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530 613manifesto

여성환경연대
여성환경연대여성환경연대

6.13 지방선거 생리대 공약분석 보도자료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을 위한 행동네트워크
1. 여성건강에 관심가져주시는 귀사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 ‘생리대안전과여성건강을위한행동네트워크’는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각
자치단체장과 시도교육감 후보들의 무상(공공)생리대 공약을 확인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이에 지방선거 후보자의 여성건강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정책을
요구합니다.
3. 귀 언론사의 적극적인 보도를 부탁드립니다.
지방선거 공약에서 실종 된 무상생리대 정책은 어디에 있나
- 교육감 후보 61명 중 초중고교생 생리대 지원 약속 후보 단 3명에 불과
- 광역자체단체장은 5명의 후보만 생리대관련 공약 발표
- 정의당, 민중당, 녹색당 여성 청소년 무상생리대 지원 정당공약으로 제시
생리대안전과여성건강을위한행동네트워크(이하, 생리대행동)가 다가오는 6.13 지방선거에 입후보한 광
역자치단체장과 시도교육감 후보들의 무상(공공)생리대 관련 공약 유무를 확인한 결과, 시도교육감후보
61명 중 단 3명, 광역자치단체장 71명의 후보 중 단 5명의 후보만이 생리대 관련 공약을 직접 언급한
것으로 확인했다. 광역자치단체장 후보 7%, 교육감후보 5%만이 생리대 관련 공약을 제시 한 것으로,
사실상 지방선거에서 무상(공공)생리대 공약은 실종된 상황이라 평가할 수 있다.
생리대행동은 각 후보들의 홈페이지, 블로그, 정당 정책공약을 바탕으로 후보들이 발표한 여성, 교육,
청소년 복지 공약에서 생리대 관련 공약 유무를 파악하였다. 이번 조사에는 후보가 속한 정당이 관련 공
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Tel. 02-722-7944
Fax. 02-723-7215
∆ 수신 : 각 언론사 담당 기자
∆ 발신 : 여성환경연대
∆ 발송일 : 2018년 5월 31일 (금)
∆ 매수 : 총 6쪽
약을 발표했다 하더라도 후보가 이를 자신이 입후보한 지역공약으로 발표하지 않은 경우는 관련 공약이
없는 것으로 간주 하였다. 정의당과 민중당, 녹색당은 여성 청소년 무상생리대 지원 등을 공약으로 제시
하였다.
교육감 후보들, 여성 청소년들을 위한 생리대 지원 공약 실종상태
여성 청소년들의 건강권과 학습권 보장을 위해서도 안전한 생리대가 충분히 지원되어야 한다. 생리가학
습의 단절이 아니고, 가난을 증명해야 생리대를 받을 수 있는 모멸의 경험이 아니기 위해서는 적어도 학
교에서는 안전한 생리대를 손쉽게 얻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교육감 후보들의 공약에서 안전한 생리
대까지는 나아가지도 못하고, 생리대를 지원하겠다는 공약도 찾아보기 어렵다는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
이다.
생리대 공약을 발표한 교육감 후보는 전북도 김승환 후보, 이미영 후보가 초중고 여학생 전원에게 생리
대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고 전라남도 장석웅 후보가 정책협약의 과정에서 생리대 제공을 언급한 것이
전부다. 세종시 최교진 후보, 충남도 김지철 후보가 이전 교육감 재직시절 저소득층 지원, 혹은 보건실
비치의 형태로 일부 생리대를 지원한 적은 있으나 현재 홈페이지 등을 통해 생리대 지원 관련 공약을 찾
아 볼 수는 없었다.
광역지자체장 후보들도 여성 청소년들 생리대 지원이나, 공공시설 생리대 비치 공약을 제시한 후보는 단
5명에 그친다. 서울시장 출마에 나선 김종민 정의당 후보와 신지예 녹색당 후보가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
