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141
Télécharger pour lire hors ligne
1
경기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 혁신과 디자인
경기교육청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추진단 Play AT 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장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https://www.facebook.com/groups/PaTI.Tech.Play
00. 경기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 혁신과 디자인
2
- 클러스터형 학습 공간으로 교실 구성
- 특별교실에서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로
- 학교도서관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 조성
- 스마트 기반 복합 광장형 공간
- 미래학습을 실험하는 능동학습교실
- 창의·지식활동을 위한 미디어 아트 스튜디오
- 배움과 활동을 확장하는 실내외 공간 연결
- 학교운동장 재구성과 학습 정원
- 쾌적하고 지속가능한 탄소제로 학교
- 지역의 생활문화 공공장소가 되는 마을학교
공간
재구조화
스마트
그린
학교
시설복합
0. 경기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경기도교육청은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추상적
지향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여기서
제시하는 내용들은 획일적이거나 강제적 지침이 아니다. 기존 학교
건축의 관행과 교육의 변화를 미처 수용하지 못하는 제도에서 기인하는
불필요한 논쟁이나 학교 현장의 혼란을 줄이고,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미래 학교를 조성하는 데 주요하게 참조할 자료이자 안내서이다.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조성에 있어 공간재구조화, 그린, 스마트,
학교시설복합화 영역과 학교교육의 비전을 연계하여 미래학교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10가지의 공간 디자인 방향과 각각에 대한 선택가능한
참조 옵션들, 공통적인 공간 기능과 요구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학습 공간의 재구조화
01. 학습 공간의 재구조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4
◉ 학습공간 변화의 배경
일본교육시설연구소
학습 공간의 재구조화
1.학습 공간의 재구조화

유연성과 가변성

다목적·다기능화

커뮤니티 영역

비공식 공간
학교는 과거와 현재, 미래에도 변화할 것이다. 학습 공간의 혁신은 21세기 학교가 직면한
주요한 변화 과제 중 하나이다. 학교는 현대 교육학의 발전에 따라 전달식 대집단 교육과
수동적 학습에서 학생 주도의 능동적 학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융합 학습, 혼합 수업,
프로젝트 학습, 실행 학습, 정보기반 학습 등 교육 유형이 다양해지고 교육 과정은 더욱
개별화, 맞춤화할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IT 및 통신기술에 기반한 지식 활동의 새로운
양상은 학교 교육에 큰 도전으로 등장했다. 베이비부머가 학령 인구로 대거 진입하던 시기
지어졌던 수 많은 학교 건물들은 이제 노후화되었고 획일적인 교실 구조는 미래의 교육과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기에 점점 적합하지 않게 되었다. 많은 학교가 리모델링, 증개축의
대상이 되었지만, 최근 인구의 감소에 따른 학생 수의 감소는 더욱 적극적인 학교의 변화를
요하고 있다. 또한, 학교는 민족적, 문화적, 경제적, 신체적인 다양한 차이를 가진 학생들의
구성으로 그들의 사회적 이질성을 인식하고 학교는 동등한 성장과 발전의 기회를 지원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게 되었다. 오늘날 학교는 다양한 가족 구성과 학부모들의 경제 활동
시간과 방식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주요한 기관이 되고 있다. 학교가 제공하는 돌봄과
복지 서비스 비중이 증가하면서 학생들이 오래 머무는 종일 학교로 변화 되고 있다. 아동,
청소년기 학생들이 학교에서 지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수업 외에도 학교 내 생활, 휴식,
여가, 방과 후 활동을 위한 다양한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학교는 점차 지역에서 사회
활동과 지역의 문화적, 교육적 환경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다양한 지식과 훈련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지역사회와
학교의 협력과 소통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마을학교는 중요한 교육적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학교는 지역사회와 함께 긴밀한 협력과 상호 이해의 기회를 공간적으로 제공해야힐
필요역시 증대되었다. 학교에 요구되고 있는 이러한 광범위한 공간적 변화는 공간의 이용
효율과 경제적 조성 비용을 고려하며 공간의 다목적화, 다기능화를 통해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이와 같은 변화 요구들을 반영하여 미래 학교로 변화하고자 할 때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학습 공간과 환경 디자인의 키워드를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미래학교는
사회와 기술,
교육의 변화에 유연하게
응답하며 다양한 학습의
형태와 배움을 지원하는
학교이다.
5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 혁신과 디자인
- 유연성을 높이는 교실 구성 모델 도입
(확장형 교실, 학습 클러스터, 개방형 학습 전경)
- 가변적이고 개방적인 공간 연결과 접근
(가변 벽체, 접이식 문, 광폭 미닫이문 또는 미서기 문 활용)
- 이동과 배치에 편리한 학습가구 배치
01. 유연성과 가변성
1. 유연성과 가변성 미래 학교의 수업은 교사의 전달식 지식 교육이 주가 되기 보다는 개개 학생이 주체가 되는
다양한 학습 방법을 교실과 교실 외 공간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지원하게 된다. 학습의
개인화, 맞춤화의 비중이 커진다고 해서 사회적 소통과 동료간 협력에 기반한 학습 형태의
비중이 줄어들지 않는다. 지식과 정보, 아이디어, 의견의 교환 및 토론, 평가와 비판, 학습
경험의 공유는 여전히 교육 활동의 필수 요소이다. 미래 학교가 수용하게 되는 다양한 학습
방법을 살펴보면 개별 학습, 그룹 작업과 토론, 동료 지도, 교사 학생의 1:1 학습, 전달식 강
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인터넷 디지털 기기 활용 학습, 원격강의, 정보 검색과 자료 조사 등
정보기반 학습, 발표, 세미나식 지도 학습, 공연 등 음악 기반 학습, 지역 사회 봉사학습, 예술
기반 학습, 전시, 제작 기반 학습, 실험, 멀티미디어 창작, 이야기 학습, 사회적 감정적 학습,
자연생태체험, 놀이학습 등 광범위하다. 이러한 다양한 학습 방법과 더불어 비정형화된
학습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집체 교육, 자습 및 개별 작업, 다양한 인원 규모로 편성될 수 있는
그룹 활동과 작업, 학습 결과 발표 등 학습 형태와 활동의 전환이 자연스러운 유연하고
가변적인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학습 공간은 공간의 크기, 구조 및 장비, 내부의
활동 구역 설정 등 전통적인 교실과는 다른 학습 공간의 구성과 디자인을 요구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유연하고 가변적인 공간을 구현할 수 있을까?
다양한 학습의 유형과 활동,
다양한 규모의 인원에 맞춰
유연하게 전환하며 이용할 수
있는 가변적 학습 공간이
필요하다.
Steelcase-Education-Insights-Guide-Version-4 6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유연성 높은 교실 구성 모델 도입
복도를 따라 획일적인 교실들을 단순하게 배치한 편복도 교실은 명백히 베이비부머 이후
다수 학생의 수용과 통제에 초점을 맞췄던 구시대 산물이다. 다양한 학습 유형에 따른 공간
요구와 학급 조직의 변화, 학생 수의 단기적, 중장기적 증감 가능성에 적응할 수 있고, 다양한
규모의 인원을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학습 공간의 구성을 혁신해야 한다. 즉 교실 조직
모델을 바꾸어야 한다. 미래 학교의 교실은 자기주도학습, 개별 작업, 그룹 활동을 지원해야
하고, 강의는 물론 토론과 발표, 가벼운 실습, 독서 등 배움 활동과 휴식과 놀이, 사교, 가벼운
식사 등 비공식 활동과 생활 편의를 동시에 지원해야 한다. 여러 학급이 함께 사용하는
다목적 공용 공간을 포함하여 공간 이용의 유연성도 높여야 한다. 이제 학생들은 동일한
규모의 교실이 아닌 다양한 규모를 가진 공간들로 조합된 보다 복합적이고 유연하고,
개방적인 학습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 공간은 과목이나 학급의
경계를 넘어 융합교육과 교사들의 협력 수업을 촉진하고 수업의 준비에 편리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세계 여러 학교에 적용되며 발전해온 주요 학습 공간 모델은 '
확장형 교실', '학습 클러스터', '개방형 학습 전경'이다.
- 확장형 교실 모델
확장형 교실은 기본 규모의 교실과 교실 사이에 개방감을 줄 수 있도록 폭이 넓은 문을
설치하여 물리적 연결성을 높인 모델, 소그룹실을 중심으로 인접 교실들을 연결하여
배치하고 소그룹실과 교실 사이에 유리벽과 문을 설치하여 시각적, 물리적 연결성을 높인
교실 조직 모델, 두 개 이상의 교실 사이에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는 접이식 문(folding door)
이나 가변 벽체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교실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모델을 포함한다. 공간을 분리할 때는 확실한 차음 효과를 보장해야 한다. 이러한 '확장형
교실 모델'들은 학습 클러스터 모델에 부분 수용된다.
Land Baden-Württemberg 학교건축 지침 7

- 확장형 교실

- 학습 클러스터

- 열린 학습전경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학습 클러스터형 모델
학습 클러스터는 4~5개 이상의 교실과 화장실, 식음대, 휴대품 보관 공간(홈베이스),
교사협력실, 교수-학습 기자재 보관실, 복수의 소그룹실(보조교실)을 여러 학급이 공유하는
중앙의 다목적 공용공간(일명 학습거실 또는 학습복도)을 중심으로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여
한 채의 학습주택처럼 조직한 모델이다. 클러스터 내부에 포함되는 공간 요소나 규모는 각
학교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선택하여 구성한다. 학습 클러스터 모델은 다용도의 공용공간(
학습거실, 학습복도)를 학습, 작업, 독서, 자습, 놀이, 휴식, 사교 등 다양한 활동을 위해
사용하게 하므로 공간의 유연성을 높인다. 보통 일정 규모의 학년별, 계열별, 또는 무학년제
학급 단위로 조성한다. 학습 클러스터는 공유하는 테라스나 야외공간, 실내로 연결하는 공용
출입구를 두어 명백한 구획을 설정한다. 그 동안 도입된 다양한 교실 모델 중 공간의
유연성과 공간 이용의 가변적 적응성, 생활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가장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된 후 독일 전역의 학교에서 속속 도입하고 있다.
- 개방형 학습 전경형 모델
개방형 학습 전경 모델은 호주, 뉴질랜드의 유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공간적 압박감을
줄이고 개방감을 최대한 느끼게 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적용하고 있는 모델이다. 간벽으로
구분된 교실 구분이 없는 대형 광장형 학습 공간에서 학습 가구나, 칸막이, 인테리어적 학습
구조물, 바닥이나 벽면 색상을 활용하여 중소규모 학습 그룹별 학습 구역, 과목별 학습 구역,
발표 및 토론 구역, 휴식 및 놀이 구역을 설정한다. 단 이러한 구역 설정은 고정 구역과 가변적
구역을 포함한다. 이때 학습 가구나 칸막이는 이동 배치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열린
확장된 대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소음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저감을 위해 가능한 흡음
가능한 재료를 바닥재나 벽면, 천정재 등 내장재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흡음 칸막이를
활용한다. 개방형 학습 전경형 모델이라도 분리된 공간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차별화된 기능과 용도를 가진 소그룹실이나 기능실을 갖춘다.
Bildungscampus Sonnwendviertel, axonometry by CAN Architects
St mary cross primary school, Peter Clarke, Archdaily
8

- 확장형 교실

- 학습 클러스터

- 열린 학습전경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 혁신과 디자인
01. 유연성과 가변성
9
◉ 학습 클러스터형 학습 공간으로 교실 구성
교실의 변화는 학교공간 변화의 핵심이다. 그러나, 가장 바뀌지 않는 학교 공간이 획일적인 편복도형
일반 교실이다. 기존의 획일적인 편복도형 교실 모델은 더 이상 교육의 변화를 충족하지 못한다. 기존의
획일적인 편복도형 교실을 지양하고, 학습 클러스터형 교실 구성을 추천한다. 학습 클러스터 형 교실
모델은 다양한 규모의 그룹과 개별 학생들의 학습과 활동, 휴식, 놀이, 독서, 강의에 유연한 공간을
제공하고, 미래교육이 요청하는 융합적 학습과 교사들의 협력과 학생들의 생활편의를 증진하는 데
유리하다.
변화된 학습 클러스터는 다른 공간 영역들과 식별 가능한 공간 영역 단위로 일반 교실의 1.5~2배 이상의
면적을 가진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3~5개 교실과 1~2개 소그룹실(보조공간), 1개 교사협력실, 허용하는
면적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화장실, 내부 계단 등을 포함하고, 클러스터 단위로 외부 연결과 탈출
경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개별 학교의 학급 수, 학년 별 규모, 학생 증감계획 및 개별 학교가 활용할 수
있는 면적과 예산, 위치, 교육 계획 등 여건에 따라 학습 클러스터의 공간 구성과 형태는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단 학습 클러스터 내 교실과 공간들은 상호 개방하여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가능한 폭이 넓고
가변적인 문(폴딩 더어, 슬라이딩 도어, 포켓 도어)을 사용하여 물리적 확장이 가능하도록 디자인한다.
또한 융합학습과 협력학습, 안전의 관리, 채광 조건의 개선을 위해 각 공간들은 상호 가능한 시각적
투명성을 최대한 고려해야 한다. 즉 기존 학교 교실보다 더 많은 시야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유리창을
사용할 수 있다.
각 교실들의 중앙에 조성하는 공용공간은 장방형 공용공간인 학습거실 또는 폭이 넓은 학습 복도형으로
조성하며, 클러스터 내 여러 학급의 학생과 그룹들이 다양한 활동과 수업, 휴식,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공용공간은 일반 교실 면적의 약 1~4~2배 이상의 규모로 조성할 것을
권장한다. 필요에 따라 표준 교실 면적을 줄이고, 공용공간의 면적을 더 확장할 수 있다.
교실의 변화는 학교공간 변화의
핵심이다. 그러나, 가장 바뀌지 않는
학교 공간이 획일적인 편복도형
일반 교실이다.
경기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는
획일적인 편복도형 교실을 지양하
고, 학습 클러스터형 교실 구성을
권장한다.
학습 클러스터는 일반 교실의
1.5~2배 이상의 면적을 가진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3~5개 교실과
1~2개 소그룹실, 1개 교사협력실,
허용하는 면적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화장실, 내부 계단 등을
포함한다.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 클러스터
• 면적 기준으로 인한 최소 구성의 경우에도 복수의 교실과 보조 교실(소 그룹실 또는 차별화실), 중앙의 다목적 공용 공간(학습 통로 또는 학습거실), 교사실을
포함하고 , 최대 구현 가능 시 식음대, 홈베이스(의류 및 물품 보관), 테라스 등 공간을 조건에 따라 포함한다.
• 일반 학습 영역의 학습 클러스터는 클러스터 별 구역 설정과 입 출입구 통로 또는 경계를 명확히 하고, 투명성, 음향 최적화, 방화(내화) 구역 설정이 필요하다.
이때 양질의 채광과 환기를 유지하도록 유의한다.
• 교실 내 창턱 좌석, 클러스터 별 테라스, 공용 공간(학습 복도, 학습거실) 등을 활용하여 공간 이용의 유연성과 활용도를 높이도록 한다. 학습 클러스터 내 공용
공간 및 교실 내부에는 창 틈새, 구석 공간, 벽체 등을 이용하여 검색 부스, 소지품 보관 공간,다양한 개별, 그룹 활동을 위한 구역을 가구 또는 제작 인테리어
오브제를 활용하여 설정한다.
• 학습 클러스터 내 소 그룹실(보조교실 또는 차별화실)은 안을 들여다볼 수 있게 투명한 자재(유리벽)를 사용하여 가시성을 높인다. 소 그룹실의 수는 클러스터
내 일반 교실의 수와 제반 조건에 따라 조정한다. 단, 소그룹실 구현이 불가할 경우 중양의 공용 공간에 구역을 설정하거나 여유 교실이 이 기능을 대체 한다.
• 소 그룹실과 인접한 교실 사이에 가능한 가벽, 광폭 포켓 도어, 폴딩 도어 등을 설치하여 가변 가능한 확장 교실로 구성 한다. 단 차음과 조작 안정성과 편리성이
높아야 한다.
• 학습 클러스터 내에서 다목적 공용 공간(학습복도 또는 학습거실)과 교실, 보조 교실 간 연결성과 개방성, 가변성을 높여 집체 학습과 중•소그룹 단위의 분리
학습과 활동 등 다양한 학습 유형으로 상호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중앙의 다목적 공용 공간에서 휴식, 작업, 수업, 독서, 놀이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에 반영한다.
• 보통 교실과 공용 공간 사이 간벽을 투명한 재료(유리벽)를 사용하거나 투명창을 통해 가능한 가시성을 높이도록 한다.
• 보통 교실과 공용공간 사이에 가변성과 개방성을 높일 수 있는 광폭 포켓 도어나 접이식 도어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분리와 확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 1층에 배치한 학습 클러스터의 경우 클러스터 단위 또는 각 교실에서 야외 공간(안뜰 또는 운동장)으로 직접 출입할 수 있는 통로(문)를 설치하여 실내외
연결성을 높이고 학생들의 신체적 활동을 촉진한다.
• 만약 2층 이상에 조성된 학습 클러스터의 경우 클러스터 단위로 테라스형 복도와 운동장으로 연결한 야외 계단을 설치하여 실내외 연결성을 높인다.
• 2층 이상의 학습 클러스터 내에 상하부 층의 수직 이동을 위한 내부 계단이나 공유하는 근접한 계단부를 배치하여 탈출 경로를 확보한다.
• 학습 클러스터와 교실에서 인터넷과 미디어를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PC, 모니터, 단초점 프로젝터 및 비대면 교육의 지원 설비의 설치를 고려한다.
• 학습 클러스터 내 교실, 소그룹실, 다목적 공용공간(학습복도) 곳곳에 화이트 보드나 필기 벽면을 설치하여 소그룹 학습과 토론, 활동을 촉진한다.
• 교사협력실은 일상적 업무와 휴식, 협의가 가능한 공간으로 조성하고, 가벼운 탕비 공간이나 교구재 보관 공간을 포함한다. 교사협력실은 가능한 내부에서 창을
통해 학습 클러스터 내 교실들을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 학습 클러스터 디자인 권장 사항
10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 클러스터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학습 클러스터 사례 – Schule am See, Hard
(넓은 중앙의 비공식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배치된 교실들, 유리벽을 이용하여 시각적
개방감과 투명성이 높다. 교실 사이에 선반, 게시판, 커텐 등을 이용해서 필요에 따라 시선을
가리거나 차단한다.)
(교실은 야외 테라스와 학습 클러스터의 중앙
공용공간을 향해 연결된다. 교실은 유리벽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열려 있지만 수납 선반, 게시판,
커튼 등을 이용하여 구분하거나 가릴 수 있다.
교실 바닥은 목재나무 바닥을 사용하여 바닥에서도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
http://www.schuleamsee.at/schule/
11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 클러스터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브레겐츠시는 50년 된 낡은 학교를 철거하고 2015년 쉔드링언 캠퍼스(Schulcampus Bregenz-Schendlingen ) 신축을 시작했다. 초등, 중등, 음악 학교가 결합된
통합학교로 약 570명의 학생이 다닌다. 학생의 65%가 비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이중언어 사용자들로 교사들의 협력 수업이나 진도를 따라갈 수 없는 학생에 대한
특별 수업이 필요했다. 교육 당국과 시 정부는 문화적, 민족적 배경이 다른 학생들의 소통과 교류, 이해 등 사회적 학습이 가능한 교육 공간으로 학교를 집처럼 밝고 편안한
생활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 또 다른 과제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통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슈를 해결하는 것이다. 즉,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적절하게 분리하면서
교류가 가능하도록 공간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가들은 중앙의 아뜨리움 공간과 학습 클러스터를 주요한 공간 조성의 특징으로
삼았다. 또 다른 과제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통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슈를 해결하는 것이다. 즉,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적절하게 분리하면서도 교류가 가능하도록
공간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가들은 중앙의 아뜨리움 공간과 학습 클러스터를 주요한 공간 조성의 특징으로 삼았다.
학습 공간들은 '집'이란 불리는 8개의 학습 클러스터로 조합되어 있다. 각 학습 클러스터마다 3개의 교실, 클러스터 별 다목적 공용공간(학습 거실 겸 휴게실, 사물함, PC
부스 포함), 화장실, 교사실, 화장실, 테라스와 발코니가 조합되어 있다. 각 교실마다 학생 25명이 사용한다. 클러스터마다 75명이 배정된다. 교실들은 투명성과 개방성을
높이기 위해 유리창 간벽을 세우고 내부는 나무 선반을 설치했다. 각 클러스터들의 한쪽 면은 계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계단부 최상부에 천창이 있어 건물의 채광과
공기순환을 돕는다. 각 클러스터 입구는 건물 중앙의 아뜨리움 공간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곳 역시 빛과 공기의 순환을 돕는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학교는 넓고 복잡한
내부 구조에도 불구하고 양질의 공기와 적절한 실내 조도를 유지할 수 있다.
05. 경기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 학습 클러스터 사례 – Schulcampus Bregenz-Schendlingen
05. 경기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경기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공간 디자인 가이드
(학습 클러스터 내의 공용공간(학습거실) 풍경,
밖으로 통창이 있고, 교실과 공용공간도 유리벽과
유리문이 설치되어 밝고 투명성, 시각적 개방성이
높다.)
(클러스터 한쪽은 계단실을 향하고 있다.)
12
https://www.baunetz.de/meldungen/Meldungen-Schule_in_Bregenz_von_Matthias_Bae
r_Bernd_Riegger_und_Querformat_5346824.html
https://vorarlberg.orf.at/tv/stories/3019846/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 클러스터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학습 클러스터 사례 – 독일 다름슈타트 학교 건축 지침
13
Schulen planen und bauen. Die Umsetzung der S chul B au L eit L inien des Landkreises Darmstadt-Dieburg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 클러스터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학습 클러스터 기획 사례 – 장안초
14
화성 장안초 사전기획보고서 2012
연천초 사전기획보고서 2021
일반 학습 영역은 6개의 일반 교실과 소그룹실(보조교실 또는
차별화실) 2개, 교사실 2개(이중 한 곳의 교사실은 소그룹실로 사용
가 능 ), 4 개 의 화 장 실 , 양 끝 단 의 계 단 실 을 포 함 하 는 학 습
클러스터를 기본 유닛을 삼아 3개층에 구현한다.
중앙의 다목적 공용 공간(267.25m2
학습 거실)은 통로 및 학습,
놀이, 독서 구역을 포함하는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되어 공간 이용의
유연성과 생활 편의를 지원한다. 소그룹실 2개는 이중언어교육,
학습지체 아동에 대한 차별화 교육 및 소그룹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며, 양측면의 교실과 접근이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교사실(+교구재 보관 구역)은 2개소 중 한 곳은 특별실이 있는 1
층을 제외하고, 2~3층의 경우 소그룹실로 하거나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최대 구현 가능 시 식음대, 홈베이스(의류 및 물품
보관) 구역을 공용공간에 설정하고, 야외 공간과 접한 1층 교실의
경우 직접 교실에서 야외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 교실의 문을 광폭 접이식 문이나 광폭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여 모든 교실을 완전히 개방할 경우 중앙의 학습거실과 함께
열린 학습 전경을 구현토록 하여 향후 다양한 유형의 학습과 활동,
무 학년제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공간 가변성과 확장성, 유연성을
보장한다.
* 편복도 교실과 달리 중앙복도형이므로 북측 교실의 채광이
나뻐질 수 있으므로 채광 또는 조명 개선을 고려한다.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 클러스터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02. 다목적·다기능화
2. 다목적·다기능화

