9          9%
      4**        1            1%    4          4%
      합계         74          100%   95         100%

 * 조사 분석에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로 의심되는 태아사망 2건은 제외되었음
 ** 이 가족의 경우 태아사망을 포함하면 가족 내 피해자 수는 5명임 .


 가족구성원들 중에서 누가 질환에 이환되는지를 보고자 4인 가족 31가구와 5인 가족
11기구에 대하여 피해자의 가족내 위치를 분석하였다 (표 3.3). 자녀 순서에 따라 첫째
가 둘째보다 , 둘째가 셋째보다 건강피해를 더 많이 입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




                           - 24 -
표 3.3. 4인 가족과 5인 가족에서 자녀 순서에 따른 질병발생 빈도

                        가족구성원별 건강피해 건수 (발생비율 , %)
              아버지       어머니         첫째 자녀          둘째 자녀        셋째 자녀
   4인가족
    사망           0        6             7 (23%)    4 (13%)
  폐심장이식          0        1                0            0
    기타           1        6             6 (19%)    4 (13%)
   무영향         31         18            18 (58%)   23 (74%)
    합계         31         31            31(100%)   31(100%)


   5인가족
    사망           1        0             3 (27%)    3 (27%)          2 (18%)
  폐심장이식          1        2                0            0              0
    기타           1        3             3 (27%)     1 (9%)           1 (9%)
   무영향           8        6             5 (46%)    7 (64%)          8 (73%)
    합계         11         11              11            11             11



 설문조사 응답자 전체 95건 중 55건 (58%)이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으로 응답하
였다 . 학력이 확인되지 않은 26건을 제외하면 응답자 69명 중 45명 (65%)이 대학 이상
의 학력이었다 (표 3.4).


표 3.4.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설문조사 응답자의 학력분포

                                                   학력
          응답자의 학력
                                         빈도                   백분율
           고등 졸업                          14                  15%
          전문대학 졸업                         10                  11%
           대학 졸업                          39                  41%
          대학원 졸업                           6                  6%
            미확인                           26                  27%
            합계                            95                  100%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에 포함된 사례는 경기 31건 (33%), 서울 25건 (26%), 대
전 14건 (15%), 인천 11건 (11%)으로 4지역에 81건 (85%)이 집중되어있다 (표 3.5). 이는 그
외의 지역에서 발생한 사고사례가 상대적으로 많이 누락되었을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 25 -
표 3.5.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석대상의 지역별 분포

              피해자 시도단위 사례          2010년 전국 시도단위 인구
   지역
            사례 빈도     백분율         인구 (천명 )   구성비 (%)
   서울         25       26%         10,039      21%
   부산         -         -           3,446       7%
   대구         2        2%           2,431       5%
   인천         11       12%          2,661       5%
   광주         -         -           1,450       3%
   대전         14       15%          1,515       3%
   울산         2        2%           1,094       2%
   강원         -         -           1,443       3%
   경기         31       33%         11,637      24%
   충북         2        2%           1,479       3%
   충남         3        3%           1,959       4%
   전북         -         -           1,703       3%
   전남         2        2%           1,740       4%
   경북         1        1%           2,592       5%
   경남         2        2%           3,141       6%
   제주         -         -           547         1%
   합계         95       100%        48,875      100%




                       - 26 -
2. 피해자의 인구학적 특성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석대상 95건 중 남성 피해자 39건 (41%), 여성 피해자 56건
(59%)이었다 . 연령별로 보았을 때 0세에서 9세까지의 피해자가 46건 (49%), 30-39세가
26건 (27%)으로 피해자의 76%에 해당되었다 (표 3.6).


표 3.6. 가습기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의 성별 연령별 분포

                                        연령 *대 (년 )
      성별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합계
         39    21     1       1         6        3      4       3       39
 남자
        41%    53%    3%      3%       15%      8%     10%      8%     100%
         56    25     0       7         20       2      2       0       56
 여자
        59%    45%    0%     13%       36%      4%      4%      0%     100%
         95    46     1       8         26       5      6       3       95
 합계
        100%   49%    1%      8%       27%      5%      6%      3%     100%

*연령 = (피해자 최초발생일 -피해자 생년월일 )/365의 정수값 .




  그림 3.1.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전체).




                                   - 27 -
0세에서 9세까지 피해자 46명의 연령을 세분하여 분석하면 0세에서 2세까지가
80%, 0세에서 3세까지가 91%를 차지하여 어린이 중 특히 영유아에게 그 피해가 집중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 3.7).


표 3.7. 가습기살균제 피해 분석대상 중 0~9세 피해자 성별 연령별 분포

                                       연령 * (년 )
      성별
                   0     1      2          3       4    6    합계
            21     6     2      8          3       1    1     21
 남자
           46%    29%   10%    38%       14%       5%   5%   100%
            25     6     8      7          2       2    0     25
 여자
           54%    24%   32%    28%        8%       8%   0%   100%
            46    12    10      15         5       3    1     46
 합계
           100%   26%   22%    33%       11%       7%   2%   100%

※연령 : 피해자 최초발생일의 만 연령 .




그림 3.2.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0-9세 ).




                              - 28 -
가습기 살균제 건강 피해 증상이 처음으로 발생된 시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가습
기 사용이 증가하는 겨울철과 초 봄 (1월부터 4월 )에 67%가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표 3.8).


표 3.8. 가습기살균제 피해증상의 최초 발생월 분포와 우리나라의 월별 상대습도

               피해증상 발생월별 분포              2010년 월별 전국 상대습도
     월
               빈도       백분율             평균 (%)      표준편차 (%)
     1          15      16%              62.8          14.2
     2          20      21%              65.2          18.5
     3          15      16%              65.7          16.0
     4          13      14%              60.1          15.0
     5          7       7%               65.6          15.0
     6          3       3%               69.9          12.7
     7          1       1%               79.9          9.0
     8          0       0%               81.9          7.3
     9          5       5%               78.1          9.3
     10         5       5%               71.7          12.0
     11         4       4%               60.1          13.5
     12         7       7%               61.4          15.6
    전체          95      100%             68.6          15.4




                               - 29 -
3. 조사 대상자의 질병력


  전체 대상자들은 고혈압 , 협심증 , 부정맥 , 폐질환 , 천식 , 알러지성비염 , 아토피성피부
염 등이 일부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 전체적으로는 건강한 상태였던 것
으로 파악되었다 (표 3.9).


표 3.9. 분석 대상사례 (95건 )에서의 과거 병력

                     예              아니오      과거 병력 비율 (%)
        고혈압          6               89           6.3
        협심증          1               94           1.1
        부정맥          1               94           1.1
        폐질환          1               94           1.1
        천식           1               94           1.1
    알러지성 비염          1               94           1.1
    아토피 피부염          1               94           1.1



  전체 대상자들은 기침 , 가래 , 호흡곤란 , 열 , 피로 , 흉통 , 각혈 , 체중 감소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했으며 , 그중 기침이 83.2%, 호흡곤란이 57.4%로 가장 높은 호소율을 보였
다 (표 3.10).


표 3.10. 분석 대상사례 (95건 )에서의 증상 호소

                     예              아니오       호소 비율 (%)
        기침           79              16          83.2
        가래           29              66          30.5
       호흡곤란          54              40          57.4
         열           27              68          28.4
        피로           26              69          27.4
        흉통           24              71          25.3
        각혈           1               94           1.1
      체중 감소          31              64          32.6




                           - 30 -
4.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특성


  (1)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분석대상 피해자 95건 중 사망자는 31건 (33%)이며 , 사망을 포함하여 장기이식 등 심
각한 피해를 입은 경우는 37건 (39%)에 달하였다 (그림 3.3).




       그림 3.3. 피해자의 건강중증도 분포.


  (2) 성별 연령별 건강피해 특성


  분석대상 피해자 중 어린이 (0-9세 46명 , 12세 1명 ) 피해자 47건 중 사망 20건 (43%),
20-69세 피해자 48건 중 사망 11건 (23%)로 건강피해의 중증도는 어린이에게 더욱 심각
하게 나타났다 (표 3.11).


표 3.11. 피해자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건강피해 중증도 (빈도 , 백분율 %)
  미성년과
   성년                            장기이식
                 사망                            호흡기질환          합계
                                (폐 , 심장 )
   0-19세    20        43%   0           0%    27   57%   47        100%

  20-69세    11        23%   6          12%    31   65%   48        100%

   합계       31        33%   6           6%    58   61%   95        100%



  사망 피해자 31건 중 여성이 21건 (68%)으로 남성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았고 , 연령
별로 분석하면 0-9세까지 어린이가 20 건 (65%), 20-39세 사이의 여성이 8건 (26%)이었다
(표 3.12).


                                     - 31 -
표 3.12. 사망 피해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연령대 (년 )
     성별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합계
          10    8     0       0          0       0       2       0       10
남자
      32%      80%    0%      0%         0%      0%     20%      0%     100%
          21   12     0       4          4       0       1       0       21
여자
      68%      58%    0%     19%        19%      0%      5%      0%     100%
          31   20     0       4          4       0       3       0       31
합계
      100%     65%    0%     13%        13%      0%     10%      0%     100%




 그림 3.4. 가습기 살균 피해 사망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전체).


 (3) 영유아 및 가족구성에 따른 건강피해 특성


 사망 피해 어린이의 경우 모든 피해자가 0세에서 3세까지로 영유아였다 (표 3.13).




                                     - 32 -
표 3.13. 0~9세 사망 어린이의 성별 연령별 분포

                                                      연령 (년 )
          성별
                               0           1            2          3          합계
                 8             2           1            4          1           8
    남자
                40%           25%         13%         50%         13%         100%
                 12            2           3            6          1           12
    여자
                60%           17%         25%         50%          8%         100%
                 20            4           4           10          2           20
    합계
                100%          20%         20%         50%         10%         100%




 그림 3.5. 가습기 살균 피해 사망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10세 미만).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자 중 사망자의 발생비율을 성별로 분석하면 , 남성 (26%)보다
여성 (38%)에서 사망 발생 비율이 높았다 (표 3.14).


표 3.14.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대상자 중 사망자의 성별 발생 비율

     성별                피해자수               사망자수                  피해자 대비 사망비율
     남자                 39                     10                       26%
     여자                 56                     21                       38%
     합계                 95                     31                       33%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대상자 중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은 20-29세와
50-59세 (50%), 0-9세 (43%) 순이었다 (표 3.15).




                                    - 33 -
표 3.15.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대상자 중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

  연령대 (년 )     피해자수              사망자수      피해자 대비 사망비율
     0-9         46                 20        43%
    10-19        1                  0         0%
    20-29        8                  4         50%
    30-39        26                 4         15%
    40-49        5                  0         0%
    50-59        6                  3         50%
    60-69        3                  0         0%
    합계           95                 31        33%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대상자 중 0-9세 사이 어린이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을 세분한 결과 2세 어린이의 사망 발생 비율 (67%)이 가장 높았다 (표 3.16).


표 3.16. 어린이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

    연령 (년 )       피해자수          사망자수       피해자 대비 사망비율
           0          12            4         33%
           1          10            4         40%
           2          15            10        67%
           3          5             2         40%
           4          3             0         0%
           5          0             0          -
           6          1             0         0%
      합계              46            20        43%




                           - 34 -
그림 3.6.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중 연령별 사망자 발생 비율.


 (3) 임산부의 건강피해 특성


 성인 (20세 이상 ) 48명의 피해자 중 11건의 사망이 있는데 , 이 중 20-49세 여성에 8명
(73%)에 발생하였다 (표 3.17).


표 3.17. 성인의 성별 , 연령대별 피해자 및 사망자 분포
                       피해자 분포                    사망자 분포
    성별
               20-49   50세 이상    합계      20-49   50세 이상   합계
                10        7       17      0         2      2
    남자
               59%       41%     100%     0%      100%    100%
                29        2       31      8         1      9
    여자
               94%       6%      100%    89%       11%    100%
                39        9       48      8         3      11
    합계
               81%       19%     100%    73%       27%    100%


 가임여성 (20-49세 ) 피해자 29건 중 , 최초증상 발생 시 임산부 12명 (41%)으로 확인되
었다 (표 3.18).




                                - 35 -
표 3.18. 가임기 피해여성 (20-49세 )의 최초증상 발생 시 임신여부
        임신유무                 빈도                   백분율
          유                      12               41%
          무                      17               59%
          합계                     29               100%



  최초증상 발생 시 임산부 12명 중에서 사망자는 7건 (58%)이며 , 사망을 포함하여
장기이식 등 심각한 피해를 입은 경우는 9건 (75%)에 달하였다 (표 3.19).


표 3.19. 최초 증상 발생 시 임산부 12건의 최종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피해자 분류                빈도                   백분율
         사망                  7                   58%
        폐이식                  2                   17%
     호흡기계 질환                 3                   25%
         합계                 12                   100%



 (4) 건강피해 진행속도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은 모두 7개월 미만이었
는데 (31건 ), 첫 증상후 사망 사이의 평균시간은 2.5개월 (표준편차 1.6)이었다 2). 첫
증상 후 2.5개월만에 호흡부전으로 사망하는 급성 및 아만성 호흡부전증상을 보였
다. 최초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 1개월이 걸리지 않은 경우가 7건 (23%), 2개월 미만
이 11건 (35%), 3개월 미만이 7건 (23%)로 전체 사망 피해의 81%가 증상 발생 후 3개월
이내에 발생하였다 (표 3.20).




 2) 건강피해 최초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의 분포 계산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일수=피해자사망일-피해자최초발생일
 (2) 월수=일수/30
 (3) 월수에 대한 정수계산은 “월수”의 정수값만 계산. 예를 들어 월수=1.345이면 1로 계산하여 1개월~2
개월 미만에 들어가게 함. 예를 들어 월수=0.98이면 0으로 계산하여 1개월 미만에 들어가게 함.



                            - 36 -
표 3.20. 건강피해 최초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 분포

                       최초증상 발생일 이후 사망까지의 기간 (월 )
 연령대
  (년 )                1개월 -2개월          2개월 -3개월          3개월 ~7개월
          1개월 미만                                                            합계
                        미만                미만                미만

  0-9     2    10%    8      40%        5      25%        5    25%     20    100%
 10-19    0     -     0       -         0       -         0      -     0         -
 20-29    3    75%    0      0%         1      25%        0     0%     4     100%
 30-39    2    50%    1      25%        0      0%         1    25%     4     100%
 40-49    0     -     0       -         0       -         0      -     0         -
 50-59    0    0%     2      67%        1      33%        0     0%     3     100%
 60-69    0     -     0       -         0       -         0      -     0         -
 합계       7    23%    11     35%        7      23%        6    19%     31    100%




5. 소결


 가습기 살균제 피해접수 사례는 133가족에서 발생한 174건이었고 , 이 중 이번
조사연구에는 피해접수 사례의 약 55%인 95 사례 (74가족 )가 포함되었다 .


