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ité

2015년 출판 전문가 인터뷰 베스트

에디티지(Editage Korea)
22 Dec 2015
Publicité

Contenu connexe

Présentations pour vous(20)

Similaire à 2015년 출판 전문가 인터뷰 베스트(20)

Publicité

Plus de 에디티지(Editage Korea)(16)

Publicité

2015년 출판 전문가 인터뷰 베스트

  1. 학술 출판 전문가들의 조언 2015년 에디티지가 진행한 업계 전문가 인터뷰 베이스
  2. 2015년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요? 학술 출판계에서는 여러 가지 새로운 경향, 중요한 발견, 그리고 혁신이 이루어졌습니다.
  3. 전문가들은 어떤 말을 할까? 에디티지는 여러 출판전문가와 만나 학술출판의 새로운 경향을 논의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학술출판에 대한 무척 흥미로운 관점을 우리와 공유해 주었습니다.
  4. 지식 공유 전문가들이 나누어준 지식을 여러분에게 알려드립니다.  출판이라는 여정 속에서 여러분에게 힘을 줄 최고의 출판 조언을 얻으세요.  중요한 출판 관련 주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생각을 알아보세요.  학술연구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여러분의 관점을 넓혀 보세요.
  5. Tim Hunt 2001 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6. 시행착오를 겪고, 무작위적 시도를 해 보아야 발견이 이루어집니다. 연구 중 작은 실수를 하더라도 괜찮습니다. 그 실수가 깜짝 놀랄 만한 발견의 기회일지도 모르니까요. 연구 질문 찾기
  7. Xuejun Sun 수소/ 고압 산소 분야 연구원
  8. 좋은 연구 질문의 특징은 세 가지, 즉 참신함, 논리성, 검증가능성입니다. 여러분의 아이디어가 이 세 가지 특징을 갖추고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시작하세요. 좋은 연구 질문의 특징
  9. 연구 프로젝트나 논문 작업을 하는 연구자들에게 조언하고 싶은 건 개방적인 태도를 가지라는 것입니다. 전문성과 아이디어를 혼자만의 것으로 꽁꽁 숨기지 마세요. 지식을 양방향에서 공유하지 않으면 협력 연구에는 아무 의미도 없습니다. 협력연구를 수행하는 태도
  10. Mark Hahnel Figshare 창립자
  11. 연구자가 데이터를 공개해야 하는 이유 데이터가 쓸모 없다거나, 새로운 연구결과를 출판하는 데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연구자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공개해야 하는 이유는 많습니다. 인용횟수가 늘어날 뿐더러, 나에게 쓸모 없는 데이터가 다른 사람에게는 소중한 것이기도 합니다. 다른 연구자들이 이 데이터를 유용하게 사용할지도 모르니까요.
  12. Abel Packer SciELO 공동창립자
  13. Linqi Zhang 중국 칭화대학 기초의학부 및 통합치료연구센터 학장
  14. 목표 저널을 선택할 때 연구자에게 중요한 건 이 저널이 같은 분야의 논문들을 출판하는지, 자신의 논문이 저널의 목표와 범위에 맞는지, 이 저널이 해당 분야 연구자들에게 널리 읽히는지 여부입니다. 임팩트 팩터나 다른 피상적인 지표보다 더욱 중요한 것이 이러한 지표입니다. 목표 저널 선택
  15. Richard Poynder 블로거/저널리스트
  16. 출판사는 출판 과정뿐 아니라 재정에 있어서도 투명해야 합니다. 이 문제는 꼭 출판사뿐 아니라 연구자에게도 해당됩니다. 간단히 말하면 오늘날 우리가 연구와 학술 출판에서 만나는 여러 문제점에 대한 책임은 연구 커뮤니티 전체의 몫이라는 뜻입니다. 출판의 투명성의 필요
  17. Overleaf CEO 겸 창립자 John Hammersley
  18. Stacy Konkiel Altmetric 대외협력 매니저
  19. 학술 연구와 출판에 변화가 필요한 이유 머지 않아 승진 위원회에서는 각 연구자들이 과학에 이바지한 내용을 더 세밀하게 검토하게 될 것입니다. 그 때문에 연구자들의 오픈 액세스 출판에 (특히 커리어 개발 및 펀딩에 있어서) 다시금 힘이 실리겠지요. 그 때는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출판이 가지고 있는 보수적인 특성도 완전히 변화할 것이라고 봅니다.
  20. Shinichiro Takezawa 아시아 최초 오픈 액세스 저널 <Science Postprint> 창립자
  21. 아시아의 연구자들도 성장해서 글로벌 수준의 연구에 참여해야 합니다. 과학 연구는 결국 인류 전체에게 이익을 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 세계 어느 지역의 연구자라도, 연구에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모든 사람이 자신의 몫을 다 해야 하기에, 자신의 연구 결과를 알릴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연구의 세계적인 속성
  22. 더 많은 조언이 궁금하다면? 이 조언들을 유용하게 활용하셨나요? 인터뷰를 클릭해서 출판 전문가들의 조언을 더 많이 알아보세요. http://www.editage.co.kr/insights/industry-experts
  23. @EditageInsights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에서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출판에 대한 유용한 팁과 리소스를 얻으시려면 에디티지 인사이트를 방문해주세요
Publicit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