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ité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Publicité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Publicité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Publicité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Publicité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Publicité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Publicité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Publicité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Publicité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Publicité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Prochain SlideShare
Iot 전개 동향 및 주요 이슈Iot 전개 동향 및 주요 이슈
Chargement dans ... 3
1 sur 103
Publicité

Contenu connexe

Présentations pour vous(19)

Similaire à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20)

Publicité

Dernier(20)

Publicité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1.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PLANT, MACHINE, POWER, AUTOMOTIVE, BUILDING & HOME COMMUNICATION NETWORKs 월간 아이씨엔 (인더스트리얼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9 771975 552009 50 ISSN 1975-552X 2015년 05월호 통권 제99호 | 정가 8,200원 발행처 아이씨엔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원길 25-13 | Web www.icnweb.kr | E-mail icn@icnweb.co.kr 『월간 아이씨엔』은 지속가능한 지구환경 보호를 위해 재생이 어려운 표지코팅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습니다. No.99 MAY 2015 스마트 홈&빌딩스마트 제조 (Smart mfg)
  2. 전력전자 엔지니어를 위한 국내외 최신 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은 국내 전력전자 엔지니어와 함께 지속가능한 공유 에너지 사회를 추구합니다. 아이씨엔 icn@icnweb.co.kr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 www.powerelectronics.co.kr 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
  3. 우리의 제휴가 EtherNet/IP™의 생명력입니다 제조 운영과 IT를 통합하는 융합된 공통 네트워크 기술을 필요로 하는 고객의 니즈를 위해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세계 수준의 자동화 제어 및 정보에 대한 전문성을 네트워킹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CISCO® 의 전문성과 결합시켰습니다. 표준 이더넷 EtherNet/IP™ 기술을 극대화하는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공동으로 개발, 글로벌 제조사가 최상의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여 최선의 적용사례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기업 전체를 아우르는 안전한 솔루션, 증가된 유연성 그리고 높아진 효율성을 보장합니다. 무료 파트너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십시오. www.apac.rockwellautomation.com/ethernetip/ICNKOALL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주) 서울시 강남구 삼성로 511 골든타워 16, 17층 (135-745) Tel : 02-2188-4400 부산지사 051-606-1500 / 광주지사 062-945-8666 / 대구지사 053-604-3960 www.rockwellautomation.co.kr
  4. IEC 62026-2 국제표준, 필드레벨 개방형 네트워크, 전세계 350개 이상의 공급업체 가 제공하는 1,800개 이상의 인증받은 방 대한 제품군을 자랑하는 AS-Interface는 거의 모든 자동화 네트워크에서 센서와 액 추에이터의 통합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합 니다. www.asi.or.kr 간편함과 경제적 효율성의 또 다른 이름 AS-Interface
  5. 고성능. 컴팩트한 디자인. 3축 서보 드라이브 Highlights 69% 공간 축소 50 µs 샘플링 타임 가상 센서 표준 전원연결 타입 B&R Korea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212번길 55 대고빌딩 11층 tel. 031-476-4766 fax. 031-476-4767
  6. 6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데스크 브리핑 스마트 제조기술 개발 중장기 로드맵 추진된다 8대 스마트제조기술은 (1)생산시스템혁 신기술에서는 제품설계, 생산,.에너지효 율 등 공정최적화 달성을 목표로 스마트 센서, CPS, 3D프린팅, 에너지절감 등 4 개 기술이 포함된다. (2)정보통신기반기 술에는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다양한 정 보를 수집, 가공, 활용을 목표로 사물인 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홀로그 램 등 4개 기술이 포함됐다. FPGA와 SoC 기반 산업 IoT 기술 키운다 산업용 인터넷은 서로간에 각기 다른 다 양한 접속 프로토콜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다양한 유형의 최종 시장 애플리케이션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도 록 하는 지능적 장치와 센서들의 네트워 크이다. IoT는 이러한 지능적인 네트워 크를 통해서 기업들이 자산을 최대한 활 용하고 가동을 극대화하고 기존 프로세 스를 간소화 또는 자동화하는 지능적인 새로운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 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내실과 성장에 적극투자로 3년내 5천억 매출 이룬다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을 이끌어 갈 첫 번째 한국인 선장이 나왔다. 그는 고객들과는 더욱 가까워지고, 시장은 더 욱 다양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미쓰 비시전기오토메이션은 한국미쓰비시에 서 17년 동안 몸담아 온 김형묵 부사장을 4월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 만물인터넷은 ‘미래’가 아니 라 ‘현실’이다 시스코는 디지털화(Digitization)의 화두 를 제시하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글로벌 만물인터넷 사례를 공개했다. 또한 건강 한 만물인터넷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시 스코 글로벌 투자 전략 발표와 함께, 지 난해 시스코의 투자를 받은 국내 스타트 업 N3N이 직접 발표자로 참여해 시스코 와의 협력 스토리를 공개했다. 산업용 IoT와 industry 4.0을 위한 EtherCAT 네트워크 실시간성과 정밀성이 필수적으로 요구 되는 산업용 모터 제어 분야에서 산업 용 IoT와 industry 4.0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EtherCAT 네트워크가 주목받고 있다. 인피니언은 반도체 업계 최초로 EtherCAT 노드를 통합한 온칩 컨트롤러 제품을 내놓았고, 마이크로칩은 PHY 내 장 EtherCAT 슬레이브 컨트롤러를 출시 했다. ePack 마이크로 발전소 에너지 파워를 위한 스팀 산업 공정으로부터 생성된 폐열은 냉각 및 연소 시스템에서 아직까지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에너지원이다. 그 도움은 바로 가까이에서 받을 수 있는데, Orcan Energy사의 ePack 시스템은 열병합 발 전소에서 발생하는 작은 열에서 에너지 를 추출하는데 이상적이다. B&R의 제어 기술은 ePack 마이크로 발전소의 고효 율 성능에 상당한 기여를 하며 무인 운 전 및 부분 부하에서 작동 가능하다. 문의: 아이씨엔 icn@icnweb.co.kr 12 28 44 3718 46 감자칩 포장라인의 효율적인 안전 자동화 개별 기계 구성품을 최적화하여 전체 플랜트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줍니다. 또한 기계류 지침 2006/42/EC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에 조건을 갖춘 안전 개념의 구 축과 함께 위험 분석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완벽한 안전 자동화 공급업체인 Pilz가 스위스의 유명 감자칩 제조업체의 새로운 포장 라인 통합 서비스를 구축한 이야기입 니다. Pilz의 자동화 시스템 PSS 4000은 효율적이고 투명한 안전 관리를 보장합니다. 60
  7. www.semikron.com shop.semikron.com 3-phase inverter from 1MW to 6MW 50% less volume, 50% fewer parts Integrated water cooling 1 million load cycles @ΔT 70K SKiN® Technology Wind Energy SKiiP® X The Benchmark for Availability under Tough Conditions
  8. 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Contents MAY 2015 pp.48 포커스 12 스마트 제조기술 개발 중장기 로드맵 추진된다 14 사물인터넷 통한 사이버공격 대비한 정보보호 방안이 요구된다 16 APROL 에서 OPC UA 로 인한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 18 산업용 인터넷 컨소시엄, FPGA와 SoC 기반 산업 IoT 기술 키워 20 MOXA, 360° 네트워크 신뢰성을 갖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제공 마켓 22 일본 데이터센터 사업의 실태와 투자 동향 신제품 뉴스 24 KE5 AS-Interface 모듈 24 절연형 시그널 컨버터 25 높은 출력파워 및 컴팩트 드라이브 25 자동차 HUD용 DLP 칩셋 26 산업자동화용 쿼드 IO-Link 마스터 레퍼런스 보드 26 스마트미터링용 무선 M-BUS 솔루션 27 지능형 제동 토크 제어 모듈 27 폐루프 서보시스템, Ai-SERVO 인터뷰 28 김형묵 대표이사,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 내실과 성장에 적극적인 투자로 3년내 5천억 매출 이룬다 피플 30 지브라, 디바이스 데이터로부터 기업가치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기업으로 성장 46 어빙 탄(Irving Tan), 시스코 아태 및 일본 지역 총괄 사장 “만물인터넷은 스마트 팩토리에서 빠르게 구축 중” 70 빌려쓰는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PaaS)으로 IoT 모듈화 시스템 개발 지원 커버스토리 37 감자칩 포장라인의 효율적인 안전 자동화 리포트 40 LG CNS 엔트루월드(Entrue World) 2015 “디바이스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IoT 패러다임이 바뀐다” 44 시스코 코리아, 만물인터넷은 ‘미래’가 아니라 ‘현실’이다
  9. www.icnweb.kr _9 pp.37 pp.28 pp.16 이슈 48 유니버설 로봇, 유연하고 가벼운 로봇암 UR3 협업 로봇 50 산업용 IoT와 industry 4.0을 위한 EtherCAT 모션 네트워크 52 CSR, 사운드바 표본 디자인 포트폴리오 공개 테마 54 10년 내 차량용 컴퓨팅 성능 100배 향상 56 스마트폰과 주변 디바이스를 간단하게 연결하는 WebOS 기술 테크놀로지 58 TERMSERIES, 다양한 기능의 만능 릴레이 60 ePack 마이크로 발전소 에너지 파워를 위한 강력한 스팀 인더스트리 64 MEMS VOC 가스센서, 실내공기 측정솔루션으로 스마트홈 구현 66 보이지 않는 혁신, 카벨슐렙의 ‘퀵 오프너(quick openers)’ 이슈프로덕트 브리핑 43 EPLAN Platform 2.5, 확장된 터미널 편집기로 간편 배선 구현 72 노르딕 세미컨덕터, IoT 세상을 선도하는 블루투스 스마트 무선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 74 LS산전, 하노버메쎄에서 ‘스마트 에너지의 미래’ 솔루션 제시 82 블루투스 스마트에 메쉬 기능 추가로 IoT 경험 향상 파워 테크놀로지 76 GaN의 가능성을 통한 전원 공급 장치 솔루션의 발전 뉴스 80 HDMI 포럼, HDMI 2.0a 사양 발표 80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 도쿄일렉트론과의 합병 무산 81 에머슨, ‘가스 분석 모니터링’ 제조기업 캐스케이드 인수 81 Anybus CompactCom, PROFINET 2.31 인증 획득 81 마이크로칩 MOST 기술 적용 완성차 모델 늘어나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아이씨엔은 네트워크 통신과 관련한 기술 원고를 모집합니다. 제조, 플랜트, 자동차, 기계, 헬스케어, 빌딩 및 홈, 재생에너지 네트워크 관 련 신기술 및 적용사례에 대한 기고를 환영합니다. oseam@icnweb.co.kr