 접수된 피해사례는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었으나 , 수도권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컸으며 , 피해가 발생한 연도를 재구성하였을 때 , 최근에 들어와 중증사례의 경우 그
수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증상이     주로       1월에서     4월   사이에        시작된    것으로
조사되어 (67%), 건조한 대기와 가습기 사용의 증가가 건강피해 발생 빈도와 연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한편 중증 피해는 중증사례의 경우 12월 ~3월 사이의 겨울철에 80%
이상이 집중되어 있었다 .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대상자 95건의 과거병력을 조사한 결과 폐질환 , 천식
등의 선행 병력이 있는 경우는 1건에 불과하여 전반적으로 건강한 상태였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


 가습기 살균제 피해는 0-3세 영유아 (42건 , 44%)와 20-39세 여성 (27건 , 28%)이 가장




                                   - 37 -
많이 보고되었고 , 이들의 건강피해 정도 (건강피해 발생자 중 사망발생 비율 ) 역시
0-3세 영유아의 경우 42명의 피해자 중 20명 사망 (48%)하였고 , 20-29세 여성의 경우
8명의 피해자 중 4명이 사망 (50%)하는 등 다른 그룹에 비하여 더욱 심각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


 특히    영유아군에    있어서는   0세군보다    2세군에서       더   중증질환의   발생건수나
사망사례가 많았으며 , 성인군에서는 여성 가임기 연령층에서 남성보다 훨씬 높은 발생
양상을 보이고 있다 .


 가족사례가 특히 많았다 . 가족 구성원의 위치에 따른 특이성을 살펴보았을 때 , 여러
명의 자녀가 있는 경우 첫째 자녀가 둘째 자녀보다 더 발생비율이 높았으며 , 둘째
자녀가 셋째 자녀보다 또한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


 20-39세 여성 사망자 8명 중 7명은 증상 발생 당시 임신상태였던 것으로 조사되어 ,
임산부에게서 건강피해가 심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은    모두   7개월
미만이었는데 (31건 ), 이 중 25건 (81%)가 최초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 3개월이 채
걸리지 않을 정도로 매우 급속히 진행되었다 .




                            - 38 -
IV. 피해자의 가습기 살균제 노출 특성


 1.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년도
 2.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3. 가습기 사용특성
          4. 가습기 살균제 사용특성




 - 39 -
1.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년도


 조사대상자의 가습기 사용 시작년도는 95건 중 89건에 대해 조사되었다 . 1987년에 1
건 , 1996년에 1건 , 1998년에 1건 등으로 비교적 적었으나 1999년 이후 사용시작 건수가
늘어났으며 , 2004년 이후부터 2010년까지 연간 평균적으로 10건 정도로 많았으며 2011
년에 가습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도 1건 있었다 (표 4.1).


 조사대상자의 가습기 사용이 급증한 구간은 2000년대 중 , 후반 (2004 ~ 2010)으로 이
때 가습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가 조사대상자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그림 4.1).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시작년도 역시 95건 중 89건에 대해 조사되었다 . 조사대상자
는 가습기 살균제를 1996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 가습기 살균제 사용빈도는 1999
년에 1건 , 2000년에 1건 등으로 드물다가 2002년 이후 사용시작 건수가 늘어났으며 ,
2004년 이후부터 2010년까지 연간 평균적으로 10건 정도로 사용되었다 . 2011년에 가습
기 살균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는 1건이었다 (표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시작 증가율이 높은 구간은 가습기 사용시작 증가율이 높아지는
구간과 동일한 2000년대 중 , 후반 (2004~2010)으로 이 때 가습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집
단이 전체의 90%를 차지했다 (그림 4.2).


 가습기 사용 시작년도와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시작년도를 동시에 나타내면 그림
4.3과 같다 . 2003년 이전에는 가습기만 사용하고 가습기 살균제는 사용하지 않다가
2004년 이후 ,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




                             - 41 -
표 4.1. 가습기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9)
    년도         사용시작 건수             누적 빈도
1987년              1                  1
1988년              0                  1
1989년              0                  1
1990년              0                  1
1991년              0                  1
1992년              0                  1
1993년              0                  1
1994년              0                  1
1995년              0                  1
1996년              1                  2
1997년              0                  2
1998년              1                  3
1999년              5                  8
2000년              1                  9
2001년              1                 10
2002년              6                 16
2003년              1                 17
2004년              9                 26
2005년              9                 35
2006년             12                 47
2007년             10                 57
2008년             10                 67
2009년             13                 80
2010년              8                 88
2011년              1                 89
                  89




         그림 4.1. 가습기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9).




                      - 42 -
표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8)
년도          사용시작 건수          누적 빈도
1987년          0               0
1988년          0               0
1989년          0               0
1990년          0               0
1991년          0               0
1992년          0               0
1993년          0               0
1994년          0               0
1995년          0               0
1996년          1               1
1997년          0               1
1998년          0               1
1999년          1               2
2000년          1               3
2001년          0               3
2002년          4               7
2003년          0               7
2004년          10              17
2005년          7               24
2006년          14              38
2007년          9               47
2008년          14              61
2009년          15              76
2010년          11              87
2011년          1               88
               88




                  - 43 -
그림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8).




그림 4.3. 가습기 사용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비교




                  - 44 -
가습기 사용 시작년도와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시작년도를 영유아와 성인으로 구분
하여 각각 나타내면 그림 4.4 및 그림 4.5와 같음 . 영유아와 성인 간에 뚜렷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




       그림 4.4. 영유아 및 성인 피해자의 가습기 사용 분포 비교.




     그림 4.5. 영유아 및 성인 피해자의 가습기 살균제 사용 분포 비교.




 2.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가습기 사용을 시작한 달은 9, 10, 11월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영유아



                       - 45 -
의 경우 11월에 사용을 시작한 경우가 가장 많았던 반면, 성인의 경우 10월이 가
장 많았다. 연중 내내 사용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성인에서 3건이었다(표 4.3).


표 4.3.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전체 (n=95)             영유아 (n=48)       성인 (n=47)

                   N         %        N         %     N          %
가습기 시작 월
  8월 이전            5      5.4        4      8.7        1        2.2
    9월             20    21.7        10     21.7      10        21.7
   10월             24    26.1        10     21.7      14        30.4
   11월             29    31.5        17     37.0      12        26.1
   12월             11    12.0         5     10.9       6        13.0
  연중사용             3      3.3        0      0.0        3        6.5
    계              92    100         46     100       46        100

가습기 종결 월
  2월 이전            11    12.0        7      15.2       4        8.7
    3월             28    30.4        13     28.3      15        32.6
    4월             32    34.8        15     32.6      17        37.0
    5월             10    10.9         7     15.2       3        6.5
  6월 이후            8      8.7        4      8.7        4        8.7
  연중사용             3      3.3        0      0.0        3        6.5
        계          92    100         46     100       46        100


 하루 중 가습기 사용을 시작하는 시각은 대부분 밤 8시 이후였으며 , 하루 종일 사용
하는 경우는 12건이었다 . 성인의 경우 가습기 사용을 영유아에 비해 더 늦게 시작하는
경향이 있었다 (표 4.4).




                                 - 46 -
표 4.4. 하루 중 가습기 사용 및 종료 시각
              전체 (n=95)              영유아 (n=48)       성인 (n=47)
                 N            %        N        %       N          %
가습기 작동시작
    18시 이전       12       13.3          5      11.1      7        15.6
        20시      15       16.7          4       8.9     11        24.4
        22시      44       48.9         26      57.8     18        40.0
    23시 이후       8        8.9           3       6.7      5        11.1
  하루종일 사용        11       12.2          7      15.6      4         8.9
          계      90       100          45      100      45        100

가습기 작동종료
     6시 이전       11       12.2          5      11.1      6        13.3
        7시       19       21.1          9      20.0     10        22.2
        8시       30       33.3         17      37.8     13        28.9
        9시       13       14.4          6      13.3      7        15.6
    10시 이후       6        6.7           1       2.2      5        11.1
  하루종일 사용        11       12.2          7      15.6      4         8.9
         계       90       100          45      100      45        100



 3. 가습기 사용특성


 가습기의 종류는 전체적으로 복합식이 65%를 차지하였으며 , 성인에서 초음파 가습
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38.1%)(표 4.5).


 가습기 물 종류는 전체적으로 대부분 수돗물을 사용하였으나 (80%), 정수기물을 사용
하는 경우도 20%를 차지했다 . 또한 , 영유아 피해자에서 수돗물을 사용하는 비율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가습기통에 물을 채우는 방식은 가득 채우는 경우가 약 2/3, 가득 채우지 않고 3분
의 2 이하만 채우는 경우가 1/3을 차지했다 .


 가습기의 분무량의 강도는 성인에서 더 높은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가습기의 높이는 대부분 책상 , 화장대 , 책장 등 가구 위에 놓고 쓰는 경우가 많았다
(85%). 또한 , 성인의 경우에 가습기를 가구 위에 놓는 경우가 더 많았다 (89%).


 가습기의 위치를 가깝게 위치한 신체부위별로 구분하였을 때 , 전체적으로 머리 위쪽
이나 코 부위에 놓고 취침하는 경우가 많았다 (53%). 성인의 경우 영유아 피해자의 경



                                  - 47 -
우에 비해 머리위쪽 /코 부위에 놓고 취침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경향을 보였다 .3)


 가습기를 사용하는 방을 환기하는 경우가 90%를 차지하였고 , 환기하지 않는다고 응
답한 경우도 10% 정도를 차지했다 . 환기 시점은 설문되지 않았다 .




3) 조사 대상은 자발적으로 환경보건시민센터에 피해사례를 신고한 사례임을 감안할 때, 경미한 영향(자각증상이
   없을 수 있음)을 입은 경우는 조사대상자로부터 제외되는 선택바이어스(selection bias)가 영향을 미칠 수 있
   을 것으로 추정됨



                               - 48 -
표 4.5. 가습기 유형과 사용 양상의 특성
                          전체 (n=95)        영유아 (n=48)    성인 (n=47) 
                           N       %        N     %       N      %
가습기 종류
                  복합식      55       64.7    32    74.4    23    54.8
                  초음파      27       31.8    11    25.6    16    38.1
                   기타      3         3.5    0      0.0    3      7.1
                    계      85       100     43    100     42    100
가습기 물 종류
                  수돗물      74       80.4    39    86.7    35    74.5
                 정수기물      18       19.6     6    13.3    12    25.5
                    계      92       100     45    100     47    100
가습기통 물 채우기
               3분의 2 이하    29       34.1    15    36.6    14    31.8
                     가득    56       65.9    26    63.4    30    68.2
                      계    85       100     41    100     44    100
분무량
                    최저     8         9.0    5     11.4    3      6.7
                     약     19       21.3    11    25.0    8     17.8
                     중     50       56.2    24    54.5    26    57.8
                     강     12       13.5     4     9.1    8     17.8
                     계     89       100     44    100     45    100
가습기의 높이
                   가구위     80       85.1    38    80.9    42    89.4
                    바닥     14       14.9     9    19.1    5     10.6
                     계     94       100     47    100     47    100
가습기의 신체부위 위치
        다리쪽/다리 아래          25       26.6    16    34.0    9     19.1
             몸통부위          19       20.2     8    17.0    11    23.4
        머리위쪽/코 부위          50       53.2    23    48.9    27    57.4
                           94       100     47    100     47    100
가습기 환기여부
                    예      83       90.2    41    91.1    42    89.4
                  아니오      9         9.8    4     8.9     5     10.6
                    계      92       100     45    100     47    100




                                - 49 -
가습기와 호흡기 부위 사이의 거리는 전체적으로 평균 1.5m, 중위수 1.2m였으며 , 성
인의 경우 영유아에 비하여 거리가 더 짧았다 (표 4.6).4)


표 4.6. 가습기와 호흡기 부위 사이의 거리(단위: cm)
                    N    평균       표준편차     Q1    Q2     Q3
       전체           94   145.5     74.6    100   120    200
      영유아           47   158.7     66.8    100   150    200
       성인           47   132.2     80.2    80    100    180



 가습기를 사용하는 방을 환기하는 시간은 전체적으로 평균 30분 , 중위수 20분 정도
였으며 , 성인의 경우 영유아에 비해 환기시간이 더 짧았다 (표 4.7).5)


표 4.7. 환기 시간(단위: 분)
                     N   평균       표준편차     Q1    Q2    Q3
       전체           90   27.7       30.2   10    20    30
      영유아           44   29.7       35.3   10    20    30
       성인           46   25.8       24.7   10    20    30



 4. 가습기 살균제 사용특성


 가습기 살균제의 종류를 성분별로 구분하였을 때 , 대부분인 91%가 PHMG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 , 7%가 PGH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 , 41%가 CMIT/MIT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였다 . PGH의 경우 영유아에서 CMIT/MIT 성분은 성인에서 사용빈도
가 더 높았다 (표 4.8).


 가습기 살균제의 주입주기는 전체적으로 하루 1회 초과인 경우가 83%를 차지함 . 가
종류를 성분별로 구분하였을 때 , 대부분인 90%가 PHMG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 , 7%가
PGH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 , 42%가 CMIT/MIT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였다 .
PGH의 경우 영유아에서 (8.5%) CMIT/MIT 성분은 성인에서 (49%) 사용빈도가 더 높았
다.




4) 3)과 같은 설명이 가능함
5) 3)과 같은 설명이 가능함



                                 - 50 -
표 4.8. 조사대상자의 살균제 종류별 사용 특성
                 전체 (n=95)      영유아     (n=48)   성인 (n=47) 
                  N       %      N         %      N      %
PHMG
           비사용     9     9.6      4      8.5       5    10.6
            사용    85    90.4      43     91.5     42    89.4
             계    94    100       47     100      47    100
PGH
           비사용    87    92.6      43     91.5     44    93.6
            사용     7     7.4      4      8.5       3    6.4
             계    94    100       47     100      47    100
CMIT/MIT
           비사용    55    58.5      31     66.0     24    51.1
            사용    39    41.5      16     34.0     23    48.9
             계    94    100       47     100      47    100




                               - 51 -
V. 가습기 살균제 사용과 건강피해 상관성 분석


                  1. 질병발생 통계 분석
               2. 건강피해 영향 요인 분석
               3. 짝지은 환자-대조군 분석
                          4. 소결




      - 53 -
1. 질병발생 통계 분석


 (1) 영유아 (0-2세 ) 폐질환 사망과 간질성 폐질환 사망률 비교


 전국 0-2세 영유아 사망 중 폐질환 사망률은 1997년 10만명당 8.49명 수준에서
2010년 3.17명 수준으로 꾸준히 감소하나 간질성폐질환 사망률은 2001년 10만명당
0.38명에서 2010년 0.94명까지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 따라서 2000년대 초반에 10%
내외였던 폐질환 사망자 중 간질성 폐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의 비율이 2010년에는
30%에 이를 정도로 증가하였다 (표 5.1, 그림 5.1-3).