- 유사기능 공간의 영역별 배치와 상호 연결

- 설비, 학습 가구, 인테리어 등 공간의 다기능화
미래학교의 교실을 포함한 대다수의 공간은 기본적으로 다목적·다기능 공간으로 조성한다. 일반
교실로부터 분리하여 접근성과 이용율이 낮아질 수 밖에 없는 별도의 다목적 교실 또는 다목적 공간을
조성하는 시도는 대개 독일 학교에서 실패로 판명되었다. 미래학교 공간 구성에서 최대의 이슈는 미래의
변화에 대한 공간 적응성과 공간 이용 효율의 제고, 건축에 있어 경제적 구현이다. 미래학교의 공간을
기획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기획 과정에서 기존 학교 경험을 기반으로 개선사항, 공간 요구 사항을
파악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학교의 교육 비전과 미래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세부적인 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와 설문, 워크숍을 거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파악한 내용을
참조하여 미래학교에 조성할 잠재적 공간 목록을 작성하게 되는데, 이 수준에서 작성한 공간 목록을
그대로 공간 프로그램(Space program)에 반영할 수 없다. 대개 너무 많은 공간 요구가 있기 마련이고
잠재적 공간 목록이 너무 길기 때문이다. 학생 수를 기준으로 삼은 공간 면적 제한, 건축 비용의
한계때문에 실제 구현할 수 있는 수준으로 공간 목록을 재 정리해야 한다. 학교 공간 조성에 참여하는
교사와 건축가 및 학부모, 관계자들의 합의와 지혜가 필요하다. 미래학교의 공간 프로그램은 잠재적 공간
목록을 영역별로 분류하고, 다시 공간의 이용효율과 조성의 경제성을 고려하며 공간을 다기능‧
다목적화하는 압축 정리 작업을 통해 완성한다. 공간의 다목적·다기능화는 일반 교실, 전문(특별과목)
교실, 커뮤니티 영역(복합형 광장형 공간), 도서관, 식당, 체육관, 복도 등 거의 모든 공간에 적용해야 할
미래학교의 공간 조성 과제다. 어떻게 분출하는 공간 요구와 현실적 제약의 간극을 극복할 수 있을까?
첫번째 공간에서 활동과 작업, 요구되는 공간 기능이 유사한 공간을 영역별로 연계 배치하여 상호
연결성을 높이는 공간 구성으로 공간의 다목적성을 높일 수 있다. 두번째, 유사하지만 조금씩 상이한
활동들을 동일한 공간에서 지원하기 위해 공간에 설치하는 설비, 학습 가구와 인테리어를 선택하여
다기능화한다. 예를 들어 기술-과학 학습 클러스터, 가사(또는 실과)-요리 클러스터, 음악-공연-신체 활동
-시청각 클러스터, 예술-디자인-제작 클러스터 등 학교 상황과 교과 과정 연계성, 융합 교육 적합성 등을
고려하며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컴퓨터실과 멀티미디어 아트 스튜디오 역시 통합하여 다목적화할 수
있다. 도서실 역시 단순 독서 공간이 아닌 자율 학습 구역, 프로젝트 수업 구역, 이야기 구역 등을 내부에
설정하여 다목적화할 수 있다. 식당은 행사장이자 휴식을 위한 카페테리아로 다목적화할 수 있다. 체육관
역시 신체활동 뿐 아니라 행사장과 식당으로 다목적화하는 사례들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복도는 가장
자주 놀이 복도 또는 학습 복도로 변경하여 통행과 더불어 다양한 휴식, 놀이, 수업, 작업, 독서, 사교를
위한 다목적 공간으로 이용한다. 현관 홀 역시 많은 학교에서 복합 광장형 공간화하여 다목적화한다.
미래학교의 교실을 포함한
대다수 공간은 기본적으로
다목적· 다기능 공간으로
조성한다.
잠재적 요구 공간 목록을
그대로 공간 프로그램(Space
Program)에 반영할 수 없다.
이용효율과 건축
경제성을 고려하여 공간을
다목적·다기능화하여 압축
정리해야 한다.
15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 혁신과 디자인
◉ 공간의 연결성을 높여 다목적화한 사례
- 슬로베니아 포드고르예 유치원
슬로베니아의 포드고르예(Podgorje) 유치원은 공간의 사용 시간
분할과 교실과 교실, 교실과 복도를 광폭의 미닫이 문이나 접이식
문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성을 높였다. 복도 역시 단순 통행 공간
이상의 놀이 복도, 생활 복도로 조성했다. 각각의 교실들은
나름의 특징들을 갖고 있지만 학급에 따라 이용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수시로 공동 이용할 수 있다. 유치원의 분리된
놀이교실들은 낮잠과 수업 활동을 위해서만 문을 닫아 분리하고,
그외 시간에 교실과 교실, 복도 사이의 넓은 문들을 완전히
개방하여 연령에 관계없이 공통 관심사를 가진 친구들과 놀 수
있도록 했다. 놀이 교실은 다양한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일부는
음악에, 일부는 예술에 초점을 맞춰 디자인했다. 각 교실에서
접할 수 있는 장비와 도구, 학습 인지 요소가 다른데 전체적으로
주제별 놀이 구역이 최대 42 개 지점이고 수많은 칠판,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 장비 및 학습 도구들을 반별 구분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진다. 대부분의 가구와 장비는 바퀴가
달려있어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치를 바꿀 수 있고 다양한 공간
변형이 가능하다. 그 결과 아동들의 사회적 접촉은 두 배 이상
높아졌다. 학습 도구와 인지적 요소들에 대한 접근도 세배 이상
증가했다. 공간과 공간 사이의 모든 문들을 개방하여 유치원
전체를 놀이터로 변신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동들의 신체 활동은
일반 아동들에 비해 7 배 이상 증가했다. 이 유치원의 아이들은
하루 평균 20 바퀴이상 유치원 내부를 뛰거나 걷는다. 1.5km에
해당하는 거리다.
Janez Marolt Photography. https://www10.aeccafe.com/ 16
(놀이복도, 생활복도로 다목적화) (교실과 교실, 복도를 광폭의 문으로 연결하여 다목적)
02. 다목적·다기능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연결성을 높이는 공간 요소들
SMMA. https://www.smma.com/
Simone Bossi. https://image.architonic.com/
Wilson Archtects. https://images.squarespace-cdn.com/
ThinkingWall® Divider. https://www.logovisual.com/
Khan Lab School. https://designmuseumfoundation.org/
Mariusz Mizera. https://educationsnapshots.com/
17
위 : 대형 미서기 문을 열어놓은 교실
아래 : 이동 화이트보드 책장으로 공간 구분
위 : 접이식 문을 단 교실
아래 : 접이식 문을 개방한 교실
위 : 커텐으로 공간을 구분한 교실
아래 : 회전 화이트보드로 벽과 문 대체
위 : 슬라이딩 칸막이로 공간 구분
아래 : 조절 가능한 칸막이 화이트 보드

- 광폭 미서기 문(pocket door), 광폭 미닫이 문 (sliding door), 접이식 문(folding door)

- 이동 또는 회전 칸막이 (화이트보드 결합), 이동 선반, 레일 커튼
02. 다목적·다기능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순환공간(복도, 계단, 현관홀)의 다목적화 사례
MOA Architecture. https://www.moaarch.com/
ECKY BRADY. https://3l65e11ddfjd1jxuay1z41j8-wpengine.netdna-ssl.com/
고인룡. https://ko-kr.facebook.com/people/고인룡/100001545169752/
18
다용도 광폭 계단 :
수직 이동 통행 외 대규모
강의, 휴식, 통행, 행사를
위해 대형 스크린, 화이트
보드, 음향 장치 등 설치
다용도 학습 복도 :
통행 외 휴식, 독서, 사교,
학습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과 좌석 , 모니터,
화이트 보드,게시판 설치
현관 홀과 구령대를 연결하여 다목적화
파주 웅담초는 현관 홀과 구령대를 연결하여, 놀이, 휴식, 강의 등, 독서가
가능한 다목적 공간으로 조성했다.
02. 다목적·다기능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다목적 이용을 위해 다양한 내부 구역을 설정한 학습 공간들
Norva Nevel. Next Generation Learning Spaces. norvanivel.com
19
다목적 도서관
학습, 놀이, 독서, 공유 등 다목적 이용을 위해 가구, 소파, 쿠션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활동 구역을 설정한 초등학교 도서관 디자인
다목적 공연 예술 공간
연주, 연습, 휴식, 공연, 토론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있는 다목적 공연 예술
공간, 손 쉽게 이동 가능한 가구를 사용하여 바닥 공간을 넓게 전환할 수 있고
음악 외 다른 신체적 활동이나 연극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기본 흡음, 차음,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
02. 다목적·다기능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20
◉ 특별 교실에서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과거 특별교실들은 대개 과목 구분에 따라 실 단위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현대 학교들은 학제 간 경계를 넘어
융합교육을 지향한다. 학교는 폭 넓게 학생들이 관심을 갖는 다양한 문화적 활동을 즉, 콘텐츠 제작, 춤, 무용,
신체적 움직임, 노래와 연주, 사진, 디자인, 영상, 미술, 만화, 연극, 가사, 요리, 공예 등 다양한 활동을 공간과
설비로 지원해야 한다. 학교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이 모든 활동에 대한 공간 수요를 개별적으로
모두 만족시킬 수 없고, 공간 이용효율과 공간 구성의 경제성과 총 면적의 제약을 제고해야 한다. 기능과 설
비, 공간의 디자인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다목적, 다기능의 특별교실로 구성하거나, 전문 학습 영역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하여 클러스터화한다. 예를 들어 기술-과학 학습 클러스터, 가사(또는 실
과)-요리 클러스터, 음악-공연-신체활동 클러스터, 예술-디자인-제작 클러스터 등 학교 상황과 교과 과정
연계성 등에 따라 조합은 변경할 수 있고, 학교의 특성과 학교급 별, 특화 교육 내용에 따라 전문 학습 영역의
공간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
다기능·다목적 전문 교실들은 방과후 수업이나 주말 주민들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주민들에게도 개방할 경우 교육 자료나 장비, 도구에 대한 적절한 안전 보관을 고려해야 한다. 다양한 사용자
그룹 (예 : 잠금 식 캐비닛)을 위한 충분한 크기의 보조실과 보관 옵션이 중요하다. 가능하면 전문학습 영역
내부에 여러 특별과목 교실의 활동이 교차하거나 융합될 수 있는 공용 구역(학습거실 또는 학습복도)를
중심에 배치한다. 또한 클러스터 내에는 교구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조공간을 두어야 하고, 학교 밖에서
쉽게 접근 할 수 있어야 한다.
특별 교실들은 일반교실에 비해 1.5~3배 이상 규모의 확장교실로 조성하되, 실습과 동시에 내부에서 수업과
토론, 활동, 정보 검색을 위한 구역을 설정해야 한다. 소 그룹 프로젝트와 토론을 지원할 수 있도록 화이트
보드, 스마트 보드나 단초점 프로젝터, 다양한 벽면의 화이트 보드 설치를 권장한다. 무엇보다 각각의 다기능
특별 교실들에 설치되는 기능과 설비들은 각 활동의 요구에 적합하게 세밀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특별과목 교실에서 전기, 가스, 물, 인터넷의 이용 편의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특히 전기 공급선은 가능한
천정 거치형 또는 뜬 바닥 매립형으로 설치한다.
일반교실과 달리 전문적 활동과
수업의 특성상 특별히 요구되는
공간 기능과 디자인, 설비를
요구하는 특별교실은 개별 활동에
따라 분리된 단위 교실로 모두
구성하지 않고, 주제 및 활동의
유사성과 공간에 제공되는 기능
설비, 디자인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다기능, 다목적 전문 교실로
조성하거나, 클러스터화한다.
특별교실은 일반 교실에 비해
1.5~3배 이상 규모로 조성하고
실습, 실험 및 수업, 개별 또는 그룹
활동이 가능하도록 구역을 설정한
다.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전문학습 영역 클러스터 사례- Geschwister Scholl Stadtteilschule
21
Montag Stiftung Jugend und Gesellschaft Fünfmal Phase Null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전문 학습 영역에는 과학실, 음악실, 미술실, 실과실, 소 그룹실, 각종 준비실과
다목적 공용 공간(학습 거실 또는 학습복도)를 포함하고 이들 각 특별과목 교실
(일반 교실의 약 1.5배 규모)들은 부속 공간으로 준비실을 갖는 전문학습 영역
클러스터로 조성한다. 준비실은 보관, 준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각 특별교실들은 가능한 외부 공간으로 직접 연결하어 야외 공간으로 접근성과
야외 활동을 촉진한다. 전문 학습 영역 중앙의 복도를 대신하는 공용공간(
학습거실은) 4m 이상의 폭, 122.5m2
규모의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며 학습,
작업, 활동, 휴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각 교실에 광폭의 문을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개방하여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성과 개방성으로
인해 특별 과목 간 학제를 넘어 융합 교육과 협력, 경험과 활동의 교류를
촉진한다. 특별 교실들은 방과 후 과외(방과후) 수업에도 이용하도록 한다.
면적 기준이 허락하는 경우 전문 학습 영역에 외부 전문 강사나 특별과목
교사를 위한 교사실이나 홈베이스(의류물품보관 구역), 검색부스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 학교의 경우 근접해 있는 일반학습클러스의 교사실을
사용하거나, 전문학습 영역의 소그룹실을 교사실로 대체할 수 있다.
◉ 전문학습 영역 클러스터 기획 사례- 연천초
22
연천초 학교공간혁신 사전기획 2021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23
활용 : 학교의 음악, 무용, 기타 신체활동 특별 교실, 특별한 요구에 따른 차별화실, 방과 후 교실을 위한 사용(요가, 무용, 음악 수업), 소규모 공연 장소 등으로
활용
장비 : 신체 접촉이 부드럽고 너무 차갑지 않은 나무 바닥 또는 기타 바닥, 방음, 차음, 치워서 적재할 수 있는 경량의 다양한 가구, 무대 커튼을 활용한 다양한
실내 상황을 연출할 수 있도록 천장 커튼 레일 설치 권장
배치 : 수업 시간 중 사용 뿐 아니라 방과 후 에 다른 동아리 활동이나 주민 활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안전과 보완, 공간 관리를 고려해야 한다. 행사 시
활용성을 위해 가능하면 학교 중심의 복합형 광장 공간(커뮤니티 영역)에 근접 배치를 권장한다. 차음이 적절치 않고 소음이 우려되고, 커뮤니티
영역과 일반 교실이 근접한 경우 별도의 전문 학습 영역 내에 이들 교실들을 배치할 수 있다. 학제 간 프로젝트 교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음악실은
예술, 창작, 디자인을 위한 교육 영역 또는 춤과 동작을위 한 학습 환경과 결합 될 수 있다.
구성 : 음악실은 학교 규모와 관계없이 악기 연주를 위한 공연실과 노래 합창을 위한 교실로 최소 2 개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때 가변
가능한 벽체, 접이식 문, 대형 미닫이문, 포켓 도어 등을 활용하여 유연하게 분리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악기 연주를 위한 공연실과 노래 합창을
위한 음악실 간에 중간 문을 설치하여 수업 중간에도 두 개의 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합창교실은 합창 수업에 적합한 계단식
좌석을 조성하거나 비치한다. 필요에 따라 합창실 또는 공연실은 소규모 공연과 발표를 위한 장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객석 공간을 구성한다. 음악실과
공연실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연결된 악기 보관실을 조성하거나, 공연을 위한 준비실을 조성할 수 있다. 악기 이동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강당
또는 복합 광장의 무대로 이동이 수월하도록 바닥 단차나 턱을 없애도록 한다. 특별한 차별화 구역 및 틈새 구역을 설정하지 않으나 층고를 높일 경우
무대, 공연 공간으로 연출하여 활용하기 좋다.
기능 : 관련 실내 음향 및 조명, 기술적 요구 사항 (음악 시스템, 악기 보관을 위한 항온항습 조정)을 고려해야 한다.
기타 : 공연 예술에 특화된 학교의 경우 개별 연습실이나 그룹 연습실은 음악실, 공연실 또는 공연장과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그룹 또는
개인 연습실의 문은 밖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반드시 유리 창을 설치한다. 또한 가능한 그룹 또는 개인 음악 연습실은 음악교실(또는 연주 교실)
내부에서도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개구부를 연결하지만, 방과후 이용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면 복도에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또 다른
출입문을 설치한다.
참고 : 현대적 학교의 음악 교육은 기악, 합창, 무용, 전자 기기를 활용한 미디 교육, 시청각 활동과 융합되므로 이를 위한 공간적 고려가 필요하다.
◉ 음악/댄스 /신체 활동 다목적 전문교실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위 : 이동 가능한 계단식 소형 무대를 설치하거나
아래 공연장의 느낌이 나도록 계단식 좌석을 만든 음악교실
위 : 무용 등 신체활동을 위해 마련된 공연연습실
좌 : 연극적 수업 또는 발표를 위해 간이 무대를
설치한 교실
24
김성원. 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활용 : 그림, 직물 작업, 종이, 재료 (나무, 점토, 금속 등)를 사용한 공작이나 그 이상의 예술적 디자인, 디지털 미디어나 사진을 활용한 창작 및 디자인, 작업 결과 발표와
전시 수공예 및 프로젝트 수업, 방과 후 교육, 방과 후나 주말 주민의 교육 장소로 활용 고려.
구성 : 목재, 직물 또는 디지털 미디어 작업을 위해 각각 조성된 여러 개의 상호 연결된 공간 또는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좋으며, 작품 결과물을 전시할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정 차별화 구역 또는 틈새 구역 없지만, 내부에 작업, 전시, 재료나 작품 보관 구역 또는 보관실을 설정한다.
느낌 : 창의적인 작업 분위기
장비 : 작업대는 견고하고 단단한 표면, 재료 및 결과물 보관 전시 영역, 게시판, 개수대, 대형 보관실 / 선반과 찬장이 있는 대형 보관실. 실습 비율이 높은 과목은 적절한
기본 장비를 갖춘 공간이 필요하다. 기술실과 작업장에서는 환기, 음향, 바닥, 인프라 및 탈출 경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중요 : 오염이나 스크래치, 하중에 저항성 있는 바닥재
배치 : 가능한 경우 다른 특별 교실들 상호 연결 또는 가변 확장 고려. 목재 및 금속 작업을 위한 기술실과 주변의 공용 공간과 근접 배치를 권장한다.
연결 : 외부 창작 작업이나 제작 활동이 수시로 필요할 수 있으므로 외부 작업 공간과 직접 접근 가능하도록 통로 마련
참고 : 특별 교실의 주민 사용을 최적화 하려면 몇 개의 잠글 수 있는 보관실을 내부에 할당해야 한다.
전문화된 제작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제작의 특성(목공, 금속, 철공, 도예)에 따라 별도의 기능(화재 예방, 분진 처리, 소음 방지, 습식 작업)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분리하여 조성하거나, 내부 작업 특성에 따라 구역 설정을 한 통합 작업 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다.








◉ 제작-예술-디자인 다목적 전문교실
◉ 실과-가사 전문교실

식사 준비 및 제공, 옷 세탁 및 관리, 생활 공간 청소 및 관리 등 가사 관련 수업과 활동을 위해 사용한다. 위생을 위해 의류 관리 영역은 식품 영역과 분리되어
조성해야 한다. 식품 영역 또는 요리 수업실의 경우 텃밭을 외부에 설치하고 직접 연결되는 것이 좋다.

중등학교 이상의 경우는 세탁, 봉제 등 가사 교육과 섬유, 공예 등 연관성 높은 실습 교실을 기타 보조교실, 교구재실, 준비실 등 부대 공간, 전시공간과 함께
클러스터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디자인, 패턴, 재단, 봉제, 세탁 등 작업 특성과 사용 장비의 특성에 따라 배수, 환기, 전기 배선 등에 유념한다. 봉제, 섬유, 세탁 등 특성을 고려한 재료 및 도구
선반을 제작한다.

초등학교의 경우 실과 실습의 단순성과 수준 등을 고려할 경우 단일 교실로 구현 할 수 있지만 내부에 설치 장비에 따라 기능을 달리한 구역을 설정한다.

실습 시 교사가 하는 실험 , 실습 시범을 학생들 이 각자 본인의 실습 자리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교사 실습대 상부에 반사경이나 모니터를 설치하는 사례도 있다.
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야 하는 가사의 경우 조별 실습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하나의 공간 안에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5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미술재료와 도구함, 넓은 작업대를 비치한 미술실들
위 : 모니터가 여러대 설치된 요리 실습실
아래 : 가정 주방처럼 꾸민 요리 실습실.
26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6.3 영역 별 공간 구성 모델
이하 전문 학습 영역 다이어그램 및 설명 포함
6.3.2 전문 학습 영역
27
연천초 학교공간혁신 사전기확보고서. 2021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일반 학교의 기술 수업을 위한 학습 공간은 다목적 작업 공간으로 설계한다. 그러나, 전문성을 요구하는 작업 기술 및 실습, 이에 필요한 장비 (예 : 목공, 금속 가공,
전기 공학)를 설치하는 경우 작업과 설비의 특성에 따라 작업공간을 분리하여 조성한다. 각 기술 전문 작업실은 소음, 진동 및 먼지로 인해 다른 작업장 외 공간들이
훼손되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배치해야 한다. 특히 안전 및 건강에 대해 주의한다.
 유해 물질은 작업장 외부의 별도 보관실에 보관해야 한다. 제한된 범위에서 교사의 감독 하에 작동하도록 허용된 기계나 설비는 별도의 작업실에 보관해야 한다.
 기술, 제작, 학습, 자료 비치, 정보 검색, 프로젝트 작업을 위해 다양한 규모의 그룹, 즉 개별, 소규모, 대그룹 수업이 가능해야 한다.
 제작 중인 작업 과제물을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 기술관련 작업실은 가급적이면 학교 건물 1층에 배치해야 하며, 재료와 기계를 배달하고 배달하기 위해 외부에서 접근 할 수 있어야 한다.
 서로 다른 기술 교실 간의 시각적 투명성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 기술 관련 전문교실
◉ 자연 과학실

교실 내에 교사가 사전 실험을 해볼 수 있도록 충분한 교사 업무 및 실험 실습 공간을 확보한다.