  10.  2015년 05월호 통권 제99호 2015년 5월 8일 발행 편집장 Editor-in-Chief 오승모 TIMOTHY S.M., OH· oseam@icnweb.co.kr 기자 Technical Editor 김철민 CHOL MIN, KIM· min@icnweb.co.kr 기자 Technical Editor 오상원 CHRIS, OH· chris@icnweb.co.kr 기자 News Editor 오윤경 YUN KYUNG, OH· news@icnweb.co.kr 웹마스터 Web Master 손성수 SUNG SOO, SON· icn@icnweb.co.kr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is published by ICN Corp. ISSN 1975-552X 등록번호 서대문 라 00035 Registration Number 등록일 2006년 6월 29일 Registration Date 발행인 오승모 Publisher 인쇄인 YSP 함용헌 Printing House 발행처 아이씨엔 ICN Corp.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원길 25-13 (홍제동) 25-13, Hongjewonkil, Seodaemun-gu, Seoul, 120-854, Korea 전화 0505-379-1234 팩스 0505-379-5678 이메일 icn@icnweb.co.kr 웹 www.icnweb.co.kr 뉴스웹 www.icnweb.kr 가격 8,200원 Price 월간 아이씨엔 05 | 2015  <월간 아이씨엔: 인더스트리얼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는 한국도서잡지윤리위원회의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월간 아이씨엔은 지속가능한 지구환경 보호를 위해 재생이 어려운 표지코팅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작합니다. 정가 8,200원 (1년 정기구독료 82,000원) [구독문의:0505-379-123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No.99 ww.ICNweb.k https://www.facebook.com/icnweb/ https://twitter.com/oseam/ http://www.youtube.com/user/icnwebTV/ http://www.pinterest.com/timothyoh/industrial-infographics/ https://www.linkedin.com/in/icnweb/
  11. 12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스마트 제조기술 개발 중장기 로드맵 추진된다 포커스 정부차원의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제조업혁신 3.0 전략’의 후속조치로써 스마트제조 기술 개발을 체 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스마트제조 R&D 로드맵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지난 4월 30일 공식 발족 했다. 추진위원회는 산업부와 미래부 공동으 로 구성하였으며, 제조업의 스마트혁신 을 촉진할 8대 스마트제조기술 관련 산 학연 전문가 70여명이 참여했다. 위원장 은 이건우 서울대 공대 학장이 맡았다. 8대 스마트제조기술은 (1)생산시스템혁 신기술에서는 제품설계.생산.에너지효 율 등 공정최적화 달성을 목표로 스마트 센서, CPS, 3D프린팅, 에너지절감 등 4 개 기술이 포함된다. (2)정보통신기반기술에는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가공·활 용을 목표로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홀로그램 등 4개 기술이 포함 됐다. 이건우 위원장은 “제조업은 국가산업 경 쟁력의 기반이자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강조했다. 한편, 추진위는 약 6개월간 8대 기술별 분과 활동을 통해 로드맵을 완성하고 11 월중 스마트제조기술 개발 및 전략적 투 자 방향을 제안할 예정이다.© ©weidmuller.com 표. 8대 기술 적용 제조업 미래상 (산업부) 상품, 판매, 마케팅 수요등 인력소요 많다. 2-3개월. 낼 수 있는 원천”이라 밝히며, “신제조업 을 국가차원에서 육성하기 위해서는 제 조업의 스마트혁신을 촉진함으로써 생 산공정 혁신으로 생산성을 제고하고 신 시장 창출에 주력해 나가야 한다”라고 목업으로 제작되는 시제품. 1-2개월. 수천만원 단일품종 대량생산(생산 라인) 막대한 설비투자 원료-제품-품질공정 자동화, 공정 간 사람이 통제 주문-생산(재고)-배송 적재형 재고관리 실시간 정보수집, 분석 1주일 이내로 단축 가상의 시뮬레이션으로 제작 1일 이내, 수백만원 다품종 대량생산 및 저렴한 설비투자 공정 간 생산장비가 통제 자원배분의 최적화 수요에측에 의한 실시간 배송 창고없는 물류관리
  12. COMPETENCE IN COMMUNICATION All Fieldbusses -All Formats: Always cifX Phone: 031-789-3715 info@hilscher.kr www.hilscher.com One Partner ›› All Systems The cifX-Family:  기존의 모든 PC Format에 사용 가능  모든 Real-time Ethernet 프로토콜을 위한 단 하나의 Device Driver  동일한 PC카드에서 마스터 또는 슬레이 브로 사용 가능  최고의 드라이버 다양성과 OPC 서버를 통해 쉽게 연결  인증된 기술력 PC 기반의 자동화 기술이 좀 더 개발되면서 - 우리의 PC card 제품군도 동시에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3. 14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사물인터넷 통한 사이버공격 대비한 정보보호 방안이 요구된다 포커스 2014년 한해동안 세계 선도의 금융사나 소매, 의료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정보 유출 사건들이 끊이지 않았 다. 이 사건들은 신용카드 정보는 물론 개인 신상 정보, 또는 암거래 시장 거래에 가치있을 만한 개인 기록 들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들을 대상으로 정교하게 이뤄졌다. 이런 사이버 범죄들이 96% 이상의 웹페 이지를 관리하는 딥웹(Deep Web)으로 옮겨지고 있다. 이 딥웹은 익명으로 정 보 교환 및 거래가 가능한 TOR로 알려진 전용 브라우저로만 접근할 수 있다. 한 편 고용된 사이버 범죄자들은 기업 자료 절취부터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까지 활 동 범위는 다양하며 그 댓가로 비트코인 (bitcoins)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사이버 공격은 기업 비즈니스나 운영에 영향을 주는 정보 보 안과 관련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서는 각 개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사 기 사건들이 빈번해지고 필드 장치로 쓰 이는 사물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위협들이 가해지면서 이들을 어떻게 사 전에 보호하고, 사고 발생시 어떻게 대 처할 것인가에 대한 우려가 높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 ICT 산업부에서 네 트워킹, 정보 및 사이버 보안 조사를 맡 고 있는 찰스 림(Charles Lim) 선임 연구 원은 “사이버 보안에서 정보 보안 방어 를 위해서는 기대 이상의 많은 조치들이 필요하다. 스마트 시티 계획에 힘을 실 어주는 새로운 사물 인터넷에 인터넷 접 속을 통한 사이버 공격이 가해질 수 있 기 때문에 더 늦기전에 대규모 사이버 공격 대상으로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기 존의 주요 인프라에 더 강력한 보호 방 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전했다. 찰스 림 선임 연구원은 일례로 컨넥티드 카를 들기도 했다. 자동차 기업들은 고 객들에게 새로운 차원의 강화된 운전 경 험을 전달하고자 많은 노력을 쏟고 있지 만, 보안 인프라에 있어서는 약한 모습 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컨넥팅 추진 만큼 충분한 보안 대책 나와야 인터넷의 이점들을 활용하기 위해 주요 인프라에서는 “컨넥팅”이 꾸준이 추진될 것이다. 하지만 최근들어 많은 이들에게 컨넥팅 운영 기술에 충분한 사이버 보안 대책이 포함되어 있는지 의문을 살 만큼 주요한 보안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번 프로스트 앤 설리번 ICT 브리핑에 서는 보안에 있어 기업들에게 여전히 중 요한 것들이 무엇이 있는지와 더불어 기 업 보안 솔루션 연구에 대한 최신 정보 와 최근 몇 달새 떠오른 혁신 보안 기술 들에 대한 정보들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 졌다. 적절한 계정 접근(Identity Access)이 기 업들이 여전히 골치 아파하는 문제들 중 하나인 가운데, 인증을 위해서는 기본적 으로 강력한 암호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들어 보안 기술 시장의 판도를 흔 드는 게임 체이저(game changer)가 나 타나고 있고, 주요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앞으로 암호가 필요하지 않아도 되는 기 술 체계를 갖춘 자신들의 설계에 보안을 통합시키고 있다. 이 번 브 리 핑 에 서 는 디 셉 션 기 술 (Deception technology)도 다뤄졌다. 악 의적인 웹사이트를 통해 잠재적 희생자 들을 속여 클릭을 유도하는 것처럼 디셉 션 기술은 주로 사이버 공격자들이 인터 넷 사용자들을 현혹시키는 수단으로 쓰 여질 것이다. 디셉션 보안 기술들 역시 도 기관들을 상대로 하는 웹 공격 가능 성을 줄여 줄 것이다. 산업내 보안 격차를 해결하는 것부터 시 작해 종합적인 접근 방식으로부터 보안 이 어떻게 간주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권 고까지, 더 나은 보안 솔루션들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어질 것이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도 앞으로 계속 보안 설계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들과 기업 및 보안 서비스 공급업체 모두가 리스크 관리 방 식으로 고려할 수 있는 컨셉들을 제시할 것이다.© www.frost.com
  14.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한양대학교 에리카 캠퍼스 BI 센터 204호
  15. 16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B&R, APROL 에서 OPC UA 로 인한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 포커스 B&R의 APROL 공정 제어 시스템 사용자는 이제 OPC UA로 인한 혜택을 더욱 누릴 수 있다. OPC UA 서버 와 OPC UA 클라이언트는 벤더 독립적인 통신을 허용하는 APROL의 리눅스 기반 런타임 서버에서 직접 사 용할 수 있다. 읽기나 쓰기를 통해 다른 OPC UA 클라 이언트로 OPC UA 서버를 사용할 수 있 도록 하는 모든 APROL 변수는 간단하게 선택하여 정의될 수 있다. 연결되어야 할 모든 데이터 포인트들은 OPC UA 클라이언트를 위한 통합된 브 라우저 기능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읽 기 또는 쓰기와 같은 중요한 속성들은 자동으로 만들어진다. 시스템 간의 통신 모터 관리 및 제어 장치들, 컴팩트한 OPC 컨트롤러와 그 밖의 장치들은 모든 중요한 작동, 서비스와 진단 데이터를 OPC UA 클라이언트와 직접 교환할 수 있다. 또한, OPC UA 서버는 APROL 공정 제 어 시스템에 HMI 패널 또는 SCADA 시 스템을 얼마든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 다. 통신은 또한 APROL 런타임 서버 간 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이것은 다른 소 프트웨어 버전과 다른 APROL 시스템 사 이에서도 가능하다. OPC UA는 어떠한 제조업체들의 컨트롤 러, HMI 패널 및 SCADA 시스템이라도 B&R의 APROL 공정 제어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다.© Ligna 2015 - 세계 최대 목재산업 박람회 목재 산업을 위한 경제적인 Safety 솔루션 프로그램가능한 세이프티 기술은 더 이상 기존의 세이프티 릴레이보다 비싸지 않다. B&R의 새로운 세이프 I/O 모듈들은 가장 작은 목공 어플리케이션까지도 적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솔루션이다. 이뿐만 아니라, B&R의 혁신적인 기술들 이 5월 11일에서 15일까지 하노버에서 개최되는 Ligna 전시회에서 전시될 예 정이다. B&R이 목재 산업 분야의 고객들에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 법은 공간을 절약하고 비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설계된 컴팩트한 컨트롤러의 개 발이다. B&R의 Power Panel T 시리즈 및 컨트롤러가 통합된 Power Panel C 시리즈 역시 목재 산업에 매우 적합하다. IP65 보호등급으로 열악한 산업 환경 에서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WPC를 위한 플라스틱 전문가들 합성목재 (WPC)는 목재 산업의 유망 시장이다. WPC생산은 목재 공정만이 아 닌, 압출 및 사출 성형과 같은 기술들이 필요하다. 이것이 바로 목재 산업 분야 에 있는 B&R 고객들이 플라스틱 공정에 있어서 B&R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로 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이다.© www.br-automation.com