로 하는 무상지원공약을 발표하였고, 광주시 나경채 정의당 후보, 경기도 홍성규 민중당 후보가 학교와
공공기관에 생리대를 무상으로 비치하겠다고 하였으며 충북도 박경국 자유한국당 후보가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친환경생리대를 무상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안전하고 공공생리대를 여성들에게 제공하라.
두 손에 다 차지도 않는 수의 후보들이 여성 청소년들에게 생리대 지원을 약속했는데도 일부 언론은 공
공생리대가 포퓰리즘 정책이라며 정책적 의미를 깎아 내리기 급급하다. 경제적 사회적 지위에 따라 때때
로 여성들에게 생리는 일상을 단절시키게 만드는 이유가 된다. 공공생리대는 여성 청소년들에게는 학습
권의 문제이다. 적어도 학교와 공공기관에서만큼은 어떤 여성도 불편함 없이 생리대를 쓸 수 있어야 한
다.
한국의 생리대는 OECD 평균의 2배 수준으로 비싸다. 한 보도에 따르면, 7년 동안 생리대 가격인상이
140회나 인상되었다. 물가상승률의 3배 수준의 상승이다. 여성들은 한 달에 최소 40여개의 생리대를 사
용해야 한다. 안전한 공공생리대 지원은 여성들에게는 인권과 존엄의 문제며 청소년들에게는 학습의 지
속여부를 결정짓는 요인이 된다.
생리대 유해물질, 생리대 생산 기업의 독과점, 가격 문제 등 여전히 생리대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이 끊
이지 않고 있음에도 지방선거 후보자의 여성건강에 대한 정책적 접근이 미비하다는 점에 우리는 다시
한 번 실망한다. 동시에 요구한다. 안전한 생리대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라. 여성들의 건강권과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안전한 생리대 지원을 약속해야 한다.
 별첨: 광역자치단체장 및 교육감 후보 생리대 공약 현황
2018년 5월 30일
생리대안전과여성건강을위한행동네트워크
1. 광역자치단체장
 71명의 후보 중 생리대관련 공약 발표 후보 총 5명
 7% 후보, 생리대 공약 발표
민주당 자유
한국당
바른
미래당
민주
평화당
정의당 민중당 대한
애국당
녹색당 우리미
래
친박연
대
무소속
서울시장 박원순 김문수 안철수 - 김종민
청소녀
안심생리
대 무상
지원
김진숙 인지연 신지예
청소녀
안심생리
대 무상
지원
우인철 최태현
부산시장 오거돈 서병수 이성권 박주미 이종혁
대구시장 임대윤 권영진 김형기
인천시장 박남춘 유정복 문병호 김응호
광주시장 이용섭 전덕영 - 나경채
학교 공
공시설물
생리대
무상비치
윤민호
대전시장 허태정 박성효 남충희 - 김윤기
울산시장 송철호 김기현 이영희 김창현
세종시장 이춘희 손아영 허철회
경기도지사 이재명 남경필 김영환 이홍우 홍성규
학교 공공
기관 생리
대 무상비
치
강원도지사 최문순 정창수
충북도지사 이시종 박경국
여성청소
년 친환경
생리대 무
상지원
신용한
충남도지사 양승조 이인제 차국환
(코리아)
전북도지사 송하진 신재봉 임정엽 권태홍 이광석
전남도지사 김영록 박매호 민영삼 노형태 이성수
경북도지사 오중기 이철우 권오을 박창호
경남도지사 김경수 김태호 김유근
제주도지사 문대림 김방훈 장상철 고은영 원희룡
2. 교육감
 61명의 후보 중 생리대관련 공약 발표 후보 총 3명
 4% 후보, 공약 발표
후보1 후보2 후보3 후보4 후보5 후보6 후보7
서울 조희연 조영달 박선영
부산 함진홍 박효석 김성진 김석준
대구 김사열 강은희 홍덕률
인천 도성훈 고승의 최순자
광주 이정선 장휘국 최영태
대전 성광진 설동호
울산 권오영 장평규 박흥수 노옥희 구광렬 정찬모 김석기
세종 최교진 송명석 최태호 정원희
경기 배종수 송주명 임해규 김현복 이재정
강원 신경호 민병희
충북 김병우 심의보 황신모
충남 명노희 김지철 조삼래
전북 이재경 서거석 김승환
초 6·중·고
여학생 전원
생리대 지원
황호진 이미영
초.중.고 여학생
생리대 전원
지원
전남 고석규 오인성 장석웅
학생들에게 생
리대 제공(참학
“교육의제 정책
협약” 일환)
경북 안상섭 임종식 이찬교 문경구 이경희
경남 이효환 김선유 박종훈 박성호
제주 김광수 이석문