과학교실은 지도(시연) 구역과 실험 구역으로 나누고 동시에 이론 강의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
실습 시 교사의 시연을 학생들 이 각자 본인의 자리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교사 실습대 상부에 반사경이나 촬영장치 및 모니터를 설치를 권장한다.

실험실 내 모든 가구는 가능한 바퀴를 장착하여 이동 후 고정 가능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작업과 작업 자세를 위해 높낮이를 조절하고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가구를 설치한다.

실험실 내 가구는 실험 테이블과 좌석, 재료 선반, 냉온수 사용 가능한 개수대, 환기 시설, 기구 비치 선반을 포함한다.

실험 테이블마다 작업대와 개수대를 조합하여 다용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
재료 케비넷 또는 선반은 아동의 신장을 고려하여 허리 높이 이하로 조성하여 입출고 시 안전을 고려한다.
28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약품 세척이 용이하도록 수전과 싱크대가 있는 작업대가 있는 과학실험실
위 : 미싱이 설치된 봉제실
아래 : 야외 공간과 연결된 목공실
중앙 작업대, 벽쪽 장비를 배치한 목공실습실
29
김성원. 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볅 디자인과 사례 2020
◉ 봉제, 과학, 목공 관련 전문 교실 사례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위: 충분한 이격 간격을 두고 CNC 설치
아래: 하부에 도색 재료를 비치할 수 있게 고안된 작업대
좌측 벽 상부 책 선반, 좌우측 벽 하부 공구 거치, 중앙 작업대, 전면벽 재료 보관함,
우측벽 제작장비 설치, 화이트 보드 및 보관 선반
30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사례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03. 커뮤니티 광장
3. 커뮤니티 광장
학교의 심장이 만들어지고 있다. OECD("Pisa and the Key Competences", 2005)는
미디어와 언어를 활용한 상호작용과 이질적인 집단에서 사회관계(이해와 소통, 배려,
협력)능력은 주체적이고, 경제적으로 자립적이며, 사회적,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하다는 주장과 함께 사회관계 기술이 학생들이 반드시 교육받아야 할
기초 역량이라고 발표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현대 학교들은 사회관계 기술의 함양을
주요한 교육 과제로 삼아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 공간을 속속 학교 내에 조성하기
시작했다. 이뿐 아니다. 지역 공동체와 학교의 협력과 교류가 중요해짐에 따라 주민들을
학교로 초대하여 교류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공간 역시 학교 내에 마련 할 필요가
높아졌다. 이러한 필요를 반영하여 현대 학교들은 식당, 카페테리아, 도서관, 현관 홀,
강당, 공연장, 검색 부스, 학습(자습) 센터 등을 공간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포괄하는
다목적 복합 공간을 학교의 중심에 조성하기 시작했다. 연령과 성별, 학급이 다른
학생들과 교사들의 일상적인 교차와 교류, 아이디어의 교환이 일어나도록 학교에
들어오면 반드시 거치게 되는 중심 위치, 즉 현관 홀을 중심으로 이 영역을 조성한다.
또한 주변에 학교 구성원 모두가 이용하는 공통 시설을 배치하거나 공통 공간들을 상호
가변적으로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개방성을 높이고 규모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조성하고
있다. 전체 학교 공동체가 모일 수 있는 이러한 커뮤니티 영역(다목적의 복합 광장 공간)
의 조성은 민주적 시민의식과 공동체 감각을 발전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학교의
커뮤니티 영역은 현대학교의 특징이 되었고, 종종 사람들은 이곳을 '학교의 심장'으로
불렀다.
커뮤니티 영역을 어떻게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까? 앞서 언급했듯이
특정 시간 대 외에 이용 효율이 낮은 대공간(식당, 도서관, 현관 홀)과 학교 전체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자주 이용하는 공간들을 학교의 중심에 유기적이면서 가변성 있게 연결하여
배치하고 학습센터, 행사장, 휴식과 놀이, 사교 공간으로 다목적화하는 방식으로 조성할
수 있다. 이때 주로 현관 홀 주변의 각 공간들을 가능한 가변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여
필요에 따라 개방성과 공간 확장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가벽 또는 광폭의 접이식 문, 대형
미서기 문이나 광폭 오버 헤드 도어를 설치하여 대공간화 할 수 있도록 한다.
‘학교의 심장’ - 다목적 복합 광장 공간으로
현대 학교들은 식당, 카페테리아, 도서관, 현관홀,
강당, 공연장, 검색부스, 학습센터등을포괄하는
다목적 복합 공간을 학교의 중심에 조성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커뮤니티 영역은 현대 학교의
특징이 되었다.
내외뉴스통신 2018.12.24
세종포스트 2020.08.01
31
아뜨리움 홀
세종예술고의중심
공간으로 조성되어
행사, 독서, 휴식, 공연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32
◉ 스마트 기반 광장형 공간
학교 구성원들의 일상적 교류와 교차를 통해 공동체성과 사회성을 함양할 "학교의 심장부 공간"의 조성이
중요하다. 미래 교육에서 사회 관계 기술의 함양이 강조되고 있고, 전체 학교 공동체가 모일 수 있는 일상 공간과
계기를 마련하는 것은 민주적 시민의식 함양과 사회관계 기술을 발달시키는 데 중요하다. 또한 지역 주민과
학교의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환대의 공간이 필요하다. 학교의 주요 전체 공용 공간에는 현관, 강당, 체육관,
도서관, 식당, 카페테리아, 다목적실 및 야외 공간이 포함된다. 현대학교는 광범위한 공식 및 개별, 그룹을 위한
비공식 활동을 위한 풍부한 공간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이용 효율이 떨어지는 대공간들이나 학교 전체
구성원이 사용하는 공용 공간들을 개별 공간으로 분리하기 보다는 통합하거나 근접 연계 배치하여 복합 광장형
공간으로 조성 한다.
복합 광장형 공간은 모든 사용자를 위한 입구 및 만남과 환대의 장소이자 학교의 교육 비전과 이미지를
전달하는 장소다. 가능한 전시 구역과 좌석 공간을 마련하고, 휴게 공간, 카페테리아, 강당, 도서관 등과 통합하여
전시, 행사, 공연, 휴식, 식사, 자습, 만남 등을 위한 다목적의 공통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곳을 중심으로
일반학습영역, 전문학습영역, 관리지원영역, 돌봄복지 영역 등으로 최단 거리에 연결하여 학교 전체 구성원들의
교차와 교류를 촉진하도록 한다.
강당 겸 체육관은 다목적 공간으로 조성되었으나, 기존 학교에서 본관과 분리 조성되어 접근성이 떨어지고
일상적으로 이용되지 못했다. 강당 겸 체육관을 학교 생활에서 실질적인 공동 장소로 전체 모임과 공연의 중심
장소로 재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체육관 겸 강당은 가능한 본관의 광장형 공간에 근접 배치하거나 일부
기능을 통합하여 연결한다. 분리된 강당이 지역의 주민들을 위해 개방될 경우에는 방과 후 사용을 위한 별도의
출입구나 입출입 관리 정책이 고려되어야 한다.
식당 또는 카페테리아는 식사 제공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학교 생활에서 사교적 소통의 장소로 활용되고, 필요에
따라 독서 및 휴식 공간, 놀이 공간, 방과후 취미활동 및 수업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위생법 상
제약이 있으므로 평소 일정 부분 분리하고, 필요에 따라 가벽이나 접이식 문을 사용하여 복합 광장형 공간으로
연결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치로 학교 전체의 공간 이용율을 높일 수 있고 미래학교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경제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현관 홀을 중심으로
공간이용율이 떨어지는 학교 내
대공간들과 공용 공간들을
통합하거나 근접배치하여
유연하게 연결하므로써
공동체족 소통, 시민늬식 함양,
지역 공동체와의 협력과 교류를
위한 광장형 공간을 조성한다.
이곳은 유무선 통신과 전력,
음향, 조명 시설 등을 제공하고
학습, 사교, 휴식, 행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반 광장 공간으로
조성한다.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용도 : 중앙 통로 및 방과후 활동을 위한 입구, 휴게실, 학교 모임 및 대규모 행사, 공연, 기악 연습 공간, 가벼운 수업 및 조회 공간 등으로 사용.
* 교육공동체 의견을 수렴하여 다양한 복합 기능을 가진 공간으로 조성
구조 : 더 큰 고정 구역 (좌석 계단이 있는 계단), 무대로 사용할 수 있는 구역 설정, 소규모 그룹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다양한 틈새 구역, 가능한 경우 곳곳에 분산,
분리된 소그룹실이나 구역을 설정하고, 의자 보관 구역, 학생 작업을 위한 발표 전시 공간 등을 설정.
느낌 : 환영하는 분위기로 친근하며 매력적. 소규모 및 대규모 모임을 위한 좋은 환경, 필요시 학교 파티 및 공연등의 분위기 조성
장비 : 이벤트 설비(조명 조절, 음향 시스템, 정전 옵션, 간이 설치 무대,) 및 정보통신망 및 검색 부스 제공
연결 : 실내 광장(현관 홀) 입구 영역에 가능하면 학교 전체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용 공간이나 다목적실, 음악 관련 공간, 도서관, 체육관, 식당, 화장실 등을 근접
배치하고, 유연한 연결과 가변 개방하도록 한다. 방과 후 활동을 위해 근접한 카페테리아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복합적 이용을 위해 용도에 따라 음향 시설, 방음, 의자 수납, 조명, 식음, 학습, 놀이 등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틈새 공간과 좌석을 배치한다.

복합 광장 공간 내부는 가구나 오브제, 낮은 칸막이나 바닥 재료와 패턴, 색상을 달리하여 내부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
규모를 크게 조성할 여건인 경우 휴식을 위한 개별 공간이나 모둠 좌석, 놀이 공간, 정보 검색, 숙제, 부모와 대화 좌석, 부모들의 대기 구역을 설정한다. 이곳에 학생들이
쉬는 시간 뿐만 아니라 발표 무대나 자유롭게 놀이할 수 있는 다양한 기구들을 설치할 수 있다.

커뮤니티 영역의 중심부는 자연 채광과 적극적인 조명을 통해 밝고 환한 공간으로 구성한다.

가능하면 층고 높은 중공 또는 천창이 있는 아뜨리움 공간으로 조성하여 개방된 공간감을 갖도록 한다. 단 환기와 여름철 강한 일사 차폐 기능을 지원한다.

커뮤니티 공간 내 대 공간 또는 근접한 대 공간들은 가변 가능한 가벽, 폭이 넓은 미서기 문, 접이식 문 등을 활용하여 유연하게 연결하거나 확장하거나 분리 한다.

식당을 접이식 문으로 연결하여 점심시간 외 휴식과 학습, 활동이 가능한 카페테리아로도 활용하거나, 특별한 행사를 위해 개방 연결하여 더 큰 좌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성한다.