  16. www.westermo.co.kr 산업분야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스위치 탄력적인 네트워크 솔루션
  17. 1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포커스 산업용 인터넷 컨소시엄(IIC), FPGA와 SoC 기반 산업 IoT 기술 키운다 알테라가 IoT(사물 인터넷)의 글로벌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끌어가기 위한 산업 협의체인 IIC(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에 가입했다. 알테라는 이 컨소시엄의 회원사들과 함께 산업용 인터넷(Industrial Internet) 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 로드맵을 개발한다. 산업용 인터넷은 서로간에 각기 다른 다 양한 접속 프로토콜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다양한 유형의 최종 시 장 애플리케이션으로 생산성을 향상시 키도록 하는 지능적 장치와 센서들의 네 트워크이다. IoT는 이러한 지능적인 네 트워크를 통해서 기업들이 자산을 최대 한 활용하고 가동을 극대화하고 기존 프 로세스를 간소화 또는 자동화하는 지능 적인 새로운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IC(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는 기계와 디바이스, 지능적 분석, 워크포 스에서의 사람들을 상호연결하는 네트 워크의 개발, 도입, 확산을 위해 설립된 협의체 기구로 산업용 인터넷에 대한 기 술개발을 상호 논의하고 있다. IIC의 경영 이사인 Richard Soley 박사는 “IIC는 산업용 IoT 기술 혁신을 이끌어가 고 있다. 알테라의 FPGA와 SoC 기반 솔 루션 분야에서 축적한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더 유연성과 보안성 이 뛰어난 IoT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FPGA는 지능적이며 유연성 뛰어난 IoT 게이트웨이 및 분석 가속화 가능 알테라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SoC(system on chip) 제품 로서 네트워크 말단에서 데이터 분석과 제어 기능을 가속화할 수 있다. 알테라의 산업용 사업부 이사인 David Moore는 “알테라의 기술은 네트워크 에 지(edge) 상에서 지극히 다양한 유형의 ‘사물’들로부터 입력을 수집하고 처리하 는 지능적 가속화 클라우드 및 게이트웨 이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한 혁신적인 방 식들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플 랫폼들에 알테라의 하드웨어 및 소프 트웨어 프로그램 가능성을 매우 유용하 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분열적 인 애플리케이션 요구들을 유연하게 지 원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센터와 IoT 인프라에서 분석과 보안을 경제성 뛰어 나게 가속화할 수 있는 성능을 제공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알테라의 FPGA, SoC, 전원 제품은 이미 RF 무선 시스템과 머신-to-머신 통신 네 트워크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장 자 동화와 스마트 그리드 애플리케이션에 프로그래머블 로직이 널리 채택되어 고 성능 제어와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 며 첨단 제조 및 전력 시스템으로 효율, 안전성, 보안을 향상시키고 있다. FPGA는 또한 차세대 자동차와 의료용 IoT 시스템에 채택되고 있으며, 또한 고 성능 임베디드 비전 및 비디오 분석 기 능을 활용한 지능적 조명 시스템이나 교 통 관리 시스템 등에 채택되고 있다.© www.altera.com 을 이용함으로써 디자 이너들이 다양한 IoT 애 플리케이션 분야에 걸 쳐서 다양한 방식의 진 화하는 유선 및 무선 인 터페이스 표준들을 보 안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FPGA 기술을 이용함으 로써 데이터 센터는 물 론 변화하는 IoT 애플리 케이션 요구를 충족하 기 위해서 핵심적 요소
  18. 20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포커스 MOXA, 360° 네트워크 신뢰성을 갖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제공 기업들이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보다 넓은 영역에서 이용하고자 함에 따라, 공장 제어 및 자동화 시스템의 무결성을 달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신뢰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됐다. MOXA가 이를 위한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 솔루션을 제안했다. MOXA는 산업용 사물인터넷을 통한 스 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핵심 조건인 네 트워크에서의 완전 무결성을 위한 솔루 션을 제안했다. MOXA가 선보인 8페이지 분량의 새로운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 솔루션(Smart Factory Network Solutions)” 가이드에서 는 MOXA의 솔루션들을 이용해 360° 풀 스케일의 에지(edge)에서 코어(core)까 지 네트워크 신뢰성을 달성할 수 있어, 가동시간과 연결성을 극대화해 공장 통 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세히 설 명을 제공한다. 360° 네트워크 신뢰성과 스마트 구조 갈수록 더 다양한 유형의 산업용 네트 워킹 디바이스로 공장 네트워크 인프라 가 구축되고 있다. MOXA의 산업용 이 더넷 솔루션은 디바이스 내구성, 리던 던시 연결, 사이버 방어 능력을 강화함 으로써 360° 네트워크 신뢰성을 달성한 다. MOXA의 산업용 이더넷 인프라 부 문 제품 매니저인 게리 창(Gary Chang) 은 “MOXA의 솔루션은 밀리초(mS) 대의 네트워크 리던던시를 제공함으로써 산 업용 팩토리 애플리케이션을 중단 없이 가동할 수 있도록 한다. MOXA의 제품 들이 높은 신뢰성을 달성할 수 있는 것 은 MTBF가 뛰어난 부품, 냉각 팬과 발열 장치가 없는 설계, 넓은 동작 온도 범위, 뛰어난 EMI/EMS 보호에서 비롯된 것이 다. 또한 24시간 가동되는 공장 애플리 케이션은 위험성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 에, MOXA는 공장의 셀, 구역, 필드에서 비용 증가 없이 네트워크 위협을 방지하 는 산업용 사이버 보안 솔루션들을 제공 한다. MOXA는 포괄적인 제품 포트폴리오와 체계적인 전문성에 SMART 네트워크 아 키텍처 지원을 결합하여 고객들이 사 이버 물리 시스템(CPS, cyber-physical system)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이로써 기존 장비뿐만 아니라 최신 장비 들로 생산 및 가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MOXA의 SMART 네트워크 인프라 는 공장 통신 및 가동 효율을 극대화하 기 위해 필드 네트워크, SCADA 시스템 및 백본 네트워크를 위한 이더넷 연결성 을 제공한다. 이 이더넷 연결성은 개방 형이며, 자기 치유적이고, 관리가 쉽다. 또한 고도로 보안성이 뛰어나며, 상호 운용이 가능하다. MOXA는 세계 각지의 파트너사들과 함 께 산업용 이더넷 솔루션의 원스톱 쇼핑 을 제공하고 있다.© www.moxa.com
  19. 무선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는 많습니다. 하지만, 플랜트 현장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솔루션, 과연 가능할까요? 한층 더 향상된 가시성, 실행성, 수익성, 에머슨의 스마트 무선과 함께라면 가능합니다. 에머슨의 스마트무선은 업계에서 가장 많은 고객 싸이트와 운영 시간을 보유하고 있는 검증된 무선 기 술입니다. 스마트무선은 보다 많은 현장 지점에서 가동 작업이 가능하도록 고객의 비전을 확장하였으 며, 자가형성 메쉬 네트워크(self-organizing mesh network)를 통해 최고의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다시 말해, 스마트무선은 시장 내 현존하는 가장 지능적이고, 안전하며, 비용 효율적인 운영 전반 무선 기술 옵션이라 할 수 있습니다. EmersonProcess.com/SmartWireless 사이트를 방문하시면, 에머슨의 스마트 무선 솔루션을 통한 수익성 강화에 대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株) 대표전화 02-3438-4600 www.emersonprocess.co.kr 에머슨 로고는 Emerson Electric Co.의 상표 및 서비스표 입니다. © 2014 Emerson Electric Co.
  20. 22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마켓 일본국내 데이터센터의 총 바닥면적 은 꾸준히 증가 일본국내 데이터센터의 총 바닥면적 은 2011~2017년도까지 연평균 성장률 (CAGR) 3.7로 추이해, 2017년도에는 2,470,000m2에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2012~2013년도는 데이터센터가 많이 준 공되었지만, 2014년도에는 데이터센터 신설이 잠시 주춤했다.그러나, 2015년도 이후에는 IT사업자들의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가 이어져 총 바닥면적은 꾸준 히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사업지속과 시큐리티 대책 등 데이 터센터 수요는 안정적 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가 안정적인 이 유로는 사업지속대책과 법규제에의 대 응을 위한 견뢰성이 높고, 시큐리티 대 책에 만전을 기한 데이터센터를 요구하 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는 것, 데이터량 의 증가로 서버 대수 증가에의 대응과 소비전력 감축을 위해서버를 데이터센 터로 이동시키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는 것, 정보시스템 요원의 인재 부족으로 인해 정형 업무인 운용업무를 아웃소싱( 외부업무위탁) 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 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수도권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는 일시적으로 둔화된 뒤 다시 신장할 것으로 예측 수도권(도쿄도, 가나가와현, 치바현, 사 이타마현)의 2011~2017년도까지 데이터 센터 총 바닥면적 연평균 성장률(CAGR) 은 지방보다 높지만, 2014~2017년도만 보면 성장은 둔화된다. 이는 수도권의 경우 데이터센터에 적합한 토지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2020년 도쿄올림픽 의 영향으로 건설비용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수도권의 데이터센터는 대규모 유저인 대기업의안정적인 수요 가 존재하기 때문에, 2018년도 이후에는 다시 수도권의 성장률이 지방보다 높아 질 것으로 예측된다. 1. 일본국내 데이터센터 사업 개황 일본국내 데이터센터의 총 바닥면적 은 2011~2017년도까지 연평균 성장률 (CAGR) 3.7로 추이해, 2017년도에는 2,470,000m2에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2012~2013년도는 데이터센터가 많이 준 공되었지만, 2014년도에는 데이터센터 신설이 잠시 주춤했다.그러나, 2015년도 이후에는 IT사업자들의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총 바 닥면적은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 다. 2. 데이터센터 사업의 성장요인 IT사업자의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 확 대 전망은 유저기업의 데이터센터에 대 한 수요 확대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 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지진재해 이후 사업지속대책을 위한 데이터센터 수요가 계속 확대되고 있어 그 견뢰성이 높고, 시큐리티 대책에 만 전을 기한데이터센터로 서버를 이동시 키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2) 각종 법규제으로 인해 기업에 요구 되는 정보관리 수준이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시큐리티 수준 향상과 견뢰성 때 문에 데이터센터를 이용하는 기업이 증 가하고 있다. (3)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용 확대 등으 로 화상이나 동영상데이터 등 기업이 취 급하는 데이터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처리능력 향상을 위해서 서버대 수가 증가하고 있어, 증가한 서버를 데 이터센터로 이동시키는 기업이 증가하 고 있다. (4) 빅데이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마 케팅부문이 다양한 분석소프트와 관련 애플리케이션 소프트로 방대한 데이터 일본 야노경제연구소에서는 아웃소싱 사업자, 데이터센터 전업자, 건설회사, 설계회사 등을 대상으로 일본 국내의 데이터센터 사업에 관한 조사를 실시했다. 사업지속과 시큐리티 대책 등 데이터센터 수요는 안정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데이터센터 사업의 실태와 투자 동향