표 5.1. 전국 0-2세 영유아의 폐질환 사망과 간질성 폐질환 사망의 연도별 변화
               사망자수                                        비율
                                                                       폐질환 대비
 연도              간질성폐        인구수           폐질환           간질성폐질환
        폐질환 *                                                          간질성폐질환
                  질환 **                  사망률 (10만명당 )   사망률 (10만명당 )
                                                                        사망 비중
 1997    177          17    2,085,322        8.49           0.82           10%
 1998    167          24    2,022,801        8.26           1.19           14%
 1999    110          18    1,943,355        5.66           0.93           16%
 2000    149          15    1,891,965        7.88           0.79           10%
 2001    118           7    1,838,595        6.42           0.38           6%
 2002    127           7    1,746,119        7.27           0.40           6%
 2003     90          10    1,619,102        5.56           0.62           11%
 2004     67          13    1,503,732        4.46           0.86           19%
 2005     61           9    1,424,179        4.28           0.63           15%
 2006     68          12    1,368,239        4.97           0.88           18%
 2007     59          21    1,346,761        4.38           1.56           36%
 2008     52          14    1,384,600        3.76           1.01           27%
 2009     54          12    1,400,739        3.86           0.86           22%
 2010     44          13    1,388,207        3.17           0.94           30%
 합계      1,343        192   22,963,716       5.85           0.84           14%

  *폐질환은 ICD 분류에 따라 J00.*-J99.*, D76.0, D86.0, D86.2를 포함 .                        ICD는
국제질병사인분류 (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로서 사람의 질병 및 사망 원인에 관한 표준 분류 규정으로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 .
  **간질성 폐질환은 ICD 분류에 따라 J67.*-J69.*(단 J68.2 제외 ), J80.*, J84.*, J99.*,           D76.0,
D86.0, D86.2를 포함 .




                                         - 55 -
그림 5.1. 전국 0-2세 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그림 5.2. 전국 0-2세 간질성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그림 5.3. 전국 0-2세 폐질환 사망 중 간질성폐질환 사망 비율.




                - 56 -
국가   사망통계   자료의    검토결과 , 전국    0-2세   영유아의   폐질환    사망률 (2001년
10만명당 6.42 → 2010년 3.17)은 감소경향을 보이는 반면에 간질성폐질환에 의한
사망률 (2001년 10만명당 0.38 → 2010년 0.94)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2. 건강피해 영향 요인 분석


 사망에 관련된 요인들을 살펴보면 , 일반 생활 및 주거환경요인 , 가습기 및 가습기 살
균제 노출에 대한 요인 , 노출된 가습기 살균제의 종류와 독성에 관련된 요인과 민감성
과 관련된 대상자의 인구 사회적 특성 요인들로 대별할 수 있다 .


 (1) 가습기 사용 시간




                   그림 5.4. 가습기 하루 사용 시간.

 전체 가습기 사용 시간은 평균 12.3시간 (최소 8시간 -최대 24시간 )이었는데 , 24시간 사
용자도 11명 (11.6%)에 달한다 (그림 5.4). 하지만 사망군과 비사망군 ,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 57 -
표 5.2.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

                                        가습기 노출
                             평균 (시간)*            표준편차
 사망군                           12.6              5.29
 비사망군                          12.0              4.90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표 5.3.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

                                        가습기 노출
                             평균 (시간)*            표준편차
 치명적 손상군                       12.3              5.13
 비치명적 손상군                      12.3              4.97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사망군과 비사망군 ,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에서
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표 5.4.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 (개월 )

                                        가습기 노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사망군                           16.5              25.49
 비사망군                          25.9              25.83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표 5.5.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 (개월 )

                                        가습기 노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치명적 손상군                       17.2              24.90
 비치명적 손상군                      26.3              26.61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사망군의 가습기 살균제 1년 노출기간은 평균 5.5개월로 오히려 비사망군 6.2개월에




                              - 58 -
비하여 짧았으나 ,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표 5.6). 총 가습기 살균제
노출 기간을 살펴보면 , 사망군은 14.5개월 , 비사망군은 16.5 개월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 (표 5.7).


표 5.6.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중 노출 기간 (개월 )

                                        가습기 살균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사망군                           5.5                2.25
 비사망군                          6.2                2.20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표 5.7.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 기간 (개월 )

                                        가습기 살균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사망군                          14.5                16.14
 비사망군                         16.5                12.30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 노출기간은 평균 5.8개월로 오히려 비치명
적 손상군 6.1개월에 비하여 짧았으나 ,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표
5.8). 총 가습기 살균제 노출 기간도 치명적 손상군은 14.4개월 , 비치명적 손상군은
16.7 개월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5.9).


표 5.8.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중 노출 기간 (개월 )

                                        가습기 살균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치명적 손상군                       5.8                2.48
 비치명적 손상군                      6.1                2.07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 59 -
표 5.9.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 기간 (개월 )

                                    가습기 살균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치명적 손상군                    14.4               24.33
비치명적 손상군                   16.7               12.66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2) 일반 생활 및 주거환경요인


 집 주변 유해환경 ,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여부 , 에어컨 사용 여부 , 새 가구 구입 여
부 , 실내 리모델링 여부 , 간접흡연 , 주택형태 , 층수 , 집 평수 , 방 갯수 , 난방형태 , 취사
형태 등이 조사되었다 .


 일반 생활 및 주거환경요인 중 집 주변 유해환경 , 새 가구 구입 여부 , 실내 리모델링
여부 , 간접흡연 , 주택형태 , 층수 , 집 평수 , 방 갯수 , 난방형태 , 취사형태등과 사망여부와
의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으나 ,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여부와 사망 , 그리고 에어컨 사
용 여부와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 (p-value < 0.05)이 관찰되었다 .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존재와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 사망과 연관이 되는 것은 밀폐
된 공간에서 가습기 살균제 사용의 피해가 컸음을 보여주는 지표일수도 있다 (표 5.10).


 가습기를 사용하는 방에 곰팡이 여부 , 에어컨 사용 여부와 치명적 손상과는 유의할
만한 관련성을 다변량 분석에서도 같은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을 요한다 (표 5.13).


 (3)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 노출에 대한 요인


 한방 사용 , 가족으로 공동 노출 , 가습기 특징 , 가습기 용량 , 가습기 분무량 , 가습기
물의 종류 , 가습기와의 거리 , 가습기의 수 , 가습기의 위치 , 가습기 하루 사용 시간 , 가
습기 총 사용기간 ,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기간 , 가습기 살균제 주입 주기 , 환기 , 환기
시간 , 가습기에 물을 채웠는지 , 가습기 청소 , 가습기 청소 횟수 등이 조사되었다 . 이들
대부분의 변수는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표 5.10).


  가습기 용량 , 가습기의 수 , 가습기와의 거리 ,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기간과 대상자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 그러나 노출과 건강영향의 용량 -반응관



                           - 60 -
계로 해석하기 어려운 관측이었다 . 즉 가습기 용량이 적은 그룹이 , 2대를 가진 경우보
다 가습기 1대를 가진 그룹이 , 그리고 가습기와의 거리가 먼 그룹에서 ,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기간이 짧은 그룹에서 사망위험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표 5.10-11). 가습기
살균제 1회 사용량과 치명적 손상 사이에서도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만 , 사용량이 적
은 군에게서 오히려 사망 위험이 높게 나타난 것이었다 (표 5.11).




 (4) 대상자의 인구 사회적 특성 요인


 성 , 나이 , 과거 병력 , 흡연 , 아버지 학력 , 어머니 학력 등이 조사되었다 .


 성 , 과거 병력 , 흡연 , 아버지 학력 , 어머니 학력등과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
관성이 없었으며 ,   단지 6세 미만과 6세 이상을 구분하는 나이에 대해서는 사망 여부
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p-value < 0.01).


 사망과 관련하여 특히 6세미만의 어린이들이 연관성이 되는 것은 이들 어린이 연령
들이 가지는 생물학적인 취약성 (biological vulnerability)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5) 가습기 살균제의 종류와 관련된 요인


 가습기 살균제 종류별 사용여부가 조사되었다 . 시중에 유통되는 가습기 살균제 6) 사
용여부와 사망 여부의 관련성을 조사했을 때 , 통계적으로 유의한 제품은 없었다 . 조사
된 가습기 살균제중 유일하게 가습기살균제 사용 여부와 사망이 연관성이 있다고 나
온 사례는 가습기 메이트가 유일하였다 . 하지만 가습기 메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사망
위험이 오히려 낮게 나온 것이어서 , 이를 가습기 메이트의 독성영향으로 해석하기 어
렵다 .




6) 조사대상 가습기 살균제는 다음과 같다. 옥시싹싹 New 가습기 당번, 이플러스 가습기 살
균제, 함박웃음 가습기 세정제,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 홈플러스 가습기 살균제, 세퓨 가습
기 살균제, 엔위드, 산도깨비 가습기퍼니셔



                            - 61 -
표 5.10. 노출 요인과 사망과의 연관성
     노출 요인         대상자       비사망(명)   사망(명)   p-value
              도로에 인접           21      14
집 주변 유해환경                                      0.406
              인접하지 않음          27      12
가습기 사용 방      예                8        9
                                               0.044
곰팡이 여부        아니오              55      21
              예                38      12
에어컨 사용 여부                                      0.048
              아니오              25      19
              예                8        2
새 가구 구입 여부                                     0.356
              아니오              55      29
              예                9        9
실내 리모델링 여부                                     0.065
              아니오              53      20
              노출               31      17
간접흡연                                           0.654
              비노출              29      13
              아파트              43      21
주택형태          단독주택             6        5      0.692
              다세대주택            11       5
              6층이상             32      13
층수                                             0.649
              6층이하             30      15
              20평이하            15      10
집평수           20-30평           28      14      0.478
              30평이상            19       6
              2개               22      13
방갯수                                            0.649
              3개이상             40      18
              중앙집중식            18       6
난방형태          개별난방-가스          39      21      0.574
              개별난방-기름          4        3
              가스               60      20
취사형태                                           0.061
              전기               1        3
              예                35      20
한방 사용                                          0.456
              아니오              27      11
              복합               33      15
가습기 특징        초음파              14      11      0.513
              기타               1        1
              6 리터 이상          11       1
가습기 용량        4-6 리터           15      14      0.044
              4 리터 이하          12       5
              최저               5        3
              약                11       5
가습기 분무량                                        0.434
              중                26      13
              강                10       1
              수돗물              46      20
가습기 물의 종류                                      0.410
              정수기              9        2




                          - 62 -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Contenu connexe

Similaire à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여성환경연대
 
두원보고서 20140115
두원보고서 20140115두원보고서 20140115
두원보고서 20140115runkilsh
 
[자료]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2010년)
[자료]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2010년)[자료]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2010년)
[자료]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2010년)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여성환경연대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여성환경연대
 
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
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
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여성환경연대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여성환경연대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Lee Sang-Ho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여성환경연대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여성환경연대
 
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
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
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여성환경연대
 
Eco Monitoring 090923
Eco Monitoring 090923Eco Monitoring 090923
Eco Monitoring 090923Chrissung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여성환경연대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여성환경연대
 
Eco Monitoring 090923
Eco Monitoring 090923Eco Monitoring 090923
Eco Monitoring 090923Chrissung
 
폐약저격 상상드림 프로젝트
폐약저격 상상드림 프로젝트폐약저격 상상드림 프로젝트
폐약저격 상상드림 프로젝트ohdal
 
코스파 보고서
코스파 보고서코스파 보고서
코스파 보고서runkilsh
 

Similaire à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20)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두원보고서 20140115
두원보고서 20140115두원보고서 20140115
두원보고서 20140115
 
[자료]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2010년)
[자료]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2010년)[자료]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2010년)
[자료]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2010년)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
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
0831 식약처보도 반박문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강릉원주대 대기환경과학과] 2015년 1학기 심교 식품과화학물질 과제물.pdf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20171227_건강한네일을부탁해_네일숍유해물질프로젝트 보고서
 
[최종] 2차 환경정의포럼 자료집
[최종] 2차 환경정의포럼 자료집[최종] 2차 환경정의포럼 자료집
[최종] 2차 환경정의포럼 자료집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
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
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
 
4.1.4엄윤정
4.1.4엄윤정4.1.4엄윤정
4.1.4엄윤정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Eco Monitoring 090923
Eco Monitoring 090923Eco Monitoring 090923
Eco Monitoring 09092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유방암과 환경요인 자료집 (2009)
 
Eco Monitoring 090923
Eco Monitoring 090923Eco Monitoring 090923
Eco Monitoring 090923
 