Recommandé

20180528_취재요청서_월경의날_기자회견 par
20180528_취재요청서_월경의날_기자회견20180528_취재요청서_월경의날_기자회견
20180528_취재요청서_월경의날_기자회견여성환경연대
763 vues4 diapositives
20210528_보도자료 par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여성환경연대
367 vues12 diapositives
20180526 월경페스티벌 보도자료 par
20180526 월경페스티벌 보도자료20180526 월경페스티벌 보도자료
20180526 월경페스티벌 보도자료여성환경연대
700 vues4 diapositives
2021 mh forum_20210527 par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여성환경연대
464 vues87 diapositives
여성의 몸으로 생각한 생명공학의 문제 (2004) par
여성의 몸으로 생각한 생명공학의 문제 (2004)여성의 몸으로 생각한 생명공학의 문제 (2004)
여성의 몸으로 생각한 생명공학의 문제 (2004)여성환경연대
2.1K vues10 diapositives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par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여성환경연대
1.3K vues5 diapositives

Contenu connexe

Tendances

2018년 한해살이 보고서 par
2018년 한해살이 보고서 2018년 한해살이 보고서
2018년 한해살이 보고서 여성환경연대
998 vues16 diapositives
[Kwen] 2020 annual report par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여성환경연대
2.2K vues20 diapositives
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 par
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
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여성환경연대
1K vues5 diapositives
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 par
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
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여성환경연대
875 vues10 diapositives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 par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여성환경연대
578 vues4 diapositives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par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여성환경연대
3.5K vues76 diapositives

Tendances(8)

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 par 여성환경연대
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
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
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 par 여성환경연대
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
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par 여성환경연대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환경연대3.5K vues
38여성대회기획안(2010) par hiiocks kim
38여성대회기획안(2010)38여성대회기획안(2010)
38여성대회기획안(2010)
hiiocks kim953 vues
정기총회자료 2015년 사업보고 par sonjit91
정기총회자료 2015년 사업보고정기총회자료 2015년 사업보고
정기총회자료 2015년 사업보고
sonjit91427 vues

Similaire à 180530 613manifesto

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 par
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
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여성환경연대
683 vues3 diapositives
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 의료생협을 중심으로 (2004) par
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 의료생협을 중심으로 (2004)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 의료생협을 중심으로 (2004)
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 의료생협을 중심으로 (2004)여성환경연대
542 vues3 diapositives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0호 (소식지, 2002) par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0호 (소식지, 2002)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0호 (소식지, 2002)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0호 (소식지, 2002)여성환경연대
1.1K vues16 diapositives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par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복지 세상
1.2K vues20 diapositives
[자료집]여성건강권 확립을 위한 법,제도 토론회(2012년) par
[자료집]여성건강권 확립을 위한 법,제도 토론회(2012년)[자료집]여성건강권 확립을 위한 법,제도 토론회(2012년)
[자료집]여성건강권 확립을 위한 법,제도 토론회(2012년)여성환경연대
1.3K vues106 diapositives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par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여성환경연대
417 vues8 diapositives

Similaire à 180530 613manifesto(20)

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 par 여성환경연대
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
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
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 의료생협을 중심으로 (2004) par 여성환경연대
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 의료생협을 중심으로 (2004)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 의료생협을 중심으로 (2004)
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 의료생협을 중심으로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0호 (소식지, 2002) par 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0호 (소식지, 2002)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0호 (소식지, 2002)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0호 (소식지, 2002)
여성환경연대1.1K vues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par 복지 세상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복지 세상1.2K vues
[자료집]여성건강권 확립을 위한 법,제도 토론회(2012년) par 여성환경연대
[자료집]여성건강권 확립을 위한 법,제도 토론회(2012년)[자료집]여성건강권 확립을 위한 법,제도 토론회(2012년)
[자료집]여성건강권 확립을 위한 법,제도 토론회(2012년)
여성환경연대1.3K vues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par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54호 (소식지, 2014) par 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54호 (소식지, 201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54호 (소식지, 201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54호 (소식지, 2014)
여성환경연대2.2K vues
기호1번 유승희 최고위원 후보 par sebastianoskim
기호1번 유승희 최고위원 후보기호1번 유승희 최고위원 후보
기호1번 유승희 최고위원 후보
sebastianoskim239 vues
20170928생리대 행동 선포식 취재요청서 par 여성환경연대
20170928생리대 행동 선포식 취재요청서 20170928생리대 행동 선포식 취재요청서
20170928생리대 행동 선포식 취재요청서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8호 (소식지, 2004) par 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8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8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8호 (소식지, 2004)
여성환경연대1.3K vues
일하는여성90 par kwwa
일하는여성90일하는여성90
일하는여성90
kwwa293 vues
민들레 귀국보고서 par osheakorea
민들레 귀국보고서민들레 귀국보고서
민들레 귀국보고서
osheakorea1.2K vues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전문가포럼_의료계_130626 par nkrefugee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전문가포럼_의료계_130626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전문가포럼_의료계_130626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전문가포럼_의료계_130626
nkrefugee2.4K vues
일하는여성83 par kwwa
일하는여성83일하는여성83
일하는여성83
kwwa340 vues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 비교 분석 par JunSeop Lee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 비교 분석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 비교 분석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 비교 분석
JunSeop Lee688 vues
일하는여성87 par kwwa
일하는여성87일하는여성87
일하는여성87
kwwa602 vues
6 par mr1412
66
6
mr1412428 vues
Kumsnkr par kumsn
KumsnkrKumsnkr
Kumsnkr
kumsn209 vues

