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19
Korean English ,[object Object],2006130808 Kim Hyung Bo  2007130852 Lee Jae Lin
Introduction ,[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
Table ,[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
[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Consonant – New Category
[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Consonant – Absence Category
[object Object],[object Object],Consonant – Split Category
Consonant – Split Category(2) ,[object Object],[object Object]
Consonant – Split Category (3)
[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Consonant – Coalescence Category
Consonant – Coalescence Category ,[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
Consonant - Reinterpretation Category
Vowels – New Category ,[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
Vowels (2) – Split Category /i/ 와  /ɪ/ / 이 / Least-list Reach-rich /ɛ/ 와  /æ / / 애 / Set-sat Had-head /ə/ 와  [ʌ] / 어 / Four-for Oral-aural /u/ 와  /ʋ/ / 우 / Fool-full Pool-pull
Vowels (3) – Absence Category ,[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
Syllable ,[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
Syllable (2) ,[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
Stress ,[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
Controversy
Reference ,[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object Object]

Contenu connexe

Similaire à Korean english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Nuri-sejonghakdang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Nuri-sejonghakdang
 
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
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
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Student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Altai2013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Altai2013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Altai2013
 
형태론 강의
형태론 강의형태론 강의
형태론 강의Altai2013
 

Similaire à Korean english (12)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Coreano básico .pdf
Coreano básico .pdfCoreano básico .pdf
Coreano básico .pdf
 
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
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
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
 
Mongol helnii hicheel 1
Mongol helnii hicheel 1Mongol helnii hicheel 1
Mongol helnii hicheel 1
 
NEW EPS STANDARD TEXTBOOK
NEW EPS STANDARD TEXTBOOKNEW EPS STANDARD TEXTBOOK
NEW EPS STANDARD TEXTBOOK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
 
형태론 강의
형태론 강의형태론 강의
형태론 강의
 
KOREAN LANGUAGE.pptx
KOREAN LANGUAGE.pptxKOREAN LANGUAGE.pptx
KOREAN LANGUAGE.pptx
 