복합 광장형 공간은 근접 공간들을 개방하여 최대 확장 시 학교 구성원 전체 또는 인근 주민들이 행사를 위한 충분한 면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
가능한 경우 광폭 다목적 학습 계단 좌석을 설치하여 이동, 행사, 학습, 발표, 휴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 광장형 공간 권장 사항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커뮤니티 영역의 구성 사례들
Neue Lernziele brauchen auch neue Räume. Bauwelt 29–30| 2013
34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35
Montag Stiftung Jugend und Gesellschaft Fünfmal Phase Null
Thomas Mayer https://www.bauwelt.de/themen/bauten/Geschwister-Scholl-Gesamtschule-
Sanierung-Luenen-Hans-Scharoun-Oskar-Spital-Frenking-Michael-Schwarz-2159207.html
https://gsst.hamburg.de/author/gsst/page/4/
◉ 광장형 공간 조성 사례 – Geschwister Scholl Stadtteilschule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36
◉ 광장형 공간 조성 기획 (예시)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장안 초등학교는 사전기획에서 커뮤니티 영역은 층고 높은 대형 현관
홀(가능한 천창이 있는 아뜨리움으로 조성)을 중심으로 대 공간인
도서실과 체육관을 직접 연결하고, 다문화 교육과 표현, 전시의
공간으로 융합교육실(능동학습교실 겸 다문화어울림 공간)을 배치한
다. 이곳은 공용교실로도 사용 가능하다. 커뮤니티 홀은 다목적
공간으로 공연, 연습, 행사, 수업, 놀이, 휴식의 공간으로 활용하여
지역민에게 방과후나 특별한 행사를 위해 개방하는 공간으로 조성한다.
화장실은 커뮤니티 홀에 두어 학생, 교사, 방문자가 이용케 하고,
체육관에는 화장실과 탈의실을 보조 공간으로 조성한다.
식당은 단지 급식 공간이 아니라 내부에 가변 벽체나 낮은 분리
칸막이나 오브제 등으로 구분된 다용도 구역을 두고, 점심식사 시간
외에 휴식, 수업, 활동 등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주요한
학교의 다목적 공용공간으로 조성한다. 식당은 외부의 중정으로 직접
접근 가능하다.
방과후 관리가 필요한 돌봄 교실도 커뮤니티 영역 내에 둔다.
중정(야외공연 가능)
다목적(공연, 연습, 행사, 휴식,
학습 등 / 주민 이용 개방 )
내부 가변
다목적 구역 포함
◉ 광장형 공간 조성 기획 사례 – 화성 장안초
37
장안초 학교공간혁신 사전기획보고서 2021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텍사스 마너 ISD 신기술학교(Manor ISD—NewTechMiddle School)는 2007년 개교 당시 오바마 대통령이 방문한 미래 기술 지향적 공립학교다. 이 새로운 학교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 교육학을 강조하는 New Tech Network 학교로 설립된 시범학교다. 개교를 준비한 기획위원회는 학교의 내부 공간은 조용히 혼자서 공부하는 것부터 시끄러운
그룹 작업까지 다양한 규모의 활동과 수업, 학습을 지원하는 학교로 건축하고자 했다. 마너 학교는 확실히 다른 학교들과 다르다. 3층에 걸쳐 수직으로 열려 있고, 학교
곳곳은 이동식 테이블, 의자, 화이트 보드로 채워져 있다. 이 학교에는 교실이 따로 없다. 소그룹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공중으로 돌출된 작은 상자 같은 방이 있을
뿐이다. 이곳에는 모니터가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이 학교의 대다수 수업은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초기 다소 혼란을 주었지만 전통적 강의식 수업보다
더 많은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미래 학교의 모델을 따른다. 이 학교에서 놓치지 말고 주목할 공간은 중앙의 다목적 학습 허브(중앙 광장 공간)다. 주변에는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공용 공간들이 있다. 이곳은 다른 공간들로 이어지는 통로가 집중되며 순환이동이 일어나는 교차 장소다. 다소 번잡한 대형마트의 푸드코트를
연상시키는데, 언듯 보기에 카페테리아처럼 보이기도 한다. 단순히 식사만 하는 공간이 아니라 교실이자 도서관이기도 하다. 한편에는 무대까지 설치되어 있다. 학습 허브
주변 곳곳에 분산된 자료와 미디어들을 이용할 수 있다. 교사업무 구역부터 협업 공간까지 다양한 구역들이 뒤섞여 있다. 당연히 이곳은 엄숙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시끄러운 광장을 권장한다.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때 스스로 가르치고, 친구를 가르칠 때 내 이해하기 시작한다.’는 교육철학에 맞춰 마치 유대인들의 도서관에서 처럼 서로
토론하며 동료학습을 하는 학생들로 가득 차 있다. 이곳에서는 학령이 다른 학생들이 서로 관계를 맺거나 사회성을 키우고 협력한다. 학교 공동체의 소속감과 정체성을
경험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워낙 인기가 많은 학교라 이 학교를 보내고자 하는 부모들때문에 이곳은 추첨을 통해 학생을 선발한다.
◉ 광장형 공간 조성 기타 사례- Manor ISD—New Tech Middle School
38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광장형 공간 조성 기타 사례
39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40
◉ 학교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도서관을 매력적이고 편안한 장소로 바꾸어야 한다. 엄숙주의가 전체 분위기를 지배하는 도서관은 점점 더
과거의 유물이 되어가고 있다. 조용히 책을 읽을 공간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한다해도 과거처럼
허리를 곳곳이 펴고 앉아 독서하는 모습을 기대할 수는 없다. 학생들이 혼자 있을 수 있는 조용한 동굴 공간을
마련하고,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카페트나 푹신한 바닥과 안락한 소파, 계단식 의자, 함께 둘러 앉을 수 있는
좌석과 테이블,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책걸상을 배치하는 것은 점점 더 학교 도서관에서 기본이 되어가고 있다.
낭독이 가능한 이야기방이 필요하고, 책에 대해 여럿이 토론할 수 있는 그룹 모둠(Pod)공간이나 동료학습이
가능한 소공간, 책에 대해 바로 발표할 수 있는 화이트 보드를 곳곳에 설치해야 한다.
학교 도서관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과거 교실동의 한쪽 끝이나 별도의 건물동에 배치되었던 도서관은
이제 점점 학생들의 일상적 접근과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학교의 중앙 커뮤니티 영역의 복합 광장형
공간으로 이동하고 있다. 학교의 중심인 대형 현관 홀과 도서관을 통합하여 거대한 복합 학습센터나 학습
허브로 통합하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다. 정보 조사, 읽기, 학습 및 활동 센터로서의 학교의 도서관은 그
내부에 소규모 그룹에서 개별 학습 및 프로젝트 수행 및 수업의 장소로서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학교
도서관의 내부 구조는 도서, 정보 검색 및 미디어 영역 외에도 별도로 분리된 조용한 독서 및 학습이나 소규모
그룹 작업을 위한 별도의 소공간 또는 구역을 설정해야한다. 학교의 규모에 따라 중앙 도서관 외에 학교
건물동 또는 영역별로 소규모의 도서미디어 구역을 분산하여 조성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 접속과 멀티미디어 정보 자원의 제공은 현대 도서관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유무선
통신망 지원 및 충전 콘센트의 제공이 필수다. 많은 도서관들은 책 외에도 CD, 영상파일, 전자북, 음성 정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학생들의 자율 학습과 교사들의 수업에 활용하고 있다.
곳곳에 인터넷 접속이 가능할 뿐 아니라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검색대들이 곳곳에 등장한다. 컴퓨터실이나 영상정보실은 도서관의 일부가 아니라 중요한 요소가 되며
과거에 도서관의 서가와 도서 열람실 그 이상으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노트북과 연결할 수 있는
프로젝터나 대형 모니터, 스마트 보드, 검색 키오스크는 점점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기술 지원
사항이 되고 있다. 세계의 학교들은 특히, 이러한 점을 강조하며 도서관의 역할을 멀티미디어 학습공간으로
인식을 바꾸기 시작했다.
학교도서관은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로 조성하고, 가능한 학교
중심의 복합 광장형 공간에
통합하거나 근접 배치하도록 하여
학생들의 일상적 이용을 촉진한다.
도서미디어 학습 허브 내에는 서가
외에 집중할 수 있는 열람 공간,
개별 및 그룹 활동을 위한 개별
공간과 모둠 공간을 제공하고,
수업과 다양한 교육 활동이 가능한
영역을 설정한다.
현대 도서관은 유무선 통신망과
충전 인프라를 지원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및 인터넷 정보자원에
손쉽게 접근하도록 영상정보실 또는
구역과 정보 부스 등을 포함한다.
03. 커뮤니티 광장- 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학교 도서관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서실 내에 다양한 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야기 수업을 위한 구역, 개별 독서 구역, 소그룹
좌석이나 소그룹실, 누워서도 활동할 수 있는 카펫 구역은 물론 도서실 내 수업과 활동이 가능한 구역을 조성한다.
 이야기 구역은 가급적 포근하고 , 아늑한 분위기의 색채( 난색계 ) 와 재료 (카펫)를 사용하여 학생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조성한다.
 벽면 일부에 바닥을 2~3 단 낮게 계단을 조성하여 시청각 자료를 볼 수 있는 아늑한 소규모 시청각 공간 또는 영상 감상이 가능한 공간을 조성한다. 이때 방음
가능한 공간으로 분리할 수 없을 경우 독서에 방해되지 않도록 무선 헤드폰 등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도서실에 무선인터넷 환경을 구축하여 언제든지 정보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고, 온라인 정보자원 검색하거나 학생들의 노트북을 연결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대형 모니터를 여러 곳에 설치한다.
 초등학교의 경우 서가를 낮게 하여 도서실 내부를 보다 개방감 있고 ,쾌적하게 조성하는 것이 좋으며 , 공간을 변형할 수 있도록 이동식 서가를 배치한다.
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신장 차이를 고려하여 도서실 내 대출 데스크의 높이를 각기 다르게 조성한다.
 학교도서관 내부의 공간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가볍고 이동이 편리한 스툴 (stool)이나 가벼운 방석이나 빈백 (beanback)을 비치할 수 있다.
 도서실 곳곳에 화이트 보드나 필기 벽면을 설치하여 발표와 토론, 공동 작업을 촉진한다.
 도서실과 인접한 야외 공간이 있는 경우, 차양이 있는 데크(deck)와 테이블과 좌석을 설치하여 야외 독서 공간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학교 도서관 권장 사항
Montag Stiftung Jugend und Gesellschaft LEITLINIEN FÜR LEISTUNGSF HIGE SCHULBAUTEN IN DEUTSCHLAND
Ä 41
3. 커뮤니티 광장- 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빅월넛 중학교. 대다수 의자, 모니터, 테이블에 바퀴가 달려 있어 이동하기 쉽다. 도서 외에 멀티미디어 자료가
비치되어 있고, 인터넷과 연결된 대형 모니터를 학생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터치 스크린과 모니터를 그룹학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도서관은 멀티미디어 기반 학습
장소로 변모했다.
◉ 기타 도서관 조성 사례
42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3. 커뮤니티 광장- 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이야기 학습, 그룹 학습, 개별 학습 등을 지원하는 도서관의 다양한 좌석 공간 배치
◉ 기타 도서관 조성 사례
43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3. 커뮤니티 광장- 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위 : 학교 중앙 홀 전체를 사용하는 도서관
아래 : 케에센( 泉
恵 )여학원 중고등학교 1층 전부 도서관
위 : 휴식과 독서를 유도하고, 행사를 위한 특이공간
아래: 그룹 독서 모임을 위한 공간
그룹 또는 개별 독서를 위한 부스형태 공간
◉ 기타 도서관 조성 사례
44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3. 커뮤니티 광장- 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서울 강서고 도서관 내부의 학습 카페와 소그룹실, 열람실 결합
상주 낙운중의 도서관, 편안한 좌석 공간 형태의 열람 좌석 및 수업 및 휴식 공간
◉ 기타 도서관 조성 사례
45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3. 커뮤니티 광장- 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04. 다용도 비공식 공간
4. 다용도 비공식 공간 아동복지와 관련한 학교의 역할이 증가하면서 종일학교로서 유치원, 돌봄교실
방과후교실, 특수학급을 운영하고 있다. 아동들이 학교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학교
생활을 위한 편의 공간을 곳곳에 제공할 필요가 높아졌다. 고등 학교에서 고교학점제의
도입으로 공강시간에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의 자습이나 휴식을 위한 공간도
제공해야 한다. 미래 학교는 지금과 같은 대집단 학습 보다는 소그룹 토론과 프로젝트
수행, 특히 개개인에 맞춘 개별 학습과 과제 수행이 중요해진다.
- 개별 공간
"개성화", “개별화”는 미래 교육의 큰 방향이다. 학생 개개인의 학습 경로와 진도가 매우
다른 것을 인정하고 이에 맞는 학교 교육과 공간 제공이 필요하다. 따라서 개별 학습과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이 필요하다. 개별화 맞춤 학습을 지원하는 온라인 쌍방향 학습
소프트웨어와 모바일 앱은 앞으로 이러한 변화에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지원하기 위해서 적절한 개별 작업 및 학습을 위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개별
공간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특히 조용한 구역 또는 공간이다.
학습 스튜디오(자율 학습실)는 각 학생이 마치 독서실처럼 개인 보관함과 핀 보드가
있는 자신에게 할당 된 책걸상을 제공한다. 이곳은 부분 조명 및 일정 수준의 음향 차폐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공간은 조용하고 방해 받지 않는 개별 집중 학습 공간이지만 전체
학생들에게 모두 제공하기 위해서는 넓은 면적이 필요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공유학습
공간(학습 카페)은 개개인에게 할당되지 않는 공동 이용 학습 공간이다. 이곳은 좌석이
제한되며, 특정 정원 이하로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순환된다. 대체로 조용하고 질서
있는 개인 자율 학습 공간이지만 개개인에게 독점적이지 않다. 공유학습 공간 역시 면적
제한 때문에 종종 학교에서 별도로 조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미래학교에는 개별 또는 그룹 학습 활동,
생활 편의를 제공할 비공식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기 보다는 학교 곳곳의
틈새 공간에 조성하거나, 다양한 공간
내부에 비공식 공간 구역을설정할수있다.
청주일보 020.09.23
46
복도의 비공식 공간
청주 원평중학교 복도에 조성된
벽감 공간과 창턱 좌석
◉ 개별 또는 그룹을 위한 비공식 공간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그룹 공간(모둠, Pod 공간)
학생들은 미래 학교에서 다양한 규모의 그룹으로 프로젝트 작업 뿐 아니라 토론, 세미나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함께 배우거나 친분을 쌓는다. 학습 그룹의 구성은 과목 선택 뿐 아니라
개인적 관심 주제에 따라 결정된다. 수년을 거치며 공통 관심사를 가진 학생들이 서로를 알아
가고 학교에서 사회적 관계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 소규모 그룹들은 교실 내부의
소그룹실이나 교실 내부의 차별화 구역을 이용할 수 있다. 학습 클러스터 내 학습 복도나 학습
거실 등 공용 공간의 일부 구역도 그룹 활동을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비공식 공간은 개개 학생 또는 학생 그룹의 생활 편의를 제공하고 개별 또는 그룹 학습과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이다. 비공식 공간은 소그룹실을 의미하거나 교실 내부나
다기능의 학습 복도, 학습 클러스터 중앙의 학습거실, 창가 좌석, 벽감(Alcove) 공간,
카페테리아의 한 구석, 도서실의 일부 구역, 다목적 복합 광장의 구석, 도서실의 일부 좌석이
비공식 공간이 될 수 있다. 학교는 별도의 공간을 확장하지 않고 곳곳 틈새 공간에 비공식
공간을 조성하여 학습과 과제 수행, 휴식, 독서, 토론, 사교 등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용도가 특정되지 않은 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비공식 공간을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 의외로 간단하다.
Magda Biernat. https://images.squarespace-cdn.com
Magda Biernat https://cdn.trendhunterstatic.com
Danish Kurani. https://www.gettingsmart.com/
47
Alt School의 창가 좌석
◉ 개별 또는 그룹을 위한 비공식 공간
- 다양한 규모와 형태를 가진 소파나 빈백, 작은 테이블이나 좌석 배치
(그룹 공간의 경우 화이트 보드, 모니터 벽면 배치 권장)
- 바닥 난방 지원 또는 누울 수 있는 카펫 바닥이나 마루 공간 조성
- 시선과 소음을 적절히 차단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칸막이나 박스 공간
- 조명, 색상, 바닥재, 가벼운 목수 인테리어 작업물을 이용한 구역의 구분
그룹 활동을 촉진하는 안락한 소파
04. 다용도 비공식 공간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학교에서 공통영역의 변화
공통영역은 복도, 계단, 현관 등 통행을 위한 공간이다. 과거 전통 학교에서는 전체 면적의 25%를 차지했고, 이중 65%는 단순 통행을 위한 복도가 차지했다. 그러나,
현대 학교에서는 공통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44%로 확대되었고, 이 가운데 단순 통행만을 위한 복도는 23%로 감소했다. 대신 다목적의 공용공간을 겸하는 복도(학습
복도, 놀이복도, 생활 복도)의 비중이 43%, 라운지를 겸하는 복도 비중이 21%로 증가했다. 이처럼 현대학교에서 단순 통행만을 위한 복도 보다는 개별 또는 그룹 학습과
활동을 위한 다양한 비공식 공간을 복도에 설정한 학습복도, 학습거실, 놀이복도나 생활 복도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48
04. 다용도 비공식 공간- 공통영역의 변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Studio Mfd. https://www.officelovin.com
David Lena. https://media.edutopia.org
Rbb Architects. https://www.rbbarchitects.com
Finegold Alexander Architects. https://assets.website-files.com
Utile Design. https://www.utiledesign.com
ROGER HIRANO. https://d.newsweek.com 49
◉ 개별 또는 그룹을 위한 비공식 공간
볕 좋은 창가의 좌석, 안락한 소파, 벽감 좌석, 이동 가능한 간이 의자를 활용해서 학교 곳곳에 비공식 공간을 만들 수 있다.
화이트 보드나 모니터를 설치하여 비공식 공간에서 그룹 토론이나 발표 등 학습 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04. 다용도 비공식 공간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위 : 복도의 사물함과 간이 좌석, 책꽂이, 게시판
아래 : 옷과 사물 보관함, 간이 좌석을 복도에 설치
위 : 벽감 좌석과 벽의 화이트 보드 (비공식 학습 공간 유도)
아래 : 복도에 화이트 보드 설치(비공식 학습과 표현 유도)
위 : 확장 복도에 설치한 테이블과 좌석
아래 : 복도 교차 공간에 설치한 꼬투리 공간(Pod)
◉ 다목적 공용공간화 되는 복도들
50
04. 다용도 비공식 공간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복도의 협탁과 좌석 공간 넓은 창턱을 활용한 좌석 위 : 복도 바닥 놀이
아래 : 복도 짜투리 공간의 봉을 활용한 놀이기구
51
◉ 다목적 공용공간화 되는 복도들
04. 다용도 비공식 공간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1. 학교 공간 변화의 층위
학교 공간 변화는 다양한 위계적 범위를 갖고 있다. 가장 손 쉬우면서도 공간변화를 완결은 ‘학습 가구의
재비치 또는 교체’이다. 가구의 종류와 배치를 달리하여 동일한 공간(실, Room)내에 기능과 용도를 달리하는
구역(Corner)을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는 인테리어 작업이다. 실(Room)내 벽면과 지붕의 재료와 색상, 조명, 목수 제작 가구와 오브제,
바닥 및 실내 장식을 바꾸어 차별적인 공간 기능과 느낌을 만들 수 있다. 적지 않은 교사들이 기존의 획일적인
상자형 편복도 교실에 익숙해져 있어서 학교 공간 변화에 대한 교사들의 상상은 종종 인테리어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적지 않다.
공간 구성은 규모와 용도, 형태가 다른 여러 공간들의 분리와 배치, 상호 연결, 접근 관계 등 공간을 조직하는
작업이다. 학교 공간 구성은 주로 영역(Zone) 단위에서 건물동(Building)으로, 그리고 전체로 확대된다.
구조는 건물의 안전과 관계되고, 건물의 골조, 외형을 포함한 건축물(Building) 디자인에 영향을 끼친다.
학교 공간 변화를 위한 디자인은 인테리어 영역에 머물지 않고 영역(Zone) 단위 공간을 재구성하는 데서부터
시작해서 아래로는 실(Room) 단위 인테리어와 가구와 설비 배치를 통한 실 내부 구역(Corner) 설정, 위로는
건물동 배치와 구조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학교 단위의 공간 변화는
미래학교의 비전에 따라 학교공간
전체의 재배치와 재구성의
과정으로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 인테리어
영역에 머물지 않고 영역(Zone)
단위 공간을 재구성하는 데서부터
시작해서 아래로는 실(Room) 단위
인테리어와 가구와 설비 배치를
통한 구역(Corner) 설정, 위로는
건물동 배치와 구조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53
◉ 예시
54
◉ 예시
55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2. 영역단위 공간의 구성과 디자인
현대 학교 디자인은 실 단위가 아닌 영역 단위로 디자인한다. 왜냐하면 과거 획일적 교실이 학습 공간의
기본이었다면 현대 학교는 단일 교실 중심이 아니라 용도와 크기가 다른 여러 공간들을 다양학 학습 유형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하고, 교실 외 학교 전체 공간을 개별, 그룹 학습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학교의 공간 영역은 보통 교실들이 배치되는 일반학습 영역이다. 그 다음 예술, 과학, 공연, 가사, 기술 등
특별학습과 활동, 실습을 위한 전문학습 영역, 학교 전체가 이용하는 식당, 다목저 광장 공간, 다목적 실,
도서실, 카페테리아 현관 등을 포함하는 공통 영역(커뮤니티 영역 또는 복합 광장 영역이라고 부름), 교무실
숙직실, 보건실, 기계실, 방송실 등이 있는 행정 지원 관리 영역, 유치원, 돌봄 교실, 특수학급 교실 등이 있는
'돌봄 복지 영역'과 야외 공간으로 구분한다. 각 영역의 내부 공간 조성과 디자인은 미래 교육학의 요구에 맞춰
융합교육, 협력학습, 혼합 학습이 가능하게 조성하고, 주 학습 공간 더불어 개별과 그룹 활동을 위한 다양한
비공식 공간, 소그룹실 또는 기타 보조 공간, 위생 공간, 외부 연결, 공용 공간(학습거실, 학습 복도) 등을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구성한다.
현대 학교 디자인은 실 단위가 아닌
영역 단위로 구성하고 디자인한다.
일반학습 영역, 전문학습 영역,
공통영역(커뮤니티 영역), 돌봄-복지
영역, 행정지원관리 영역, 야외 공간
등으로 구분한다.
56
호주 서부 퍼스(Perth) 엘렌브룩(Ellenbrook)의 가톨릭 남녀 공학인 성십자가 학교(Holy Cross College)는 현대학교의 학습 공간 기준을 엿 볼 수 있는 좋은 사례다.
2014년 학교 건물을 증개축했다. 아동을 위한 조기학습센터, 초,중,고등 교실, 디자인 기술센터와 미술교실, 음악교실, 디자인실이 포함된 공연예술교육동과 제작교실,
과학실험실, 탈의실, 다목적실 등이 포함된 새로운 학습 공간을 증축했다.
성십자학교(Holy Cross College)는 중축을 하며 21세기 미래 교육의 이상에 따라 학습 공간의 특성을 정리했다. 이 학교가 설정한 21세기 교육의 비전은 학생들의 ‘
비판적 사고’와 ‘협업과 소통’, ‘창의력’의 개발과 성숙이다. 미래학교는 학생들의 참여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생 책임을 강조한다. 안전보다는 학생의 작업과 활동에
집중하고, 학생들에게 장소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하는 동시에 공동체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조성해야 한다. 이러한 21세기 교육의 이상과 미래학교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성십자학교(Holy Cross College)는 무엇보다 연령별 공간 특성에 따른 디자인 기준과 공통 디자인 기준을 명확히 설정했다.
[연령별 학습 공간 디자인 기준]
• 유아: 유연하고 안전한 ‘집’ 같은 공간
• 초등: 다양한 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개방적 학습 공간
• 중등: 가변 학습 공간과 유연한 다목적 휴게공간
• 고등: 개별 집중학습 공간과 그룹 학습과 프로젝트 공간
[공통 디자인 기준]
• 실내와 실외의 유기적 연결
• 연령별 놀이와 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야외 학습 공간’
• 큰 공간 내부의 ‘프라이버시 공간’ 허용
• 교실 및 소규모 공간의 투명성(가시성) 유지
• 모든 공식, 비공식 공간에 ICT를 광범위하게 지원
• 모든 영역에서 채광과 연결성 유지
3. 연령별 학습 공간 디자인 기준
57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① 학교의 학습공간 재구성을 위한 사전기획 과정에서 교육학과 건축의 연결은
핵심 이슈이다. 단순히 기존 학교의 개선 요소나 추가 공간 목록을 그대로
건축을 위한 공간 프로그램(Space Program)에 포함시키면 않된다.
② 미래 교육 비전과 미래 교육 목표, 미래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 필요한 공간
목록을 만들고, ①단계에서 파악된 목록과 함께 재정리해야 한다. 역시 이
단계에서 멈추어서는 않된다. 이 단계에서 요구되는 공간 목록은 대개 너무 길
다. 학교에 허락되는 면적이나 예산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기능별로 요구되는
모든 공간을 조성하다보면 종종 이용 효율이 떨어지는 공간들이 만들어진다.
③ 공간 이용율을 높이고, 경제적으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공간 목록을
압축해서 실행가능한 범위로 줄여야 한다. 어떻게 공간 목록을 압축할까? 우선
학습과 활동 유형의 유사성 또는 학습 주제에 따라 공간 목록을 분류해서
영역화해야 한다. 그 다음 영역 내 공간 목록들에서 공간의 기능과 설비의
유사성이 높은 공간들을 통합해서 다기능·다목적화하여 공간 목록을 줄여야
한다. 이렇게 다기능·다목적화 압축 과정을 거쳐야 공간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다.
④ 건축적 효율성과 경제성을 위해 반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간 구성 모델을
패턴화해야 한다. 공간 디자인 패턴은 주로 교실들이 배치된 일반학습영역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다. 전문교실 영역에서 공간 디자인 패턴은 각 전문교실들의
기능과 활동 특성에 따라 조금씩 변형된다.
⑤ 단위 공간(실) 내부에 다양한 역할과 활동을 지원하는 내부 구역을 설정한다.
구역 설정은 학습가구나 인테리어 오브제, 설비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58
①
②
③
④
ⓐ
ⓑ
ⓑ
ⓒ
ⓓ
ⓓ
ⓒ ⓒ
내부구역 설정
4.교육학과 건축의 연결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59
3개의 교실과 공용공간, 테라스, 계단실, 화장실이 포함된
학습 클러스터 구성이 반복적 패턴으로 발견된다.
5개의 교실과 공용공간,
화장실, 탕비공간, 계단실,
화장실이 포함된 학습
클러스터 구성이 반복적
패턴으로 발견된다.
규모가 다른 개의 교실, 중간에 폴딩
도어가 있는 확장형 교실 1곳,
교사업무실, 유연한 공용학습공간(
학습거실), 스튜디오라 불리는 기능적
공간 등이 반복적 패턴으로 발견된다.
선진 사례 학교들의 배치도면 분석을 통해 공간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
5 .공간 구성 디자인 패턴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60
유럽의 미래 교실 모델은 학습 및 교육의 다양한 유형을
지원하고 ICT 사용을 전제로 디자인 되었다. 유럽형
미래교실의 특징은 다양한 내부 구역을 설정이다. 내부에 교
환, 발표, 조사, 창작, 심화 등 5개의 학습 구역을 포함한다.
이처럼 미래 교실은 단일 공간이 아니며 여러 공간 또는
구역을 내부에 포함한다. 내부 구역은 주로 학습가구, 장비, ,
인테리어 요소 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5개의 내부 구역 설정)
(4개의 내부 구역 설정)
교실, 도서실, 광장 공간, 전문교실 등 각 단위 공간 내부의 내부 구역 설정까지 미래의
교육과 학습, 활동을 예측하며 디자인할 필요가 있다.
6.실 내부 활동 구역 설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그린학교 디자인
그린학교 디자인의 주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그린학교 디자인의 5가지 주제

쾌적한 학습 환경

실·내외 공간 연결

학습 정원

지속가능한 학교

생태환경 교육
첫째, 패시브 건축의 개념을 학교 건축에 도입하여 채광, 조명, 실내 공기,
온도, 음향 등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쾌적한 학습 환경'의 조성. 쾌적한 학습
환경의 조성은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가 우선적으로 요청하는 과제다.
둘째, 압박감을 주던 상자곽 같은 폐쇄적인 교실 구조를 혁신하여 학습과
활동을 확장하고 자연 접촉 기회를 늘릴 수 있는 '실내외 공간 연결'은 근대
학교 건축의 역사 속에서 중요한 과제였다. 다시 현대 학교들에서 발견되는
주요한 변화 중 하나다.
셋째, 학교의 대운동장 시스템을 야외 학습과 신체적 활동을 촉진하고 지역
주민과 함께 가꾸는 '학습 정원'으로 전환. 학교를 생태적이면서 동시에
풍부하고 다양한 관찰과 학습, 신체 활동의 요소와 환경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진행해야 한다. 특히 도시에서 학교의 이러한 변화는 도시의
열섬현상을 줄이고 소음과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효과를 갖고, 구성원들과 지역
주민들에게 건강한 휴식과 여가 환경을 제공한다.
넷째, 자연에너지 장비와 에너지 저감 설비, 건축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학교
건물에 도입하여 학교의 에너지 소비와 자원의 소비를 줄여서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학교' 조성.
이는 기후위기에 대한 학교의 적극적 대응이다.
다섯째, ‘그린학교’는 학교의 건물, 자연 에너지 설비, 학교의 숲을 활용하여
미래세대에게 생태적 감수성과 환경적 책임을 갖도록 교육한다.
기후변화, 생태위기의
시대에 대응하여 쾌적한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지속가능하게유지관리하며
학생들의 미래 환경에 대한
청지기적 책임감과 생태적
감수성을 키우는 학교
62
그린학교는 명시적인 학교의 에너지, 자원 저감 목표와 환경 교육계획 위에서 추진 되어야 한다. 특히 건축 과정
속에서 희석되지 않도록 학교 건축 과정에서 실현해야 할 요소들을 분명히하여 통합적이고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그
결과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63
패시브적 에너지 저감 건축 요소 도입을 통한
에너지 저감 및 쾌적한 학습 환경 조성
단열, 자연채광, 차양, 자연환기, 열교환 공조,
음향, 행동 감지 LED 조명, 빗물-중수 이용
대안 에너지 생산, 고효율 시설
태양광,풍력,교효율 바이오 매스 보일러,지열
실·내외 공간 연결
중정, 테라스 복도, 야외 계단, 외부 연결 교실
학교 숲, 학습 정원화
정원, 자연주의 놀이터, 체육시설, 야외 교실..
생태환경 에너지 교육
결과 측정, 재활용, 재사용, 에너지 교육, 환경 교육
그린학교 디자인의 주제
그린학교의 추진
그린학교 디자인
01. 쾌적한 학습환경 조성
64
St. Luke Primary School. https://architype.co.uk/ 2014. 10.16
Salford 대학
St’ Luke Primary School
자연환기, 채광
자연 대류현상을
활용한 자연환기
구조와
태양고도를
고려한 채광 구조
좌: 고측창
폭이 넓은 실내로
자연채광을
끌어들이기 위해
높은 위치에
설치한
고측창
1. 쾌적한 학습 환경 조성
영국 Salford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교실의 자연적 환경(채광, 조명, 온도, 공기
질)이 학업 성취도에 끼치는 영향은 49%
이다. 교실 디자인과 변화에 학생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참여하게 할 때 학습
효과는 ¼ 증가한다.
우: 수평 차양
하절기 뜨거운
일사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오버형
수평 차양
그린학교 디자인
◉ 패시브적 건축 요소 도입 사례
좌 : 환기창이 있는 통창
우 : 기계식 환기 파이프가
설치된 교실
좌 : 일사광을 막는 수평 차양과
수직 차양이 부착된 창
우 : 넝쿨식물을 활용한 녹색
커튼
65
01. 쾌적한 학습환경 조성 그린학교 디자인
◉ 패시브적 건축 요소 도입 사례
(Benjamin Franklin Elementary School의 자연환기 및 자연채광)
(수평 차양: 강원 섬강초등학교)
(Francis Parker School의 자연환기(관통 환기) 구
조)
66
01. 쾌적한 학습환경 조성 그린학교 디자인
◉ 패시브적 건축 요소 도입 사례
67
01. 쾌적한 학습환경 조성 그린학교 디자인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Contenu connexe

Tendances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Seongwon Kim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Seongwon Kim
 
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Seongwon Kim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Seongwon Kim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Seongwon Kim
 
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eongwon Kim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Seongwon Kim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Seongwon Kim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Seongwon Kim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eongwon Kim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Seongwon Kim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Seongwon Kim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Seongwon Kim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Seongwo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Seongwon Kim
 
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활 김
 

Tendances (20)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
 

Similaire à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Seongwon Kim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Seongwon Kim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Seongwon Kim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Jihyun Kim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Seongwon Kim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Minsoo Jung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hiiocks kim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Heekyung12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cbs15min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Kyubok Cho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은길 조
 
정영식 -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
정영식 -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정영식 -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
정영식 -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거꾸로 교실 함께 열기
 
[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
[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
[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선영 이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bskks606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alskdmfmxk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기현 김
 

Similaire à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20)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제본용
제본용제본용
제본용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정영식 -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
정영식 -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정영식 -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
정영식 -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
 
