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 diaporama a bien été signalé.
Le téléchargement de votre SlideShare est en cours. ×

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Chargement dans…3
×

Consultez-les par la suite

1 sur 31 Publicité

Plus De Contenu Connexe

Diaporamas pour vous (20)

Les utilisateurs ont également aimé (20)

Publicité

Similaire à 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 (20)

Plus par Donghan Kim (20)

Publicité

Plus récents (20)

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

  1. 1. 2014년 제1회 iTalks 세미나 - 부제: 스마트폰 이후의 Next Big Things, IoT 알아보기 2014.4.2
  2. 2. Contents IoT, 좀 더 깊이 알기 IoT 개념 세우기 IoT와 관련하여 펜타는… 마무리 IoT 트렌드
  3. 3. 들어가며… 주요 기관 IT 10대 전망 비교(2014) 출처: 주요기관 IT 10대 전망 비교 분석, 마이크로소프트웨어, 2014.1
  4. 4. 들어가며… IT 거인들 너도나도 '사물인터넷‘(아이뉴스24, 2014.3.9) – 시스코·IBM·오라클·인텔·SAP 특화기술로 사물인터넷 시장 겨냥  사물인터넷을 넘어 세상의 모든 만물이 소통하는 '만물인터넷'을 강조하는 시스코는 네트워킹 관점에서 사물인터넷에 접근하고 있고 IBM은 데이터 관 리 분야를 통한 사물인터넷을 이야기한다. 오라클은 자바 기반소프트웨어 를 인텔은 프로세서를, SAP는 인메모리 컴퓨팅 기술을 내세워 사물인터넷 을 강조하고 있다 …
  5. 5. 들어가며… Oracle 사례
  6. 6. 들어가며… IoT 유사 용어들
  7. 7. IoT 개념 세우기 IoT Mind Map
  8. 8. IoT 개념 세우기 IoT(Internet of Things) 맞보기 출처: 채널아이티 , 2013.11
  9. 9. IoT의 개념 – 간단한 연혁  1999년, MIT Auto-ID center장 캐빈 애스톤(Kevin Ashton)처음 제안  초기 단계(현재 정확한 표준이 없는 상태) –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시켜 그 기능과 활용성을 확장하는 것(사물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개념) – 시스코(CISCO), 인터넷 비즈니스 솔루션그룹(IBSG)  사물인터넷의 실현 시점이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나 사물의 수가 지구상에 존재하는 총 인구 수 보다 많아질 때라고 간주(2011) – IoT의 유사 개념  사물통신(M2M: Machine to Machine): 사물과 사물이 통신하는 것  만물인터넷(IoE: Internet of Everything): 사물인터넷의 확장된 개념, 모든 사물이 통신할 수 있는 것 예) 한가지 예를 들자면 TV가 통신이 가능하면 사물인터넷, TV 속의 부품 하나하나가 통신할 수 있으면 만물인터넷 IoT 개념 세우기 2008
  10. 10. IoT 개념 세우기 M2M(Machine To Machine)과 IoT(1) – M2M은 10년 전부터 주목 받은 이슈(이미 전세계에서 30억 개의 M2M 기기가 활용 중)  국내에선 하이패스가 대표적 M2M 단말(국내 M2M 기기 1,900만대 중 43% 차지) – 사물인터넷을 M2M의 확장 개념으로 인식하는 것이 일반적  기기간 단순 통신(M2M)에서 기기↔사람 간 통신까지 확대, 사물 중심에서 인간을 둘러싼 환경에 초점  모바일, 네트워크, 센서, 빅데이터 기술 등의 발전이 ‘M2M→IoT’ 진화를 촉진  모바일 기기의 급증, 센서/모듈 가격의 하락, 통신 속도 증가, 빅데이터 처리 기술의 등장 등
  11. 11. IoT 개념 세우기 M2M(Machine To Machine)과 IoT(2) 출처: Frost & Sullivan, 2012