폐약저격 상상드림 프로젝트
폐약저격 상상드림 프로젝트폐약저격 상상드림 프로젝트
폐약저격 상상드림 프로젝트
 
코스파 보고서
코스파 보고서코스파 보고서
코스파 보고서
 

Plus de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Plus de 여성환경연대 (20)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 2012환경보건표지(A3) 2012.6.1111:32AM 페이지1 조 사 연 구 보 조사연구보고서 고 서 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의 습 기 노출실태와 건강영향 조사 살 균 Case Studies on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제 피 해 2012년 6월 자 의 노 출 실 이 연구는 환경보건학회 회원들의 성금과 자원봉사로 수행되었습니다. 태 와 건 강 영 향 조 사 살균소독제 한국환경보건학회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21동 615호 TEL.02-579-8896 Fax.02-579-8875 www.kseh.org
  • 2.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사례 조사연구 Case Studies on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2012년 6월 한국환경보건학회
  • 3.
  • 4.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사례 조사연구 Case Studies on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2012.6.11. 이 보고서를 한국환경보건학회에서 수행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사례 조사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 연구원 박동욱 (학회 편집위원장 , 방송대 ) 박정임 (순천향대 ) 백도명 (학회장 , 서울대 ) 이경무 (방송대 ) 임신예 (경희대 ) 임종한 (인하대 ) 임흥규 (환경보건시민센터 ) 최경호 (학회 학술이사 , 서울대 )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 하종식 (한국환경보건학회 ) 학생연구원 이새람 (서울대 ) 이은정 (방송대 ) 전재범 (방송대 ) 지영아 (순천향대 ) 진별이 (순천향대 )
  • 5. 검토 및 자문위원 박석환 (서원대 ) 양원호 (대구가톨릭대 ) 유명순 (서울대 ) 정지연 (용인대 ) 조영태 (서울대 ) 연구의 수행에 도움을 주신 가습기살균제피해자대책모임에 감사드립니다 . 이 연구는 한국환경보건학회 회원들의 성금으로 수행되었습니다 . 깊이 감사드립니다 . 김양호 , 김정훈 , 김판기 , 박동욱 , 박석환 , 박영식 , 박정임 , 백도명 , 안령미 , 양원호 , 어수미 , 이경무 , 이기영 , 이상우 , 임국환 , 임신예 , 임종한 , 정지연 , 조혜리 , 주송이 , 최경호 , 황윤형 , 황지희 (가나다순 )
  • 6. 차 서문 1 요약문 3 I. 배경과 목적 5 1. 사건의 배경 2. 가습기 살균제 피해의 규모 3.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실태 4. 조사연구의 목적 II. 조사 연구의 방법과 추진체계 15 1. 조사 대상과 기간 2. 조사내용 3. 연구추진체계 III. 피해자의 일반특성과 건강영향 21 1. 조사연구 대상 2. 피해자의 인구학적 특성 3. 피해 대상자의 질병력 4.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특성 5. 소결 IV. 피해자의 가습기 살균제 노출특성 39 1.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년도 2.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3. 가습기 사용특성 4. 가습기 살균제 사용특성 V. 가습기 살균제 사용과 건강피해 상관성 분석 53 1. 질병발생 통계 분석 2. 건강피해 영향 요인 분석 3. 짝지은 환자-대조군 분석 - i -
  • 7. 4. 소결 VI.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가족의 정신 건강영향 81 1. 조사의 가설 2. 정신건강 조사 도구 3. 의미와 제한점 4. 소결 5. 설문조사 - 문제해결을 위한 의식조사 분석 VII. 결론 109 1. 요약 및 결론 2. 제한점과 과제 VIII. 참고문헌 114 IX. 부록 117 1. 설문지 양식 2. 설문지 기입 사례 3. 가습기살균제 가족피해 사례소개 4. 설문조사 사진 5. 가습기 살균제 성분의 알려진 독성 - ii -
  • 8. 목 록 표 1.1. 가습기 살균제 피해사건의 경과일지 표 1.2. 피해신고사례의 유형과 연령집단 및 건강피해 표 1.3. 피해자들의 가습기살균제 제품별 사용빈도와 정부조치 표 2.1. 사례 조사연구 절차 표 3.1. 조사연구 및 분석대상 피해사례 (가족 )의 선정 표 3.2. 가구 당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포 표 3.3. 4인 가족과 5인 가족에서 자녀 순서에 따른 질병발생 빈도 표 3.4.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설문조사 응답자의 학력분포 표 3.5.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석대상의 지역별 분포 표 3.6. 가습기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의 성별 연령별 분포 표 3.7. 가습기살균제 피해 분석대상 중 0~9세 피해자 성별 연령별 분포 표 3.8. 가습기살균제 피해증상의 최초 발생월 분포와 우리나라의 월별 상대습도 표 3.9. 분석 대상사례 (95건 )에서의 과거 병력 표 3.10. 분석 대상사례 (95건 )에서의 증상 호소 표 3.11. 피해자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표 3.12. 사망 피해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표 3.13. 0~9세 사망 어린이의 성별 연령별 분포 표 3.14.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대상자 중 사망자의 성별 발생 비율 표 3.15.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대상자 중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 표 3.16. 어린이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 표 3.17. 성인의 성별 , 연령대별 피해자 및 사망자 분포 표 3.18. 가임기 피해여성 (20-49세 )의 최초증상 발생 시 임신여부 표 3.19. 최초 증상 발생 시 임산부 12건의 최종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표 3.20. 건강피해 최초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 분포 표 4.1. 가습기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9) 표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8) 표 4.3.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표 4.4. 하루 중 가습기 사용 및 종료 시각 표 4.5. 가습기 유형과 사용 양상의 특성 표 4.6. 가습기와 호흡기 부위 사이의 거리(단위: cm) 표 4.7. 환기 시간(단위: 분) 표 4.8. 조사대상자의 살균제 종류별 사용 특성 - iii -
  • 9. 표 5.1. 전국 0-2세 영유아의 폐질환 사망과 간질성 폐질환 사망의 연도별 변화 표 5.2.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 표 5.3.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 표 5.4.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 (개월 ) 표 5.5.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 (개월 ) 표 5.6.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중 노출 기간 (개월 ) 표 5.7.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 기간 (개월 ) 표 5.8.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중 노출 기간 (개월 ) 표 5.9.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 기간 (개월 ) 표 5.10. 노출 요인과 사망과의 연관성 표 5.11. 노출 요인과 치명적 손상과의 연관성 표 5.12. 사망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표 5.13. 치명적 손상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표 5.14.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 중 환자군-대조군 특성 비교 표 5.15.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가습기까지의 거리에 대한 교차비 표 5.16.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흡입량에 대한 교차비 표 5.17.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 중 환자군-대조군 특성 비교 표 5.18.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가습기 사용에 대한 교차비 표 5.19.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대한 교차비 표 5.20.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 중 환자군-대조군 특성 비 교 표 5.21.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가습기 사용에 대한 교차비 표 5.22.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대한 교차비 표 5.23.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 중 환자군-대조군 특성 비교 표 5.24.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임신여부에 대한 교차비 표 5.25.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가습기까지의 거리에 대한 교차비 표 5.26.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 중 환자군-대조군 특성 비교 표 5.27.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가습기 사용에 대한 교차비 표 5.28.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대한 교차비 표 6.1.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정신 건강 설문 응답자 표 6.2.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 성별 표 6.3.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연령 표 6.4.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교육수준 표 6.5. 설문 응답자 상태 구분 표 6.6.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조사대상자(피해자)와의 관계 - iv -
  • 10. 표 6.7. 정신건강 설문에 응답한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 표 6.8. 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인해 정신 치료 여부 표 6.9. 정신 치료 방법 표 6.10. 정신 치료 이후 현재 상태 표 6.11.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경과 시간 표 6.12. PTSD 증상 설문 응답자 상태 표 6.13. PTSD 증상자군 분율 표 6.14. 응답자들의 삶의 영역에서 문제가 되는 영역들 표 6.15. PTSD 증상으로 인하여 장애가 되는 삶의 영역의 수 표 6.16.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표 6.17. 환자 여부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표 6.18. 가족관계 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표 6.19.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PTSD 점수 및 고위험군 분율 표 6.20. 환자 여부별 PTSD 고위험군 분율 표 6.21. 가족관계 별 PTSD 점수 및 고위험군 분율 표 6.22. 불안 설문 응답자들에서의 불안의 정도 표 6.23.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불안 점수 및 불안 정도 표 6.24. 환자 여부별 불안 점수 및 정도 표 6.25. 가족관계 별 불안 점수 및 정도 표 6.26.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자살 충동 여부 표 6.27. 자살 충동 횟수 표 6.28.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자살 충동 여부 표 6.29. 환자 여부별 자살 충동 여부 표 6.30. 가족관계 별 자살 충동 여부 표 6.31. 자살 충동 여부에 따른 정신 건강 설문 점수 표 6.32. 자살 충동 여부에 따른 PTSD 및 불안군 표 6.33. 자살 충동 여부에 따른 불안 정도 - v -
  • 11. 림 목 록 그림 1.1. 가습기용 살균제 개발 기록 (1994년 11월 26일 매일경제신문 ) 그림 1.2. 각종 가습기살균제 제품들 그림 2.1. 조사연구 추진 체계와 역할 그림 3.1.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전체) 그림 3.2.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0-9세 ) 그림 3.3. 피해자의 건강중증도 분포 그림 3.4. 가습기 살균 피해 사망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전체) 그림 3.5. 가습기 살균 피해 사망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10세 미만) 그림 3.6.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중 연령별 사망자 발생 비율 그림 4.1. 가습기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9) 그림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8) 그림 4.3. 가습기 사용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비교 그림 4.4. 영유아 및 성인 피해자의 가습기 사용 분포 비교 그림 4.5. 영유아 및 성인 피해자의 가습기 살균제 사용 분포 비교 그림 5.1. 전국 0-2세 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그림 5.2. 전국 0-2세 간질성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그림 5.3. 전국 0-2세 폐질환 사망 중 간질성폐질환 사망 비율 그림 5.4. 하루 가습기 시간 그림 5.5. 가습기 사용년도와 사망자 분포 그림 5.6 가습기 살균제 사용년도와 사망자 분포 그림 9.1. 가족피해 사례 1 그림 9.2. 가족피해 사례 2 그림 9.3. 가습기 살균제 세퓨 노출 동물 폐의 육안소견 (질병관리본부 ) 그림 9.4. 가습기 살균제 (세퓨 ) 동물실험과 폐손상환자의 폐사진 (질병관리본부 ) 그림 9.5. 가습기 살균제 (옥시싹싹 ) 동물실험과 폐손상환자의 폐사진 (질병관리본부 ) 그림 9.6. MIT/CMIT, PGH, PHMG 성분의 가습기살균제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연구 (박창위 외 2012) - vi -
  • 12. 문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생활용품 속에는 합성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이들은 우리 생활에 편리함을 주기도 하지만 적절히 사용되지 않을 때 우리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국가는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지난 2011년 5월 이후 사회적인 반향을 일으킨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사건을 심각한 우려로 지켜보았다. 현재까지 파악된 174건의 피해와 52건의 사망은 어쩌면 빙산의 일각일지도 모른다.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또 다른 ‘가습기살균제’들이 있을 수 있고, 앞으로 비슷한 사건들이 우리에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우리의 안전 불감증을 돌이켜볼 계기이자 우리나라 화학물질 관리 체계의 총체적인 부실을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판단한다. 가정에서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할 중요한 시점이다. 사건 이후 한국환경보건학회 회원들 사이에서 2011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의 노출과 건강영향 등을 꼼꼼히 조사하여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는 제안이 제기되었다. 피해자들의 노출 실태와 건강영향 기록 등 관련된 모든 자료를 모아 기록으로 남김으로써 향후의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반면교사로 삼음은 물론 학문적 활용도 가능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학회 이사회는 2012년 1월 19일 논의를 통해 조사연구를 추진하기로 의결하였다. 조사의 재원을 회원의 성금으로 마련하고 회원의 자원봉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는데 그 이유는 신속한 조사와 중립적인 판단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2012년 2월부터 연구팀을 구성하고 연구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연구진들이 일일이 그동안 접수되었던 모든 피해자에게 연락하여 조사연구에 참여의사를 확인하였다. 이 중 76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거주 환경을 직접 방문하여 측정조사하였다. 이 연구만으로 가습기 또는 가습기 살균제 사용으로 인한 건강위험에 대한 모든 - 1 -