Dudwk7
Dudwk7Dudwk7
Dudwk7
 
Dudwk7
Dudwk7Dudwk7
Dudwk7
 
[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
[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
[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Plus de Seongwon Kim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Seongwon Kim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Seongwon Kim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Seongwon Kim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Seongwon Kim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Seongwon Kim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Seongwon Kim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Seongwon Kim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Seongwon Kim
 

Plus de Seongwon Kim (15)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0705

  • 1. 1 경기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 혁신과 디자인 경기교육청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추진단 Play AT 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장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https://www.facebook.com/groups/PaTI.Tech.Play
  • 2. 00. 경기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 혁신과 디자인 2 - 클러스터형 학습 공간으로 교실 구성 - 특별교실에서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로 - 학교도서관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 조성 - 스마트 기반 복합 광장형 공간 - 미래학습을 실험하는 능동학습교실 - 창의·지식활동을 위한 미디어 아트 스튜디오 - 배움과 활동을 확장하는 실내외 공간 연결 - 학교운동장 재구성과 학습 정원 - 쾌적하고 지속가능한 탄소제로 학교 - 지역의 생활문화 공공장소가 되는 마을학교 공간 재구조화 스마트 그린 학교 시설복합 0. 경기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경기도교육청은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추상적 지향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여기서 제시하는 내용들은 획일적이거나 강제적 지침이 아니다. 기존 학교 건축의 관행과 교육의 변화를 미처 수용하지 못하는 제도에서 기인하는 불필요한 논쟁이나 학교 현장의 혼란을 줄이고,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미래 학교를 조성하는 데 주요하게 참조할 자료이자 안내서이다.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조성에 있어 공간재구조화, 그린, 스마트, 학교시설복합화 영역과 학교교육의 비전을 연계하여 미래학교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10가지의 공간 디자인 방향과 각각에 대한 선택가능한 참조 옵션들, 공통적인 공간 기능과 요구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 4. 01. 학습 공간의 재구조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4 ◉ 학습공간 변화의 배경 일본교육시설연구소
  • 5. 학습 공간의 재구조화 1.학습 공간의 재구조화  유연성과 가변성  다목적·다기능화  커뮤니티 영역  비공식 공간 학교는 과거와 현재, 미래에도 변화할 것이다. 학습 공간의 혁신은 21세기 학교가 직면한 주요한 변화 과제 중 하나이다. 학교는 현대 교육학의 발전에 따라 전달식 대집단 교육과 수동적 학습에서 학생 주도의 능동적 학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융합 학습, 혼합 수업, 프로젝트 학습, 실행 학습, 정보기반 학습 등 교육 유형이 다양해지고 교육 과정은 더욱 개별화, 맞춤화할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IT 및 통신기술에 기반한 지식 활동의 새로운 양상은 학교 교육에 큰 도전으로 등장했다. 베이비부머가 학령 인구로 대거 진입하던 시기 지어졌던 수 많은 학교 건물들은 이제 노후화되었고 획일적인 교실 구조는 미래의 교육과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기에 점점 적합하지 않게 되었다. 많은 학교가 리모델링, 증개축의 대상이 되었지만, 최근 인구의 감소에 따른 학생 수의 감소는 더욱 적극적인 학교의 변화를 요하고 있다. 또한, 학교는 민족적, 문화적, 경제적, 신체적인 다양한 차이를 가진 학생들의 구성으로 그들의 사회적 이질성을 인식하고 학교는 동등한 성장과 발전의 기회를 지원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게 되었다. 오늘날 학교는 다양한 가족 구성과 학부모들의 경제 활동 시간과 방식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주요한 기관이 되고 있다. 학교가 제공하는 돌봄과 복지 서비스 비중이 증가하면서 학생들이 오래 머무는 종일 학교로 변화 되고 있다. 아동, 청소년기 학생들이 학교에서 지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수업 외에도 학교 내 생활, 휴식, 여가, 방과 후 활동을 위한 다양한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학교는 점차 지역에서 사회 활동과 지역의 문화적, 교육적 환경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다양한 지식과 훈련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지역사회와 학교의 협력과 소통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마을학교는 중요한 교육적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학교는 지역사회와 함께 긴밀한 협력과 상호 이해의 기회를 공간적으로 제공해야힐 필요역시 증대되었다. 학교에 요구되고 있는 이러한 광범위한 공간적 변화는 공간의 이용 효율과 경제적 조성 비용을 고려하며 공간의 다목적화, 다기능화를 통해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이와 같은 변화 요구들을 반영하여 미래 학교로 변화하고자 할 때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학습 공간과 환경 디자인의 키워드를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미래학교는 사회와 기술, 교육의 변화에 유연하게 응답하며 다양한 학습의 형태와 배움을 지원하는 학교이다. 5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 혁신과 디자인
  • 6. - 유연성을 높이는 교실 구성 모델 도입 (확장형 교실, 학습 클러스터, 개방형 학습 전경) - 가변적이고 개방적인 공간 연결과 접근 (가변 벽체, 접이식 문, 광폭 미닫이문 또는 미서기 문 활용) - 이동과 배치에 편리한 학습가구 배치 01. 유연성과 가변성 1. 유연성과 가변성 미래 학교의 수업은 교사의 전달식 지식 교육이 주가 되기 보다는 개개 학생이 주체가 되는 다양한 학습 방법을 교실과 교실 외 공간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지원하게 된다. 학습의 개인화, 맞춤화의 비중이 커진다고 해서 사회적 소통과 동료간 협력에 기반한 학습 형태의 비중이 줄어들지 않는다. 지식과 정보, 아이디어, 의견의 교환 및 토론, 평가와 비판, 학습 경험의 공유는 여전히 교육 활동의 필수 요소이다. 미래 학교가 수용하게 되는 다양한 학습 방법을 살펴보면 개별 학습, 그룹 작업과 토론, 동료 지도, 교사 학생의 1:1 학습, 전달식 강 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인터넷 디지털 기기 활용 학습, 원격강의, 정보 검색과 자료 조사 등 정보기반 학습, 발표, 세미나식 지도 학습, 공연 등 음악 기반 학습, 지역 사회 봉사학습, 예술 기반 학습, 전시, 제작 기반 학습, 실험, 멀티미디어 창작, 이야기 학습, 사회적 감정적 학습, 자연생태체험, 놀이학습 등 광범위하다. 이러한 다양한 학습 방법과 더불어 비정형화된 학습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집체 교육, 자습 및 개별 작업, 다양한 인원 규모로 편성될 수 있는 그룹 활동과 작업, 학습 결과 발표 등 학습 형태와 활동의 전환이 자연스러운 유연하고 가변적인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학습 공간은 공간의 크기, 구조 및 장비, 내부의 활동 구역 설정 등 전통적인 교실과는 다른 학습 공간의 구성과 디자인을 요구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유연하고 가변적인 공간을 구현할 수 있을까? 다양한 학습의 유형과 활동, 다양한 규모의 인원에 맞춰 유연하게 전환하며 이용할 수 있는 가변적 학습 공간이 필요하다. Steelcase-Education-Insights-Guide-Version-4 6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7. ◉ 유연성 높은 교실 구성 모델 도입 복도를 따라 획일적인 교실들을 단순하게 배치한 편복도 교실은 명백히 베이비부머 이후 다수 학생의 수용과 통제에 초점을 맞췄던 구시대 산물이다. 다양한 학습 유형에 따른 공간 요구와 학급 조직의 변화, 학생 수의 단기적, 중장기적 증감 가능성에 적응할 수 있고, 다양한 규모의 인원을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학습 공간의 구성을 혁신해야 한다. 즉 교실 조직 모델을 바꾸어야 한다. 미래 학교의 교실은 자기주도학습, 개별 작업, 그룹 활동을 지원해야 하고, 강의는 물론 토론과 발표, 가벼운 실습, 독서 등 배움 활동과 휴식과 놀이, 사교, 가벼운 식사 등 비공식 활동과 생활 편의를 동시에 지원해야 한다. 여러 학급이 함께 사용하는 다목적 공용 공간을 포함하여 공간 이용의 유연성도 높여야 한다. 이제 학생들은 동일한 규모의 교실이 아닌 다양한 규모를 가진 공간들로 조합된 보다 복합적이고 유연하고, 개방적인 학습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 공간은 과목이나 학급의 경계를 넘어 융합교육과 교사들의 협력 수업을 촉진하고 수업의 준비에 편리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세계 여러 학교에 적용되며 발전해온 주요 학습 공간 모델은 ' 확장형 교실', '학습 클러스터', '개방형 학습 전경'이다. - 확장형 교실 모델 확장형 교실은 기본 규모의 교실과 교실 사이에 개방감을 줄 수 있도록 폭이 넓은 문을 설치하여 물리적 연결성을 높인 모델, 소그룹실을 중심으로 인접 교실들을 연결하여 배치하고 소그룹실과 교실 사이에 유리벽과 문을 설치하여 시각적, 물리적 연결성을 높인 교실 조직 모델, 두 개 이상의 교실 사이에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는 접이식 문(folding door) 이나 가변 벽체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교실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모델을 포함한다. 공간을 분리할 때는 확실한 차음 효과를 보장해야 한다. 이러한 '확장형 교실 모델'들은 학습 클러스터 모델에 부분 수용된다. Land Baden-Württemberg 학교건축 지침 7  - 확장형 교실  - 학습 클러스터  - 열린 학습전경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8. - 학습 클러스터형 모델 학습 클러스터는 4~5개 이상의 교실과 화장실, 식음대, 휴대품 보관 공간(홈베이스), 교사협력실, 교수-학습 기자재 보관실, 복수의 소그룹실(보조교실)을 여러 학급이 공유하는 중앙의 다목적 공용공간(일명 학습거실 또는 학습복도)을 중심으로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여 한 채의 학습주택처럼 조직한 모델이다. 클러스터 내부에 포함되는 공간 요소나 규모는 각 학교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선택하여 구성한다. 학습 클러스터 모델은 다용도의 공용공간( 학습거실, 학습복도)를 학습, 작업, 독서, 자습, 놀이, 휴식, 사교 등 다양한 활동을 위해 사용하게 하므로 공간의 유연성을 높인다. 보통 일정 규모의 학년별, 계열별, 또는 무학년제 학급 단위로 조성한다. 학습 클러스터는 공유하는 테라스나 야외공간, 실내로 연결하는 공용 출입구를 두어 명백한 구획을 설정한다. 그 동안 도입된 다양한 교실 모델 중 공간의 유연성과 공간 이용의 가변적 적응성, 생활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가장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된 후 독일 전역의 학교에서 속속 도입하고 있다. - 개방형 학습 전경형 모델 개방형 학습 전경 모델은 호주, 뉴질랜드의 유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공간적 압박감을 줄이고 개방감을 최대한 느끼게 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적용하고 있는 모델이다. 간벽으로 구분된 교실 구분이 없는 대형 광장형 학습 공간에서 학습 가구나, 칸막이, 인테리어적 학습 구조물, 바닥이나 벽면 색상을 활용하여 중소규모 학습 그룹별 학습 구역, 과목별 학습 구역, 발표 및 토론 구역, 휴식 및 놀이 구역을 설정한다. 단 이러한 구역 설정은 고정 구역과 가변적 구역을 포함한다. 이때 학습 가구나 칸막이는 이동 배치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열린 확장된 대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소음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저감을 위해 가능한 흡음 가능한 재료를 바닥재나 벽면, 천정재 등 내장재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흡음 칸막이를 활용한다. 개방형 학습 전경형 모델이라도 분리된 공간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차별화된 기능과 용도를 가진 소그룹실이나 기능실을 갖춘다. Bildungscampus Sonnwendviertel, axonometry by CAN Architects St mary cross primary school, Peter Clarke, Archdaily 8  - 확장형 교실  - 학습 클러스터  - 열린 학습전경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 혁신과 디자인 01. 유연성과 가변성
  • 9. 9 ◉ 학습 클러스터형 학습 공간으로 교실 구성 교실의 변화는 학교공간 변화의 핵심이다. 그러나, 가장 바뀌지 않는 학교 공간이 획일적인 편복도형 일반 교실이다. 기존의 획일적인 편복도형 교실 모델은 더 이상 교육의 변화를 충족하지 못한다. 기존의 획일적인 편복도형 교실을 지양하고, 학습 클러스터형 교실 구성을 추천한다. 학습 클러스터 형 교실 모델은 다양한 규모의 그룹과 개별 학생들의 학습과 활동, 휴식, 놀이, 독서, 강의에 유연한 공간을 제공하고, 미래교육이 요청하는 융합적 학습과 교사들의 협력과 학생들의 생활편의를 증진하는 데 유리하다. 변화된 학습 클러스터는 다른 공간 영역들과 식별 가능한 공간 영역 단위로 일반 교실의 1.5~2배 이상의 면적을 가진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3~5개 교실과 1~2개 소그룹실(보조공간), 1개 교사협력실, 허용하는 면적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화장실, 내부 계단 등을 포함하고, 클러스터 단위로 외부 연결과 탈출 경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개별 학교의 학급 수, 학년 별 규모, 학생 증감계획 및 개별 학교가 활용할 수 있는 면적과 예산, 위치, 교육 계획 등 여건에 따라 학습 클러스터의 공간 구성과 형태는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단 학습 클러스터 내 교실과 공간들은 상호 개방하여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가능한 폭이 넓고 가변적인 문(폴딩 더어, 슬라이딩 도어, 포켓 도어)을 사용하여 물리적 확장이 가능하도록 디자인한다. 또한 융합학습과 협력학습, 안전의 관리, 채광 조건의 개선을 위해 각 공간들은 상호 가능한 시각적 투명성을 최대한 고려해야 한다. 즉 기존 학교 교실보다 더 많은 시야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유리창을 사용할 수 있다. 각 교실들의 중앙에 조성하는 공용공간은 장방형 공용공간인 학습거실 또는 폭이 넓은 학습 복도형으로 조성하며, 클러스터 내 여러 학급의 학생과 그룹들이 다양한 활동과 수업, 휴식,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공용공간은 일반 교실 면적의 약 1~4~2배 이상의 규모로 조성할 것을 권장한다. 필요에 따라 표준 교실 면적을 줄이고, 공용공간의 면적을 더 확장할 수 있다. 교실의 변화는 학교공간 변화의 핵심이다. 그러나, 가장 바뀌지 않는 학교 공간이 획일적인 편복도형 일반 교실이다. 경기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는 획일적인 편복도형 교실을 지양하 고, 학습 클러스터형 교실 구성을 권장한다. 학습 클러스터는 일반 교실의 1.5~2배 이상의 면적을 가진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3~5개 교실과 1~2개 소그룹실, 1개 교사협력실, 허용하는 면적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화장실, 내부 계단 등을 포함한다.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 클러스터
  • 10. • 면적 기준으로 인한 최소 구성의 경우에도 복수의 교실과 보조 교실(소 그룹실 또는 차별화실), 중앙의 다목적 공용 공간(학습 통로 또는 학습거실), 교사실을 포함하고 , 최대 구현 가능 시 식음대, 홈베이스(의류 및 물품 보관), 테라스 등 공간을 조건에 따라 포함한다. • 일반 학습 영역의 학습 클러스터는 클러스터 별 구역 설정과 입 출입구 통로 또는 경계를 명확히 하고, 투명성, 음향 최적화, 방화(내화) 구역 설정이 필요하다. 이때 양질의 채광과 환기를 유지하도록 유의한다. • 교실 내 창턱 좌석, 클러스터 별 테라스, 공용 공간(학습 복도, 학습거실) 등을 활용하여 공간 이용의 유연성과 활용도를 높이도록 한다. 학습 클러스터 내 공용 공간 및 교실 내부에는 창 틈새, 구석 공간, 벽체 등을 이용하여 검색 부스, 소지품 보관 공간,다양한 개별, 그룹 활동을 위한 구역을 가구 또는 제작 인테리어 오브제를 활용하여 설정한다. • 학습 클러스터 내 소 그룹실(보조교실 또는 차별화실)은 안을 들여다볼 수 있게 투명한 자재(유리벽)를 사용하여 가시성을 높인다. 소 그룹실의 수는 클러스터 내 일반 교실의 수와 제반 조건에 따라 조정한다. 단, 소그룹실 구현이 불가할 경우 중양의 공용 공간에 구역을 설정하거나 여유 교실이 이 기능을 대체 한다. • 소 그룹실과 인접한 교실 사이에 가능한 가벽, 광폭 포켓 도어, 폴딩 도어 등을 설치하여 가변 가능한 확장 교실로 구성 한다. 단 차음과 조작 안정성과 편리성이 높아야 한다. • 학습 클러스터 내에서 다목적 공용 공간(학습복도 또는 학습거실)과 교실, 보조 교실 간 연결성과 개방성, 가변성을 높여 집체 학습과 중•소그룹 단위의 분리 학습과 활동 등 다양한 학습 유형으로 상호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중앙의 다목적 공용 공간에서 휴식, 작업, 수업, 독서, 놀이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에 반영한다. • 보통 교실과 공용 공간 사이 간벽을 투명한 재료(유리벽)를 사용하거나 투명창을 통해 가능한 가시성을 높이도록 한다. • 보통 교실과 공용공간 사이에 가변성과 개방성을 높일 수 있는 광폭 포켓 도어나 접이식 도어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분리와 확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 1층에 배치한 학습 클러스터의 경우 클러스터 단위 또는 각 교실에서 야외 공간(안뜰 또는 운동장)으로 직접 출입할 수 있는 통로(문)를 설치하여 실내외 연결성을 높이고 학생들의 신체적 활동을 촉진한다. • 만약 2층 이상에 조성된 학습 클러스터의 경우 클러스터 단위로 테라스형 복도와 운동장으로 연결한 야외 계단을 설치하여 실내외 연결성을 높인다. • 2층 이상의 학습 클러스터 내에 상하부 층의 수직 이동을 위한 내부 계단이나 공유하는 근접한 계단부를 배치하여 탈출 경로를 확보한다. • 학습 클러스터와 교실에서 인터넷과 미디어를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PC, 모니터, 단초점 프로젝터 및 비대면 교육의 지원 설비의 설치를 고려한다. • 학습 클러스터 내 교실, 소그룹실, 다목적 공용공간(학습복도) 곳곳에 화이트 보드나 필기 벽면을 설치하여 소그룹 학습과 토론, 활동을 촉진한다. • 교사협력실은 일상적 업무와 휴식, 협의가 가능한 공간으로 조성하고, 가벼운 탕비 공간이나 교구재 보관 공간을 포함한다. 교사협력실은 가능한 내부에서 창을 통해 학습 클러스터 내 교실들을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 학습 클러스터 디자인 권장 사항 10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 클러스터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11. ◉ 학습 클러스터 사례 – Schule am See, Hard (넓은 중앙의 비공식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배치된 교실들, 유리벽을 이용하여 시각적 개방감과 투명성이 높다. 교실 사이에 선반, 게시판, 커텐 등을 이용해서 필요에 따라 시선을 가리거나 차단한다.) (교실은 야외 테라스와 학습 클러스터의 중앙 공용공간을 향해 연결된다. 교실은 유리벽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열려 있지만 수납 선반, 게시판, 커튼 등을 이용하여 구분하거나 가릴 수 있다. 교실 바닥은 목재나무 바닥을 사용하여 바닥에서도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 http://www.schuleamsee.at/schule/ 11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 클러스터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12. 브레겐츠시는 50년 된 낡은 학교를 철거하고 2015년 쉔드링언 캠퍼스(Schulcampus Bregenz-Schendlingen ) 신축을 시작했다. 초등, 중등, 음악 학교가 결합된 통합학교로 약 570명의 학생이 다닌다. 학생의 65%가 비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이중언어 사용자들로 교사들의 협력 수업이나 진도를 따라갈 수 없는 학생에 대한 특별 수업이 필요했다. 교육 당국과 시 정부는 문화적, 민족적 배경이 다른 학생들의 소통과 교류, 이해 등 사회적 학습이 가능한 교육 공간으로 학교를 집처럼 밝고 편안한 생활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 또 다른 과제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통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슈를 해결하는 것이다. 즉,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적절하게 분리하면서 교류가 가능하도록 공간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가들은 중앙의 아뜨리움 공간과 학습 클러스터를 주요한 공간 조성의 특징으로 삼았다. 또 다른 과제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통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슈를 해결하는 것이다. 즉,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적절하게 분리하면서도 교류가 가능하도록 공간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가들은 중앙의 아뜨리움 공간과 학습 클러스터를 주요한 공간 조성의 특징으로 삼았다. 학습 공간들은 '집'이란 불리는 8개의 학습 클러스터로 조합되어 있다. 각 학습 클러스터마다 3개의 교실, 클러스터 별 다목적 공용공간(학습 거실 겸 휴게실, 사물함, PC 부스 포함), 화장실, 교사실, 화장실, 테라스와 발코니가 조합되어 있다. 각 교실마다 학생 25명이 사용한다. 클러스터마다 75명이 배정된다. 교실들은 투명성과 개방성을 높이기 위해 유리창 간벽을 세우고 내부는 나무 선반을 설치했다. 각 클러스터들의 한쪽 면은 계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계단부 최상부에 천창이 있어 건물의 채광과 공기순환을 돕는다. 각 클러스터 입구는 건물 중앙의 아뜨리움 공간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곳 역시 빛과 공기의 순환을 돕는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학교는 넓고 복잡한 내부 구조에도 불구하고 양질의 공기와 적절한 실내 조도를 유지할 수 있다. 05. 