  12. 12. IoT 개념 세우기 IoT의 개념(ITU)(1) – 사물 중심의 정의  사물에 탑재된 RFID와 같은 태그를 통해 사물의 인식과 위치 추적을 가능하 게 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IoT의 분산시스템에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다양 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함  핵심은 RFID로 인식 가능한 사물들을 구별할 수 있는 고유의 전자 코드(EPC; Electronic Product Code)를 부여, 표준화  기기들을 연결하는 근접 통신 기술인 NFC3)나 센서, 제어기 개발에 집중 – 인터넷(네트워크) 중심의 정의  모든 사물이 언제 어디서나, 그리고 누구에게나 연결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과 접속을 중시  RFID 기술이 기반이 되는 사물 중심 관점을 넘어서, 사물이 지능적으로 동작 하는 스마트 개체(Smart Object)로 기능하는 것을 목표 – 시맨틱 중심 정의  인터넷에 연결된 수많은 사물들과 이러한 사물들에게서 얻어지는 데이터와 정보를 표현/저장하며 검색, 체계화하는 문제가 강조
  13. 13. IoT의 개념(ITU)(2) IoT 개념 세우기 출처: Atzori et al., 2010
  14. 14. 잠깐만… 같이 생각해 보는 Quiz! 여러분이 생각하기에 IoT는 왜 주목 받게 되었을까요?
  15. 15. IoT, 좀 더 깊이 알기 IoT 관련 기술 요소 – 실세계는 물론 가상세계의 사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기술 – 사물에게 컴퓨팅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하드웨어 기술 – 사물의 상호 연결을 담당하는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 – 상호 연결된 수많은 사물을 관리하고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 한 아키텍처 및 소프트웨어 기술 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16. 16. IoT, 좀 더 깊이 알기 사물인터넷 기술요소의 프레임워크 출처:IDA,2012(http://www.ida.gov.sg/~/media/Files/Infocomm%20Landscape/Technology/TechnologyRoadmap)
  17. 17. IoT, 좀 더 깊이 알기 IoT 생태계 출처: 테크크런치, Making sense of the internet of things, 2013. 5. 25
  18. 18. IoT 트렌드 사물인터넷 활용 영역(1) 출처:IDA, 2012
  19. 19. IoT 트렌드 사물인터넷 활용 영역(2) 출처: ADL, 2011
  20. 20. 기술 로드맵 IoT 트렌드 출처: SRI Consulting Business Intelligence
  21. 21. IoT 트렌드 IoT에 대한 장밋빛 전망은 빠르게 확산 중 –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 현재 100억 개에서 2020년 500억 개까지 증가 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의 수, 이미 ’08년부터 사람 수를 초과(Cisco, 2013)  전세계 단말의 99.4%가 이직 인터넷 미연결로 연결 가능 단말 수요는 무궁 무진(Cisco, 2013) – 통신회선 기준으로 이용 기기는 1인당 2.5개에서 6.3개로 증가  IoT 단말 비중은 현재 10% 수준, 2020년 5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사물인터넷은 향후 10년간 총 19조 달러의 경제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Cisco, 2014)
  22. 22. IoT 트렌드 국내 사물인터넷 추진 방식과 딜레마 – 일부 분야를 제외하고 대부분 G2B, B2B 형태로 추진, 정부와 기업들의 도입 의지가 중요 – 정부 법제화→보조금 지원→사업자 참여 형태로 진행되는 사례도 다수 [현재 국내 M2M(IoT) 주 활용 분야] [ 딜레마]
  23. 23. IoT 트렌드 여전히 Big chance를 갖기가 어려움 – B2B 중심으로 시장 확산, 제조사와 솔루션 사업자(SI) 중심으로 흘러가 는 중 – 아직 규모가 작은 B2C 시장에서도 제조사의 앱을 통한 직접 서비스 제 공이 일반화 – 시장에서는 솔루션 혹은 서비스를 이용해야 할 당위성을 찾기가 어려 운 상황