  • 13. 의문과 질문에 대답할 수는 없었다. 성급한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향후 필요한 학문적 그리고 행정적 과제가 무엇인지 끌어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번 조사 및 연구는 소중한 교육의 기회이기도 하였고 이를 통해 환경보건을 공부하는 우리 연구자의 영역과 지향을 진지하게 성찰해 볼 수 있었다. 이 보고서가 앞으로 필요한 과제를 설정하고 나아가 가정에서 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건강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유명을 달리한 피해자들의 명복을 빌며 아직도 고통 받고 있는 생존자와 유가족께 깊은 위로를 드린다. 2012년 6월 11일 한국환경보건학회 - 2 -
  • 14. 요약문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건강피해를 신고한 피해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살균제 사용 및 질병 특성을 설문과 인터뷰로 조사하였다 .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모임과 환경보건시 민센터에 접수된 피해사례 174건 (133가족 )을 대상으로 조사연구 참여희망 여부를 조사 한 결과 모두 105건 (76가족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 이 가운데 태아피해사례 (출생이전 ) 와 호흡기 질환 이외의 건강영향 사례 등 모두 10건이 분석에서 제외되어 모두 95사 례 74가족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 조사대상자를 직접 방문하여 살균제의 사용 여부와 폐 질환을 포함한 질병은 피해자가 보관한 자료로 확인하였고 , 가습기가 사용 된 방과 노출조건 등은 직접 연구진이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 피해자와 그 가족의 정신 건강에 미친 영향도 함께 조사하였다 . 이 조사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접수된 피해자 대부분은 사고 발생 이전에는 특별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상태였던 것으로 보인다 . 분석대상 피해자 95명 중 사망자는 31건 (33%)이며 , 어린이와 가임기 여성이 각각 65%와 26%로 거의 대부분이었다 . 이는 연령과 임신 여부 등 생물학적 특 성이 가습기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암시한다 .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증상이 처음으로 발생된 시점은 가습기 사용이 증가하는 겨 울철과 초봄 (1-4월 )에 67%가 집중되어 있으며 증상 발생으로부터 사망까지의 평균시간 은 2.5개월이었다 . 민감군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 이내에 심각한 건강영향이 초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전체 조사대상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 가습기 노출시간 , 가습기 살균제 사용량 등의 요인은 사망위험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거나 , 오히려 반대의 상관성을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영유아 형제 또는 성인을 각각 짝지은 환자 -대조군 연구 결과 가습기까지의 상대적인 거리가 짧을수록 , 주관적 흡입 량이 많을수록 환자군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 연령 또는 임신여부가 질병의 위중도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고려할 때 , 같은 방에서 취침한 짝지은 환자 - 대조군을 어린이와 성인으로 구분하고 임신 여부를 제어하여 수행한 분석결과는 가습 기 살균제 노출이 건강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일정부분 지시한다고 판단된다 . 다른 방 을 사용하여 가습기 살균제 노출 유무로 구분되는 , 짝지은 환자 -대조군 분석에서도 가 - 3 -
  • 15. 습기 살균제 사용자 집단에서 전적으로 건강영향이 관찰되었다 . 피해자 및 그 가족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PTSD)나 불안의 경험 분율이 매우 높았 으며 자살 충동을 느끼는 사람도 많았다 . 정신건강영향은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건강 피해의 위중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가족 중 사망자가 있는 집단에서 사망 자가 없는 집단에 비해 자살충동 교차비가 4.97로 유의하게 높았다 . 가습기 살균제 피 해자와 그 가족을 정상적인 인간관계 및 사회활동에 지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 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 이 조사연구는 가습기만의 건강영향은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 가습기 살균제 노 출과 질환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규명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러한 부 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이 경험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사용 하는 다양한 화학물질에 대한 철저한 안전성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 한 불철저한 화학물질 안전관리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은 피해자들에 대한 적절 한 구제와 비슷한 사건의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4 -
  • 16. I. 배경과 목적 1) 1. 사건의 배경 2. 가습기 살균제 피해의 규모 3.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실태 4. 조사연구의 목적 1) 최예용 외. 2012.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8, 164-174.를 토대로 작성되었음 - 5 -
  • 17.
  • 18. 1. 사건의 배경 우리나라에서 가습기용 살균제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94년으로 추정된다 . 1994년 11 월 16일 매일경제신문은 국내 회사가 처음으로 가습기살균제를 개발했다는 기사를 보 도하며 ‘독성실험결과 인체에 전혀 해가 없다 ’는 개발회사의 광고를 소개했다 . 다른 나 라에서 생활제품으로써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예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 그림 1.1. 가습기용 살균제 개발 기록 (1994년 11월 26일 매일경제신문 ). 2011년 5월 11일 ‘미확인 바이러스 폐질환으로 산모들이 잇달아 사망한다 ’는 내용이 보도되었다 . 2011년 8월 31일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는 서울시내 한 종합병원에 입원한 산모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 결과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는 경우 원인 미상 폐손상의 발생 가능성이 47.3배 높다는 내용을 발표하였다 . 질병관리본부는 시민 들에게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지 말 것과 제조판매회사들에게 판매를 자제할 것을 권 고하였다 .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피해자모임 (http://cafe.daum.net/keepus)은 정부가 조사대상을 산모에 국한하여 영유아에 대한 피해조사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공개 적으로 피해사례를 접수하기 시작하였다 . 이후 2012년 4월 13일까지 모두 171건의 피 - 7 -
  • 19. 해사례가 접수되었다 . 질병관리본부는 2011년 11월 11일 동물실험결과를 발표하고 ‘가습기살균제를 흡입시 킨 결과 해당물질이 세기관지 주변 폐 세포에 손상을 가하고 , 이러한 영향이 누적되어 폐조직의 섬유화성 병변이 나타났다 ’며 6개 제품에 대해 수거명령을 내렸다 . 같은 해 12월 30일 보건복지부 산하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가습기살균제를 의약외품으로 지정하 는 ‘의약외품 범위지정 ’ 고시 개정안 ’을 공포 및 시행하였다 . 이상과 같이 가습기 살균 제 사용과 관련된 건강영향과 피해의 경과를 표 1.1에 정리하였다 . - 8 -
  • 20. 표 1.1. 가습기 살균제 피해사건의 경과일지 일시 주요 발표 및 보고 비고 유공 1994년 가습기살균제 최초개발, 판매시작 (현 SK케 미칼) 2 0 0 0 년 대 옥시, 세퓨 등 다양한 상품 판매, 소비 증가, 이후 2010년 중반 까지 대형 마트 PB 상품 등 약 20여종 연간 60만개 판매 2006년 초 의료계, ‘2006년 초에 유행한 소아급성 간질성 폐렴’ 논문 대한소아 발표 학회지 2011년 서울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급성호흡부전 주 증상 중 서울아산 4월25일 증폐렴 임산부 환자 입원 증가’ 질병관리본부에 신고 및 병원 조사요청 2011년 원인미상 폐질환으로 ‘산모연쇄사망’ 언론보도 (서울아산 5월11일 병원 중환자실 입원사례 8건, 이중 4명 사망, 3건 폐이식 수술) 보건복지부, 산모사망사건 역학조사결과 발표; ‘가습기살 균제 사용 시 원인미상 폐손상 47.3배 높다’(교차비 47.3, 부분적 독성 실험결과); 2004-2011 사이 서울아산병원 내 원 고해상 컴퓨터단층촬영(High Resolution Computed 2011년 Tomography, HRCT) 촬영 1,500건 중 28건 확인, 이 중 질병관리 8월31일 18건 환자군과 호흡기내과 등에서의 121건의 대조군을 대 본부 상으로 한 환자-대조군 조사결과. 연령, 성별, 곰팡이, 살 충제사용 등을 보정한 후에도 가습기살균제 사용 교차비 48.8(95% 신뢰구간 6.1~392.4) 가습기살균제 판매 및 소비 자제권고. 2011년 시민단체, 피해사례 1차 발표; 영유아-사망 5건, 환자 1건, 환경보건 9월20일 산모-사망 1건, 피해 1건 등 8건 시민센터 2011년 환경보건 11월1일 국회토론회; 시민단체, 피해사례 2차 발표(50건 추가) 시민센터 2011년 환경보건 11월9일 시민단체, 피해사례 3차 발표(33건 추가) 시민센터 2011년 11월10일 간질성 폐렴 진단받고 폐이식 받았던 산모 서씨 사망 2011년 보건복지부, 1차 동물실험결과 중간발표; 10개 제품대상조 질병관리 11월11일 사결과 일부 성분(PHMG*, PGH†)의 독성 확인, 해당 6개 본부 상품 수거명령, 나머지 제품 사용자제 권고 계속 - 9 -
  • 21. 일시 주요 발표 및 보고 비고 2011년 식품의약 11월17일 보건복지부, 가습기살균제 의약외품 지정고시안 행정예고. 품안전청 2011년 김황식 국무총리 ‘가습기살균제 피해대책 마련하라’ 지시 국무회의 11월22일 2011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대회 및 시민단체 피해사례 4차 발표 환경보건 11월30일 (62건 추가) 시민센터 2011년 보건복지부, '생활화학용품 안전관리 종합계획' 추진발표 12월9일 (세정제, 방향제, 탈취제, 합성세제, 표백제 등 가정용 화 학제품 8품목 순차적 조사대상 확대) 2011년 보건복지부, 가습기살균제 의약외품 지정 (‘의약외품 범위 12월30일 지정’ 고시 개정안 공포 및 시행, 이전까지는 일반 공산품 취급, 이후 판매허가 및 흡입동성과 세포독성시험 의무화) 2012년 폐이식산모 윤모씨 사망 (2011년 5월 첫 보도 때 언급된 1월11일 8건 중 5명 사망, 폐이식 환자 2명 등 3명 생존 중) 보건복지부, 1차 동물실험결과 최종 발표 (PHMG와 PGH 성분 흡입 독성 최종 확인, CMIT/MIT‡ 성분 함유한 4개 질병관리 제품 조사결과 독성 확인 안됨. 모든 제품사용자제 권고 본부 2012년 계속), 전국 보건소 등 통해서 141건 접수 받아 확인 중 2월2일 (이중 34건 가습기살균제 관련성 확인, 10건은 사망사례) 환경보건 시민단체, 피해사례 5차 발표(17건 추가) 시민센터 2012년 시민단체(녹색소비자연대, 여성환경연대 등), 80여건 옥시 소비자원 3월 싹싹제품 피해사례 집단분쟁조정 신청 2012년 시민단체, 174건 피해사례접수, 환경보건학회 정밀조사중, 환경보건 4월13일 이중 사망 52건(전체의 30%), 폐 또는 심장이식 7건, 가족 시민센터 단위피해 28가구 69건(전체의 40%) * PHMG(polyhexamethylene guanidine) † PGH(Oligo(2-(2-ethoxy)ethoxyethyl guanidinium chloride) ‡ CMIT/MIT(chloromethyl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 - 10 -
  • 22. 2. 가습기 살균제 피해의 규모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피해자모임에 접수된 피해사례는 2011년 9월 초 부터 2012년 4월13일까지 모두 174건이었다. 피해자 본인이나 가족의 전화접수가 대부분이며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모임에 참가하여 접수한 경우도 적지 않다. 접수내 용은 피해자의 인적사항, 병원기록, 가습기살균제 종류 및 사용기간 등이었다. 접 수사례 중 5건은 접수 당시 가습기살균제 를 사용했으며 , 피해가 있을까 봐 불안하다 거나 검사 중이라고 하였으나 , 이후 대부분 폐렴 등의 질병 진단을 받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 표 1.2. 피해신고사례의 유형과 연령집단 및 건강피해 - 11 -
  • 23. 피해신고 내용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30%인 52건이 사망이고 , 122건이 생존 환자이 다 . 사망자의 연령대를 보면 , 태아 2건 , 영유아 29건 , 소아 4건 , 성인 17건 (이중 산모 7 건 ) 등이다 . 영유아 사망이 전체의 56%로 가장 많다 . 생존환자 122건 중 7건이 폐이식 혹은 폐와 심장이식수술로 살아남은 가장 심각한 생존사례다 . 연령대별로 보면 소아 1 건 , 성인 6건 (이 중 산모 2건 )이다 . 폐나 심장을 이식하였지만 이후 사망한 사례가 2건 보고되어 사망자로 분류되었다 . 한 가족에서 여러 명이 피해를 입은 가족단위 피해가 많은 것도 특징인데 전체 피해사례의 40%인 69명이 이에 해당한다 . 3.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실태 시중에 판매된 가습기살균제 제품은 모두 20종류로 파악된다 . 우리나라에서 가습기 살균제를 제조 또는 판매한 회사는 외국회사 5개 , 국내기업 22개사 등 모두 27개 회사 로 확인되었다 . 특히 국내 5개의 대기업이 포함 (또는 관련 )되어 있는데 , SK그룹의 SK 케미칼은 원료를 개발했고 , 삼성그룹 소속의 홈플러스 (1999년 4월부터 2011년 3월까지 ), GS그룹의 GS리테일 , 롯데그룹의 롯데마트 그리고 신세계그룹의 이마트 등 4개 대형할 인마트들은 가습기살균제의 원료를 이용하여 자신들의 고유한 브랜드로 포장하여 판 매하는 소위 PB상품을 판매해왔다 . 그림 1.2. 각종 가습기살균제 제품들 . 가습기살균제 시장규모는 연간 20억원 정도이며 연간 소비되는 상품 개수는 60만개 라고 알려져있다 . 가습기살균제의 첫 판매는 1994년부터이지만 2000년대 들어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본격적으로 판매망이 확대되었다고 한다 . 판매회사들은 TV광고 와 마트 등에서 사은품행사 등을 통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고 , 심지어 삼성전자와 같은 가습기 판매 가전사들도 가습기살균제를 사은품으로 포함시킨 사례도 확인되었 다. - 12 -