  21. www.icnweb.kr _23 화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시스템 부원이 대응해야 할 업무는 오히려 확대되고 있 다. 정보시스템 요원의 인재 부족을 보 완하기 위해 운용관리 등의 정형업무를 아웃소싱(외부업무위탁)하고자 하는 기 업이 증가하고 있다. 3. 수도권과 지방의 데이터센터 사업 동향 수도권(도쿄도, 가나가와현, 치바현, 사 이타마현)의 2011~2017년도까지 데이터 센터 총 바닥면적 연평균 성장률(CAGR) 은 4.2,지방의 2011~2017년도까지 데 이터센터 총 바닥면적 연평균 성장률 (CAGR)은 2.9로 예측된다. 수도권의 연평균 성장률은 지방보다 높 지만, 2014~2017년도만 보면 수도권의 성장은 둔화되어 지방보다 작아질 것으 로 전망된다. 이는 수도권의 경우 데이 터센터에 적합한 토지 확보가 어려워지 고 있으며, 2020년 도쿄올림픽의 영향 으로 건설비용이상승하기 때문이다. 다만, 수도권의 데이터 센터는 대규모 유저인 대기업의 안정적인 수요가 존재 하기 때문에 2018년도 이후는 다시 수 도권의 성장률이 지방보다 높아질 것으 로 예측된다. 대기업의 경우, 긴급 시에 자사 정보시스템 부원이 달려올 수 있는 수도권 입지를 원하는 기업이 여전히 많 아, IT사업자들은 대규모 고객인 대기업 의 그러한 수요를 전망하며 수도권의 데 이터센터 투자를 다시 확대할 것으로 예 측되기 때문이다. 한편, 지방의 데이터센터 총 바닥면적 은 소폭 증가 추세에 머물 것으로 예측 된다. 이는 지방의 입지를 살릴 수 있다 고 여겨졌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사업지속서비스가 기대했던 지방 데이 터센터에 대한 수요 확대 수준까지는 미 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의 본격적인 보급 을 전망해 지방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 는 IT사업자가 증가했었다. 클라우드 컴 퓨팅은 저가격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 어 건설비용과 운영비용이 낮은 지방의 데이터센터가 적합하기 때문이다. 지진 재해 이후 기업의사업지속에 대한 의식 이 높아지면서 제1 데이터센터로부터 멀 리 떨어진 지방의 데이터센터를 백업센 터로서 활용하는 기업이증가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기대한 만큼 지방 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지 않 고 있어, 앞으로 IT사업자의 지방 데이터 센터에 대한 투자는 소폭 신장하는데 그 칠 것으로 예측된다. <데이터센터란> 본 조사에서 데이터센터란 IT사업자가 고 객 서버 등의 IT기기를 담당하거나 자사 소유의 서버를 활용해 인터넷에 대한 접 속회선과 시스템 운용보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시설을 가리킨다. 그리고, IT사업자간의 OEM 공급을 통한 중복분과 일반기업(유저기업)이 보유한 서버실 등의 바닥면적은 포함하지 않는 다. © 야노경제연구소 http://www.yano.co.kr/ 를 축적, 분석 등을 실시하 게 되면서 데이터센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 고 있다. (5) 환경대책으로서 기업 에게도 에너지절약 활동 이 요구되고 있는 한편, 전 력요금도 상승하고 있어, 이를 내부에서 대책을 강 구하기 보다 데이터센터 에 집약시키는 것이 효율 적이라고 판단하는 기업 이 증가하고 있다. (6) 경영 효율화를 목적으 로 정보시스템 부문의 인 재를 감축하는 기업이 증 가하는 한편, IT기술은 진 마이크로소프트 Bing 데이터 센터
  22. NEWS 24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신제품 뉴스 절연형 시그널 컨버터 CN-6000 절 연 형 시 그 널 컨 버 터 CN-6000 시리즈 는 LCD 디스플레이의 3 색 색상 선택은 물론, 12 Segment 방식을 채용하 였으며, Bar 그래프에 의 한 출력 스케일 표시가 가능한 표시부를 갖추고 있어, 현장 여건(밝기, 조명)에 따른 최적의 시인성을 제 공한다. 또한 온도와 전압, 전류, 펄스 등(TC/RTD/mV/mA/V/ Pulse)의 멀티 입력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높은 경제성 을 실현한 제품으로, 절연된 독립 1•2채널 AO(Analog output)를 지원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작업을 실현한 다. 코닉스 http://www.konics.co.kr/ KE5 AS-Interface 모듈 페펄앤드푹스는 장치의 전면에서 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푸시-인 연결 방식의 AS-Interface IP20 모듈을 위한 새롭고 혁신적인 표 준을 수립하고 있다. 크림프 와이어(Crimped Wire) 종 단은 푸시-인 터미널에 직접 삽 입이 가능하다. 전반적인 배선 하 네스는 하향식으로 가이드되는 데, 이는 상단의 케이블 리지/케이블 덕트가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는 스위치 캐비닛 배선을 위한 정 교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공간을 절감하고, 명확도를 높일 수 있다. 스위치 박스에서 이러한 연결 을 갖춘 모듈은 설비를 손상시키지 않고 스위치 박스 상부 가장자리에 탑재가 가능하다. 정확한 힌지 커버는 여러 포인트에서 잘 맞출 수 있으 며, 항상 숫자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확하게 볼 수 있으 며, 내부적으로 터미널 기능을 컬러로 코딩할 수 있다. 이 터미널은 개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혼선이 되 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딩되기 때문에 장치는 아무런 문 제없이 교체할 수 있다. I/O는 디스플레이되며, 진단은 백라이트 숫자를 이용해 중앙에서 처리된다. LED에 라벨을 할당할 필요가 없으 며, 또한 이러한 설정은 어두운 조건에서도 정보를 판 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듀얼 LED는 채널별로 특정된 출력 과부하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내부적으로 브리지되어 있는 AS-i 및 AUX를 위한 터미 널 접촉은 풀 8A를 달성하며, 단자점에서 이중 와이어 종단 페룰이 필요하지 않다. 페펄앤드푹스 http://www.pepperl-fuchs.com/ 전기 및 기계설비 온도 모니터링 센서 ‘FLIR AX8’ 플리어 시스템 코리아는 열화상 카메라와 실화상 카메라의 기능 을 저렴한 가격대와 소형의 크 기에 구현한 FLIR AX8™ 온도 센서를 출시했다. AX8은 54 x 25 x 95mm의 소형에 설치가 용 이해 가공 및 생산 작업장, 데이 터센터, 발전소 및 변/배전 시 설, 운수 및 대중교통 시설, 냉 동창고 및 각종 저장시설 등 중 요한 전기 및 기계설비의 모니 터링에 적합하다. 이 제품은 시설에 대한 연속적인 상태 모니터링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제공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보다 과열된 부분이 탐지되면 자동으로 알람음을 발 신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설물의 온도 관련 문제점을 조기에 감지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정전사고나 서비스 중 단, 설비 고장, 각종 안전사고 등에 미리 대처할 수 있다. FLIR A X8 온도 센서는 플리어의 획기적인 렙톤(Lepton) 열화상 코어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열화상 카메라와 연 속적이고 선명한 화질의 상태 모니터링 동영상 촬영을 위 해 플리어의 특허인 MSX 기술을 적용한 실화상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다. 제품 외부는 견고한 IP-67 등급의 하우징 으로 마감 처리되어 있다. 최대 6개의 측정 면적을 지원하 며, H.264, MPEG 또는 MJPEG 포맷의 열화상, 실화상 또 는 MSX 비디오 스트리밍이 가능하다. 이 외에 완벽한 분석 기능과 함께 이더넷을 통한 전원공급이 가능한 PoE(Power over Ehthernet) 기능, 온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 스로는 산업표준인 EtherNet/IP와 Modbus TCP 인터페이 스를 지원한다. 플리어 시스템은 “플리어의 AX8 온도 센서는 지능형 열화 상 카메라와 실화상 카메라를 통한 모니터링 및 과열 탐지 알람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가격대비성능이 탁월한 센서 제품으로, 소형이라 좁은 장소에도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 여 중요한 전기 및 기계설비의 온도 관련 문제를 모니터링 하는 데 이상적”이라고 밝혔다. 또 “최근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전국적으로 건조주의 보, 건조경보가 발효된 가운데 화재 예방에 대한 관심과 노 력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며, “플리어 AX8을 활용하 면 각종 화재 발생 원인을 조기에 탐지 및 진화함으로써 막대한 재산 또는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 고 덧붙였다. 플리어시스템 www.FLIR.com 이슈in뉴스
  23. NEWS www.icnweb.kr _25 신제품 뉴스 올 IP 기반 차세대 비디오 오버 IP 커넥티비티 솔루션 이 새로운 커넥티비티 솔루션은 방송 및 프로 a/v 시장 에서 ‘네트워크 상관 없이 모든 미디어’의 전송을 가능 하게 한다. 자일링스는 SMPTE ST 2022-1,2및 SMPTE ST 2022-5.6 IP 코어와 레퍼런스 디자인을 제공하며, 통 합 및 분배 네트워크를 위한 비디오 오버 IP 프로토콜을 정의 및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코어는 1Gb 및 10Gb 이 더넷 IP 네트워크에 멀티 압축 JPEG 2000이나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MPEG-TS) 또는 비압축 SDI 스트림 을 압축하며, 선택적 FEC(Forward Error Correction)로 손실된 패킷을 복구하고 미디어 전송을 강화한다. 자일링스의 새로운 비디오 오버 IP 코어 및 레퍼런스 디 자인은 SMPTE ST 2022-7 균일(히트리스) 프로텍션 스 위칭 표준을 지원하며, 자일링스 얼라이언스 회원사인 inrevium AMERICA와 Faster Technology의 FPGA 메자 닌 카드(FMC; FPGA Mezzanine Cards)를 사용하여 자 일링스 킨텍스(Kintex)-7 FPGA 및 징크(Zynq)-7000 올 프로그래머블 SoC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추가 SMPTE ST 2022-호환 IP 코어에는 새로운 하이채널 카운트 비 디오 오버 IP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엔진이 포 함되어 최대 512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처리할 수 있다. 자일링스 http://www.xilinx.com/ 높은 출력파워 및 컴팩트 드라이브 2세대 지멘스 Sinamics G120은 높은 출력파워와 공간 절약형 프레임을 제공하는 모듈식 드 라이브다. 최신 PM240-2 전원 모듈로 인해 출력 파워는 더욱 높아지고 새로 설계된 드라이 브 구성은 200V, 400V, 690V 라인에 연결되는 3개의 전압 버전으로 제공된다. 본 2 세대 장비는 통합 DC 링크 인덕터를 사용하여 라인 변 동에 강하다. 보호 등급 IP21은 드라이브 방수를 보장하 기 때문에 다습한 환경에서도 제어 캐비닛 외부에 장착 할 수 있다. Sinamics G120은 출력 감소 없이 드라이브를 나란히 장 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요구 사항을 충족할 뿐만 아 니라 제어 캐비닛 구성 비용을 최소화시켜 준다. 제어 캐비닛 내부의 열을 낮추기 위하여 Sinamics G120은 기 존 캐비닛 환기 외에 혁신적인 푸시스루 냉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필터내장 및 필터 비내장 드라이브의 캐비닛 설치면적은 동일하다. 최신 지멘스 드라이브는 시운전 및 유지보수 작업을 단순화하기 위해 라인과 모 터 쪽에서 연결을 최적화했다. 지멘스는 또한 추가 비 용 없이 실드 연결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모든 최신 Sinamics G120 드라이브도 최대 PLe/SIL3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통합 안전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 며 SINAMICS G120은 펌핑 환기 및 압축 응용분야뿐만 아니라 이송 및 프로세스 분야에도 적합하다. 이 장비 는 일반 산업기계, 자동차, 섬유, 포장 및 화학 산업 등 각종 산업 및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설 계됐다. 지멘스 http://www.siemens.co.kr/ 영구사용 가능 PSENslock 안전센서 PSENslock은 하나의 컴팩트한 제품에 임의 조작에 대한 보호가 가 능한 전자기적 프로세 스 가드 기능을 갖춘 안전 게이트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며, 게이 트, 플랩 및 커버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다수의 PSENslock이 사용되는 분야에서, PSENslock 6.1의 확장된 진단기능은 사용자가 어떤 스위치가 가드 잠금이 동작되지 않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오류 발 생시 빠른 진단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유지보수 시간을 줄여준다. PSENslock 유형 3.1/4.1/4.2는 가드 잠금과 분리된 안전 출력(OSSD)을 제공하여 가드 잠금 상태와는 관계없이 OSSD출력을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어플 리케이션에 훨씬 더 유연한 작업과 설계가 가능하다. 필츠코리아 http://www.pilz.com/ko-KR/ 자동차 HUD용 DLP 칩셋 TI는 자사 최초로 오토 모티브 헤드업 디스플 레이(HUD) 애플리케 이션을 위한 DLP 칩 셋을 출시한다. DLP 기술의 뛰어난 영상 품질과 오토모티브 에 적합한 신뢰성이 결합된 새로운 칩셋은 업계에서 가 장 넓은 최대 12도의 시야각(FOV)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HUD) 구현을 가능케 한다. 또한 뛰어난 수준의 밝기, 색상, 명암비로 고객들의 확장가능한 플랫폼 설계를 가 능케 한다. DLP3000-Q1이 핵심부품으로 적용된 HUD PGU(picture generation unit)는 윈드쉴드(windshield) 형태의 HUD나 컴바이너(combiner) 형태의 HUD 등 다양한 시스템에 동시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고객들이 다양한 차량모 델에 확장 적용이 가능하여 투자 회수율을 높일 수 있 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http://www.ti.com/dlp/