  24. 24. IoT 트렌드 IoT의 과제 – Issue 1: 사물인터넷(IOT)을 사용하는 기기는 빅데이터를 만들어 내는 데, 이 빅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및 분석 때문에 데이터센터 업체들의 부 담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가트너, ‘사물인터넷이 데이터센터에 미치 는 영향’보고서)  2020년 IoT 연결 기기 대수가 260억대에 달하며 IoT 서비스 업체들이 3,000억 달러의 매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  IoT 기기 대수 증가가 데이터센터 기술 업체에게 IoT 데이터의 양과 구조로 인한 더 많은 과제를 안겨줄 것이라고 주장  기존 데이터센터 광대역 네트워크(WAN) 링크는 사람과 앱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는 중간 대역폭 요구사항에 맞는 크기  IoT는 엄청난 양의 작은 메시지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고자 데이터센터로 전 송함으로써 인바운드 대역폭 요구사항을 크게 늘리면서 이러한 패턴을 극 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
  25. 25. IoT 트렌드 IoT의 과제 – Issue 2: 사용자의 개인 정보보호 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IoT 기기에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생성  그 결과 기기에서 생성된 빅데이터는 보안의 복잡성을 가중시킬 것  비용을 절감하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앱을 중앙 집중화 하려는 최근의 움 직임은 IoT와 맞지 않음  기업은 데이터 처리가 발생할 수 있는 미니 데이터센터를 여러 개로 분할해 데이터를 집계해야 할 것, 그 다음 관련 데이터는 추가 처리를 위한 중앙 사 이트로 넘어갈 것임
  26. 26. IoT 트렌드 IoT의 과제 – Issue 3: 표준화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단계에서 아직 어떠한 표준화도 이루어지지 않음 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설계와 보안성 향상을 위해서는 표준화 선행 필요  표준화 문제는 향후 시간이 지나면서 관련 기술의 발달과 시장성숙에 따라 점진적으로 해결될 것으로 예상 – Issue 4: 센서가 소모하는 에너지 해결  RFID와 같은 수동형센서는 전력이 필요없지만, 온도, 습도, 속도 감지와 같 은 대부분의 센서는 전기를 필요  사물인터넷 발달이 가속화되면서 인터넷에 접속되는 사물과 탑재되는 센서 가 비약적으로 증가할 경우, 센서가 소모하는 에너지 문제 해결 필요  궁극적으로는 매우 적은 전력만을 소모하고 진동, 빛, 바람과 같은 자연의 에너지를 원동력으로사용하는 센서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
  27. 27. IoT와 관련하여 펜타는 … IoP(Internet of People) 시대의 교훈 – IoT 시장의 발전은 과거 IoP 발전과 유사: B2C 시장을 여는 것이 관건 – G2B→B2B→B2C 순서로 개화, 가치 흐름은 PC→네트워크→서비스→ 플랫폼 순 – B2C 시장 개화에서의 시사점은?, 소비자에게 가치 있는 제품이 최우선
  28. 28. IoT와 관련하여 펜타는 … IoT도 B2C 시장창출이 핵심(1) – 기기간 통신이 주력인 M2M 시장은 솔루션 기반의 B2B 시장에 적합 – 향후에는 소비자 가전 등 B2C 시장의 파급력이 가장 크게 나타날 것으 로 전망  2017년 산업군별 IoT 매출 전망(IDC, 2013): 소비자 ($1,941B)> 제조 ($1,466B)> 공공부문($1,229B) – B2C 시장의 초기 니즈는 유/무선 인터넷 기반을 통한 사람 ↔ 제품간 커뮤니케이션 분야  기존 소비자 제품들 중 IP 기반 활용 통해 가치가 상승하는 ‘제품’에 대한 관심 필요 (ex, 책가방, 체중계, 자물쇠, 자전거, 블랙박스 등))
  29. 29. IoT와 관련하여 펜타는 … IoT도 B2C 시장창출이 핵심(2)
  30. 30. 마무리 IoT 트렌드의 핵심은 ... – "HW+SW의 밀결합을 넘어, Service가 통합된 완결된 Product의 시대 가 열린다"라는 점 – 즉, HW, SW 따로 파는 것을 넘어 두 개가 하나의 완전체로 판매되고, 거 기에 덧붙여서 Service도 번들로 묶여서 구성되는 것 – 중요한 것은 이를 통해 얻게 될 user value(더 나아가 BM)는 위의 Product를 통해 발생하는 DATA를 통해 창출 – 그 데이터를 어떻게 가공해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것인가를 파악 하고 전략 방향을 잡는 것이 IoT 전략의 시작 → Hardware As A Service
  31. 31. iTalks to be continu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