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깡, 꼬라지, 떼 모두 부모 잘못이다. 아이들에게 단서를 붙인 조건부 보상을 하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율성을 상실한다. 당근과 채찍. 시험을 잘 보면 용돈을 준다. 매출 실적이 좋으면 성과급을 준다. 지각하면 벌을 준다. 막무가내로 울고 보채면 쓰면 사탕으로 달랜다. 하지만 이것은 어느 정도의 한계 혹은 부작용을 초래하는 재래식 동기부여 방법이다. 돈이란 있으면 좋고 없으면 조금 불편하다고? 돈에 눈이 멀어 부모, 자식, 배우자를 살해한 뉴스를 보며 탄식한다. 조폭 조직과 위정자들이 세를 과시하고 유지하는 것도 돈이다. 일과 삶에서 돈이 어떤 활동에 외적 보상으로 사용될 때 우리는 내재적 흥미를 잃는다. Daniel Pink는 저서 Drive에서, 스스로 하고 싶다는 동기부여의 요소로 자율성, 숙련, 목적 세 가지의 조화를 이야기한다. 보상을 위해서가 아니라 호기심과 흥미를 충족하기 위해 일할 때, 일이 놀이가 될 때 훨씬 나은 성과를 보인다. 몰입 상태에서는 한결같이 시간, 장소, 심지어는 자신도 녹아들어 전념한다. 세계적인 미래학자, 저술가, 강사인 Daniel Pink의 이야기를 들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