  • 24. 조사에 따르면 가습기를 사용하는 비율이 일반 인구에서 37.2%이고 , 이 중 가습기살 균제 사용율은 절반 정도인 18.2%였다 . 연령 특성 상 노인인구군은 22.7%로 일반 인구 에 비해 약간 낮고 , 산모는 27.8~58.5%, 아토피 환아는 58.3%로 가습기 사용률이 매우 높다 (Jeon and Park 2012, Kim EH et al. 2012). 가습기살균제가 20여종 , 연간 60만개가 판매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 가습기살 균제 사용인구규모는 연간 수백만명까지 추산이 가능하다 . 특히 산모와 아토피환자와 같은 민감군에서 가습기 사용자가 많은 것도 중요하다 . 가습기살균제의 종류와 사용 시 농도 , 노출의 집중도와 기간 , 개인 민감도 등 여러 가지 변수가 존재하겠지만 가습 기살균제 사용으로 인한 잠재적인 피해대상의 수가 적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 . 다만 상대적으로 심각하지 않은 증상의 피해자들의 경우 거의 신고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 표 1.3은 20개의 제품명단과 174건의 접수된 피해자들이 사용한 가습기살균제 제품 에 대한 분석내용이다 . 피해자들이 사용한 제품은 모두 11종류였다 . 피해자들의 절반 정도는 한 종류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 나머지 절반은 여러 종류의 제품을 사용하였 다. 4. 조사 연구의 목적 (1)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현황 파악 정부에서 이미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고 일련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바 ,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피해가 의심되는 사례들의 인구학적 특 성 , 가습기 살균제 사용 특성과 건강피해 현황 , 피해자 가족의 정신건강 현황 등에 관 한 실태를 파악하여 가습기 살균제 피해와 관련된 과학적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 다. (2) 가습기 살균제 노출과 건강영향의 기록 가습기 살균제의 종류 , 사용량 , 사용기간 등을 고려하여 살균제 성분에 대한 노출특 성을 분석하고 , 피해자의 건강 문제 발생과 경과 , 현재 상태 등을 파악하여 기록하고 자 한다 . - 13 -
  • 25. 표 1.3. 피해자들의 가습기살균제 제품별 사용빈도와 정부조치 (3) 피해자 정신건강 측정 사건 발생 이후 호흡기질환으로 고생하게 된 환자들과 이들의 가족 , 그리고 사망자 나 이식자들의 가족들에서의 이로 인한 정신적 충격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4) 생활용품 중 화학물질 관리 강화의 필요성 제기 위와 같은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향후 생활용품 중 화학물질의 유통과 사용을 엄격히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도입과 위험성 소통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 14 -
  • 26. II. 조사 연구의 방법과 추진체계 1. 조사 대상과 기간 2. 조사내용 3. 연구추진체계 - 15 -
  • 27.
  • 28. 1. 조사대상과 기간 조사대상 및 규모 : 조사의 대상은 2011년 9월 이후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 제피해자대책모임으로 접수된 피해 사례 174건 , 133가족이었다 . 이 중 설문조사 (방문 면담 조사 또는 자기기입식 )에는 105건이 참여하여 , 접수된 피해사례 중 이번 조사연 구에 참여율은 60%(105건 /174건 )이었다 . 조사 기간 : 2012년 2월 ~ 2012년 5월 2. 조사내용 (1) 조사 내용 : 이 조사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아래와 같은 8가지 분야로 구성하였다 (부록 참조 ). 1) 일반사항 : 응답자 정보 , 피해자 정보 , 가족관계 2) 건강피해 사항 : 건강피해 중증도 , 건강피해의 최초 증상 , 최초 발생일 , 진단 명 , 진료 이력 , 증거 자료 등 3) 성인 피해자 건강 이력 사항 : 평소 건강상태 , 과거 병력 , 가족력 , 직업력 , 흡 연력 , 음주력 등 4)어린이 피해자 건강 이력 사항 : 출생시 건강상태 , 주요 생활공간 , 평소 건강 상태 , 과거 병력 , 가족력 5) 거주환경 사항 : 거주 형태 , 주변 유해 환경 , 취사 방식 , 가정 실내환경 , 실내 흡연 , 실내 도면 등 6) 가습기 사용 사항 : 가습기 종류 , 사용 기간 및 시간 , 환기 빈도 , 사용한 물 의 종류 , 가습기 청소 빈도 7) 가습기 살균제 사용 사항 : 살균제 종류 , 일회 사용량 , 사용 기간 , 사용 빈도 , 사용 동기 , 가습기 살균제의 위험성 인지 여부 등 8) 정신건강 사항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불안 질문검사 (Beck Anxiety Inventory), 자살 충동 및 시도 (2) 조사방식 설문응답자의 편의에 따라 자기기입식 (이메일 , 우편 )과 방문면접조사 방식을 선택하 였다 . 거주환경 , 방의 크기 및 가습기와 취침 위치와의 거리 등은 조사자가 실측하여 - 17 -
  • 29. 기록하기도 하였다 . (3) 조사 연구 절차 이 조사연구는 한국환경보건학회 이사회의 의결에 따라 연구추진이 결정되었고 , 조 사절차는 조사연구 기획 , 설문조사표 설계 및 개발 , 설문조사 실시 , 조사결과 검증 , 결 과 분석 , 보고서 작성으로 이루어졌다 . 각 절차별 업무내용과 일정을 표 2.1에 요약하 였다 . - 18 -
  • 30. 표 2.1. 사례 조사연구 절차 일정 조사절차 내용 (2012년) - 연구팀 구성 - 조사 연구 계획 수립 계획 수립 2월 - 조사연구비용 조달 - IRB 승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사례접수 피해자 목록 확인 조사연구 조사대상 - 피해자 개별 연락, 연구 참여 의사 확인 기획 점검 및 조사 2월 - 설문조사표 설계 및 개발 문항 개발 - 면접조사를 위한 조사원 교육 - 방문조사를 위한 연구팀(조사원) 일정 조율 조사 일정 - 예비조사를 통한 설문조사표 보완 및 수정 2월 조율 및 협의 - 최종설문조사표 완성 자기기입식 - 설문지 발송 2-3월 설문조사 설문조사 - 설문조사 관련 문의 응대 실시 방문면접 - 방문조사 진행 (면담, 실측) 2-4월 조사 실시 - 조사 설문지 검토 후 추가보완 실시 조사내용 - 입력 데이터 오류 사항 점검 4월 데이터 검증 - 피해자 병원 진단 기록 등 관련 자료 확보 분석 - 자료 처리 및 분석 결과 분석 4-5월 - 결과표 작성 데이터 - 전문가 자문회의 보고서 작성 5-6월 정리 - 최종보고서 작성 - 19 -
  • 31. 3. 연구추진체계 한국환경보건학회가 기획 및 총괄진행을 담당하고 , 회원 중심으로 분야별 연구팀을 구성하여 자료수집 , 조사 , 분석이 수행되었다 . 자문위원단은 조사연구의 진행과정과 최 종보고서 검토 과정에 기여하였다 (그림 2.1). 그림 2.1. 조사연구 추진 체계와 역할 . - 20 -
  • 32. III. 피해자의 일반 특성과 건강영향 1. 조사연구 대상 2. 피해자의 인구학적 특성 3. 조사대상자의 질병력 4.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특성 5. 소결 - 21 -
  • 33.
  • 34. 1. 조사연구 대상 설문조사의 대상은 2011년 9월 이후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모임 (인터넷카페 )로 접수된 피해 사례 174건 , 133가족이다 . 이 조사 연구에서는 “가습기 살균제 사용과 관련하여 호흡기 증상과 호흡부전을 호 소하고 , 임상증상과 경과가 개인의 기존질환과는 구분되는 증상 및 질환군 ”으로 피해 사례를 정의하고 ,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는 피해사례로 접수된 경우라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 설문조사 (방문 면담 조사 또는 자기기입식 )에는 105건 (76가족 )이 참여하여 접수된 피 해사례 중 이번 조사연구에 참여율은 60%(105건 /174건 )이다 . 조사대상 74가족의 가족 수 구성은 전체 270명이었으며 , 이 중에서 95명이 최종 분 석된 피해사례였다 . 즉 , 조사된 105건 중 출생 이전의 태아 피해사례 2건 , 보고된 건 강영향이 호흡기 질환이 아닌 경우 등 모두 10건이 분석에서 제외되어 , 이번 연구의 분석대상은 모두 95건 (74가족 )이었다 (표 3.1). 표 3.1. 조사연구 및 분석대상 피해사례 (가족 )의 선정 구분 사례 수 (가족 수 ) 비율 설명 피해자 사례 접수 (가족 ) 건수 174 (133) 100% 신고접수 건수 설문조사 사례 (가족 ) 건수 105 (76) 60% (57%) 설문 조사된 수 분석 제외 (가족 ) 건수 10 (2) - 출생 전 태아 등 최종 분석 (가족 ) 건수 95 (74) -   가습기 살균제 노출은 가족단위에서 비슷한 노출특성 (노출물질 , 노출강도 , 노출기간 등 )을 가지므로 피해발생도 가족단위인 경우가 많았다 . 가족구성원 중 2인 이상의 피 해가 발생한 경우는 74가족 중 16가구 (22%), 전체 95건 중 37건 (39%)에 달하였다 (표 3.2). - 23 -
  • 35. 표 3.2. 가구 당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포 가족 피해자 가족 내 피해자수 *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1 58 78% 58 61% 2 12 16% 24 25% 3 3 4% 9 9% 4** 1 1% 4 4% 합계 74 100% 95 100% * 조사 분석에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로 의심되는 태아사망 2건은 제외되었음 ** 이 가족의 경우 태아사망을 포함하면 가족 내 피해자 수는 5명임 . 가족구성원들 중에서 누가 질환에 이환되는지를 보고자 4인 가족 31가구와 5인 가족 11기구에 대하여 피해자의 가족내 위치를 분석하였다 (표 3.3). 자녀 순서에 따라 첫째 가 둘째보다 , 둘째가 셋째보다 건강피해를 더 많이 입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 - 24 -
  • 36. 표 3.3. 4인 가족과 5인 가족에서 자녀 순서에 따른 질병발생 빈도 가족구성원별 건강피해 건수 (발생비율 , %) 아버지 어머니 첫째 자녀 둘째 자녀 셋째 자녀 4인가족 사망 0 6 7 (23%) 4 (13%) 폐심장이식 0 1 0 0 기타 1 6 6 (19%) 4 (13%) 무영향 31 18 18 (58%) 23 (74%) 합계 31 31 31(100%) 31(100%) 5인가족 사망 1 0 3 (27%) 3 (27%) 2 (18%) 폐심장이식 1 2 0 0 0 기타 1 3 3 (27%) 1 (9%) 1 (9%) 무영향 8 6 5 (46%) 7 (64%) 8 (73%) 합계 11 11 11 11 11 설문조사 응답자 전체 95건 중 55건 (58%)이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으로 응답하 였다 . 학력이 확인되지 않은 26건을 제외하면 응답자 69명 중 45명 (65%)이 대학 이상 의 학력이었다 (표 3.4). 표 3.4.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설문조사 응답자의 학력분포 학력 응답자의 학력 빈도 백분율 고등 졸업 14 15% 전문대학 졸업 10 11% 대학 졸업 39 41% 대학원 졸업 6 6% 미확인 26 27% 합계 95 100%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에 포함된 사례는 경기 31건 (33%), 서울 25건 (26%), 대 전 14건 (15%), 인천 11건 (11%)으로 4지역에 81건 (85%)이 집중되어있다 (표 3.5). 이는 그 외의 지역에서 발생한 사고사례가 상대적으로 많이 누락되었을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 25 -
  • 37. 표 3.5.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석대상의 지역별 분포 피해자 시도단위 사례 2010년 전국 시도단위 인구 지역 사례 빈도 백분율 인구 (천명 ) 구성비 (%) 서울 25 26% 10,039 21% 부산 - - 3,446 7% 대구 2 2% 2,431 5% 인천 11 12% 2,661 5% 광주 - - 1,450 3% 대전 14 15% 1,515 3% 울산 2 2% 1,094 2% 강원 - - 1,443 3% 경기 31 33% 11,637 24% 충북 2 2% 1,479 3% 충남 3 3% 1,959 4% 전북 - - 1,703 3% 전남 2 2% 1,740 4% 경북 1 1% 2,592 5% 경남 2 2% 3,141 6% 제주 - - 547 1% 합계 95 100% 48,875 100% - 26 -
  • 38. 2. 피해자의 인구학적 특성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석대상 95건 중 남성 피해자 39건 (41%), 여성 피해자 56건 (59%)이었다 . 연령별로 보았을 때 0세에서 9세까지의 피해자가 46건 (49%), 30-39세가 26건 (27%)으로 피해자의 76%에 해당되었다 (표 3.6). 표 3.6. 가습기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의 성별 연령별 분포 연령 *대 (년 ) 성별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합계 39 21 1 1 6 3 4 3 39 남자 41% 53% 3% 3% 15% 8% 10% 8% 100% 56 25 0 7 20 2 2 0 56 여자 59%  45% 0% 13% 36% 4% 4% 0% 100% 95 46 1 8 26 5 6 3 95 합계 100% 49% 1% 8% 27% 5% 6% 3% 100% *연령 = (피해자 최초발생일 -피해자 생년월일 )/365의 정수값 . 그림 3.1.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전체). - 27 -
  • 39. 0세에서 9세까지 피해자 46명의 연령을 세분하여 분석하면 0세에서 2세까지가 80%, 0세에서 3세까지가 91%를 차지하여 어린이 중 특히 영유아에게 그 피해가 집중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 3.7). 표 3.7. 가습기살균제 피해 분석대상 중 0~9세 피해자 성별 연령별 분포 연령 * (년 ) 성별 0 1 2 3 4 6 합계 21 6 2 8 3 1 1 21 남자 46% 29% 10% 38% 14% 5% 5% 100% 25 6 8 7 2 2 0 25 여자 54% 24% 32% 28% 8% 8% 0% 100% 46 12 10 15 5 3 1 46 합계 100% 26% 22% 33% 11% 7% 2% 100% ※연령 : 피해자 최초발생일의 만 연령 . 그림 3.2.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대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0-9세 ). - 28 -
  • 40. 가습기 살균제 건강 피해 증상이 처음으로 발생된 시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가습 기 사용이 증가하는 겨울철과 초 봄 (1월부터 4월 )에 67%가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표 3.8). 표 3.8. 가습기살균제 피해증상의 최초 발생월 분포와 우리나라의 월별 상대습도 피해증상 발생월별 분포 2010년 월별 전국 상대습도 월 빈도 백분율 평균 (%) 표준편차 (%) 1 15 16% 62.8 14.2 2 20 21% 65.2 18.5 3 15 16% 65.7 16.0 4 13 14% 60.1 15.0 5 7 7% 65.6 15.0 6 3 3% 69.9 12.7 7 1 1% 79.9 9.0 8 0 0% 81.9 7.3 9 5 5% 78.1 9.3 10 5 5% 71.7 12.0 11 4 4% 60.1 13.5 12 7 7% 61.4 15.6 전체 95 100% 68.6 15.4 - 29 -
  • 41. 3. 조사 대상자의 질병력 전체 대상자들은 고혈압 , 협심증 , 부정맥 , 폐질환 , 천식 , 알러지성비염 , 아토피성피부 염 등이 일부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 전체적으로는 건강한 상태였던 것 으로 파악되었다 (표 3.9). 표 3.9. 분석 대상사례 (95건 )에서의 과거 병력 예 아니오 과거 병력 비율 (%) 고혈압 6 89 6.3 협심증 1 94 1.1 부정맥 1 94 1.1 폐질환 1 94 1.1 천식 1 94 1.1 알러지성 비염 1 94 1.1 아토피 피부염 1 94 1.1 전체 대상자들은 기침 , 가래 , 호흡곤란 , 열 , 피로 , 흉통 , 각혈 , 체중 감소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했으며 , 그중 기침이 83.2%, 호흡곤란이 57.4%로 가장 높은 호소율을 보였 다 (표 3.10). 표 3.10. 분석 대상사례 (95건 )에서의 증상 호소 예 아니오 호소 비율 (%) 기침 79 16 83.2 가래 29 66 30.5 호흡곤란 54 40 57.4 열 27 68 28.4 피로 26 69 27.4 흉통 24 71 25.3 각혈 1 94 1.1 체중 감소 31 64 32.6 - 30 -
  • 42. 4.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특성 (1)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분석대상 피해자 95건 중 사망자는 31건 (33%)이며 , 사망을 포함하여 장기이식 등 심 각한 피해를 입은 경우는 37건 (39%)에 달하였다 (그림 3.3). 그림 3.3. 피해자의 건강중증도 분포. (2) 성별 연령별 건강피해 특성 분석대상 피해자 중 어린이 (0-9세 46명 , 12세 1명 ) 피해자 47건 중 사망 20건 (43%), 20-69세 피해자 48건 중 사망 11건 (23%)로 건강피해의 중증도는 어린이에게 더욱 심각 하게 나타났다 (표 3.11). 표 3.11. 피해자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건강피해 중증도 (빈도 , 백분율 %) 미성년과 성년 장기이식 사망 호흡기질환 합계 (폐 , 심장 ) 0-19세 20 43% 0 0% 27 57% 47 100% 20-69세 11 23% 6 12% 31 65% 48 100% 합계 31 33% 6 6% 58 61% 95 100% 사망 피해자 31건 중 여성이 21건 (68%)으로 남성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았고 , 연령 별로 분석하면 0-9세까지 어린이가 20 건 (65%), 20-39세 사이의 여성이 8건 (26%)이었다 (표 3.12). - 31 -
  • 43. 표 3.12. 사망 피해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연령대 (년 ) 성별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합계 10 8 0 0 0 0 2 0 10 남자 32% 80% 0% 0% 0% 0% 20% 0% 100% 21 12 0 4 4 0 1 0 21 여자 68% 58% 0% 19% 19% 0% 5% 0% 100% 31 20 0 4 4 0 3 0 31 합계 100% 65% 0% 13% 13% 0% 10% 0% 100% 그림 3.4. 가습기 살균 피해 사망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전체). (3) 영유아 및 가족구성에 따른 건강피해 특성 사망 피해 어린이의 경우 모든 피해자가 0세에서 3세까지로 영유아였다 (표 3.13). - 32 -