  24. NEWS 26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신제품 뉴스 제 3세대 4mm 초소형 근접센서 이 제품은 모든 금속체 에 동일한 감지거리를 출력할 수 있는 제품 으로 Uprox3 시리즈로 업그레이드 됐다. 특히 세계 최초로 4mm의 배럴타입, 1mm 감지거 리의 M5 디자인으로 제작되며, 매립형 제품도 있다. 기존의 Uprox+ 센서는 모든 금속체에 같은 감지거리 를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을 지녔는데, 리뉴얼된 Uprox3 시리즈는 이 감지거리가 약 50% 가까이 늘어난다. 이 는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Factor1 센서 중 가장 긴 감 지거리를 보유한 제품으로, M8 사이즈는 3mm, M12 는 6mm, M18은 10mm까지 감지할 수 있다. 터크코리아 http://www.sensor.co.kr/ 스마트조명용 시리얼 EEPROM 최고 105°C의 온도까지 작동하며, 업계 최상의 용량, 버스 인터페이스, 패키지를 제공하여 pc 보드 설계 변경 없이 데이터 및 파라미터 스 토리지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유연성이 돋보인다. 새로운 M24(I2C) 및 M95(SPI) 시리즈는 2킬로비트에서 512킬로비트를 아우르는 총 34개의 제품으로 구성되며 SO8N이나 TSSOP 핀 호환 패키지 중 하나로 제공된다. 온도 조건이 나쁜 환경에서 사용되는 장비에서 안정성 이 더욱 향상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장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첨단 산업 제어장치와 네트워킹 장비, 스 마트 조명 시스템, 스마트 전력 스위치, 컴퓨터 서버 그 리고 열악한 환경에서 쓰이는 무선통신 모듈에 사용된 다. ST의 독점적인 최첨단 EEPROM 공정 기술과 콤팩 트한 표면실장 패키지도 시스템 크기, 무게 및 비용 문 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http://www.st.com/ 스마트미터링용 무선 M-BUS 솔루션 실리콘랩스는 유럽시장에서의 전기, 가스, 수도 및 난방 용 무선 접속 스마트 미터를 간단하게 개발할 수 있도 록 설계된 완전한 무선 M-Bus 플랫폼 솔루션을 출시 했다. 이 솔루션은 무선 M-Bus 소프트웨어 스택 및 시 장 출시 시점을 가속화시키는 무선 스타터 킷을 포함한 산업자동화용 쿼드 IO-Link 마스터 레퍼런스 보드 맥심(Maxim Integrated)이 산업자동화 설계를 위한 디 바이스 네트워크 통신 규격인 IO-Link 단일 플랫폼인 MAXREFDES79#을 발표했다. 이에 산업용 센서 개발이 한층 용이해졌고, MAXREFDES79# 레퍼런스 설계를 이용 함으로써 고객들이 IO-Link 공장자동화 설계를 더욱 더 빠 르게 출시할 수 있게 됐다. 업계 최초의 IO-Link 마스터 레퍼런스 설계 보드로서 MAXREFDES79#를 이용하면 IO-Link 마스터와 IO-Link 센서 시스템을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해서 소요되는 비용 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전의 IO-Link 마스터 개발 유닛들이 하나의 포트 만을 제공했던 것에 비해, 맥심 인터그레이티드의 MAXREFDES79# IO-Link 마스터는 한 번에 최대 4개 센서를 테스트할 수 있다. IO-Link 호환 시스템으로서 MAXREFDES79#는 현재 시장에 출시돼 있는 기존 IO-Link 센서와도 작동할 수 있다. MAXREFDES79#와 더불어서 4개의 맥심 센서 레퍼런 스 디자인(MAXREFDES23# 광 센서, MAXREFDES27# 근접 센서, MAXREFDES36# 16채널 디지털 입력, MAXREFDES42# RTD 온도 센서)을 제공하므로 고객들이 빠르고 수월하게 공장 자동화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 MAXREFDES79#는 소프트웨어 스택을 포함하는 고도로 통합적인 개발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각 IO-Link 마스터(MAX14824)에 하나씩 연결되는 4개 포트를 제공하 며 전원장치 소자를 통합하고 있다. MAXREFDES79#는 업 계에서 가장 빠른(400µs) COM 3 통신을 이용하고, 어댑터 를 제공하며, microUSB 데이터 접속이 가능하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의 김현식 사장은 “업계에서 유연성 과 경제성이 가장 뛰어난 산업자동화용 IO-Link 마스터 개 발 플랫폼인 MAXREFDES79#를 발표했다. 이제 IO-Link 센서 개발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레퍼런스 보드 를 이용해서 빠르게 평가 작업을 하고 인더스트리 4.0에 앞서 나갈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Maxim Integrated http://www.maximintegrated.com/ 이슈in뉴스
  25. NEWS www.icnweb.kr _27 신제품 뉴스 다. 무선 M-Bus 솔루션은 실리콘랩스의 에너지 친화적 인 다양한 ARM-기반 마이크로컨트롤러(MCU)들과 서 브-Ghz 무선 IC제품에 이식 사용할 수 있으며, 널리 사 용되는 169 MHz의 N 모드를 포함해 유럽의 스마트 미 터를 위한 모든 모드를 지원한다. 유럽 표준 EN13757-4/3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M- 버스는 스마트 유틸리 미터, 데이터 집중장치(data concentrator), 이동형 검침기 및 열량계(난방비 계량기) 간의 완벽한 서브 GHz 무선통신을 규정한다. 무선 스마 트 미터 애플리케이션은 수도 계량기, 가스 계량기, 열 량계와 같은 배터리 구동형 미터를 위해 장시간의 수명 을 요구한다. 실리콘랩스 http://www.silabs.com/ 폐루프 서보시스템, Ai-SERVO AiS 시리즈의 주목할 만 한 특징은 스텝시스템 이면서도 서보 시스템 의 폐루프 제어 특성을 따른다. 폐루프 제어란 모터에 부착된 리졸버 나 엔코더를 통하여 입력 펄스 신호와 현재 위치를 비 교, 피드백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Ai 서보 AiS 시리즈는 엔코더를 이용한 클로즈루프 방식으 로 위치 결정의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더욱이 서보 시 스템에 비해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폐루프 구현이 가능 하다. AiS 시리즈는 10,000 분해능으로 최대 0.036°까지 고정 밀 제어를 실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속 영역에서 저 진동 운전은 물론, 정지 시에 모터 자체의 유지력으로 미세 진동(헌팅)이 없어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반도체 칩 마운트 장비, 비전 검사 장비의 회로 검사 등 장비에 적용이 유리하다. 오토닉스 http://www.autonics.co.kr/ 비 자성체 RF 컨텍트 및 모듈 몰렉스는 의료용 이미 징 기기에서 요구되 는 품질 요건을 준수 하는 비자성체(non- magnetic) 커넥터 시리 즈를 개발했다. 의료용 이미징 기기에 철계 재료로 만들어진 인터컨넥트를 사용하면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전파 방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번에 출시한 비철 커넥터 시리즈는 실제로 화상의 품 질과 화상의 집적도를 높여주어 스캔 및 이미지 판독을 더욱 읽기 쉽고 정확하게 한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MRI를 비롯한 여러 진단용 화상 관련 장비들이 더욱 안 정적이고 정확한 기능을 발휘한다. 새로운 RF 비 자성 컨택트와 모듈은 MRI 장비 제조사들이 요구하는 커넥 터 타입과 주요 성능을 준수하며 중간 제조사들이 제공 하는 비 자성(non-magnetic) 제품군들 보다 더욱 합리 적인 가격으로 제공된다. 몰렉스측은 대부분의 몰렉스 RF 컨텍트 및 모듈의 기 본 배열은 맞춤 제작을 통해 비 자성체(non-magnetic) (즉 비철성) 버전으로 제공되며, 하네스 배열과 케이블 어셈블리도 주문 제작이 가능하다. 기본 제품은 주문량 과 배열 구성 여부에 따라 8주 내에 배송되며 배열 구 성을 맞춤 제작할 경우 일반적으로 배송은 8주에서 12 주가 소요된다고 밝혔다. 몰렉스 http://www.molex.com/ 지능형 제동 토크 제어 모듈 메이어 파워 트랜스미 션의 새로운 지능형 제 동 토크 제어 모듈은 ROBA-stop 안전 브레 이크를 위한 차세대 가 변 제동토크를 위한 경 제적으로 뛰어난 솔루션 으로, 기계의 감속을 매끄럽고 부드럽게 만들어준다. 지금까지 브레이크는 지게차와 같이 가변 하중을 가진 장치가 고려해야 하는 최대 부하와 관련되어 규모가 정 해졌다. 하지만 항상 최고의 제동 토크로 작업하는 것이 최선의 방책은 아니다. 부분 하중의 경우, 필요한 양보 다 더 강한 감속은 이송된 제품에 손상을 가하거나, 휠 이 빠져나갈 수도 있다. 만약 시스템이 동작조건을 감지 하고, 이러한 정보를 메이어 파워 트랜스미션의 새로운 지능형 제어 모듈을 위해 오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면, 전자식 제동 토크 제어가 가능하다. 메이어 파워 트랜스미션 http://www.mayr.com/en/ 에어 컴프레서 다중 제어 시스템 DX380-30은 여러 대의 에어 컴프 레서를 동시에 운용하는 대규모 산 업 현장에 최적화된 다중 제어 시 스템으로 기존의 간이 제작 시스템 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운용 효 율 미비 및 잦은 오류 발생을 효과 적으로 억제한 전용 시스템이다. 자체 기술인 에어 컴 프레서 대수 제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최대 8대의 장 비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각 장비의 운전 누적 시간을 개별적으로 측정해 운전 시간이 적은 장비를 우 선적으로 가동시킴으로써 효율적 운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방식이다. 두텍 http://www.dotech21.com/
  26. 2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김형묵 대표이사,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 내실과 성장에 적극적인 투자로 3년내 5천억 매출 이룬다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을 이끌어 갈 첫 번째 한국인 선장이 나왔다. 그는 고객들과는 더욱 가까워지고, 시장은 더 욱 다양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이하, 한 국미쓰비시전기)은 국내 자동화업계의 산 증인으로 한국미쓰비시에서 17년 동 안 몸담아 온 김형묵 부사장을 4월 1일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 국내외 자동화 시장 상황이 녹록지 않 은 상황임에도 김형묵 신임 사장은 내실 과 성장을 함께 제시하고, 오는 2017년 5000억원 매출을 중기목표로 제시했다. 한국미쓰비시전기는 국내에서 PLC, 서 보 및 마이크로 레이저 가공기에서 선 두에 있으며, HMI, 인버터, NC 등도 선 두권의 시장점유율을 자랑한다. 지난해 2014년도 3645억원의 안정적인 판매실 적을 보였다. 이에 김형묵 사장은 “2017년 5000억원 판매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1)기존 고객의 유지, (2)신시장의 개척, (3)새로 운 용도의 확대가 중요한 과제”라고 밝 혔다. 또한, 이러한 3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1)인재육성, (2)사업인프라 계속 강화, (3)기술지원활동 강화라는 3가지 실천방 향을 제시했다. 현재까지 호조세를 유지해 온 FPD, 전 자기기.전자부품, 자동차 분야에서의 지 속적인 수주활동과 신시장.신분야 개척 인터뷰 2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27. www.icnweb.kr _29 으로 판매 확대를 기대한다. 여기에 프 로세스 자동화, 식품기계, 전력감시 솔 루션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신규 진출도 피력했다. 국내 시장에서 연간 15%의 성 장세를 3년간 이어간다는 적극적인 전략 을 내놓았다. 또한, 스마트 팩토리와 사물인터넷(IoT) 구현을 위한 ‘IoT 팩토리 컨트롤러’에 대 한 미쓰비시의 전략과 함께 2016년 이후 시장 투입에 대비해, 국내에서도 SI들과 협력해 엔드유저들에 대한 홍보활동도 우선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에서 첫 번째 한국인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어떤 의미가 있나? 