KOREAN LANGUAGE
KOREAN LANGUAGEKOREAN LANGUAGE
KOREAN LANGUAGE
 

Korean english

Notes de l'éditeur

  1. 왜 한국사람은 영어발음을 하기 어려운가 ?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는 무엇인가 ? ( 음성 음운론적 ) 한국식 발음을 바꿔야 하는가 ?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는 무엇인가 ? ( 음성 음운론적 )
  2. 학습자의 모국어에는 없는 음소가 학습 목표어에는 있는 경우를 말한다 . 우리말에는 없고 영어에만 있는 자음 음소로는 /f,v,z,ɵ,ð,ʒ/ 6 개가 있다 .
  3. 학습자의 모국어에는 있는 음소가 학습 목표어에는 없는 경우이다 . 한국말의 음소 / ㅃ , ㄸ , ㄲ , ㅆ / 는 영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 이 음소들은 영어에는 없기 때문에 영어를 배우는 우리나라 학습자들이 영어로 말할 때 내서는 안되는 소리지만 , 흔히 영어의 음소 /b,d,g,ʤ.s/ 로 시작하는 단어를 발음할때 빠이빠이 (bye-bye) 처럼 우리말의 성문음화한 이 음소들을 대치하는 경향이 있음으로 주의해야 한다 .
  4. 학습자의 모국어에서는 한 음소인데 , 학습목표어에서는 둘 , 또는 그 이상의 음소로 갈라지는 경우이다 . 한국말 / ㅂ / 는 영어 episode 의 /p/ 와 같이 보통 무강세 모음에 따라 붙는 소리로서 배 , 바늘과 같이 음절 초음 부분에서 발생할 때 무성음이 된다 . 또한 수박 , 아버지에서처럼 두 개의 유성음에서 발성될 때 대개 유성음이 되기도 한다 . 한국어에서는 이들 음은 개별적인 음소가 아닌 이음이나 영어에서는 robe[rob] 처럼 유성 , 무성여부에 따라 전혀 다른 음소로 나뉘어진다 .
  5. 한국말 / ㄱ / 은 개에서는 무성 [ ㄱ ] 으로 , 누구와 같은 단어에서는 유성 [ ㄱ ] 으로 발음되어 무성 [ ㄱ ] 과 유성 [ ㄱ ] 을 이음으로 갖는 음소이다 . 그러나 영어 /k/ 와 /g/ 는 각각 kit[kit], git[git] 로 발음되는 다른 음소 이다
  6. 한국말 / ㅅ / 는 각각 사탕할 때처럼 잇몸이 혀 끝에 접촉하여 나는 소리인 [ ㅅ ] 과 시골할 때의 구개음화된 [ ㅅ ] 으로 나누어진다 . 반면에 영어는 safe 와 shop 에서처럼 각각 /s/ 와 /ʃ/ 로 발음된다 . 한국말 / ㄹ / 는 발 , 길처럼 모음이 동반되지 않는 음절의 발음에서 발생하는 [ ㄹ ] 와 사람에서처럼 발음되는 [ ㄹ ] 두가지가 있다 . 반면에 영어에서는 우리말 / ㄹ / 에 해당되는 /l/ 과 /r/ 이 loll 과 roll 에서처럼 각각 다른 음소로 발음된다 . 단 한국어의 / ㄹ / 은 영어의 /r/ 과는 상당히 다르다 . 영어의 /r/ 은 입술이 반쯤 벌어진 상태로 벌려져 있는 동안 혀끝이 입의 뒤로 약간 향하며 , 공기가 혀의 앞과 경구개 사이로 빠져나감에 의해 만들어진다 . 한국어의 / ㄹ / 은 혀끝이 윗니의 뒷부분 입천장 융기 부분을 살짝 건드리면서 만들어진 후 재빨리 혀가 아래로 떨어진다 .
  7. 학습자의 모국어에서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음소인 것들이 학습 목표어에서는 한 음소로 합쳐지는 경우이다 . 영어에서는 기음의 강약이 음소를 나누는데 아무런 구실을 하지 않지만 , 한국어에서는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예를 들어 한국어 불과 풀은 기음의 강한 정도에 따라 / ㅂ / 와 / ㅍ / 로 분화된 각각의 음들을 음소로 받아들이나 영어에서 span 의 [p] 와 paradise 의 [pʰ] 는 /p/ 라는 한 음소에 속한 이음들이다 .
  8. 한국어의 달과 탈은 각기 다른 음소이지만 , 영어의 stone 의 [t] 와 take 의 [tʰ] 는 /t/ 라는 한 음소에 속한 이음이다 .
  9. 학습자의 모국어의 한 음소와 학습목표어의 한 음소가 거의 비슷하지만 조음위치나 방법 면에서 면밀히 대조분석해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 위의 4 개의 음들은 모두 무성 양순 파열음이나 기음 정도에서 볼 때는 차이가 있다 . 기음이 강한 순으로 나열하면 , 제일 먼저 / ㅍ / 음이 오고 , 다음에 /p/, 무성 [ ㅂ ], / ㅃ / 의 순이다 . 영어의 /p/ 에는 [pʰ], [p ].[P] 등 네 개의 이음이 있다 . 이들 양국어 음의 관계를 알아보면 , 한국어의 / ㅍ / 는 기음면에서 영어의 [pʰ] 보다 강하고 , 영어의 [pʰ] 는 한국어의 무성 [ ㅂ ] 보다 강하다 . 한국어의 무성 [ ㅂ ] 은 기음면에서 영어의 [p] 와 거의 같고 , / ㅃ / 은 [P] 와 같다고 볼 수 있다 . 한국어 / ㅌ /, 무성 [ ㄷ ],/ ㄸ / 과 영어 /t/ 사이의 관계 모두 무성 치경음이나 기음의 강약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 기음이 강한 순으로 나열하면 / ㅌ /, [tʰ], 무성 [ ㄷ ], / ㄸ / 의 순이다 . 무성 [ ㄷ ] 은 기음면에서 [t] 와 거의 같고 , / ㄸ / 는 [T] 와 거의 같다 .