  • 44. 표 3.13. 0~9세 사망 어린이의 성별 연령별 분포   연령 (년 ) 성별 0 1 2 3 합계 8 2 1 4 1 8 남자 40% 25% 13% 50% 13% 100% 12 2 3 6 1 12 여자 60% 17% 25% 50% 8% 100% 20 4 4 10 2 20 합계 100% 20% 20% 50% 10% 100% 그림 3.5. 가습기 살균 피해 사망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10세 미만).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자 중 사망자의 발생비율을 성별로 분석하면 , 남성 (26%)보다 여성 (38%)에서 사망 발생 비율이 높았다 (표 3.14). 표 3.14.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대상자 중 사망자의 성별 발생 비율 성별 피해자수 사망자수 피해자 대비 사망비율 남자 39 10 26% 여자 56 21 38% 합계 95 31 33%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대상자 중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은 20-29세와 50-59세 (50%), 0-9세 (43%) 순이었다 (표 3.15). - 33 -
  • 45. 표 3.15.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대상자 중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 연령대 (년 ) 피해자수   사망자수   피해자 대비 사망비율 0-9 46 20 43% 10-19 1 0 0% 20-29 8 4 50% 30-39 26 4 15% 40-49 5 0 0% 50-59 6 3 50% 60-69 3 0 0% 합계 95 31 33%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대상자 중 0-9세 사이 어린이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을 세분한 결과 2세 어린이의 사망 발생 비율 (67%)이 가장 높았다 (표 3.16). 표 3.16. 어린이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 연령 (년 )   피해자수 사망자수     피해자 대비 사망비율 0 12 4 33% 1 10 4 40% 2 15 10 67% 3 5 2 40% 4 3 0 0% 5 0 0 - 6 1 0 0% 합계 46 20 43% - 34 -
  • 46. 그림 3.6.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중 연령별 사망자 발생 비율. (3) 임산부의 건강피해 특성 성인 (20세 이상 ) 48명의 피해자 중 11건의 사망이 있는데 , 이 중 20-49세 여성에 8명 (73%)에 발생하였다 (표 3.17). 표 3.17. 성인의 성별 , 연령대별 피해자 및 사망자 분포 피해자 분포 사망자 분포 성별 20-49 50세 이상 합계 20-49 50세 이상 합계 10 7 17 0 2 2 남자 59% 41% 100% 0% 100% 100% 29 2 31 8 1 9 여자 94% 6% 100% 89% 11% 100% 39 9 48 8 3 11 합계 81% 19% 100% 73% 27% 100% 가임여성 (20-49세 ) 피해자 29건 중 , 최초증상 발생 시 임산부 12명 (41%)으로 확인되 었다 (표 3.18). - 35 -
  • 47. 표 3.18. 가임기 피해여성 (20-49세 )의 최초증상 발생 시 임신여부 임신유무 빈도 백분율 유 12 41% 무 17 59% 합계 29 100% 최초증상 발생 시 임산부 12명 중에서 사망자는 7건 (58%)이며 , 사망을 포함하여 장기이식 등 심각한 피해를 입은 경우는 9건 (75%)에 달하였다 (표 3.19). 표 3.19. 최초 증상 발생 시 임산부 12건의 최종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피해자 분류 빈도 백분율 사망 7 58% 폐이식 2 17% 호흡기계 질환 3 25% 합계 12 100% (4) 건강피해 진행속도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은 모두 7개월 미만이었 는데 (31건 ), 첫 증상후 사망 사이의 평균시간은 2.5개월 (표준편차 1.6)이었다 2). 첫 증상 후 2.5개월만에 호흡부전으로 사망하는 급성 및 아만성 호흡부전증상을 보였 다. 최초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 1개월이 걸리지 않은 경우가 7건 (23%), 2개월 미만 이 11건 (35%), 3개월 미만이 7건 (23%)로 전체 사망 피해의 81%가 증상 발생 후 3개월 이내에 발생하였다 (표 3.20). 2) 건강피해 최초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의 분포 계산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일수=피해자사망일-피해자최초발생일 (2) 월수=일수/30 (3) 월수에 대한 정수계산은 “월수”의 정수값만 계산. 예를 들어 월수=1.345이면 1로 계산하여 1개월~2 개월 미만에 들어가게 함. 예를 들어 월수=0.98이면 0으로 계산하여 1개월 미만에 들어가게 함. - 36 -
  • 48. 표 3.20. 건강피해 최초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 분포 최초증상 발생일 이후 사망까지의 기간 (월 ) 연령대 (년 ) 1개월 -2개월 2개월 -3개월 3개월 ~7개월 1개월 미만 합계 미만 미만 미만 0-9 2 10% 8 40% 5 25% 5 25% 20 100% 10-19 0 - 0 - 0 - 0 - 0 - 20-29 3 75% 0 0% 1 25% 0 0% 4 100% 30-39 2 50% 1 25% 0 0% 1 25% 4 100% 40-49 0 - 0 - 0 - 0 - 0 - 50-59 0 0% 2 67% 1 33% 0 0% 3 100% 60-69 0 - 0 - 0 - 0 - 0 - 합계 7 23% 11 35% 7 23% 6 19% 31 100% 5. 소결 가습기 살균제 피해접수 사례는 133가족에서 발생한 174건이었고 , 이 중 이번 조사연구에는 피해접수 사례의 약 55%인 95 사례 (74가족 )가 포함되었다 . 접수된 피해사례는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었으나 , 수도권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컸으며 , 피해가 발생한 연도를 재구성하였을 때 , 최근에 들어와 중증사례의 경우 그 수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증상이 주로 1월에서 4월 사이에 시작된 것으로 조사되어 (67%), 건조한 대기와 가습기 사용의 증가가 건강피해 발생 빈도와 연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한편 중증 피해는 중증사례의 경우 12월 ~3월 사이의 겨울철에 80% 이상이 집중되어 있었다 .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대상자 95건의 과거병력을 조사한 결과 폐질환 , 천식 등의 선행 병력이 있는 경우는 1건에 불과하여 전반적으로 건강한 상태였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 가습기 살균제 피해는 0-3세 영유아 (42건 , 44%)와 20-39세 여성 (27건 , 28%)이 가장 - 37 -
  • 49. 많이 보고되었고 , 이들의 건강피해 정도 (건강피해 발생자 중 사망발생 비율 ) 역시 0-3세 영유아의 경우 42명의 피해자 중 20명 사망 (48%)하였고 , 20-29세 여성의 경우 8명의 피해자 중 4명이 사망 (50%)하는 등 다른 그룹에 비하여 더욱 심각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 특히 영유아군에 있어서는 0세군보다 2세군에서 더 중증질환의 발생건수나 사망사례가 많았으며 , 성인군에서는 여성 가임기 연령층에서 남성보다 훨씬 높은 발생 양상을 보이고 있다 . 가족사례가 특히 많았다 . 가족 구성원의 위치에 따른 특이성을 살펴보았을 때 , 여러 명의 자녀가 있는 경우 첫째 자녀가 둘째 자녀보다 더 발생비율이 높았으며 , 둘째 자녀가 셋째 자녀보다 또한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 20-39세 여성 사망자 8명 중 7명은 증상 발생 당시 임신상태였던 것으로 조사되어 , 임산부에게서 건강피해가 심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은 모두 7개월 미만이었는데 (31건 ), 이 중 25건 (81%)가 최초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 3개월이 채 걸리지 않을 정도로 매우 급속히 진행되었다 . - 38 -
  • 50. IV. 피해자의 가습기 살균제 노출 특성 1.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년도 2.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3. 가습기 사용특성 4. 가습기 살균제 사용특성 - 39 -
  • 51.
  • 52. 1.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년도 조사대상자의 가습기 사용 시작년도는 95건 중 89건에 대해 조사되었다 . 1987년에 1 건 , 1996년에 1건 , 1998년에 1건 등으로 비교적 적었으나 1999년 이후 사용시작 건수가 늘어났으며 , 2004년 이후부터 2010년까지 연간 평균적으로 10건 정도로 많았으며 2011 년에 가습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도 1건 있었다 (표 4.1). 조사대상자의 가습기 사용이 급증한 구간은 2000년대 중 , 후반 (2004 ~ 2010)으로 이 때 가습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가 조사대상자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그림 4.1).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시작년도 역시 95건 중 89건에 대해 조사되었다 . 조사대상자 는 가습기 살균제를 1996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 가습기 살균제 사용빈도는 1999 년에 1건 , 2000년에 1건 등으로 드물다가 2002년 이후 사용시작 건수가 늘어났으며 , 2004년 이후부터 2010년까지 연간 평균적으로 10건 정도로 사용되었다 . 2011년에 가습 기 살균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는 1건이었다 (표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시작 증가율이 높은 구간은 가습기 사용시작 증가율이 높아지는 구간과 동일한 2000년대 중 , 후반 (2004~2010)으로 이 때 가습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집 단이 전체의 90%를 차지했다 (그림 4.2). 가습기 사용 시작년도와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시작년도를 동시에 나타내면 그림 4.3과 같다 . 2003년 이전에는 가습기만 사용하고 가습기 살균제는 사용하지 않다가 2004년 이후 ,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 - 41 -
  • 53. 표 4.1. 가습기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9) 년도 사용시작 건수 누적 빈도 1987년 1 1 1988년 0 1 1989년 0 1 1990년 0 1 1991년 0 1 1992년 0 1 1993년 0 1 1994년 0 1 1995년 0 1 1996년 1 2 1997년 0 2 1998년 1 3 1999년 5 8 2000년 1 9 2001년 1 10 2002년 6 16 2003년 1 17 2004년 9 26 2005년 9 35 2006년 12 47 2007년 10 57 2008년 10 67 2009년 13 80 2010년 8 88 2011년 1 89 89 그림 4.1. 가습기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9). - 42 -
  • 54. 표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8) 년도 사용시작 건수 누적 빈도 1987년 0 0 1988년 0 0 1989년 0 0 1990년 0 0 1991년 0 0 1992년 0 0 1993년 0 0 1994년 0 0 1995년 0 0 1996년 1 1 1997년 0 1 1998년 0 1 1999년 1 2 2000년 1 3 2001년 0 3 2002년 4 7 2003년 0 7 2004년 10 17 2005년 7 24 2006년 14 38 2007년 9 47 2008년 14 61 2009년 15 76 2010년 11 87 2011년 1 88 88 - 43 -
  • 55. 그림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8). 그림 4.3. 가습기 사용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비교 - 44 -
  • 56. 가습기 사용 시작년도와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시작년도를 영유아와 성인으로 구분 하여 각각 나타내면 그림 4.4 및 그림 4.5와 같음 . 영유아와 성인 간에 뚜렷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 그림 4.4. 영유아 및 성인 피해자의 가습기 사용 분포 비교. 그림 4.5. 영유아 및 성인 피해자의 가습기 살균제 사용 분포 비교. 2.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가습기 사용을 시작한 달은 9, 10, 11월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영유아 - 45 -
  • 57. 의 경우 11월에 사용을 시작한 경우가 가장 많았던 반면, 성인의 경우 10월이 가 장 많았다. 연중 내내 사용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성인에서 3건이었다(표 4.3). 표 4.3.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전체 (n=95)   영유아 (n=48) 성인 (n=47)   N % N % N % 가습기 시작 월 8월 이전 5 5.4 4 8.7 1 2.2 9월 20 21.7 10 21.7 10 21.7 10월 24 26.1 10 21.7 14 30.4 11월 29 31.5 17 37.0 12 26.1 12월 11 12.0 5 10.9 6 13.0 연중사용 3 3.3 0 0.0 3 6.5 계 92 100 46 100 46 100 가습기 종결 월 2월 이전 11 12.0 7 15.2 4 8.7 3월 28 30.4 13 28.3 15 32.6 4월 32 34.8 15 32.6 17 37.0 5월 10 10.9 7 15.2 3 6.5 6월 이후 8 8.7 4 8.7 4 8.7 연중사용 3 3.3 0 0.0 3 6.5 계 92 100 46 100 46 100 하루 중 가습기 사용을 시작하는 시각은 대부분 밤 8시 이후였으며 , 하루 종일 사용 하는 경우는 12건이었다 . 성인의 경우 가습기 사용을 영유아에 비해 더 늦게 시작하는 경향이 있었다 (표 4.4). - 46 -
  • 58. 표 4.4. 하루 중 가습기 사용 및 종료 시각   전체 (n=95)   영유아 (n=48) 성인 (n=47)   N % N % N % 가습기 작동시작 18시 이전 12 13.3 5 11.1 7 15.6 20시 15 16.7 4 8.9 11 24.4 22시 44 48.9 26 57.8 18 40.0 23시 이후 8 8.9 3 6.7 5 11.1 하루종일 사용 11 12.2 7 15.6 4 8.9 계 90 100 45 100 45 100 가습기 작동종료 6시 이전 11 12.2 5 11.1 6 13.3 7시 19 21.1 9 20.0 10 22.2 8시 30 33.3 17 37.8 13 28.9 9시 13 14.4 6 13.3 7 15.6 10시 이후 6 6.7 1 2.2 5 11.1 하루종일 사용 11 12.2 7 15.6 4 8.9 계 90 100 45 100 45 100 3. 가습기 사용특성 가습기의 종류는 전체적으로 복합식이 65%를 차지하였으며 , 성인에서 초음파 가습 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38.1%)(표 4.5). 가습기 물 종류는 전체적으로 대부분 수돗물을 사용하였으나 (80%), 정수기물을 사용 하는 경우도 20%를 차지했다 . 또한 , 영유아 피해자에서 수돗물을 사용하는 비율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가습기통에 물을 채우는 방식은 가득 채우는 경우가 약 2/3, 가득 채우지 않고 3분 의 2 이하만 채우는 경우가 1/3을 차지했다 . 가습기의 분무량의 강도는 성인에서 더 높은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가습기의 높이는 대부분 책상 , 화장대 , 책장 등 가구 위에 놓고 쓰는 경우가 많았다 (85%). 또한 , 성인의 경우에 가습기를 가구 위에 놓는 경우가 더 많았다 (89%). 가습기의 위치를 가깝게 위치한 신체부위별로 구분하였을 때 , 전체적으로 머리 위쪽 이나 코 부위에 놓고 취침하는 경우가 많았다 (53%). 성인의 경우 영유아 피해자의 경 - 47 -
  • 59. 우에 비해 머리위쪽 /코 부위에 놓고 취침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경향을 보였다 .3) 가습기를 사용하는 방을 환기하는 경우가 90%를 차지하였고 , 환기하지 않는다고 응 답한 경우도 10% 정도를 차지했다 . 환기 시점은 설문되지 않았다 . 3) 조사 대상은 자발적으로 환경보건시민센터에 피해사례를 신고한 사례임을 감안할 때, 경미한 영향(자각증상이 없을 수 있음)을 입은 경우는 조사대상자로부터 제외되는 선택바이어스(selection bias)가 영향을 미칠 수 있 을 것으로 추정됨 - 48 -