당사가 현재의 사업구성 즉 한국내에서 FA제품의 판매와 서비스를 같이 하는 체 제로 된지 15년이 되었습니다. 그 동안 은 일본 미쓰비시전기의 방침에 부합하 는 회사체제를 갖출 필요도 있어서 일 본인사장이 부임해 왔습니다만, 그 목적 은 충분히 달성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과거보다 더 한국시장에 뿌리 내린 사업전개, 한국실정에 부합한 영업 활동이 중요해 질 것이므로 이를 추진해 나가는 것이 제 과제이고 역대 사장과 다른 면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 자동화 시장에서 한국미쓰비시 전기만의 경쟁력과 차별화 전략은 무 엇인가? FA제품 메이커로서 제어, 구동, 배전 제 어기기에 이르는 여러기종군을 갖추고 있는 당사는 업계에서도 최고수준의 라 인업이 되어 있어서 이를 활용한 세트제 안, 용도제안이야말로 당사의 최대의 부 가가치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고객우선 의 이념을 바탕으로 한 국내는 물론 글 로벌 고객에 대한 지원과 서비스도 당사 가 자랑할 수 있는 강점이라고 생각합니 다. 2017년 5천억원 매출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3가지 실천사항은 구체적 으로 어떤 분야를 의미하나? '기존고객과의 관계유지/강화', '신시장 개척' 및 '새로운 용도의 확대'라는 3가지 가 큰 명제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즉 FPD, 전자기기.전자부품, 자동차 등 과 거부터 당사제품을 애용하시는 고객에 대한 지원활동을 유지강화하고, 신시장 으로서는 당사가 그간 활동이 부족했던 Process Automation 분야 및 식품기계 분야에 대한 영업을 강화하면서 신제품 또는 복수제품의 조합에 의한 새로운 용 도의 제안 활동 등을 통하여 중기목표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예상외로 지난해 한국미쓰비시전기 의 실적이 좋은 편이며, 일본 미쓰비 시의 FA분야 실적도 좋다. 현재 국 내외적으로 자동화 및 제어분야 시장 전망은 어떻다고 보나? 원고의 지속으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 국경제는 제조업경쟁력이 약해지고 설 비투자 부진도 이어지는 어려운 환경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 사로서는 FPD, 전자기기.전자부품, 자동 차분야에서의 지속적인 수주활동과 신 시장.신분야 개척으로 판매확대를 기하 고자 합니다. 한편 글로벌시장에서는 신 흥국을 중심으로 앞으로도 일정규모의 시장확대는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특히 한국기업이 적극 진출하고 있는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에서는 미쓰비시 전기의 전세계그룹회사와 연계하여 사 업확대를 도모할 것입니다. 중국지역은 세계 각국의 FA업체들이 모두 시장확장을 원하고 있는 시장이 다. 특히 국내 장비업체들의 중국 진 출도 활발하다. 한국미쓰비시전기의 중국시장에 대한 방안은? 중국내의 그룹회사인 「미쓰비시전기자 동화중국」과 연계하여 중국에 진출하 는 한국제조 업체에 대한 지원체제를 강 화하고, 동사에 한국인 사원을 주재시켜 기술지원 및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있습 니다. 국내외적으로 스마트공장과 IoT 구 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에 대 한 미쓰비시의 전략은 무엇인가? 또 한 사물인터넷을 위해서는 인터넷의 연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산업용 이더넷인 CC-Link IE에 대한 지원과 미쓰비시의 전제품에 대한 이더넷 연 결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있나? 당사에서는 IoT나 Industry 4.0이란 말이 유행하기 전부터 10년 이상에 걸쳐 제조 업공장의 토털솔루션인 e-F@ctory 개념 에 근거한 제안활동을 해 왔습니다. 앞 으로 IoT나 Industry 4.0 개념이 보급되 어 가면, 당사 사업전개에 긍정적 영향 을 미치게 되므로 고객에 대한 솔루션 제안을 더 강화해 갈 수 있을 것입니다. 또 산업용 이더넷은 e-F@ctory의 토대가 되는 정보연계의 키 포인트로 특히 CC- Link IE는 그 중에서도 유일한 Giga Size Data의 고속통신 네트워크입니다. 빅데 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서 향후 당사 FA기기에의 탑재율도 높여 감으로써 e-F@ctory의 보급을 가속화하 고자 합니다.© [아이씨엔 오승모 기자, oseam@icnweb.co.kr] www.icnweb.kr _29
  28. 30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너 등에서의 보안영역에서 우수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또 한 지브라의 제품들은 헬스케어, 리테일, 교통 및 물류, 산업 및 스포츠 등에서 부동의 1위를 달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의 S전자, L전자 뿐만 아니라, 호주, 말레이시아, 싱가포 르 우체국 모두 지브라의 주요 고객이라고 밝혔다. 또한 지 브라는 커넥션부분, 자산분야도 집중하기 시작하고 있으며, 최근들어 업계의 이슈가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M2M 커 뮤니케이션, 데이터 분석에 있어서도 리더 역할을 하고 있다 고 말했다. 지브라 코리아는 지난 2000년 1월 설립됐다. 대부분 채널 영 1. 지브라는 어떤 회사인가? “사람과 디바이스를 연결해주는 가장 선도적인 기술 공급자 중의 하나가 바로 지브라”라고 웨인하퍼(Wayne Harper) 지 브라 아태지역 수석책임자는 소개했다. 지브라는 처음 프린터와 모바일 프린팅을 기반으로 설립됐 다. 이후 서플라이체인, 교통, 물류, 리테일 분야에서 선도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모토로라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즈를 인수했다. 웨인하퍼 수석책임자는 “저희가 (인수기업과) 유사한 영역도 일부 있었지만, 지브라는 모바일 컴퓨팅, 무선, 바코드스캐 지브라, 디바이스 데이터로부터 기업가치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기업으로 성장 피플 사물인터넷(IoT)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사물인터 넷 솔루션들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는 그 동안 우리에게 기업용 프린터 전문업체로 잘 알려진 지브라 테크놀로지스가 있다. 지브라 테크놀로지스(ZEBRA Technologies; 이하, 지브라)는 프린터 전문업체로 출발해 사물인 터넷 솔루션 전문업체로 변신한 성공사례로 많은 IT 관련 컨퍼런스에서 소개되고 있다. 현재 지 브라의 최대 이슈는 지난 2014년 10월에 인수한 모토로라 엔터프라이즈사업부와의 성공적인 통합과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을 포함한 자타(Zatar)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이다. 아이씨엔에서는 웨인 하퍼(Wayne Harper) 지브라 아태지역 수석책임자와 우종남 지브라 한국 총괄 디렉터를 지난 4월 8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만났다. 기업용 프린터와 바코드, RFID로부터 기업용 무선ALN, 모바일 컴퓨팅, 그리고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이르는 지브라의 변신과정과 사 물인터넷(IoT) 솔루션 전문기업으로서의 국내에서의 방향성에 대해 들어본다. |아이씨엔이 만난 사람| 웨인 하퍼(Wayne Harper), 지브라 아태지역 수석책임자 우종남(John Woo), 지브라 한국총괄 디렉터
  29. www.icnweb.kr _31www.icnweb.kr _31 웨인 하퍼(Wayne Harper), 지브라 아태지역 수석책임자 업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왔다. 국내에 서도 지난해 모토로라 엔터프라이즈팀을 통합하면서 직원도 15명으로 늘어났다. 우종남 지브라 한국 총괄 디렉터는 “작 년에 모토로라 엔터프라이즈 사업부 인수를 최종 결정해 바 코드 프린팅부터 스캐닝 디바이스, 모바일 컴퓨팅, 그리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해주는 상위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부 터 클라우드 데이터 매니지먼트까지 모든 솔루션을 제공하 는 (프린터부터 상위의 데이터 매니지먼트까지 모든 솔루션) 업체로 성장하는 상황이다.”고 밝혔다. 2. 모토로라 엔터프라이즈 인수 이후 조직통합에 어려움은 없었나? 통합에 따른 포트폴리오상의 변화는 거의 없다. 웨인하퍼 수 석책임자는 포트롤리오면에서 중복되는 부분이 거의 없고, 지브라의 레거시 프린팅 부분과 모토로라의 레거시 엔터프 라이즈 부분은 기존부터 이미 강력한 파트너 관계를 유지해 왔기에 100% 통합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를 통해서 지브라는 “이제 파트너사들에게 자신들 의 고객들이 필요로하는 모든것들을 제공할 수 있는 기업” 으로 성장했다는 것이다. 포트폴리오면에서도 완성도가 높 아졌다. RFID를 통해 프린팅을 해서 리더에서 이것을 판독 하고,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통해 이러한 정보들을 분석해 ERP 시스템까지 전송하는 모든것이 가능하게 됐다. 특히 이번 인수는 큰 기업이 작은 기업이나 사업부를 인수하 는 것이 아니라, 지브라가 지브라보다 더 큰 기업을 대규모 투자를 통해 인수한 것이다. 그 만큼 엔터프라이즈 사업부분 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한 것이다. 여기서 사물인터넷 기업으로의 변신도 가능했다. 우종남 총괄디렉터는 오랜기간 동안 파트너 관계를 유지하 면서 서로를 잘 알아왔기 때문에, “지브라 솔루션과 모토로 라 솔루션을 결합했을 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있다는 확신이있었다. 상호 보완적이 분야에서의 인수였기 때문에 시너지 휠씬 크다.”고 말했다. 현재 맨파워도 지브라가 2700 여명, 모토로라에서 온 직원이 4300여명으로 총 7000명 규모 로 대폭 늘었다. 3. 지브라에서 바라보는 사물인터넷(IoT)이란? 최근들어 사물인터넷(IoT)이 수없이 회자되고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바라보는 입장에 따라서 다 양하게 해석하고 있다. 그럼에도 사물인터넷은 현실에 와 있 다. 어떻게 회사에서 준비를 하고 대비를 할 것인가에 따라 많이 달라질 것이다. 사물인터넷에 대해 이렇게 밝힌, 웨인하퍼 수석책임자는 “그 래서 저희 고객사나 파트너같은 경우, 자신들의 비지니스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가 있는데, 그것을 연결해 주는 것이 지 브라의 일”이라고 설명한다. 완벽하게 사물인터넷이 구현되 고 있는 분야로 자동차 제조 공장이 있다. GM이나 포드 같은 경우, 조립공정에서 작업자에게 너트에 어느정도의 힘을 가 해야 한다는 프로세스가 이뤄지고 있다. 이곳은 4파운드 압 력으로 돌려야하고, 저쪽은 좀 더 적게 힘을 가해야 한다는 식이다. 지브라입장에서는 계속해서 프린팅 비즈니스가 확장되고 있 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솔루션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이제 고객들에게 통합 솔루션을 제공해야 한다. 디바이스들이 어 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에 대해서 많은 연구개발을 집중하고 있다. 지브라의 입장에서 사물인터넷은 저희의 모바일 디바 이스를 하나의 디자인 툴로서 사용될 수 있다.” 4. 지브라의 사물인터넷 솔루션은? 지브라는 최근 자타(Zatar; Zebra Avatar)라는 솔루션을 발표 했다.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인 자타 플랫폼은 엔터프라 이즈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이다. 기업들 은 자타를 통해 센서, 운영시스템내 기기들을 연결하여 보다