  10. 계 비교 (1) 신범주 (new category) : 영어의 /ɪ, ʋ, ə, ər/ 는 우리말에는 없는 소리이다 . 영어의 /ɪ/ 는 한국어의 / ㅣ / 보다 혀의 위치가 덜 높고 , 덜 긴장된 음이다 . 영어의 /ʋ/ 는 한국어 / ㅜ / 보다 혀의 위치가 낮고 , 중설의 위치에서 발음된다 . 한국말 / ㅓ / 는 /ə/ 보다 혀의 위치가 낮으나 , 비교적 비슷하게 발음된다 . /ə/ 음에 있어서 정작 어려운 것은 조음법이 아니라 언제 /ə/ 를 발음하는지를 아는 것이다 . /ə/ 는 특정한 절차를 갖고 있지 않고 어떤 모음이던지 강세를 받지 않으면 /ə/ 가 된다 . /ər/ 는 한국어에서는 볼 수 없는 소리로 /ə/ 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 소리나지만 반모음 /r/ 이 뒤따른다 . 미국 영어에서 /ə/ 뒤에 철자성 r 이 올 때 , /ə/ 는 /ər/ 로 실현된다 .
  11. 한국어 음소 / 이 / 가 영어의 /i/ 와 /ɪ/ 로 , / 애 / 가 /ɛ/ 로 , / 어 / 가 /ə/ 와 [ʌ] 로 , / 오 / 가 /o/ 와 /ɔ/ 로 , / 우 / 가 /u/ 와 /ʋ/ 로 각각 쪼개진다 . 그러나 좀 더 정확히 말한다면 , 한국어의 / 이 / 는 영어의 /i/ 와 /ɪ/ 사이에 , / 애 / 는 /ɛ/ 와 /æ / 사이에 , / 어 / 는 /ə/ 와 [ʌ] 사이에 , / 오 / 는 /o/ 와 /ɔ/ 사이에 , / 우 / 는 /u/ 와 /ʋ/ 사이에 있으면서도 , 두 개의 쌍을 이루고 있는 영어 발음 중에서 약간 위쪽에 있는 발음에 가까운 소리이다 . 각각의 발음의 차이를 갖고 있는 단어들을 예로 들어보자 .
  12. 한국어의 단모음 / 외 / 와 / 으 /, 중모음 / 의 / 가 여기에 속한다 . 한국어에서는 모음이 있어야 음절을 형성하기 때문에 milk, boat 처럼 자음으로 끝나는 영어 단어에 흔히 한국어의 / ㅡ / 를 넣어 밀크 , 보트 등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 .
  13. 바로 영어와 한국어의 근본적인 음절 구조의 차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 영어에서는 단일 또는 여러 개의 자음의 독립적인 발음이 가능하지만 우리나라말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몇몇 자음 ( ㅁ , ㅇ , ㄴ , ㄹ ) 을 제외하고는 항상 뒤에 모음이 따라와야 합니다 . 그렇기 때문에 특정한 자음 뒤에 ' 으 ' 또는 ' 이 ' 가 삽입되어야만 하죠 . 영어는 음절구조가 국어와 다르다 . 국어의 최대음절구조 (maximum syllable structure) 는 CVC 이다 . 국어에서는 음절초와 음절말에 각각 최대 한 개의 자음밖에 올 수 없다 . 그러나 영어는 음절초와 음절말에 두개 이상의 자음이 올 수 있다 .
  14. 이중모음이 있는 음절의 발화시간은 단모음이 있는 음절보다 길다 . 이중모음은 한사람이 두개의 좌석에 걸터앉은 것처럼 단모음보다 길게 발음한다 . choice, eye, hour 는 1 음절어다 . 국어 모음의 영향으로 두개의 모음으로 분리해서 인식하지 않도록 한다 .
  15. 영어와 국어의 비교에서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영어는 강세중심으로 발화시간이 결정되는 언어 (stress-timed language) 라는 점이다 . 반면에 국어는 음절을 단위로 발화시간이 결정되는 언어 (syllable-timed language) 다 . 영어에는 어강세 (word stress) 와 더불어 문강세 (sentence stress) 가 있다 . ‘I met THE Tiger Woods.’ 에서처럼 특정인을 지칭하고자 할 때는 기능어 (function word) 인 ‘ the’ 도 강세를 받을 수 있다 . 상황에 따라 , 화자의 의도에 따라 강세가 주어진다는 것이 영어의 특징이다 . 4) 비강세어 (unstressed word) 는 강세어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약화되거나 축약되고 때론 탈락되는 현상으로 이어진다 . 그 결과 out of (outa), want to (wana). don't you (dontcha), I've got to (I've gota), what do you? (wadya) 에서처럼 여러 개의 단어가 한 단어처럼 뭉쳐서 발음되기도 한다 . 5) 영어는 징검다리 건너듯 강세어를 중심으로 발화가 이루어지면서 강세어와 비강세어가 강약의 리듬을 형성한다 . 6) 영어 발화의 또 다른 특징은 억양 (intonation) 이다 . 억양은 리듬 , 음의 강약 , 고저 , 속도와 어우러져 발화의 의미를 결정한다 . 여기에 비해 한국어는 음절 리듬의 언어 (syllable-timed language) 로서 , 영어에서처럼 강세가 있는 음절이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음절이 고른 간격을 두고 나타난다 . 다시 말하면 하나하나의 음절이 거의 비슷한 시간을 두고 발음된다 . 예를 들어 " 내일 오후에 찾아뵙겠습니다 "(12 음절 ) 는 , " 그렇게 하시오 "(6 음절 ) 보다 대략 2 배의 시간이 걸린다 . 말하는 시간과 음절의 수가 대략 비례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