경기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 학습 클러스터 사례 – Schulcampus Bregenz-Schendlingen 05. 경기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경기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공간 디자인 가이드 (학습 클러스터 내의 공용공간(학습거실) 풍경, 밖으로 통창이 있고, 교실과 공용공간도 유리벽과 유리문이 설치되어 밝고 투명성, 시각적 개방성이 높다.) (클러스터 한쪽은 계단실을 향하고 있다.) 12 https://www.baunetz.de/meldungen/Meldungen-Schule_in_Bregenz_von_Matthias_Bae r_Bernd_Riegger_und_Querformat_5346824.html https://vorarlberg.orf.at/tv/stories/3019846/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 클러스터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13. ◉ 학습 클러스터 사례 – 독일 다름슈타트 학교 건축 지침 13 Schulen planen und bauen. Die Umsetzung der S chul B au L eit L inien des Landkreises Darmstadt-Dieburg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 클러스터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14. ◉ 학습 클러스터 기획 사례 – 장안초 14 화성 장안초 사전기획보고서 2012 연천초 사전기획보고서 2021 일반 학습 영역은 6개의 일반 교실과 소그룹실(보조교실 또는 차별화실) 2개, 교사실 2개(이중 한 곳의 교사실은 소그룹실로 사용 가 능 ), 4 개 의 화 장 실 , 양 끝 단 의 계 단 실 을 포 함 하 는 학 습 클러스터를 기본 유닛을 삼아 3개층에 구현한다. 중앙의 다목적 공용 공간(267.25m2 학습 거실)은 통로 및 학습, 놀이, 독서 구역을 포함하는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되어 공간 이용의 유연성과 생활 편의를 지원한다. 소그룹실 2개는 이중언어교육, 학습지체 아동에 대한 차별화 교육 및 소그룹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며, 양측면의 교실과 접근이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교사실(+교구재 보관 구역)은 2개소 중 한 곳은 특별실이 있는 1 층을 제외하고, 2~3층의 경우 소그룹실로 하거나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최대 구현 가능 시 식음대, 홈베이스(의류 및 물품 보관) 구역을 공용공간에 설정하고, 야외 공간과 접한 1층 교실의 경우 직접 교실에서 야외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 교실의 문을 광폭 접이식 문이나 광폭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여 모든 교실을 완전히 개방할 경우 중앙의 학습거실과 함께 열린 학습 전경을 구현토록 하여 향후 다양한 유형의 학습과 활동, 무 학년제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공간 가변성과 확장성, 유연성을 보장한다. * 편복도 교실과 달리 중앙복도형이므로 북측 교실의 채광이 나뻐질 수 있으므로 채광 또는 조명 개선을 고려한다. 01. 유연성과 가변성- 학습 클러스터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15. 02. 다목적·다기능화 2. 다목적·다기능화  - 유사기능 공간의 영역별 배치와 상호 연결  - 설비, 학습 가구, 인테리어 등 공간의 다기능화 미래학교의 교실을 포함한 대다수의 공간은 기본적으로 다목적·다기능 공간으로 조성한다. 일반 교실로부터 분리하여 접근성과 이용율이 낮아질 수 밖에 없는 별도의 다목적 교실 또는 다목적 공간을 조성하는 시도는 대개 독일 학교에서 실패로 판명되었다. 미래학교 공간 구성에서 최대의 이슈는 미래의 변화에 대한 공간 적응성과 공간 이용 효율의 제고, 건축에 있어 경제적 구현이다. 미래학교의 공간을 기획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기획 과정에서 기존 학교 경험을 기반으로 개선사항, 공간 요구 사항을 파악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학교의 교육 비전과 미래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세부적인 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와 설문, 워크숍을 거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파악한 내용을 참조하여 미래학교에 조성할 잠재적 공간 목록을 작성하게 되는데, 이 수준에서 작성한 공간 목록을 그대로 공간 프로그램(Space program)에 반영할 수 없다. 대개 너무 많은 공간 요구가 있기 마련이고 잠재적 공간 목록이 너무 길기 때문이다. 학생 수를 기준으로 삼은 공간 면적 제한, 건축 비용의 한계때문에 실제 구현할 수 있는 수준으로 공간 목록을 재 정리해야 한다. 학교 공간 조성에 참여하는 교사와 건축가 및 학부모, 관계자들의 합의와 지혜가 필요하다. 미래학교의 공간 프로그램은 잠재적 공간 목록을 영역별로 분류하고, 다시 공간의 이용효율과 조성의 경제성을 고려하며 공간을 다기능‧ 다목적화하는 압축 정리 작업을 통해 완성한다. 공간의 다목적·다기능화는 일반 교실, 전문(특별과목) 교실, 커뮤니티 영역(복합형 광장형 공간), 도서관, 식당, 체육관, 복도 등 거의 모든 공간에 적용해야 할 미래학교의 공간 조성 과제다. 어떻게 분출하는 공간 요구와 현실적 제약의 간극을 극복할 수 있을까? 첫번째 공간에서 활동과 작업, 요구되는 공간 기능이 유사한 공간을 영역별로 연계 배치하여 상호 연결성을 높이는 공간 구성으로 공간의 다목적성을 높일 수 있다. 두번째, 유사하지만 조금씩 상이한 활동들을 동일한 공간에서 지원하기 위해 공간에 설치하는 설비, 학습 가구와 인테리어를 선택하여 다기능화한다. 예를 들어 기술-과학 학습 클러스터, 가사(또는 실과)-요리 클러스터, 음악-공연-신체 활동 -시청각 클러스터, 예술-디자인-제작 클러스터 등 학교 상황과 교과 과정 연계성, 융합 교육 적합성 등을 고려하며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컴퓨터실과 멀티미디어 아트 스튜디오 역시 통합하여 다목적화할 수 있다. 도서실 역시 단순 독서 공간이 아닌 자율 학습 구역, 프로젝트 수업 구역, 이야기 구역 등을 내부에 설정하여 다목적화할 수 있다. 식당은 행사장이자 휴식을 위한 카페테리아로 다목적화할 수 있다. 체육관 역시 신체활동 뿐 아니라 행사장과 식당으로 다목적화하는 사례들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복도는 가장 자주 놀이 복도 또는 학습 복도로 변경하여 통행과 더불어 다양한 휴식, 놀이, 수업, 작업, 독서, 사교를 위한 다목적 공간으로 이용한다. 현관 홀 역시 많은 학교에서 복합 광장형 공간화하여 다목적화한다. 미래학교의 교실을 포함한 대다수 공간은 기본적으로 다목적· 다기능 공간으로 조성한다. 잠재적 요구 공간 목록을 그대로 공간 프로그램(Space Program)에 반영할 수 없다. 이용효율과 건축 경제성을 고려하여 공간을 다목적·다기능화하여 압축 정리해야 한다. 15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 혁신과 디자인
  • 16. ◉ 공간의 연결성을 높여 다목적화한 사례 - 슬로베니아 포드고르예 유치원 슬로베니아의 포드고르예(Podgorje) 유치원은 공간의 사용 시간 분할과 교실과 교실, 교실과 복도를 광폭의 미닫이 문이나 접이식 문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성을 높였다. 복도 역시 단순 통행 공간 이상의 놀이 복도, 생활 복도로 조성했다. 각각의 교실들은 나름의 특징들을 갖고 있지만 학급에 따라 이용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수시로 공동 이용할 수 있다. 유치원의 분리된 놀이교실들은 낮잠과 수업 활동을 위해서만 문을 닫아 분리하고, 그외 시간에 교실과 교실, 복도 사이의 넓은 문들을 완전히 개방하여 연령에 관계없이 공통 관심사를 가진 친구들과 놀 수 있도록 했다. 놀이 교실은 다양한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일부는 음악에, 일부는 예술에 초점을 맞춰 디자인했다. 각 교실에서 접할 수 있는 장비와 도구, 학습 인지 요소가 다른데 전체적으로 주제별 놀이 구역이 최대 42 개 지점이고 수많은 칠판,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 장비 및 학습 도구들을 반별 구분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진다. 대부분의 가구와 장비는 바퀴가 달려있어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치를 바꿀 수 있고 다양한 공간 변형이 가능하다. 그 결과 아동들의 사회적 접촉은 두 배 이상 높아졌다. 학습 도구와 인지적 요소들에 대한 접근도 세배 이상 증가했다. 공간과 공간 사이의 모든 문들을 개방하여 유치원 전체를 놀이터로 변신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동들의 신체 활동은 일반 아동들에 비해 7 배 이상 증가했다. 이 유치원의 아이들은 하루 평균 20 바퀴이상 유치원 내부를 뛰거나 걷는다. 1.5km에 해당하는 거리다. Janez Marolt Photography. https://www10.aeccafe.com/ 16 (놀이복도, 생활복도로 다목적화) (교실과 교실, 복도를 광폭의 문으로 연결하여 다목적) 02. 다목적·다기능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17. ◉ 연결성을 높이는 공간 요소들 SMMA. https://www.smma.com/ Simone Bossi. https://image.architonic.com/ Wilson Archtects. https://images.squarespace-cdn.com/ ThinkingWall® Divider. https://www.logovisual.com/ Khan Lab School. https://designmuseumfoundation.org/ Mariusz Mizera. https://educationsnapshots.com/ 17 위 : 대형 미서기 문을 열어놓은 교실 아래 : 이동 화이트보드 책장으로 공간 구분 위 : 접이식 문을 단 교실 아래 : 접이식 문을 개방한 교실 위 : 커텐으로 공간을 구분한 교실 아래 : 회전 화이트보드로 벽과 문 대체 위 : 슬라이딩 칸막이로 공간 구분 아래 : 조절 가능한 칸막이 화이트 보드  - 광폭 미서기 문(pocket door), 광폭 미닫이 문 (sliding door), 접이식 문(folding door)  - 이동 또는 회전 칸막이 (화이트보드 결합), 이동 선반, 레일 커튼 02. 다목적·다기능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18. ◉ 순환공간(복도, 계단, 현관홀)의 다목적화 사례 MOA Architecture. https://www.moaarch.com/ ECKY BRADY. https://3l65e11ddfjd1jxuay1z41j8-wpengine.netdna-ssl.com/ 고인룡. https://ko-kr.facebook.com/people/고인룡/100001545169752/ 18 다용도 광폭 계단 : 수직 이동 통행 외 대규모 강의, 휴식, 통행, 행사를 위해 대형 스크린, 화이트 보드, 음향 장치 등 설치 다용도 학습 복도 : 통행 외 휴식, 독서, 사교, 학습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과 좌석 , 모니터, 화이트 보드,게시판 설치 현관 홀과 구령대를 연결하여 다목적화 파주 웅담초는 현관 홀과 구령대를 연결하여, 놀이, 휴식, 강의 등, 독서가 가능한 다목적 공간으로 조성했다. 02. 다목적·다기능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19. ◉ 다목적 이용을 위해 다양한 내부 구역을 설정한 학습 공간들 Norva Nevel. Next Generation Learning Spaces. norvanivel.com 19 다목적 도서관 학습, 놀이, 독서, 공유 등 다목적 이용을 위해 가구, 소파, 쿠션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활동 구역을 설정한 초등학교 도서관 디자인 다목적 공연 예술 공간 연주, 연습, 휴식, 공연, 토론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있는 다목적 공연 예술 공간, 손 쉽게 이동 가능한 가구를 사용하여 바닥 공간을 넓게 전환할 수 있고 음악 외 다른 신체적 활동이나 연극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기본 흡음, 차음,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 02. 다목적·다기능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20. 20 ◉ 특별 교실에서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과거 특별교실들은 대개 과목 구분에 따라 실 단위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현대 학교들은 학제 간 경계를 넘어 융합교육을 지향한다. 학교는 폭 넓게 학생들이 관심을 갖는 다양한 문화적 활동을 즉, 콘텐츠 제작, 춤, 무용, 신체적 움직임, 노래와 연주, 사진, 디자인, 영상, 미술, 만화, 연극, 가사, 요리, 공예 등 다양한 활동을 공간과 설비로 지원해야 한다. 학교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이 모든 활동에 대한 공간 수요를 개별적으로 모두 만족시킬 수 없고, 공간 이용효율과 공간 구성의 경제성과 총 면적의 제약을 제고해야 한다. 기능과 설 비, 공간의 디자인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다목적, 다기능의 특별교실로 구성하거나, 전문 학습 영역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하여 클러스터화한다. 예를 들어 기술-과학 학습 클러스터, 가사(또는 실 과)-요리 클러스터, 음악-공연-신체활동 클러스터, 예술-디자인-제작 클러스터 등 학교 상황과 교과 과정 연계성 등에 따라 조합은 변경할 수 있고, 학교의 특성과 학교급 별, 특화 교육 내용에 따라 전문 학습 영역의 공간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 다기능·다목적 전문 교실들은 방과후 수업이나 주말 주민들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주민들에게도 개방할 경우 교육 자료나 장비, 도구에 대한 적절한 안전 보관을 고려해야 한다. 다양한 사용자 그룹 (예 : 잠금 식 캐비닛)을 위한 충분한 크기의 보조실과 보관 옵션이 중요하다. 가능하면 전문학습 영역 내부에 여러 특별과목 교실의 활동이 교차하거나 융합될 수 있는 공용 구역(학습거실 또는 학습복도)를 중심에 배치한다. 또한 클러스터 내에는 교구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조공간을 두어야 하고, 학교 밖에서 쉽게 접근 할 수 있어야 한다. 특별 교실들은 일반교실에 비해 1.5~3배 이상 규모의 확장교실로 조성하되, 실습과 동시에 내부에서 수업과 토론, 활동, 정보 검색을 위한 구역을 설정해야 한다. 소 그룹 프로젝트와 토론을 지원할 수 있도록 화이트 보드, 스마트 보드나 단초점 프로젝터, 다양한 벽면의 화이트 보드 설치를 권장한다. 무엇보다 각각의 다기능 특별 교실들에 설치되는 기능과 설비들은 각 활동의 요구에 적합하게 세밀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특별과목 교실에서 전기, 가스, 물, 인터넷의 이용 편의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특히 전기 공급선은 가능한 천정 거치형 또는 뜬 바닥 매립형으로 설치한다. 일반교실과 달리 전문적 활동과 수업의 특성상 특별히 요구되는 공간 기능과 디자인, 설비를 요구하는 특별교실은 개별 활동에 따라 분리된 단위 교실로 모두 구성하지 않고, 주제 및 활동의 유사성과 공간에 제공되는 기능 설비, 디자인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다기능, 다목적 전문 교실로 조성하거나, 클러스터화한다. 특별교실은 일반 교실에 비해 1.5~3배 이상 규모로 조성하고 실습, 실험 및 수업, 개별 또는 그룹 활동이 가능하도록 구역을 설정한 다.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21. ◉ 전문학습 영역 클러스터 사례- Geschwister Scholl Stadtteilschule 21 Montag Stiftung Jugend und Gesellschaft Fünfmal Phase Null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22. 전문 학습 영역에는 과학실, 음악실, 미술실, 실과실, 소 그룹실, 각종 준비실과 다목적 공용 공간(학습 거실 또는 학습복도)를 포함하고 이들 각 특별과목 교실 (일반 교실의 약 1.5배 규모)들은 부속 공간으로 준비실을 갖는 전문학습 영역 클러스터로 조성한다. 준비실은 보관, 준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각 특별교실들은 가능한 외부 공간으로 직접 연결하어 야외 공간으로 접근성과 야외 활동을 촉진한다. 전문 학습 영역 중앙의 복도를 대신하는 공용공간( 학습거실은) 4m 이상의 폭, 122.5m2 규모의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며 학습, 작업, 활동, 휴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각 교실에 광폭의 문을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개방하여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성과 개방성으로 인해 특별 과목 간 학제를 넘어 융합 교육과 협력, 경험과 활동의 교류를 촉진한다. 특별 교실들은 방과 후 과외(방과후) 수업에도 이용하도록 한다. 면적 기준이 허락하는 경우 전문 학습 영역에 외부 전문 강사나 특별과목 교사를 위한 교사실이나 홈베이스(의류물품보관 구역), 검색부스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 학교의 경우 근접해 있는 일반학습클러스의 교사실을 사용하거나, 전문학습 영역의 소그룹실을 교사실로 대체할 수 있다. ◉ 전문학습 영역 클러스터 기획 사례- 연천초 22 연천초 학교공간혁신 사전기획 2021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23. 23 활용 : 학교의 음악, 무용, 기타 신체활동 특별 교실, 특별한 요구에 따른 차별화실, 방과 후 교실을 위한 사용(요가, 무용, 음악 수업), 소규모 공연 장소 등으로 활용 장비 : 신체 접촉이 부드럽고 너무 차갑지 않은 나무 바닥 또는 기타 바닥, 방음, 차음, 치워서 적재할 수 있는 경량의 다양한 가구, 무대 커튼을 활용한 다양한 실내 상황을 연출할 수 있도록 천장 커튼 레일 설치 권장 배치 : 수업 시간 중 사용 뿐 아니라 방과 후 에 다른 동아리 활동이나 주민 활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안전과 보완, 공간 관리를 고려해야 한다. 행사 시 활용성을 위해 가능하면 학교 중심의 복합형 광장 공간(커뮤니티 영역)에 근접 배치를 권장한다. 차음이 적절치 않고 소음이 우려되고, 커뮤니티 영역과 일반 교실이 근접한 경우 별도의 전문 학습 영역 내에 이들 교실들을 배치할 수 있다. 학제 간 프로젝트 교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음악실은 예술, 창작, 디자인을 위한 교육 영역 또는 춤과 동작을위 한 학습 환경과 결합 될 수 있다. 구성 : 음악실은 학교 규모와 관계없이 악기 연주를 위한 공연실과 노래 합창을 위한 교실로 최소 2 개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때 가변 가능한 벽체, 접이식 문, 대형 미닫이문, 포켓 도어 등을 활용하여 유연하게 분리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악기 연주를 위한 공연실과 노래 합창을 위한 음악실 간에 중간 문을 설치하여 수업 중간에도 두 개의 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합창교실은 합창 수업에 적합한 계단식 좌석을 조성하거나 비치한다. 필요에 따라 합창실 또는 공연실은 소규모 공연과 발표를 위한 장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객석 공간을 구성한다. 음악실과 공연실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연결된 악기 보관실을 조성하거나, 공연을 위한 준비실을 조성할 수 있다. 악기 이동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강당 또는 복합 광장의 무대로 이동이 수월하도록 바닥 단차나 턱을 없애도록 한다. 특별한 차별화 구역 및 틈새 구역을 설정하지 않으나 층고를 높일 경우 무대, 공연 공간으로 연출하여 활용하기 좋다. 기능 : 관련 실내 음향 및 조명, 기술적 요구 사항 (음악 시스템, 악기 보관을 위한 항온항습 조정)을 고려해야 한다. 기타 : 공연 예술에 특화된 학교의 경우 개별 연습실이나 그룹 연습실은 음악실, 공연실 또는 공연장과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그룹 또는 개인 연습실의 문은 밖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반드시 유리 창을 설치한다. 또한 가능한 그룹 또는 개인 음악 연습실은 음악교실(또는 연주 교실) 내부에서도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개구부를 연결하지만, 방과후 이용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면 복도에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또 다른 출입문을 설치한다. 참고 : 현대적 학교의 음악 교육은 기악, 합창, 무용, 전자 기기를 활용한 미디 교육, 시청각 활동과 융합되므로 이를 위한 공간적 고려가 필요하다. ◉ 음악/댄스 /신체 활동 다목적 전문교실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24. 위 : 이동 가능한 계단식 소형 무대를 설치하거나 아래 공연장의 느낌이 나도록 계단식 좌석을 만든 음악교실 위 : 무용 등 신체활동을 위해 마련된 공연연습실 좌 : 연극적 수업 또는 발표를 위해 간이 무대를 설치한 교실 24 김성원. 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25. 활용 : 그림, 직물 작업, 종이, 재료 (나무, 점토, 금속 등)를 사용한 공작이나 그 이상의 예술적 디자인, 디지털 미디어나 사진을 활용한 창작 및 디자인, 작업 결과 발표와 전시 수공예 및 프로젝트 수업, 방과 후 교육, 방과 후나 주말 주민의 교육 장소로 활용 고려. 구성 : 목재, 직물 또는 디지털 미디어 작업을 위해 각각 조성된 여러 개의 상호 연결된 공간 또는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좋으며, 작품 결과물을 전시할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정 차별화 구역 또는 틈새 구역 없지만, 내부에 작업, 전시, 재료나 작품 보관 구역 또는 보관실을 설정한다. 느낌 : 창의적인 작업 분위기 장비 : 작업대는 견고하고 단단한 표면, 재료 및 결과물 보관 전시 영역, 게시판, 개수대, 대형 보관실 / 선반과 찬장이 있는 대형 보관실. 실습 비율이 높은 과목은 적절한 기본 장비를 갖춘 공간이 필요하다. 기술실과 작업장에서는 환기, 음향, 바닥, 인프라 및 탈출 경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중요 : 오염이나 스크래치, 하중에 저항성 있는 바닥재 배치 : 가능한 경우 다른 특별 교실들 상호 연결 또는 가변 확장 고려. 목재 및 금속 작업을 위한 기술실과 주변의 공용 공간과 근접 배치를 권장한다. 연결 : 외부 창작 작업이나 제작 활동이 수시로 필요할 수 있으므로 외부 작업 공간과 직접 접근 가능하도록 통로 마련 참고 : 특별 교실의 주민 사용을 최적화 하려면 몇 개의 잠글 수 있는 보관실을 내부에 할당해야 한다. 전문화된 제작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제작의 특성(목공, 금속, 철공, 도예)에 따라 별도의 기능(화재 예방, 분진 처리, 소음 방지, 습식 작업)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분리하여 조성하거나, 내부 작업 특성에 따라 구역 설정을 한 통합 작업 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다.         ◉ 제작-예술-디자인 다목적 전문교실 ◉ 실과-가사 전문교실  식사 준비 및 제공, 옷 세탁 및 관리, 생활 공간 청소 및 관리 등 가사 관련 수업과 활동을 위해 사용한다. 위생을 위해 의류 관리 영역은 식품 영역과 분리되어 조성해야 한다. 식품 영역 또는 요리 수업실의 경우 텃밭을 외부에 설치하고 직접 연결되는 것이 좋다.  중등학교 이상의 경우는 세탁, 봉제 등 가사 교육과 섬유, 공예 등 연관성 높은 실습 교실을 기타 보조교실, 교구재실, 준비실 등 부대 공간, 전시공간과 함께 클러스터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디자인, 패턴, 재단, 봉제, 세탁 등 작업 특성과 사용 장비의 특성에 따라 배수, 환기, 전기 배선 등에 유념한다. 봉제, 섬유, 세탁 등 특성을 고려한 재료 및 도구 선반을 제작한다.  초등학교의 경우 실과 실습의 단순성과 수준 등을 고려할 경우 단일 교실로 구현 할 수 있지만 내부에 설치 장비에 따라 기능을 달리한 구역을 설정한다.  실습 시 교사가 하는 실험 , 실습 시범을 학생들 이 각자 본인의 실습 자리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교사 실습대 상부에 반사경이나 모니터를 설치하는 사례도 있다. 