Plus de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1 par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여성환경연대
310 vues1 diapositive
2019 plasticfreecafe 2 par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여성환경연대
166 vues1 diapositive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par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828 vues2 diapositives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par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여성환경연대
879 vues2 diapositives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par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여성환경연대
342 vues2 diapositives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par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749 vues2 diapositives

Plus de 여성환경연대(20)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par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par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par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par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par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par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par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par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1.9K vues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par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1.2K vues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par 여성환경연대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1.1K vues

180530 613manifesto

  • 1.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을 위한 행동네트워크 1. 여성건강에 관심가져주시는 귀사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 ‘생리대안전과여성건강을위한행동네트워크’는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각 자치단체장과 시도교육감 후보들의 무상(공공)생리대 공약을 확인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이에 지방선거 후보자의 여성건강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정책을 요구합니다. 3. 귀 언론사의 적극적인 보도를 부탁드립니다. 지방선거 공약에서 실종 된 무상생리대 정책은 어디에 있나 - 교육감 후보 61명 중 초중고교생 생리대 지원 약속 후보 단 3명에 불과 - 광역자체단체장은 5명의 후보만 생리대관련 공약 발표 - 정의당, 민중당, 녹색당 여성 청소년 무상생리대 지원 정당공약으로 제시 생리대안전과여성건강을위한행동네트워크(이하, 생리대행동)가 다가오는 6.13 지방선거에 입후보한 광 역자치단체장과 시도교육감 후보들의 무상(공공)생리대 관련 공약 유무를 확인한 결과, 시도교육감후보 61명 중 단 3명, 광역자치단체장 71명의 후보 중 단 5명의 후보만이 생리대 관련 공약을 직접 언급한 것으로 확인했다. 광역자치단체장 후보 7%, 교육감후보 5%만이 생리대 관련 공약을 제시 한 것으로, 사실상 지방선거에서 무상(공공)생리대 공약은 실종된 상황이라 평가할 수 있다. 생리대행동은 각 후보들의 홈페이지, 블로그, 정당 정책공약을 바탕으로 후보들이 발표한 여성, 교육, 청소년 복지 공약에서 생리대 관련 공약 유무를 파악하였다. 이번 조사에는 후보가 속한 정당이 관련 공 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Tel. 02-722-7944 Fax. 02-723-7215 ∆ 수신 : 각 언론사 담당 기자 ∆ 발신 : 여성환경연대 ∆ 발송일 : 2018년 5월 31일 (금) ∆ 매수 : 총 6쪽