  30. 32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우종남(John Woo), 지브라 한국총괄 디렉터 정확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다. 자타는 지브라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IoT 기술과 리얼타임 기술을 통합해 리얼 워크포스를 구성하도록 한다. “디바이 스도 하나의 씽(Thing)이되고, 사람도 하나의 씽(Thing)이 된다. 저희 기술을 통해서 근로자들이 건강이나 안전에 보호 받고 있는지까지 확인이 가능하다.” 우종남 총괄디렉터는 “센싱기술을 통해서 호주나 싱가포르 의 부두지역에 있어서, 위험 가능성을 인지해 저희가 경고를 보내주고 있다. 지게차나 컨테이너트램에 2M이내로 사람이 진입하게 되면, 자동으로 기기가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고 도 소개했다. 이는 지브라의 센싱기술, 무선기술, 그리고 인 터넷 프로토콜들을 모두 결합해 완성된 하나의 사물인터넷 솔루션인 것이다. 5. IT와 디바이스 기술 중에서 어느분야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사물인터넷에 접근해야 하나? “저는 IT와 디바이스가 동등하게 중요성을 가진다고 본다.” 고 웨인하퍼 수석책임자는 말한다. 유지보수 엔지니어의 예를 들어보자. 이 엔지니어는 아주 잘 구축된 디바이스 센서 시스템을 통해 제조시스템을 관리하 고 있다. 센서들만 잘 관리되면, NFC나 블루투스 등을 통해 서 시스템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굳 이 인터넷을 통할 필요가 없다. 만약, 센서를 통해서 어느곳에 문제가 있다고 파악됐다. 그 래서 수리팀을 보내야 된다. 그러면 수리팀으로 이런 정보를 전송을 해야 되기 때문에, 그때부터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이 필요해 진다. 그래서 디바이스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IT 기술 도 동등하게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우종남 총괄디렉터는 “사물인터넷 도입에 있어서는 무엇보 다도 자신이 가진 자산중에서 어떤 데이터가 가장 중요한지 를 가장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것을 아우를 수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지브라의 자타 라고 밝혔다. 6. 국내시장에서의 향후 방향은? “정부에서도 사물인터넷에 대해 많은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대중적으로 사물인터넷이 회자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거 기에 지브라가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어떤 솔루션이 있느 냐? 그 솔루션을 어떻게 접근해서 판매를 할 것이냐?를 고민 한다.”는 우종남 한국 총괄 디렉터. 그는 “저희는 B2C보다는 B2B에 가깝기 때문에 고객사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 나갈 것이다. 특히 고객들에게 지속적으 로 EDM 및 방문 등을 통해 더이상 지브라가 프린터, 스캐너 회사가 아니라는 고객인식을 바꾸는 작업을 지속해 나갈 것 이다.”고 밝혔다. 아직 많은 고객들이 ‘지브라는 프린터’ 회 사, ‘모토로라는 스캐너’ 회사라는 인식이 강하게 있으며, 이 를 극복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는 분석인 것이다. 여기에, 국내의 기존 채널 파트너들도 더욱 강화해 나갈 예 정이다. 지브라 및 모토로라 채널 파트너들도 대부분 기존에 함께 비즈니스를 수행해 왔기 때문에, 지브라로의 포트폴리 오 통합이 오히려 강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채널 파트너와 함께 새롭게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SI 업체 들에 대한 발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단순 디바이스 판 매를 넘어 솔루션 구축을 통해 고객들에게 기업가치를 제공 할 수 있는” 공급망을 확대 구축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추 가로 가격에 민감한 미드레인지 분야를 위한 솔루션도 출시 해, 미드레인지 영역도 시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아이씨엔 오승모 기자, oseam@icnweb.co.kr]
  31. EtherCAT DC Motor Servo Drive Starter KIT (REDONE-ESK) 모터 드라이브 개발을 고민하십니까? EtherCAT(이더캣) 스타터 키트가 있습니다 ⊙ 제품 특징 ⊙ ▲ EtherCAT 기반 DC 모터 서보 드라이버 ▲ 최대 3CH 마그네틱 엔코더 모터 지원 ▲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 / JTAG 지원 ▲ USB 시리얼 통신을 통한 모터 제어, 모니터링 가능 ▲ 호밍 센서 및 브레이크 신호 입출력을 위한 24V I/O 포트 지원 ▲ 상태표시를 위한 LED 및 모드 설정을 위한 스위치 지원 ▲ 상용 TwinCAT 소프트웨어와 호환 ▲ EtherCAT 슬레이브 디바이스 개발에 관한 가이드라인 제공 구매하러 가기 Tel. 0505-379-1234 www.THOK.kr 톡톡 네트워크
  32. 34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참고자료 바코드 인쇄 솔루션 지브라테크놀로지스는 견고하고 신뢰 할 수 있는 전문 바코드 인쇄 솔루션의 선도적인 글로벌 기업이다. 바코드 프린 팅은 전세계적으로 데이터 관리 및 접근 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기업 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지브라테 크놀로지스는 고객들에게 산업, 데스크 톱, 모바일, 손목밴드 등을 포함한 폭넓 은 프린터 선택을 제공하고 있다. 바코드 스캐닝 솔루션 지브라테크놀로지스의 바코드 스캐닝 솔루션은 기업들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 하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지브라는 mPOS(mobile Point of Sale) 결제에서부터 재고 관리 및 의약품 추척 까지 다양한 산업 및 응용을 위해 광범 위한 바코드 스캐너를 제공하고 있다. 카드 프린터 지브라의 ZXP 시리즈™ 카드 프린터는 효율성과 뛰어난 프린팅 품질이 결합하 여 최고의 성능을 제공한다. 기업들은 지브라 주요 제품 및 기술 지브라테크놀로지스(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는 혁신과 신뢰성으로 존경 받은 세계적인 선도 기업이다. 지브라는 모바일 컴퓨팅, 데이터 수집, 바코드, 무선 LAN, RFID, 위치 시스템, 그리고 클라우드 기반의 IoT 플랫 폼인 자타(Zatar)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자산 추적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지브라는 2014년 10월에 모토로라솔루 션의 엔터프라이즈 사업부를 인수했다. 이 인수를 통해 지브라는 자사의 기술 포트폴리오를 확장시킬 수 있었으 며, 자산 정보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지브라의 제품 및 솔루션들은 헬스케어, 리테일, 교통 및 물류, 산업 및 스포츠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ID, 면허증, 기프트 및 로열티 카드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맞춤형 카 드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 카드는 몇 개의 모델을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으 며, 안정하고 비용 효율적이다. 이 카드 는 풀 컬러 또는 흑백으로 출력 가능하 며, 바코드, 마그네틱 선, RFID 등을 추 가할 수 있다. 프린터의 다른 기능 옵션 으로는 이더넷 연결성과 카드 내구성 및 안전성을 위한 코팅 기능이 있다. 기업용 무선LAN 지브라테크놀로지스의 무선 LAN 솔루 션은 요구사항이 많은 환경에서도 최적 화된 고성능을 제공한다. 무선 LAN 솔 루션은 네트워크,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여 비즈니스를 성장 시키는 동시 에 노동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고객 들을 기업과 연결시켜준다. 링크-OS 환경 지브라테크놀로지스는 클라우드와 연결 된, 모바일, 스마트한 기기들에 대한 요 구들이 증가하고 변화하면서 지브라 프 린터들이 장악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환 경을 구축했다. 지브라의 링크-OS 환경 은 혁신적인 운영 시스템, 강력한 멀티 플랫폼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그 리고 지브라 프린터들이 보다 쉽게 통 합, 관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 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결합시킨다. 고 객들은 링크-OS 환경 내에서 세계 어디 에서든 모바일 기기를 통해 지브라 프린 터와 교류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 발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지브라테크놀로지스의 모바일 컴퓨팅 솔루션은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끊 임없이 일하는 노동력의 효율성을 증가 시킨다. 지브라의 다목적 음성 통합 및 모바일 컴퓨팅 제품들은 기업들이 자신 들의 기업에서 요구하는 특정 정보를 수 집하고 교환할 수 있게 한다. 모바일 인쇄 솔루션 지브라 모바일 솔루션은 현장에서의, 주 문형의 인쇄 기능을 활성화하여 직원들
  33. www.icnweb.kr _35 의 생산성과 정확도를 높인다. 다양한 지브라 모바일 프린터 제품군은 창고, 운송/수신 프로세스, 재고, 결제 처리, 현장 인력 프로세스에서의 효율성을 개 선시킨다. 실시간 추척 시스템 지브라테크놀로지스는 ISO/IEC 24730- 2, Cisco CCX Wi-Fi, 초광대역 기술을 기 반으로 한 제품들을 활용함으로써 “애플 리케이션 매칭”될 수 있는 광범위한 위 치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지브라의 RTLS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위치 솔루션 플랫폼인 모션웍스(MotionWorks)을 통 해 스포츠 분야의 기업 및 기관들은 선 수들의 성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 하고 통계로 전환시킬 수 있다. RFID 프린터/인코더 및 리더 지브라테크놀로지스의 RFID 프린터/인 코더/리더는 운영 효율성, 정확성 및 공 급망 가시성에 있어 즉각적이고 측정 가 능한 개선 사항의 구현에 일조한다. 모 바일, 데스크톱, 대량 산업용 모델을 포 함한 지브라 RFID 프린터/인코더는 고 객들이 인쇄된 데이터를 확증하는 스마 트 라벨을 구현하고, 정확도와 안전성 을 보장한다. 지브라 고정용 및 모바일 RFID 리더는 기업들이RFID 태그를 통해 자동으로 재고를 확인, 추적, 보관하여 운영관리를 할 수 있게 한다. 자타(Zatar) 지브라테크놀로지스의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인 자타 플랫폼은 전 세계 첫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IoT 플랫폼 이다. 기업들은 자타를 통해 센서, 운영 시스템 내 기기들을 연결하여 보다 정확 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다. 기업들은 자사의 자산과 기기들에 대한 위치, 활동, 상태에 대한 인사이트를 통 해 세계 어디에서든 정보에 근거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다. 지브라 커머스 (Zebra Commerce) 지브라 커머스는 몇 개의 전략적 파트 너십, 비즈니스 관계, 매장 내 모빌리티 솔루션 및 자산 관제 솔루션들을 모으 고, 하드웨어 기기 관련하여 업계 최고 로 자리매김하면서 리테일러들이 광범 위한 솔루션들을 하나로 융합하고 조직 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지브라 커머스 를 통해 리테일러들은 보다 쉽게 재고를 추적하고, 가격 정확성을 유지하며, 매 장 내 지불이 가능한 고객 참여를 유도 할 수 있다. 가격 투명성, 정확한 재고 현 황, 쇼핑 지원 및 모바일 POS는 리테일 러들로 하여금 구매자들에게 더 큰 가치 를 제공하게 하는 동시에 옴니채널 전반 에 걸쳐 보다 높은 유연성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는 구매 경험 내내 높은 편의성 과 개인화 요소를 더해 준다. 서비스 지브라테크놀로지스는 부가가치 및 전 문 서비스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 다. 지브라는 처리량은 증가시키고 프린 터 통합 및 운영을 단순화시키는 맞춤형 프린터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 무선 연 결성 및 롤 아웃 지원, 기술 교육 동의 및 지원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지브라는 지브라 케어(ZebraCare)라고 하는 현장 및 리턴 투 디포(Return-to-Depot) 수리 서비스도 제공한다. 지브라 서비스는 전 체적인 소유 비용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업계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린터 액세서리 및 소프트웨어 지브라테크놀로지스는 자체 접착 라벨, 리본, 카드 소모품, 배터리 및 라벨 디자 인 및 프린터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 등 광범위한 전문 소모품을 제공한다. 프린터 소모품 R&D 팀은 많은 테스트들 을 거쳐 일관성 있고 고품질의 카드, 종 이, 라벨, 리본 등의 재료를 신중하게 선 정한다. 지브라는 매번 동일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소모품들을 제공하며, 결과물이 읽히고 스캔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지브라테크놀로지스 https://www.zebra.com/
  34. www.icnweb.co.kr _43 모듈로봇 첨단생산시스템 유비쿼터스 응용기술 - Ubiquitous Robot - Robot Platform - Surveillance Robot - Optic EtherCAT I/O Module - PC-based Motion System - REMA System - Zigbee Module - UPS-USN based Robot Localization - Zigbee to EtherCAT Module � 레드원 테크놀러지㈜ ���: ����� ���-����, ���: ����� ���-���� � �� 로봇연구소 ���: ����� ���-���� � �국�인 ���: ���-��-����-����, ���: ���-����-���� www.Redone-technologies.com www.urc.re.kr 한글도메인:로봇연구소,국민로봇 로봇기술 중심에 레드원 테크놀러지㈜가 있습니다. 레드원 테크놀러지|주| 유비쿼터스 응용기술 재구성이 가능한 모듈 로봇 표준화 사업 선도 디지털 콘텐츠 상용화 기술 네트워크 기반 지능 생산 시스템 무한한 상상력과 도전을 담은 미래의 비젼이 현실로 다가옵니다.