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야 하는 가사의 경우 조별 실습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하나의 공간 안에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5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26. 미술재료와 도구함, 넓은 작업대를 비치한 미술실들 위 : 모니터가 여러대 설치된 요리 실습실 아래 : 가정 주방처럼 꾸민 요리 실습실. 26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27. 6.3 영역 별 공간 구성 모델 이하 전문 학습 영역 다이어그램 및 설명 포함 6.3.2 전문 학습 영역 27 연천초 학교공간혁신 사전기확보고서. 2021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28.  일반 학교의 기술 수업을 위한 학습 공간은 다목적 작업 공간으로 설계한다. 그러나, 전문성을 요구하는 작업 기술 및 실습, 이에 필요한 장비 (예 : 목공, 금속 가공, 전기 공학)를 설치하는 경우 작업과 설비의 특성에 따라 작업공간을 분리하여 조성한다. 각 기술 전문 작업실은 소음, 진동 및 먼지로 인해 다른 작업장 외 공간들이 훼손되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배치해야 한다. 특히 안전 및 건강에 대해 주의한다.  유해 물질은 작업장 외부의 별도 보관실에 보관해야 한다. 제한된 범위에서 교사의 감독 하에 작동하도록 허용된 기계나 설비는 별도의 작업실에 보관해야 한다.  기술, 제작, 학습, 자료 비치, 정보 검색, 프로젝트 작업을 위해 다양한 규모의 그룹, 즉 개별, 소규모, 대그룹 수업이 가능해야 한다.  제작 중인 작업 과제물을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 기술관련 작업실은 가급적이면 학교 건물 1층에 배치해야 하며, 재료와 기계를 배달하고 배달하기 위해 외부에서 접근 할 수 있어야 한다.  서로 다른 기술 교실 간의 시각적 투명성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 기술 관련 전문교실 ◉ 자연 과학실  교실 내에 교사가 사전 실험을 해볼 수 있도록 충분한 교사 업무 및 실험 실습 공간을 확보한다.  과학교실은 지도(시연) 구역과 실험 구역으로 나누고 동시에 이론 강의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 실습 시 교사의 시연을 학생들 이 각자 본인의 자리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교사 실습대 상부에 반사경이나 촬영장치 및 모니터를 설치를 권장한다.  실험실 내 모든 가구는 가능한 바퀴를 장착하여 이동 후 고정 가능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작업과 작업 자세를 위해 높낮이를 조절하고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가구를 설치한다.  실험실 내 가구는 실험 테이블과 좌석, 재료 선반, 냉온수 사용 가능한 개수대, 환기 시설, 기구 비치 선반을 포함한다.  실험 테이블마다 작업대와 개수대를 조합하여 다용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 재료 케비넷 또는 선반은 아동의 신장을 고려하여 허리 높이 이하로 조성하여 입출고 시 안전을 고려한다. 28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29. 약품 세척이 용이하도록 수전과 싱크대가 있는 작업대가 있는 과학실험실 위 : 미싱이 설치된 봉제실 아래 : 야외 공간과 연결된 목공실 중앙 작업대, 벽쪽 장비를 배치한 목공실습실 29 김성원. 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볅 디자인과 사례 2020 ◉ 봉제, 과학, 목공 관련 전문 교실 사례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30. 위: 충분한 이격 간격을 두고 CNC 설치 아래: 하부에 도색 재료를 비치할 수 있게 고안된 작업대 좌측 벽 상부 책 선반, 좌우측 벽 하부 공구 거치, 중앙 작업대, 전면벽 재료 보관함, 우측벽 제작장비 설치, 화이트 보드 및 보관 선반 30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사례 02. 다목적·다기능화 - 특별교실의 다기능·다목적 전문교실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31. 03. 커뮤니티 광장 3. 커뮤니티 광장 학교의 심장이 만들어지고 있다. OECD("Pisa and the Key Competences", 2005)는 미디어와 언어를 활용한 상호작용과 이질적인 집단에서 사회관계(이해와 소통, 배려, 협력)능력은 주체적이고, 경제적으로 자립적이며, 사회적,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하다는 주장과 함께 사회관계 기술이 학생들이 반드시 교육받아야 할 기초 역량이라고 발표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현대 학교들은 사회관계 기술의 함양을 주요한 교육 과제로 삼아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 공간을 속속 학교 내에 조성하기 시작했다. 이뿐 아니다. 지역 공동체와 학교의 협력과 교류가 중요해짐에 따라 주민들을 학교로 초대하여 교류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공간 역시 학교 내에 마련 할 필요가 높아졌다. 이러한 필요를 반영하여 현대 학교들은 식당, 카페테리아, 도서관, 현관 홀, 강당, 공연장, 검색 부스, 학습(자습) 센터 등을 공간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포괄하는 다목적 복합 공간을 학교의 중심에 조성하기 시작했다. 연령과 성별, 학급이 다른 학생들과 교사들의 일상적인 교차와 교류, 아이디어의 교환이 일어나도록 학교에 들어오면 반드시 거치게 되는 중심 위치, 즉 현관 홀을 중심으로 이 영역을 조성한다. 또한 주변에 학교 구성원 모두가 이용하는 공통 시설을 배치하거나 공통 공간들을 상호 가변적으로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개방성을 높이고 규모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조성하고 있다. 전체 학교 공동체가 모일 수 있는 이러한 커뮤니티 영역(다목적의 복합 광장 공간) 의 조성은 민주적 시민의식과 공동체 감각을 발전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학교의 커뮤니티 영역은 현대학교의 특징이 되었고, 종종 사람들은 이곳을 '학교의 심장'으로 불렀다. 커뮤니티 영역을 어떻게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까? 앞서 언급했듯이 특정 시간 대 외에 이용 효율이 낮은 대공간(식당, 도서관, 현관 홀)과 학교 전체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자주 이용하는 공간들을 학교의 중심에 유기적이면서 가변성 있게 연결하여 배치하고 학습센터, 행사장, 휴식과 놀이, 사교 공간으로 다목적화하는 방식으로 조성할 수 있다. 이때 주로 현관 홀 주변의 각 공간들을 가능한 가변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여 필요에 따라 개방성과 공간 확장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가벽 또는 광폭의 접이식 문, 대형 미서기 문이나 광폭 오버 헤드 도어를 설치하여 대공간화 할 수 있도록 한다. ‘학교의 심장’ - 다목적 복합 광장 공간으로 현대 학교들은 식당, 카페테리아, 도서관, 현관홀, 강당, 공연장, 검색부스, 학습센터등을포괄하는 다목적 복합 공간을 학교의 중심에 조성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커뮤니티 영역은 현대 학교의 특징이 되었다. 내외뉴스통신 2018.12.24 세종포스트 2020.08.01 31 아뜨리움 홀 세종예술고의중심 공간으로 조성되어 행사, 독서, 휴식, 공연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32. 32 ◉ 스마트 기반 광장형 공간 학교 구성원들의 일상적 교류와 교차를 통해 공동체성과 사회성을 함양할 "학교의 심장부 공간"의 조성이 중요하다. 미래 교육에서 사회 관계 기술의 함양이 강조되고 있고, 전체 학교 공동체가 모일 수 있는 일상 공간과 계기를 마련하는 것은 민주적 시민의식 함양과 사회관계 기술을 발달시키는 데 중요하다. 또한 지역 주민과 학교의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환대의 공간이 필요하다. 학교의 주요 전체 공용 공간에는 현관, 강당, 체육관, 도서관, 식당, 카페테리아, 다목적실 및 야외 공간이 포함된다. 현대학교는 광범위한 공식 및 개별, 그룹을 위한 비공식 활동을 위한 풍부한 공간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이용 효율이 떨어지는 대공간들이나 학교 전체 구성원이 사용하는 공용 공간들을 개별 공간으로 분리하기 보다는 통합하거나 근접 연계 배치하여 복합 광장형 공간으로 조성 한다. 복합 광장형 공간은 모든 사용자를 위한 입구 및 만남과 환대의 장소이자 학교의 교육 비전과 이미지를 전달하는 장소다. 가능한 전시 구역과 좌석 공간을 마련하고, 휴게 공간, 카페테리아, 강당, 도서관 등과 통합하여 전시, 행사, 공연, 휴식, 식사, 자습, 만남 등을 위한 다목적의 공통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곳을 중심으로 일반학습영역, 전문학습영역, 관리지원영역, 돌봄복지 영역 등으로 최단 거리에 연결하여 학교 전체 구성원들의 교차와 교류를 촉진하도록 한다. 강당 겸 체육관은 다목적 공간으로 조성되었으나, 기존 학교에서 본관과 분리 조성되어 접근성이 떨어지고 일상적으로 이용되지 못했다. 강당 겸 체육관을 학교 생활에서 실질적인 공동 장소로 전체 모임과 공연의 중심 장소로 재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체육관 겸 강당은 가능한 본관의 광장형 공간에 근접 배치하거나 일부 기능을 통합하여 연결한다. 분리된 강당이 지역의 주민들을 위해 개방될 경우에는 방과 후 사용을 위한 별도의 출입구나 입출입 관리 정책이 고려되어야 한다. 식당 또는 카페테리아는 식사 제공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학교 생활에서 사교적 소통의 장소로 활용되고, 필요에 따라 독서 및 휴식 공간, 놀이 공간, 방과후 취미활동 및 수업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위생법 상 제약이 있으므로 평소 일정 부분 분리하고, 필요에 따라 가벽이나 접이식 문을 사용하여 복합 광장형 공간으로 연결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치로 학교 전체의 공간 이용율을 높일 수 있고 미래학교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경제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현관 홀을 중심으로 공간이용율이 떨어지는 학교 내 대공간들과 공용 공간들을 통합하거나 근접배치하여 유연하게 연결하므로써 공동체족 소통, 시민늬식 함양, 지역 공동체와의 협력과 교류를 위한 광장형 공간을 조성한다. 이곳은 유무선 통신과 전력, 음향, 조명 시설 등을 제공하고 학습, 사교, 휴식, 행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반 광장 공간으로 조성한다.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33. 용도 : 중앙 통로 및 방과후 활동을 위한 입구, 휴게실, 학교 모임 및 대규모 행사, 공연, 기악 연습 공간, 가벼운 수업 및 조회 공간 등으로 사용. * 교육공동체 의견을 수렴하여 다양한 복합 기능을 가진 공간으로 조성 구조 : 더 큰 고정 구역 (좌석 계단이 있는 계단), 무대로 사용할 수 있는 구역 설정, 소규모 그룹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다양한 틈새 구역, 가능한 경우 곳곳에 분산, 분리된 소그룹실이나 구역을 설정하고, 의자 보관 구역, 학생 작업을 위한 발표 전시 공간 등을 설정. 느낌 : 환영하는 분위기로 친근하며 매력적. 소규모 및 대규모 모임을 위한 좋은 환경, 필요시 학교 파티 및 공연등의 분위기 조성 장비 : 이벤트 설비(조명 조절, 음향 시스템, 정전 옵션, 간이 설치 무대,) 및 정보통신망 및 검색 부스 제공 연결 : 실내 광장(현관 홀) 입구 영역에 가능하면 학교 전체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용 공간이나 다목적실, 음악 관련 공간, 도서관, 체육관, 식당, 화장실 등을 근접 배치하고, 유연한 연결과 가변 개방하도록 한다. 방과 후 활동을 위해 근접한 카페테리아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복합적 이용을 위해 용도에 따라 음향 시설, 방음, 의자 수납, 조명, 식음, 학습, 놀이 등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틈새 공간과 좌석을 배치한다.  복합 광장 공간 내부는 가구나 오브제, 낮은 칸막이나 바닥 재료와 패턴, 색상을 달리하여 내부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 규모를 크게 조성할 여건인 경우 휴식을 위한 개별 공간이나 모둠 좌석, 놀이 공간, 정보 검색, 숙제, 부모와 대화 좌석, 부모들의 대기 구역을 설정한다. 이곳에 학생들이 쉬는 시간 뿐만 아니라 발표 무대나 자유롭게 놀이할 수 있는 다양한 기구들을 설치할 수 있다.  커뮤니티 영역의 중심부는 자연 채광과 적극적인 조명을 통해 밝고 환한 공간으로 구성한다.  가능하면 층고 높은 중공 또는 천창이 있는 아뜨리움 공간으로 조성하여 개방된 공간감을 갖도록 한다. 단 환기와 여름철 강한 일사 차폐 기능을 지원한다.  커뮤니티 공간 내 대 공간 또는 근접한 대 공간들은 가변 가능한 가벽, 폭이 넓은 미서기 문, 접이식 문 등을 활용하여 유연하게 연결하거나 확장하거나 분리 한다.  식당을 접이식 문으로 연결하여 점심시간 외 휴식과 학습, 활동이 가능한 카페테리아로도 활용하거나, 특별한 행사를 위해 개방 연결하여 더 큰 좌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성한다.  복합 광장형 공간은 근접 공간들을 개방하여 최대 확장 시 학교 구성원 전체 또는 인근 주민들이 행사를 위한 충분한 면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 가능한 경우 광폭 다목적 학습 계단 좌석을 설치하여 이동, 행사, 학습, 발표, 휴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 광장형 공간 권장 사항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34. ◉ 커뮤니티 영역의 구성 사례들 Neue Lernziele brauchen auch neue Räume. Bauwelt 29–30| 2013 34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35. 35 Montag Stiftung Jugend und Gesellschaft Fünfmal Phase Null Thomas Mayer https://www.bauwelt.de/themen/bauten/Geschwister-Scholl-Gesamtschule- Sanierung-Luenen-Hans-Scharoun-Oskar-Spital-Frenking-Michael-Schwarz-2159207.html https://gsst.hamburg.de/author/gsst/page/4/ ◉ 광장형 공간 조성 사례 – Geschwister Scholl Stadtteilschule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36. 36 ◉ 광장형 공간 조성 기획 (예시)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37. 장안 초등학교는 사전기획에서 커뮤니티 영역은 층고 높은 대형 현관 홀(가능한 천창이 있는 아뜨리움으로 조성)을 중심으로 대 공간인 도서실과 체육관을 직접 연결하고, 다문화 교육과 표현, 전시의 공간으로 융합교육실(능동학습교실 겸 다문화어울림 공간)을 배치한 다. 이곳은 공용교실로도 사용 가능하다. 커뮤니티 홀은 다목적 공간으로 공연, 연습, 행사, 수업, 놀이, 휴식의 공간으로 활용하여 지역민에게 방과후나 특별한 행사를 위해 개방하는 공간으로 조성한다. 화장실은 커뮤니티 홀에 두어 학생, 교사, 방문자가 이용케 하고, 체육관에는 화장실과 탈의실을 보조 공간으로 조성한다. 식당은 단지 급식 공간이 아니라 내부에 가변 벽체나 낮은 분리 칸막이나 오브제 등으로 구분된 다용도 구역을 두고, 점심식사 시간 외에 휴식, 수업, 활동 등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주요한 학교의 다목적 공용공간으로 조성한다. 식당은 외부의 중정으로 직접 접근 가능하다. 방과후 관리가 필요한 돌봄 교실도 커뮤니티 영역 내에 둔다. 중정(야외공연 가능) 다목적(공연, 연습, 행사, 휴식, 학습 등 / 주민 이용 개방 ) 내부 가변 다목적 구역 포함 ◉ 광장형 공간 조성 기획 사례 – 화성 장안초 37 장안초 학교공간혁신 사전기획보고서 2021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38. 텍사스 마너 ISD 신기술학교(Manor ISD—NewTechMiddle School)는 2007년 개교 당시 오바마 대통령이 방문한 미래 기술 지향적 공립학교다. 이 새로운 학교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 교육학을 강조하는 New Tech Network 학교로 설립된 시범학교다. 개교를 준비한 기획위원회는 학교의 내부 공간은 조용히 혼자서 공부하는 것부터 시끄러운 그룹 작업까지 다양한 규모의 활동과 수업, 학습을 지원하는 학교로 건축하고자 했다. 마너 학교는 확실히 다른 학교들과 다르다. 3층에 걸쳐 수직으로 열려 있고, 학교 곳곳은 이동식 테이블, 의자, 화이트 보드로 채워져 있다. 이 학교에는 교실이 따로 없다. 소그룹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공중으로 돌출된 작은 상자 같은 방이 있을 뿐이다. 이곳에는 모니터가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이 학교의 대다수 수업은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초기 다소 혼란을 주었지만 전통적 강의식 수업보다 더 많은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미래 학교의 모델을 따른다. 이 학교에서 놓치지 말고 주목할 공간은 중앙의 다목적 학습 허브(중앙 광장 공간)다. 주변에는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공용 공간들이 있다. 이곳은 다른 공간들로 이어지는 통로가 집중되며 순환이동이 일어나는 교차 장소다. 다소 번잡한 대형마트의 푸드코트를 연상시키는데, 언듯 보기에 카페테리아처럼 보이기도 한다. 단순히 식사만 하는 공간이 아니라 교실이자 도서관이기도 하다. 한편에는 무대까지 설치되어 있다. 학습 허브 주변 곳곳에 분산된 자료와 미디어들을 이용할 수 있다. 교사업무 구역부터 협업 공간까지 다양한 구역들이 뒤섞여 있다. 당연히 이곳은 엄숙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시끄러운 광장을 권장한다.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때 스스로 가르치고, 친구를 가르칠 때 내 이해하기 시작한다.’는 교육철학에 맞춰 마치 유대인들의 도서관에서 처럼 서로 토론하며 동료학습을 하는 학생들로 가득 차 있다. 이곳에서는 학령이 다른 학생들이 서로 관계를 맺거나 사회성을 키우고 협력한다. 학교 공동체의 소속감과 정체성을 경험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워낙 인기가 많은 학교라 이 학교를 보내고자 하는 부모들때문에 이곳은 추첨을 통해 학생을 선발한다. ◉ 광장형 공간 조성 기타 사례- Manor ISD—New Tech Middle School 38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39. ◉ 광장형 공간 조성 기타 사례 39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3. 커뮤니티 광장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40. 40 ◉ 학교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도서관을 매력적이고 편안한 장소로 바꾸어야 한다. 엄숙주의가 전체 분위기를 지배하는 도서관은 점점 더 과거의 유물이 되어가고 있다. 조용히 책을 읽을 공간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한다해도 과거처럼 허리를 곳곳이 펴고 앉아 독서하는 모습을 기대할 수는 없다. 학생들이 혼자 있을 수 있는 조용한 동굴 공간을 마련하고,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카페트나 푹신한 바닥과 안락한 소파, 계단식 의자, 함께 둘러 앉을 수 있는 좌석과 테이블,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책걸상을 배치하는 것은 점점 더 학교 도서관에서 기본이 되어가고 있다. 낭독이 가능한 이야기방이 필요하고, 책에 대해 여럿이 토론할 수 있는 그룹 모둠(Pod)공간이나 동료학습이 가능한 소공간, 책에 대해 바로 발표할 수 있는 화이트 보드를 곳곳에 설치해야 한다. 학교 도서관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과거 교실동의 한쪽 끝이나 별도의 건물동에 배치되었던 도서관은 이제 점점 학생들의 일상적 접근과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학교의 중앙 커뮤니티 영역의 복합 광장형 공간으로 이동하고 있다. 학교의 중심인 대형 현관 홀과 도서관을 통합하여 거대한 복합 학습센터나 학습 허브로 통합하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다. 정보 조사, 읽기, 학습 및 활동 센터로서의 학교의 도서관은 그 내부에 소규모 그룹에서 개별 학습 및 프로젝트 수행 및 수업의 장소로서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학교 도서관의 내부 구조는 도서, 정보 검색 및 미디어 영역 외에도 별도로 분리된 조용한 독서 및 학습이나 소규모 그룹 작업을 위한 별도의 소공간 또는 구역을 설정해야한다. 학교의 규모에 따라 중앙 도서관 외에 학교 건물동 또는 영역별로 소규모의 도서미디어 구역을 분산하여 조성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 접속과 멀티미디어 정보 자원의 제공은 현대 도서관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유무선 통신망 지원 및 충전 콘센트의 제공이 필수다. 많은 도서관들은 책 외에도 CD, 영상파일, 전자북, 음성 정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학생들의 자율 학습과 교사들의 수업에 활용하고 있다. 곳곳에 인터넷 접속이 가능할 뿐 아니라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검색대들이 곳곳에 등장한다. 컴퓨터실이나 영상정보실은 도서관의 일부가 아니라 중요한 요소가 되며 과거에 도서관의 서가와 도서 열람실 그 이상으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노트북과 연결할 수 있는 프로젝터나 대형 모니터, 스마트 보드, 검색 키오스크는 점점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기술 지원 사항이 되고 있다. 세계의 학교들은 특히, 이러한 점을 강조하며 도서관의 역할을 멀티미디어 학습공간으로 인식을 바꾸기 시작했다. 학교도서관은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로 조성하고, 가능한 학교 중심의 복합 광장형 공간에 통합하거나 근접 배치하도록 하여 학생들의 일상적 이용을 촉진한다. 도서미디어 학습 허브 내에는 서가 외에 집중할 수 있는 열람 공간, 개별 및 그룹 활동을 위한 개별 공간과 모둠 공간을 제공하고, 수업과 다양한 교육 활동이 가능한 영역을 설정한다. 현대 도서관은 유무선 통신망과 충전 인프라를 지원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및 인터넷 정보자원에 손쉽게 접근하도록 영상정보실 또는 구역과 정보 부스 등을 포함한다. 03. 커뮤니티 광장- 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41.  학교 도서관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서실 내에 다양한 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야기 수업을 위한 구역, 개별 독서 구역, 소그룹 좌석이나 소그룹실, 누워서도 활동할 수 있는 카펫 구역은 물론 도서실 내 수업과 활동이 가능한 구역을 조성한다.  이야기 구역은 가급적 포근하고 , 아늑한 분위기의 색채( 난색계 ) 와 재료 (카펫)를 사용하여 학생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조성한다.  벽면 일부에 바닥을 2~3 단 낮게 계단을 조성하여 시청각 자료를 볼 수 있는 아늑한 소규모 시청각 공간 또는 영상 감상이 가능한 공간을 조성한다. 이때 방음 가능한 공간으로 분리할 수 없을 경우 독서에 방해되지 않도록 무선 헤드폰 등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도서실에 무선인터넷 환경을 구축하여 언제든지 정보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고, 온라인 정보자원 검색하거나 학생들의 노트북을 연결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대형 모니터를 여러 곳에 설치한다.  초등학교의 경우 서가를 낮게 하여 도서실 내부를 보다 개방감 있고 ,쾌적하게 조성하는 것이 좋으며 , 공간을 변형할 수 있도록 이동식 서가를 배치한다. 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신장 차이를 고려하여 도서실 내 대출 데스크의 높이를 각기 다르게 조성한다.  