  • 2. 약을 발표했다 하더라도 후보가 이를 자신이 입후보한 지역공약으로 발표하지 않은 경우는 관련 공약이 없는 것으로 간주 하였다. 정의당과 민중당, 녹색당은 여성 청소년 무상생리대 지원 등을 공약으로 제시 하였다. 교육감 후보들, 여성 청소년들을 위한 생리대 지원 공약 실종상태 여성 청소년들의 건강권과 학습권 보장을 위해서도 안전한 생리대가 충분히 지원되어야 한다. 생리가학 습의 단절이 아니고, 가난을 증명해야 생리대를 받을 수 있는 모멸의 경험이 아니기 위해서는 적어도 학 교에서는 안전한 생리대를 손쉽게 얻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교육감 후보들의 공약에서 안전한 생리 대까지는 나아가지도 못하고, 생리대를 지원하겠다는 공약도 찾아보기 어렵다는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 이다. 생리대 공약을 발표한 교육감 후보는 전북도 김승환 후보, 이미영 후보가 초중고 여학생 전원에게 생리 대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고 전라남도 장석웅 후보가 정책협약의 과정에서 생리대 제공을 언급한 것이 전부다. 세종시 최교진 후보, 충남도 김지철 후보가 이전 교육감 재직시절 저소득층 지원, 혹은 보건실 비치의 형태로 일부 생리대를 지원한 적은 있으나 현재 홈페이지 등을 통해 생리대 지원 관련 공약을 찾 아 볼 수는 없었다. 광역지자체장 후보들도 여성 청소년들 생리대 지원이나, 공공시설 생리대 비치 공약을 제시한 후보는 단 5명에 그친다. 서울시장 출마에 나선 김종민 정의당 후보와 신지예 녹색당 후보가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 로 하는 무상지원공약을 발표하였고, 광주시 나경채 정의당 후보, 경기도 홍성규 민중당 후보가 학교와 공공기관에 생리대를 무상으로 비치하겠다고 하였으며 충북도 박경국 자유한국당 후보가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친환경생리대를 무상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안전하고 공공생리대를 여성들에게 제공하라. 두 손에 다 차지도 않는 수의 후보들이 여성 청소년들에게 생리대 지원을 약속했는데도 일부 언론은 공 공생리대가 포퓰리즘 정책이라며 정책적 의미를 깎아 내리기 급급하다. 경제적 사회적 지위에 따라 때때 로 여성들에게 생리는 일상을 단절시키게 만드는 이유가 된다. 공공생리대는 여성 청소년들에게는 학습 권의 문제이다. 적어도 학교와 공공기관에서만큼은 어떤 여성도 불편함 없이 생리대를 쓸 수 있어야 한 다. 한국의 생리대는 OECD 평균의 2배 수준으로 비싸다. 한 보도에 따르면, 7년 동안 생리대 가격인상이 140회나 인상되었다. 물가상승률의 3배 수준의 상승이다. 여성들은 한 달에 최소 40여개의 생리대를 사 용해야 한다. 안전한 공공생리대 지원은 여성들에게는 인권과 존엄의 문제며 청소년들에게는 학습의 지 속여부를 결정짓는 요인이 된다. 생리대 유해물질, 생리대 생산 기업의 독과점, 가격 문제 등 여전히 생리대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이 끊 이지 않고 있음에도 지방선거 후보자의 여성건강에 대한 정책적 접근이 미비하다는 점에 우리는 다시 한 번 실망한다. 동시에 요구한다. 안전한 생리대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라. 여성들의 건강권과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안전한 생리대 지원을 약속해야 한다.
  • 3.  별첨: 광역자치단체장 및 교육감 후보 생리대 공약 현황 2018년 5월 30일 생리대안전과여성건강을위한행동네트워크 1. 광역자치단체장  71명의 후보 중 생리대관련 공약 발표 후보 총 5명  7% 후보, 생리대 공약 발표 민주당 자유 한국당 바른 미래당 민주 평화당 정의당 민중당 대한 애국당 녹색당 우리미 래 친박연 대 무소속 서울시장 박원순 김문수 안철수 - 김종민 청소녀 안심생리 대 무상 지원 김진숙 인지연 신지예 청소녀 안심생리 대 무상 지원 우인철 최태현 부산시장 오거돈 서병수 이성권 박주미 이종혁 대구시장 임대윤 권영진 김형기 인천시장 박남춘 유정복 문병호 김응호 광주시장 이용섭 전덕영 - 나경채 학교 공 공시설물 생리대 무상비치 윤민호 대전시장 허태정 박성효 남충희 - 김윤기 울산시장 송철호 김기현 이영희 김창현 세종시장 이춘희 손아영 허철회 경기도지사 이재명 남경필 김영환 이홍우 홍성규 학교 공공 기관 생리 대 무상비 치 강원도지사 최문순 정창수 충북도지사 이시종 박경국 여성청소 년 친환경 생리대 무 상지원 신용한 충남도지사 양승조 이인제 차국환 (코리아) 전북도지사 송하진 신재봉 임정엽 권태홍 이광석 전남도지사 김영록 박매호 민영삼 노형태 이성수 경북도지사 오중기 이철우 권오을 박창호 경남도지사 김경수 김태호 김유근 제주도지사 문대림 김방훈 장상철 고은영 원희룡
  • 4. 2. 교육감  61명의 후보 중 생리대관련 공약 발표 후보 총 3명  4% 후보, 공약 발표 후보1 후보2 후보3 후보4 후보5 후보6 후보7 서울 조희연 조영달 박선영 부산 함진홍 박효석 김성진 김석준 대구 김사열 강은희 홍덕률 인천 도성훈 고승의 최순자 광주 이정선 장휘국 최영태 대전 성광진 설동호 울산 권오영 장평규 박흥수 노옥희 구광렬 정찬모 김석기 세종 최교진 송명석 최태호 정원희 경기 배종수 송주명 임해규 김현복 이재정 강원 신경호 민병희 충북 김병우 심의보 황신모 충남 명노희 김지철 조삼래 전북 이재경 서거석 김승환 초 6·중·고 여학생 전원 생리대 지원 황호진 이미영 초.중.고 여학생 생리대 전원 지원 전남 고석규 오인성 장석웅 학생들에게 생 리대 제공(참학 “교육의제 정책 협약” 일환) 경북 안상섭 임종식 이찬교 문경구 이경희 경남 이효환 김선유 박종훈 박성호 제주 김광수 이석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