  35. www.icnweb.kr _37 커버스토리 개별 기계 구성품을 최적화하여 전체 플랜트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줍 니다. 또한 기계류 지침 2006/42/EC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에 조건을 갖춘 안 전 개념의 구축과 함께 위험 분석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완벽한 안전 자동화 공급업체인 Pilz가 스위스의 유명 감자칩 제조업체의 새로운 포장 라인 통합 서비스를 구축한 이야기입니다. Pilz의 자동화 시스템 PSS 4000은 효율적이 고 투명한 안전 관리를 보장합니다. 감자칩 포장라인의 효율적인 안전 자동화 제공_ 필츠 코리아 www.pilz.co.kr info@pilzkorea.co.kr
  36. 3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튀긴 감자의 향기가 은은하게 퍼지는 생 산 플랜트는 두 개 층에 걸쳐 있고 길이 는 약 200m로 쉴새없이 가동되고 있습 니다. 취리히 근처에 위치하며 시간당 5 톤의 감자를 소비하여 다양한 맛의 감자 칩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약 400명의 직원들을 보유하고 있는 이 회사는 감자 칩과 각종 스낵 및 술안주를 생산합니 다. 기업은 항상 혁신적인 생산 공정을 통해 제품의 고품질을 일관되게 보장하 는 것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변화에 따른 위험 평가 실시 기업은 9개 포장 라인의 현대화를 진행 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의 전통은 작업 장비 구축에 대한 확실한 전문 지식을 갖추는 것입니다. 그 결과, 생산 장비 및 플랜트 프로그래밍 자체의 계획과 확장 을 원하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포장 및 컨베이어 시스템 솔루션 중 Pilz의 플랜 트 제어 시스템을 선정하였습니다. 개별 플랜트 섹션을 상호 연결하면 E-STOP 기능의 인터페이스와 로직 연 결을 평가할 수 있으므로 모두가 하나로 통합되어 규정을 따르게 됩니다. 따라서 기계류 지침 2006/42/EC를 적용하여 인 간과 환경을 위험으로부터 충분히 보호 하는 방식으로 기계류를 구축하게 됩니 다. Bilateral agreement에 따라 스위스 또한 이 지침을 준수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기 시작했습니다. 기계류 제조업체와 시장 에서 기계류를 취급하는 업체는 구속력 있는 적합성 선언을 통하여 해당 플랜트 가 최소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는 점을 분명히 확인해야 합니다. 수 많은 표준 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진정한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전문 지 식이 필요합니다. CE 마킹 과정 지원 "우리에게는 역량 있는 파트너의 지원이 절실했습니다. Pilz와 오랜 파트너 관계 였지만 CE마킹 획득 과정을 통해 우리는 Pilz가 위험평가 및 안전개념을 안정적 으로 확립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추었다 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습니다.” 라 고 기술 서비스 팀장인 Gerhard Meier씨 는 말했습니다. Pilz는 기업과 협력하여 안전 관련 제어 개념을 확립하고, 기계류 안전을 위하 여 기계, 전기 및 기술 엔지니어링 솔루 션의 개발을 진행하였습니다. 이 제어 개념의 필수 구성 요소는 표준 및 지침 을 적용하되 최첨단의 안전 무결성 레벨 (SIL) 또는 성능 레벨(PL)의 정의와 안전 측면을 포함하는 기계 가용성 및 생산성 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기업은 또한 고성능 안전 제어 시스템을 찾고 있었는데, 이는 플랜트 제어 시스 템과 별개로 또는 동시에 안전 관련 신 호의 교환을 연결하고 감시하기 위한 것 이었습니다. 시스템의 기본적인 요구 사 항은 장치가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 용할 수 있어야 하고, 안정적이고 간편 하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어야 하며, 일 상 작업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 다는 것이었습니다. 모듈식 자동화 시스템 PSS 4000 컨베이어 그루브는 구운 감자칩을 새로 운 포장 라인으로 전달합니다. 공압으로 조절되는 플랩이 열리고 감자칩은 완전 자동 포장 기계로 이동됩니다. 감자칩은 바로 봉지 안으로 들어가고 표준 운반 상자에 담겨 판매지로 이동됩니다. 이 전에 플랜트의 안전 관리에 사용한 시스 템은 Pilz의 설정 가능한 제어 시스템인
  37. www.icnweb.kr _39 PNOZmulti였습니다. 그렇지만 공장 규 모가 커지고 요구 사항도 복잡해지면서 PSS 4000과 같은 좀 더 효율적이고 경제 적이며 완벽한 모듈식 시스템이 필요했 습니다. 이 시스템이 안전 및 자동화를 결합하 여 실질적으로 병합하는 옵션을 제공하 게 된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 다. "우리는 얼마 동안 자동화 시스템 PSS 4000의 개발과 출시를 관심 있게 지 켜보았습니다. 두 시스템의 내부 비용/ 장점을 분석한 후, PSS 4000을 사용할 시 기가 되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라고 Meier씨는 말했습니다. 종합 안전 관리 새 포장 라인의 핵심 구성품인 안전 및 자동화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PSS 4000 은 모든 안전 관련 기능을 감시합니 다. 포장 라인에는 지능형 접근 개념은 물론, 안전 게이트도 포함되어 있습니 다. 이 게이트에는 Pilz의 자기 안전 스 위치 PSENmag와 코드식 안전 스위치 PSENcode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PSENcode는 EN 60947-5-3에 따라 가드 위치 감시 및 간단한 위치 감시에 사용 됩니다. 공압 실린더도 안전하게 감시합 니다. 청소 중에 플랩을 안전하게 잠그 지 않으면 다칠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 니다. 자동화 시스템은 또한 포장 라인 을 따라 배치된 E-STOP 누름 버튼도 감 시합니다. 기업은 자율 안전 회로의 구 축을 대단히 중요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전체 플랜트를 정지시키지 않고도 플랜 의 한 섹션을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하 였습니다. 안전 및 자동화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PSS 4000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 성품, 네트워크 장치와 실시간 이더넷 간의 최적의 상호작용을 구성합니다. 제 어 기능을 분산하여 일관되게 주변 장치 에 전달할 수 있게 되면서, 이 시스템은 종래의 솔루션에 비해 훨씬 더 간편하고 유연하게 광범위한 프로젝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앙 집중형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대 신, 모듈식 사용자 프로그램을 중앙 집 중식 프로젝트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표준화된 간편한 취급이 가능해졌습니다. 자동화 시스템 은 안전 및 자동화 작업을 보장하는 능 력 때문에 광범위한 산업 부문에서 이미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 되었습니다. 간편하고 명확한 파라미터 설정 "자동화 시스템 PSS 4000을 선택할 때 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간편성, 획 기적으로 감소된 케이블 작업, 명확한 통신, 뚜렷한 책임소재 그리고 궁극적 으로는 가격 대비 뛰어난 성능이었습니 다."라고 Meier씨는 말했습니다. 플랜 트 제어 시스템과 기존 Modbus TCP 버 스 시스템 간 통신은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자동화 시스템을 선택하게 만든 또 다른 핵심 요인은 소프트웨어플 랫폼 PAS4000 및 해당 그래픽 편집기 를 기존 PNOZmulti Configurator 구조에 링크할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따라서 향후에 파라미터 설정이 명확하고 간편 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입니다. 플랜트는 2012년 가을부터 합동 포장 라 인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2013년 말경부 터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평소처럼, Pilz 와의 공동 작업은 파트너 정신에 입각해 서 진행되었습니다. Pilz는 우리에게 뛰 어난 제품을 제공할 뿐 아니라, 시운전 단계 이전, 도중 및 이후에도 모든 면에 서 만족스러운 지원을 제공했습니다."라 고 Meier는 자신의 견해를 설명하였습니 다. 기업에서 진행되는 향후 프로젝트를 위해서도 그 가능성은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38. 40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리포트 LG CNS(대표: 김대훈 사장)가 4월 21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업계 및 학계 주요 관 계자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최대 규모의 IT콘퍼런스 ‘엔트루월드(Entrue World) 2015’를 개최하고, 최근들어 이슈의 중심에 선 사물인터넷(IoT)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가 밝힌 사물인터넷 미래는 소프 트웨어로 대변되는 서비스 중심으로 중심의 넘어가고 있다는 것. 이번 엔트루월드는 ‘스마트한 사물인터 넷, 스마트 비즈니스로의 변화를 가속 화하다’(The Internet of Smart Things: Accelerating Smart Business)라는 주제 로, 스마트 기술의 융복합으로 구현되는 IoT솔루션과 서비스를 소개하고, IoT가 비즈니스에 가져올 변화를 제시했다. LG CNS 엔트루월드(Entrue World) 2015 “디바이스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사물인 터넷 패러다임이 바뀐다” 김대훈 LG CNS 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LG CNS는 엔트루월드를 통해 2010년부 터 ‘컨버전스’, ‘빅데이터와 고급분석’, ‘초 연결’, ‘스마트 테크놀로지’ 등 IT와 경영 혁신의 변화 패러다임을 선제적으로 제 시하며 이에 대응할 구체적인 전략과 해 법을 제시해 왔다”고 말하고, “올해는 스 마트 디바이스와 초연결 기술, 빅데이 터 등 스마트 기술의 총화인 IoT가 어떻 게 산업에 적용되어 고객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지, 그 사례와 솔루션을 보여 줄 것”이라며 행사의 의미를 밝혔 다.
  39. www.icnweb.kr _41 하고 있으며, 캐나다 및 영국에도 진출했다. 김 사장은 이러한 국내외 사례를 언급하며, “급격히 성장하 는 IoT 시장에서 디바이스 시장도 성장하고 있지만, 서비스 시장이 더욱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서비스 중심의 IoT를 강조하는 한편, ▲교통(스마트 교통) ▲에너지(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원격 진료) ▲스마트홈(홈IoT) ▲제조(공장 통합 관제) ▲유통(영상 기반 분석) ▲금융(결제 솔루션) ▲해운(선박 운항 최적화) 등 LG CNS의 8가지 서비스 중심 IoT사례를 소 개했다. 그에 따르면,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해 디바이스의 기 능을 통해 가치를 구현하는 것(디바이스 중심 IoT)에서, 서 비스의 목적에 맞는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결합해 가치를 구현하는 것(서비스 중심 IoT)로 중심축이 변 화해 가고 있다. One Device, Multi Services에서 One/Muiti Services, Multi Devices로… 무엇을 연결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무엇을 위해 Things들을 연결할 것인가로… 디바이스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사물인터넷 확장, 새로운 가치 창출 김대훈 LG CNS 사장은 이날 기조연설자로 나서 디바이스에 서 서비스로의 IoT(사물인터넷)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다양한 사례를 통해 IoT가 가져올 미래상을 제시 하여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받았다. 먼저 구글이 인수해 혁신을 진행하고 있는 네스트의 온도 조절기를 소개했다. 집안의 사물인터넷 온도조절기였던 네 스트의 에너지절감 디바이스는 이제 구글을 통해 전력회사 수요관리 서비스와 결합하면서 진정한 파워를 보여주고 있 다. 네스트는 2013년 오스틴 전력회사와 제휴해 전력수요관 리 서비스를 시작했다. 러시아워 시점에 전력소비 피크를 제 어하고, 전력 수요관리 서비스를 가정과 연결했다. 이에 피 크 타임 동안 전력소비는 55% 절감했고, 가정당 월 전기료도 5~12$까지 절감했다. 미국 전체 가구의 10%만 적용해도 연 간 1.9조원의 전기료 절감이 가능한 양이다. 원자력 발전소 2기를 없앤것과 같다. 가정내 단일 온도조절기에서 새로운 가치가 생성된 것이다. 지금은 미국내 17개 전력회사와 제휴 "급격히 성장하는 IoT(사물인터넷) 시장에서 디바이스 시장도 성장하고 있지만, 서비스 시장이 더욱 크게 성장할 것으 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 - 김대훈 사장, LG CNS
Publicit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