학교도서관 내부의 공간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가볍고 이동이 편리한 스툴 (stool)이나 가벼운 방석이나 빈백 (beanback)을 비치할 수 있다.  도서실 곳곳에 화이트 보드나 필기 벽면을 설치하여 발표와 토론, 공동 작업을 촉진한다.  도서실과 인접한 야외 공간이 있는 경우, 차양이 있는 데크(deck)와 테이블과 좌석을 설치하여 야외 독서 공간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학교 도서관 권장 사항 Montag Stiftung Jugend und Gesellschaft LEITLINIEN FÜR LEISTUNGSF HIGE SCHULBAUTEN IN DEUTSCHLAND Ä 41 3. 커뮤니티 광장- 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42. 빅월넛 중학교. 대다수 의자, 모니터, 테이블에 바퀴가 달려 있어 이동하기 쉽다. 도서 외에 멀티미디어 자료가 비치되어 있고, 인터넷과 연결된 대형 모니터를 학생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터치 스크린과 모니터를 그룹학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도서관은 멀티미디어 기반 학습 장소로 변모했다. ◉ 기타 도서관 조성 사례 42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3. 커뮤니티 광장- 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43. 이야기 학습, 그룹 학습, 개별 학습 등을 지원하는 도서관의 다양한 좌석 공간 배치 ◉ 기타 도서관 조성 사례 43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3. 커뮤니티 광장- 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44. 위 : 학교 중앙 홀 전체를 사용하는 도서관 아래 : 케에센( 泉 恵 )여학원 중고등학교 1층 전부 도서관 위 : 휴식과 독서를 유도하고, 행사를 위한 특이공간 아래: 그룹 독서 모임을 위한 공간 그룹 또는 개별 독서를 위한 부스형태 공간 ◉ 기타 도서관 조성 사례 44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3. 커뮤니티 광장- 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45. 서울 강서고 도서관 내부의 학습 카페와 소그룹실, 열람실 결합 상주 낙운중의 도서관, 편안한 좌석 공간 형태의 열람 좌석 및 수업 및 휴식 공간 ◉ 기타 도서관 조성 사례 45 김성원.미래학교의 공간요소별 디자인과 사례. 2020 03. 커뮤니티 광장- 도서관의 멀티미디어 학습 허브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46. 04. 다용도 비공식 공간 4. 다용도 비공식 공간 아동복지와 관련한 학교의 역할이 증가하면서 종일학교로서 유치원, 돌봄교실 방과후교실, 특수학급을 운영하고 있다. 아동들이 학교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학교 생활을 위한 편의 공간을 곳곳에 제공할 필요가 높아졌다. 고등 학교에서 고교학점제의 도입으로 공강시간에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의 자습이나 휴식을 위한 공간도 제공해야 한다. 미래 학교는 지금과 같은 대집단 학습 보다는 소그룹 토론과 프로젝트 수행, 특히 개개인에 맞춘 개별 학습과 과제 수행이 중요해진다. - 개별 공간 "개성화", “개별화”는 미래 교육의 큰 방향이다. 학생 개개인의 학습 경로와 진도가 매우 다른 것을 인정하고 이에 맞는 학교 교육과 공간 제공이 필요하다. 따라서 개별 학습과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이 필요하다. 개별화 맞춤 학습을 지원하는 온라인 쌍방향 학습 소프트웨어와 모바일 앱은 앞으로 이러한 변화에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지원하기 위해서 적절한 개별 작업 및 학습을 위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개별 공간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특히 조용한 구역 또는 공간이다. 학습 스튜디오(자율 학습실)는 각 학생이 마치 독서실처럼 개인 보관함과 핀 보드가 있는 자신에게 할당 된 책걸상을 제공한다. 이곳은 부분 조명 및 일정 수준의 음향 차폐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공간은 조용하고 방해 받지 않는 개별 집중 학습 공간이지만 전체 학생들에게 모두 제공하기 위해서는 넓은 면적이 필요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공유학습 공간(학습 카페)은 개개인에게 할당되지 않는 공동 이용 학습 공간이다. 이곳은 좌석이 제한되며, 특정 정원 이하로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순환된다. 대체로 조용하고 질서 있는 개인 자율 학습 공간이지만 개개인에게 독점적이지 않다. 공유학습 공간 역시 면적 제한 때문에 종종 학교에서 별도로 조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미래학교에는 개별 또는 그룹 학습 활동, 생활 편의를 제공할 비공식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기 보다는 학교 곳곳의 틈새 공간에 조성하거나, 다양한 공간 내부에 비공식 공간 구역을설정할수있다. 청주일보 020.09.23 46 복도의 비공식 공간 청주 원평중학교 복도에 조성된 벽감 공간과 창턱 좌석 ◉ 개별 또는 그룹을 위한 비공식 공간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47. - 그룹 공간(모둠, Pod 공간) 학생들은 미래 학교에서 다양한 규모의 그룹으로 프로젝트 작업 뿐 아니라 토론, 세미나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함께 배우거나 친분을 쌓는다. 학습 그룹의 구성은 과목 선택 뿐 아니라 개인적 관심 주제에 따라 결정된다. 수년을 거치며 공통 관심사를 가진 학생들이 서로를 알아 가고 학교에서 사회적 관계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 소규모 그룹들은 교실 내부의 소그룹실이나 교실 내부의 차별화 구역을 이용할 수 있다. 학습 클러스터 내 학습 복도나 학습 거실 등 공용 공간의 일부 구역도 그룹 활동을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비공식 공간은 개개 학생 또는 학생 그룹의 생활 편의를 제공하고 개별 또는 그룹 학습과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이다. 비공식 공간은 소그룹실을 의미하거나 교실 내부나 다기능의 학습 복도, 학습 클러스터 중앙의 학습거실, 창가 좌석, 벽감(Alcove) 공간, 카페테리아의 한 구석, 도서실의 일부 구역, 다목적 복합 광장의 구석, 도서실의 일부 좌석이 비공식 공간이 될 수 있다. 학교는 별도의 공간을 확장하지 않고 곳곳 틈새 공간에 비공식 공간을 조성하여 학습과 과제 수행, 휴식, 독서, 토론, 사교 등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용도가 특정되지 않은 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비공식 공간을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 의외로 간단하다. Magda Biernat. https://images.squarespace-cdn.com Magda Biernat https://cdn.trendhunterstatic.com Danish Kurani. https://www.gettingsmart.com/ 47 Alt School의 창가 좌석 ◉ 개별 또는 그룹을 위한 비공식 공간 - 다양한 규모와 형태를 가진 소파나 빈백, 작은 테이블이나 좌석 배치 (그룹 공간의 경우 화이트 보드, 모니터 벽면 배치 권장) - 바닥 난방 지원 또는 누울 수 있는 카펫 바닥이나 마루 공간 조성 - 시선과 소음을 적절히 차단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칸막이나 박스 공간 - 조명, 색상, 바닥재, 가벼운 목수 인테리어 작업물을 이용한 구역의 구분 그룹 활동을 촉진하는 안락한 소파 04. 다용도 비공식 공간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48. ◉ 학교에서 공통영역의 변화 공통영역은 복도, 계단, 현관 등 통행을 위한 공간이다. 과거 전통 학교에서는 전체 면적의 25%를 차지했고, 이중 65%는 단순 통행을 위한 복도가 차지했다. 그러나, 현대 학교에서는 공통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44%로 확대되었고, 이 가운데 단순 통행만을 위한 복도는 23%로 감소했다. 대신 다목적의 공용공간을 겸하는 복도(학습 복도, 놀이복도, 생활 복도)의 비중이 43%, 라운지를 겸하는 복도 비중이 21%로 증가했다. 이처럼 현대학교에서 단순 통행만을 위한 복도 보다는 개별 또는 그룹 학습과 활동을 위한 다양한 비공식 공간을 복도에 설정한 학습복도, 학습거실, 놀이복도나 생활 복도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48 04. 다용도 비공식 공간- 공통영역의 변화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49. Studio Mfd. https://www.officelovin.com David Lena. https://media.edutopia.org Rbb Architects. https://www.rbbarchitects.com Finegold Alexander Architects. https://assets.website-files.com Utile Design. https://www.utiledesign.com ROGER HIRANO. https://d.newsweek.com 49 ◉ 개별 또는 그룹을 위한 비공식 공간 볕 좋은 창가의 좌석, 안락한 소파, 벽감 좌석, 이동 가능한 간이 의자를 활용해서 학교 곳곳에 비공식 공간을 만들 수 있다. 화이트 보드나 모니터를 설치하여 비공식 공간에서 그룹 토론이나 발표 등 학습 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04. 다용도 비공식 공간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50. 위 : 복도의 사물함과 간이 좌석, 책꽂이, 게시판 아래 : 옷과 사물 보관함, 간이 좌석을 복도에 설치 위 : 벽감 좌석과 벽의 화이트 보드 (비공식 학습 공간 유도) 아래 : 복도에 화이트 보드 설치(비공식 학습과 표현 유도) 위 : 확장 복도에 설치한 테이블과 좌석 아래 : 복도 교차 공간에 설치한 꼬투리 공간(Pod) ◉ 다목적 공용공간화 되는 복도들 50 04. 다용도 비공식 공간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51. 복도의 협탁과 좌석 공간 넓은 창턱을 활용한 좌석 위 : 복도 바닥 놀이 아래 : 복도 짜투리 공간의 봉을 활용한 놀이기구 51 ◉ 다목적 공용공간화 되는 복도들 04. 다용도 비공식 공간 학습공간의 재구조화
  • 53.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1. 학교 공간 변화의 층위 학교 공간 변화는 다양한 위계적 범위를 갖고 있다. 가장 손 쉬우면서도 공간변화를 완결은 ‘학습 가구의 재비치 또는 교체’이다. 가구의 종류와 배치를 달리하여 동일한 공간(실, Room)내에 기능과 용도를 달리하는 구역(Corner)을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는 인테리어 작업이다. 실(Room)내 벽면과 지붕의 재료와 색상, 조명, 목수 제작 가구와 오브제, 바닥 및 실내 장식을 바꾸어 차별적인 공간 기능과 느낌을 만들 수 있다. 적지 않은 교사들이 기존의 획일적인 상자형 편복도 교실에 익숙해져 있어서 학교 공간 변화에 대한 교사들의 상상은 종종 인테리어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적지 않다. 공간 구성은 규모와 용도, 형태가 다른 여러 공간들의 분리와 배치, 상호 연결, 접근 관계 등 공간을 조직하는 작업이다. 학교 공간 구성은 주로 영역(Zone) 단위에서 건물동(Building)으로, 그리고 전체로 확대된다. 구조는 건물의 안전과 관계되고, 건물의 골조, 외형을 포함한 건축물(Building) 디자인에 영향을 끼친다. 학교 공간 변화를 위한 디자인은 인테리어 영역에 머물지 않고 영역(Zone) 단위 공간을 재구성하는 데서부터 시작해서 아래로는 실(Room) 단위 인테리어와 가구와 설비 배치를 통한 실 내부 구역(Corner) 설정, 위로는 건물동 배치와 구조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학교 단위의 공간 변화는 미래학교의 비전에 따라 학교공간 전체의 재배치와 재구성의 과정으로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 인테리어 영역에 머물지 않고 영역(Zone) 단위 공간을 재구성하는 데서부터 시작해서 아래로는 실(Room) 단위 인테리어와 가구와 설비 배치를 통한 구역(Corner) 설정, 위로는 건물동 배치와 구조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53
  • 56.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2. 영역단위 공간의 구성과 디자인 현대 학교 디자인은 실 단위가 아닌 영역 단위로 디자인한다. 왜냐하면 과거 획일적 교실이 학습 공간의 기본이었다면 현대 학교는 단일 교실 중심이 아니라 용도와 크기가 다른 여러 공간들을 다양학 학습 유형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하고, 교실 외 학교 전체 공간을 개별, 그룹 학습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학교의 공간 영역은 보통 교실들이 배치되는 일반학습 영역이다. 그 다음 예술, 과학, 공연, 가사, 기술 등 특별학습과 활동, 실습을 위한 전문학습 영역, 학교 전체가 이용하는 식당, 다목저 광장 공간, 다목적 실, 도서실, 카페테리아 현관 등을 포함하는 공통 영역(커뮤니티 영역 또는 복합 광장 영역이라고 부름), 교무실 숙직실, 보건실, 기계실, 방송실 등이 있는 행정 지원 관리 영역, 유치원, 돌봄 교실, 특수학급 교실 등이 있는 '돌봄 복지 영역'과 야외 공간으로 구분한다. 각 영역의 내부 공간 조성과 디자인은 미래 교육학의 요구에 맞춰 융합교육, 협력학습, 혼합 학습이 가능하게 조성하고, 주 학습 공간 더불어 개별과 그룹 활동을 위한 다양한 비공식 공간, 소그룹실 또는 기타 보조 공간, 위생 공간, 외부 연결, 공용 공간(학습거실, 학습 복도) 등을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구성한다. 현대 학교 디자인은 실 단위가 아닌 영역 단위로 구성하고 디자인한다. 일반학습 영역, 전문학습 영역, 공통영역(커뮤니티 영역), 돌봄-복지 영역, 행정지원관리 영역, 야외 공간 등으로 구분한다. 56
  • 57. 호주 서부 퍼스(Perth) 엘렌브룩(Ellenbrook)의 가톨릭 남녀 공학인 성십자가 학교(Holy Cross College)는 현대학교의 학습 공간 기준을 엿 볼 수 있는 좋은 사례다. 2014년 학교 건물을 증개축했다. 아동을 위한 조기학습센터, 초,중,고등 교실, 디자인 기술센터와 미술교실, 음악교실, 디자인실이 포함된 공연예술교육동과 제작교실, 과학실험실, 탈의실, 다목적실 등이 포함된 새로운 학습 공간을 증축했다. 성십자학교(Holy Cross College)는 중축을 하며 21세기 미래 교육의 이상에 따라 학습 공간의 특성을 정리했다. 이 학교가 설정한 21세기 교육의 비전은 학생들의 ‘ 비판적 사고’와 ‘협업과 소통’, ‘창의력’의 개발과 성숙이다. 미래학교는 학생들의 참여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생 책임을 강조한다. 안전보다는 학생의 작업과 활동에 집중하고, 학생들에게 장소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하는 동시에 공동체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조성해야 한다. 이러한 21세기 교육의 이상과 미래학교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성십자학교(Holy Cross College)는 무엇보다 연령별 공간 특성에 따른 디자인 기준과 공통 디자인 기준을 명확히 설정했다. [연령별 학습 공간 디자인 기준] • 유아: 유연하고 안전한 ‘집’ 같은 공간 • 초등: 다양한 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개방적 학습 공간 • 중등: 가변 학습 공간과 유연한 다목적 휴게공간 • 고등: 개별 집중학습 공간과 그룹 학습과 프로젝트 공간 [공통 디자인 기준] • 실내와 실외의 유기적 연결 • 연령별 놀이와 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야외 학습 공간’ • 큰 공간 내부의 ‘프라이버시 공간’ 허용 • 교실 및 소규모 공간의 투명성(가시성) 유지 • 모든 공식, 비공식 공간에 ICT를 광범위하게 지원 • 모든 영역에서 채광과 연결성 유지 3. 연령별 학습 공간 디자인 기준 57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 58.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① 학교의 학습공간 재구성을 위한 사전기획 과정에서 교육학과 건축의 연결은 핵심 이슈이다. 단순히 기존 학교의 개선 요소나 추가 공간 목록을 그대로 건축을 위한 공간 프로그램(Space Program)에 포함시키면 않된다. ② 미래 교육 비전과 미래 교육 목표, 미래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 필요한 공간 목록을 만들고, ①단계에서 파악된 목록과 함께 재정리해야 한다. 역시 이 단계에서 멈추어서는 않된다. 이 단계에서 요구되는 공간 목록은 대개 너무 길 다. 학교에 허락되는 면적이나 예산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기능별로 요구되는 모든 공간을 조성하다보면 종종 이용 효율이 떨어지는 공간들이 만들어진다. ③ 공간 이용율을 높이고, 경제적으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공간 목록을 압축해서 실행가능한 범위로 줄여야 한다. 어떻게 공간 목록을 압축할까? 우선 학습과 활동 유형의 유사성 또는 학습 주제에 따라 공간 목록을 분류해서 영역화해야 한다. 그 다음 영역 내 공간 목록들에서 공간의 기능과 설비의 유사성이 높은 공간들을 통합해서 다기능·다목적화하여 공간 목록을 줄여야 한다. 이렇게 다기능·다목적화 압축 과정을 거쳐야 공간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다. ④ 건축적 효율성과 경제성을 위해 반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간 구성 모델을 패턴화해야 한다. 공간 디자인 패턴은 주로 교실들이 배치된 일반학습영역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다. 전문교실 영역에서 공간 디자인 패턴은 각 전문교실들의 기능과 활동 특성에 따라 조금씩 변형된다. ⑤ 단위 공간(실) 내부에 다양한 역할과 활동을 지원하는 내부 구역을 설정한다. 구역 설정은 학습가구나 인테리어 오브제, 설비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58 ① ② ③ ④ ⓐ ⓑ ⓑ ⓒ ⓓ ⓓ ⓒ ⓒ 내부구역 설정 4.교육학과 건축의 연결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 59.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59 3개의 교실과 공용공간, 테라스, 계단실, 화장실이 포함된 학습 클러스터 구성이 반복적 패턴으로 발견된다. 5개의 교실과 공용공간, 화장실, 탕비공간, 계단실, 화장실이 포함된 학습 클러스터 구성이 반복적 패턴으로 발견된다. 규모가 다른 개의 교실, 중간에 폴딩 도어가 있는 확장형 교실 1곳, 교사업무실, 유연한 공용학습공간( 학습거실), 스튜디오라 불리는 기능적 공간 등이 반복적 패턴으로 발견된다. 선진 사례 학교들의 배치도면 분석을 통해 공간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 5 .공간 구성 디자인 패턴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 60. 학교공간 디자인의 주안점 60 유럽의 미래 교실 모델은 학습 및 교육의 다양한 유형을 지원하고 ICT 사용을 전제로 디자인 되었다. 유럽형 미래교실의 특징은 다양한 내부 구역을 설정이다. 내부에 교 환, 발표, 조사, 창작, 심화 등 5개의 학습 구역을 포함한다. 이처럼 미래 교실은 단일 공간이 아니며 여러 공간 또는 구역을 내부에 포함한다. 내부 구역은 주로 학습가구, 장비, , 인테리어 요소 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5개의 내부 구역 설정) (4개의 내부 구역 설정) 교실, 도서실, 광장 공간, 전문교실 등 각 단위 공간 내부의 내부 구역 설정까지 미래의 교육과 학습, 활동을 예측하며 디자인할 필요가 있다. 6.실 내부 활동 구역 설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 62. 그린학교 디자인의 주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공간혁신과 디자인 그린학교 디자인의 5가지 주제  쾌적한 학습 환경  실·내외 공간 연결  학습 정원  지속가능한 학교  생태환경 교육 첫째, 패시브 건축의 개념을 학교 건축에 도입하여 채광, 조명, 실내 공기, 온도, 음향 등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쾌적한 학습 환경'의 조성. 쾌적한 학습 환경의 조성은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가 우선적으로 요청하는 과제다. 둘째, 압박감을 주던 상자곽 같은 폐쇄적인 교실 구조를 혁신하여 학습과 활동을 확장하고 자연 접촉 기회를 늘릴 수 있는 '실내외 공간 연결'은 근대 학교 건축의 역사 속에서 중요한 과제였다. 다시 현대 학교들에서 발견되는 주요한 변화 중 하나다. 셋째, 학교의 대운동장 시스템을 야외 학습과 신체적 활동을 촉진하고 지역 주민과 함께 가꾸는 '학습 정원'으로 전환. 학교를 생태적이면서 동시에 풍부하고 다양한 관찰과 학습, 신체 활동의 요소와 환경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진행해야 한다. 특히 도시에서 학교의 이러한 변화는 도시의 열섬현상을 줄이고 소음과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효과를 갖고, 구성원들과 지역 주민들에게 건강한 휴식과 여가 환경을 제공한다. 넷째, 자연에너지 장비와 에너지 저감 설비, 건축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학교 건물에 도입하여 학교의 에너지 소비와 자원의 소비를 줄여서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학교' 조성. 이는 기후위기에 대한 학교의 적극적 대응이다. 다섯째, ‘그린학교’는 학교의 건물, 자연 에너지 설비, 학교의 숲을 활용하여 미래세대에게 생태적 감수성과 환경적 책임을 갖도록 교육한다. 기후변화, 생태위기의 시대에 대응하여 쾌적한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지속가능하게유지관리하며 학생들의 미래 환경에 대한 청지기적 책임감과 생태적 감수성을 키우는 학교 62
  • 63. 그린학교는 명시적인 학교의 에너지, 자원 저감 목표와 환경 교육계획 위에서 추진 되어야 한다. 특히 건축 과정 속에서 희석되지 않도록 학교 건축 과정에서 실현해야 할 요소들을 분명히하여 통합적이고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그 결과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63 패시브적 에너지 저감 건축 요소 도입을 통한 에너지 저감 및 쾌적한 학습 환경 조성 단열, 자연채광, 차양, 자연환기, 열교환 공조, 음향, 행동 감지 LED 조명, 빗물-중수 이용 대안 에너지 생산, 고효율 시설 태양광,풍력,교효율 바이오 매스 보일러,지열 실·내외 공간 연결 중정, 테라스 복도, 야외 계단, 외부 연결 교실 학교 숲, 학습 정원화 정원, 자연주의 놀이터, 체육시설, 야외 교실.. 생태환경 에너지 교육 결과 측정, 재활용, 재사용, 에너지 교육, 환경 교육 그린학교 디자인의 주제 그린학교의 추진 그린학교 디자인
  • 64. 01. 쾌적한 학습환경 조성 64 St. Luke Primary School. https://architype.co.uk/ 2014. 10.16 Salford 대학 St’ Luke Primary School 자연환기, 채광 자연 대류현상을 활용한 자연환기 구조와 태양고도를 고려한 채광 구조 좌: 고측창 폭이 넓은 실내로 자연채광을 끌어들이기 위해 높은 위치에 설치한 고측창 1. 쾌적한 학습 환경 조성 영국 Salford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교실의 자연적 환경(채광, 조명, 온도, 공기 질)이 학업 성취도에 끼치는 영향은 49% 이다. 교실 디자인과 변화에 학생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참여하게 할 때 학습 효과는 ¼ 증가한다. 우: 수평 차양 하절기 뜨거운 일사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오버형 수평 차양 그린학교 디자인
  • 65. ◉ 패시브적 건축 요소 도입 사례 좌 : 환기창이 있는 통창 우 : 기계식 환기 파이프가 설치된 교실 좌 : 일사광을 막는 수평 차양과 수직 차양이 부착된 창 우 : 넝쿨식물을 활용한 녹색 커튼 65 01. 쾌적한 학습환경 조성 그린학교 디자인
  • 66. ◉ 패시브적 건축 요소 도입 사례 (Benjamin Franklin Elementary School의 자연환기 및 자연채광) (수평 차양: 강원 섬강초등학교) (Francis Parker School의 자연환기(관통 환기) 구 조) 66 01. 쾌적한 학습환경 조성 그린학교 디자인
  • 67. ◉ 패시브적 건축 요소 도입 사례 67 01. 쾌적한 학습환경 조성 그린학교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