  • 60. 표 4.5. 가습기 유형과 사용 양상의 특성   전체 (n=95)  영유아 (n=48) 성인 (n=47)    N % N % N % 가습기 종류 복합식 55 64.7 32 74.4 23 54.8 초음파 27 31.8 11 25.6 16 38.1 기타 3 3.5 0 0.0 3 7.1 계 85 100 43 100 42 100 가습기 물 종류 수돗물 74 80.4 39 86.7 35 74.5 정수기물 18 19.6 6 13.3 12 25.5 계 92 100 45 100 47 100 가습기통 물 채우기 3분의 2 이하 29 34.1 15 36.6 14 31.8 가득 56 65.9 26 63.4 30 68.2 계 85 100 41 100 44 100 분무량 최저 8 9.0 5 11.4 3 6.7 약 19 21.3 11 25.0 8 17.8 중 50 56.2 24 54.5 26 57.8 강 12 13.5 4 9.1 8 17.8 계 89 100 44 100 45 100 가습기의 높이 가구위 80 85.1 38 80.9 42 89.4 바닥 14 14.9 9 19.1 5 10.6 계 94 100 47 100 47 100 가습기의 신체부위 위치 다리쪽/다리 아래 25 26.6 16 34.0 9 19.1 몸통부위 19 20.2 8 17.0 11 23.4 머리위쪽/코 부위 50 53.2 23 48.9 27 57.4 94 100 47 100 47 100 가습기 환기여부 예 83 90.2 41 91.1 42 89.4 아니오 9 9.8 4 8.9 5 10.6 계 92 100 45 100 47 100 - 49 -
  • 61. 가습기와 호흡기 부위 사이의 거리는 전체적으로 평균 1.5m, 중위수 1.2m였으며 , 성 인의 경우 영유아에 비하여 거리가 더 짧았다 (표 4.6).4) 표 4.6. 가습기와 호흡기 부위 사이의 거리(단위: cm)   N 평균 표준편차 Q1 Q2 Q3 전체 94 145.5 74.6 100 120 200 영유아 47 158.7 66.8 100 150 200 성인 47 132.2 80.2 80 100 180 가습기를 사용하는 방을 환기하는 시간은 전체적으로 평균 30분 , 중위수 20분 정도 였으며 , 성인의 경우 영유아에 비해 환기시간이 더 짧았다 (표 4.7).5) 표 4.7. 환기 시간(단위: 분)   N 평균 표준편차 Q1 Q2 Q3 전체 90 27.7 30.2 10 20 30 영유아 44 29.7 35.3 10 20 30 성인 46 25.8 24.7 10 20 30 4. 가습기 살균제 사용특성 가습기 살균제의 종류를 성분별로 구분하였을 때 , 대부분인 91%가 PHMG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 , 7%가 PGH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 , 41%가 CMIT/MIT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였다 . PGH의 경우 영유아에서 CMIT/MIT 성분은 성인에서 사용빈도 가 더 높았다 (표 4.8). 가습기 살균제의 주입주기는 전체적으로 하루 1회 초과인 경우가 83%를 차지함 . 가 종류를 성분별로 구분하였을 때 , 대부분인 90%가 PHMG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 , 7%가 PGH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 , 42%가 CMIT/MIT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였다 . PGH의 경우 영유아에서 (8.5%) CMIT/MIT 성분은 성인에서 (49%) 사용빈도가 더 높았 다. 4) 3)과 같은 설명이 가능함 5) 3)과 같은 설명이 가능함 - 50 -
  • 62. 표 4.8. 조사대상자의 살균제 종류별 사용 특성   전체 (n=95)  영유아 (n=48) 성인 (n=47)    N % N % N % PHMG 비사용 9 9.6 4 8.5 5 10.6 사용 85 90.4 43 91.5 42 89.4 계 94 100 47 100 47 100 PGH 비사용 87 92.6 43 91.5 44 93.6 사용 7 7.4 4 8.5 3 6.4 계 94 100 47 100 47 100 CMIT/MIT 비사용 55 58.5 31 66.0 24 51.1 사용 39 41.5 16 34.0 23 48.9 계 94 100 47 100 47 100 - 51 -
  • 63.
  • 64. V. 가습기 살균제 사용과 건강피해 상관성 분석 1. 질병발생 통계 분석 2. 건강피해 영향 요인 분석 3. 짝지은 환자-대조군 분석 4. 소결 - 53 -
  • 65.
  • 66. 1. 질병발생 통계 분석 (1) 영유아 (0-2세 ) 폐질환 사망과 간질성 폐질환 사망률 비교 전국 0-2세 영유아 사망 중 폐질환 사망률은 1997년 10만명당 8.49명 수준에서 2010년 3.17명 수준으로 꾸준히 감소하나 간질성폐질환 사망률은 2001년 10만명당 0.38명에서 2010년 0.94명까지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 따라서 2000년대 초반에 10% 내외였던 폐질환 사망자 중 간질성 폐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의 비율이 2010년에는 30%에 이를 정도로 증가하였다 (표 5.1, 그림 5.1-3). 표 5.1. 전국 0-2세 영유아의 폐질환 사망과 간질성 폐질환 사망의 연도별 변화 사망자수 비율 폐질환 대비 연도 간질성폐 인구수 폐질환 간질성폐질환 폐질환 * 간질성폐질환 질환 ** 사망률 (10만명당 ) 사망률 (10만명당 ) 사망 비중 1997 177 17 2,085,322 8.49 0.82 10% 1998 167 24 2,022,801 8.26 1.19 14% 1999 110 18 1,943,355 5.66 0.93 16% 2000 149 15 1,891,965 7.88 0.79 10% 2001 118 7 1,838,595 6.42 0.38 6% 2002 127 7 1,746,119 7.27 0.40 6% 2003 90 10 1,619,102 5.56 0.62 11% 2004 67 13 1,503,732 4.46 0.86 19% 2005 61 9 1,424,179 4.28 0.63 15% 2006 68 12 1,368,239 4.97 0.88 18% 2007 59 21 1,346,761 4.38 1.56 36% 2008 52 14 1,384,600 3.76 1.01 27% 2009 54 12 1,400,739 3.86 0.86 22% 2010 44 13 1,388,207 3.17 0.94 30% 합계 1,343 192 22,963,716 5.85 0.84 14% *폐질환은 ICD 분류에 따라 J00.*-J99.*, D76.0, D86.0, D86.2를 포함 . ICD는 국제질병사인분류 (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로서 사람의 질병 및 사망 원인에 관한 표준 분류 규정으로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 . **간질성 폐질환은 ICD 분류에 따라 J67.*-J69.*(단 J68.2 제외 ), J80.*, J84.*, J99.*, D76.0, D86.0, D86.2를 포함 . - 55 -
  • 67. 그림 5.1. 전국 0-2세 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그림 5.2. 전국 0-2세 간질성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그림 5.3. 전국 0-2세 폐질환 사망 중 간질성폐질환 사망 비율. - 56 -
  • 68. 국가 사망통계 자료의 검토결과 , 전국 0-2세 영유아의 폐질환 사망률 (2001년 10만명당 6.42 → 2010년 3.17)은 감소경향을 보이는 반면에 간질성폐질환에 의한 사망률 (2001년 10만명당 0.38 → 2010년 0.94)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2. 건강피해 영향 요인 분석 사망에 관련된 요인들을 살펴보면 , 일반 생활 및 주거환경요인 , 가습기 및 가습기 살 균제 노출에 대한 요인 , 노출된 가습기 살균제의 종류와 독성에 관련된 요인과 민감성 과 관련된 대상자의 인구 사회적 특성 요인들로 대별할 수 있다 . (1) 가습기 사용 시간 그림 5.4. 가습기 하루 사용 시간. 전체 가습기 사용 시간은 평균 12.3시간 (최소 8시간 -최대 24시간 )이었는데 , 24시간 사 용자도 11명 (11.6%)에 달한다 (그림 5.4). 하지만 사망군과 비사망군 ,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 57 -
  • 69. 표 5.2.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 가습기 노출 평균 (시간)* 표준편차 사망군 12.6 5.29 비사망군 12.0 4.90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표 5.3.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 가습기 노출 평균 (시간)* 표준편차 치명적 손상군 12.3 5.13 비치명적 손상군 12.3 4.97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사망군과 비사망군 ,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에서 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표 5.4.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 (개월 ) 가습기 노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사망군 16.5 25.49 비사망군 25.9 25.83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표 5.5.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 (개월 ) 가습기 노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치명적 손상군 17.2 24.90 비치명적 손상군 26.3 26.61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사망군의 가습기 살균제 1년 노출기간은 평균 5.5개월로 오히려 비사망군 6.2개월에 - 58 -
  • 70. 비하여 짧았으나 ,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표 5.6). 총 가습기 살균제 노출 기간을 살펴보면 , 사망군은 14.5개월 , 비사망군은 16.5 개월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 (표 5.7). 표 5.6.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중 노출 기간 (개월 ) 가습기 살균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사망군 5.5 2.25 비사망군 6.2 2.20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표 5.7.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 기간 (개월 ) 가습기 살균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사망군 14.5 16.14 비사망군 16.5 12.30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 노출기간은 평균 5.8개월로 오히려 비치명 적 손상군 6.1개월에 비하여 짧았으나 ,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표 5.8). 총 가습기 살균제 노출 기간도 치명적 손상군은 14.4개월 , 비치명적 손상군은 16.7 개월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5.9). 표 5.8.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중 노출 기간 (개월 ) 가습기 살균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치명적 손상군 5.8 2.48 비치명적 손상군 6.1 2.07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 59 -
  • 71. 표 5.9.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 기간 (개월 ) 가습기 살균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치명적 손상군 14.4 24.33 비치명적 손상군 16.7 12.66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 (2) 일반 생활 및 주거환경요인 집 주변 유해환경 ,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여부 , 에어컨 사용 여부 , 새 가구 구입 여 부 , 실내 리모델링 여부 , 간접흡연 , 주택형태 , 층수 , 집 평수 , 방 갯수 , 난방형태 , 취사 형태 등이 조사되었다 . 일반 생활 및 주거환경요인 중 집 주변 유해환경 , 새 가구 구입 여부 , 실내 리모델링 여부 , 간접흡연 , 주택형태 , 층수 , 집 평수 , 방 갯수 , 난방형태 , 취사형태등과 사망여부와 의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으나 ,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여부와 사망 , 그리고 에어컨 사 용 여부와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 (p-value < 0.05)이 관찰되었다 .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존재와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 사망과 연관이 되는 것은 밀폐 된 공간에서 가습기 살균제 사용의 피해가 컸음을 보여주는 지표일수도 있다 (표 5.10). 가습기를 사용하는 방에 곰팡이 여부 , 에어컨 사용 여부와 치명적 손상과는 유의할 만한 관련성을 다변량 분석에서도 같은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을 요한다 (표 5.13). (3)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 노출에 대한 요인 한방 사용 , 가족으로 공동 노출 , 가습기 특징 , 가습기 용량 , 가습기 분무량 , 가습기 물의 종류 , 가습기와의 거리 , 가습기의 수 , 가습기의 위치 , 가습기 하루 사용 시간 , 가 습기 총 사용기간 ,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기간 , 가습기 살균제 주입 주기 , 환기 , 환기 시간 , 가습기에 물을 채웠는지 , 가습기 청소 , 가습기 청소 횟수 등이 조사되었다 . 이들 대부분의 변수는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표 5.10). 가습기 용량 , 가습기의 수 , 가습기와의 거리 ,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기간과 대상자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 그러나 노출과 건강영향의 용량 -반응관 - 60 -
  • 72. 계로 해석하기 어려운 관측이었다 . 즉 가습기 용량이 적은 그룹이 , 2대를 가진 경우보 다 가습기 1대를 가진 그룹이 , 그리고 가습기와의 거리가 먼 그룹에서 ,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기간이 짧은 그룹에서 사망위험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표 5.10-11). 가습기 살균제 1회 사용량과 치명적 손상 사이에서도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만 , 사용량이 적 은 군에게서 오히려 사망 위험이 높게 나타난 것이었다 (표 5.11). (4) 대상자의 인구 사회적 특성 요인 성 , 나이 , 과거 병력 , 흡연 , 아버지 학력 , 어머니 학력 등이 조사되었다 . 성 , 과거 병력 , 흡연 , 아버지 학력 , 어머니 학력등과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 관성이 없었으며 , 단지 6세 미만과 6세 이상을 구분하는 나이에 대해서는 사망 여부 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p-value < 0.01). 사망과 관련하여 특히 6세미만의 어린이들이 연관성이 되는 것은 이들 어린이 연령 들이 가지는 생물학적인 취약성 (biological vulnerability)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5) 가습기 살균제의 종류와 관련된 요인 가습기 살균제 종류별 사용여부가 조사되었다 . 시중에 유통되는 가습기 살균제 6) 사 용여부와 사망 여부의 관련성을 조사했을 때 , 통계적으로 유의한 제품은 없었다 . 조사 된 가습기 살균제중 유일하게 가습기살균제 사용 여부와 사망이 연관성이 있다고 나 온 사례는 가습기 메이트가 유일하였다 . 하지만 가습기 메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사망 위험이 오히려 낮게 나온 것이어서 , 이를 가습기 메이트의 독성영향으로 해석하기 어 렵다 . 6) 조사대상 가습기 살균제는 다음과 같다. 옥시싹싹 New 가습기 당번, 이플러스 가습기 살 균제, 함박웃음 가습기 세정제,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 홈플러스 가습기 살균제, 세퓨 가습 기 살균제, 엔위드, 산도깨비 가습기퍼니셔 - 61 -
  • 73. 표 5.10. 노출 요인과 사망과의 연관성 노출 요인 대상자 비사망(명) 사망(명) p-value 도로에 인접 21 14 집 주변 유해환경 0.406 인접하지 않음 27 12 가습기 사용 방 예 8 9 0.044 곰팡이 여부 아니오 55 21 예 38 12 에어컨 사용 여부 0.048 아니오 25 19 예 8 2 새 가구 구입 여부 0.356 아니오 55 29 예 9 9 실내 리모델링 여부 0.065 아니오 53 20 노출 31 17 간접흡연 0.654 비노출 29 13 아파트 43 21 주택형태 단독주택 6 5 0.692 다세대주택 11 5 6층이상 32 13 층수 0.649 6층이하 30 15 20평이하 15 10 집평수 20-30평 28 14 0.478 30평이상 19 6 2개 22 13 방갯수 0.649 3개이상 40 18 중앙집중식 18 6 난방형태 개별난방-가스 39 21 0.574 개별난방-기름 4 3 가스 60 20 취사형태 0.061 전기 1 3 예 35 20 한방 사용 0.456 아니오 27 11 복합 33 15 가습기 특징 초음파 14 11 0.513 기타 1 1 6 리터 이상 11 1 가습기 용량 4-6 리터 15 14 0.044 4 리터 이하 12 5 최저 5 3 약 11 5 가습기 분무량 0.434 중 26 13 강 10 1 수돗물 46 20 가습기 물의 종류 0.410 정수기 9 2 - 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