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 diaporama a bien été signalé.
Le téléchargement de votre SlideShare est en cours. ×

(OCI 탐험일지) 블록 볼륨 생성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Publicité
Chargement dans…3
×

Consultez-les par la suite

1 sur 30 Publicité

Plus De Contenu Connexe

Diaporamas pour vous (20)

Plus par Jay Park (20)

Publicité

Plus récents (20)

(OCI 탐험일지) 블록 볼륨 생성

  1. 1. 2. OCI 탐험 일지 - 블록 볼륨 생성
  2. 2.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이란? • VM에서 사용 가능한 블록 스토리지 • NVMe SSD, 비차단 네트워크 연결 → 높은 IOPS 가능(최대 300,000 IOPS, 2,680MB/s, 참고: AWS는 최대 256,000 IOPS+4,000MB/s) • 기본적인 내구성 제공(99.99% SLA) • 볼륨 그룹으로 통합 관리 가능 • 특징 • 지역간 비동기 블록 볼륨 복제(DR 대응) • AES256으로 암호화 가능 • 50G~32TB로 볼륨 확장 가능(참고: AWS는 64TiB) • 인스턴스당 1PB에 도달하도록 볼륨 연결 지원 • 볼륨의 동적 확장 지원 •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자동 모니터링 • 객체 저장소로 백업 지원 •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경쟁 제품 대비 58% 저렴, 전 세계적으로 동일), 분리된 볼륨 클래스 변경 가능(낮은 비용으로)
  3. 3.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몇 가지 기본 사항 • 블록 볼륨을 사용하려면 반드시 인스턴스가 존재해야 한다 • 3단계로 동작: 블록 볼륨 생성, 인스턴스에 붙이기, 인스턴스에서 마운트하기 • 주의: 블록 볼륨은 여러 인스턴스에 붙일 수 있으나 일관성 유지를 위해 ‘읽기 전용’으로 설정하거나 클러스터 구성이 필요함 • 참고: 인스턴스 하나에는 최대 32개까지 블록 볼륨을 붙일 수 있음(paravirtualized attached인 경우 최대 16개까지 가능) • 볼륨 첨부 과정에서 두 가지 선택 사항 • iSCSI: 볼륨과 인스턴스 사이에 TCP/IP 기반의 표준 통신 방식 사용(고성능!!!) • 베어 메탈이나 2017년 이전(리눅스)/2018년 이전(윈도우)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VM 에서만 구동 가능 • Paravirualized: VM을 위한 가상화된 기능 활용 • 플랫폼 이미지의 경우 2017년 12월 이후(리눅스)/2018년 2월 이후(윈도우)만 가능 • 볼륨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 블록 볼륨: 인스턴스의 저장 공간을 동적으로 확장 가능하게 만드는 볼륨 • 부트 볼륨: 컴퓨트 인스턴스를 부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부트 볼륨 → 나중에 재사용 가능
  4. 4.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3만피트 상공에서 슬쩍 살펴보기
  5. 5.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생성(1) • 블록 볼륨 생성하기 • 우상단 메뉴를 누른 다음에 • 스토리지(Storage) → 블록 볼륨(Block Volume) • 그리고 블록 볼륨(Create Block Volume)을 눌러 생성 시작
  6. 6.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생성(2) • 블록 볼륨 생성하기(계속됨) • 이름 지정 • 구획 설정(지난 시간에 만든 Sandbox를 기억하시죠?)
  7. 7.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생성(3) • 블록 볼륨 생성하기(계속됨) • 볼륨 크기 및 성능: 기본값을 선택하면 OK! • 예시를 위해 사용자정의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설정이 가능하다
  8. 8.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생성(4) • 블록 볼륨 생성하기(계속됨) • 백업 정책: 브론즈, 실버, 골드(수행 주기, 유지 기간의 차이) • 영역간 복제 • 암호화
  9. 9.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생성(5) • 블록 볼륨 생성하기(계속됨) • 생성 완료 후 확인
  10. 10.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1) • 블록 볼륨 붙이기 • 컴퓨트에서 생성된 인스턴스 선택
  11. 11.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2)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인스턴스 상세 보기 좌측 리소스 항목의 ‘연결된 블록 볼륨‘ 선택 후 [블록 볼륨 연결] 버튼 클릭
  12. 12.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3)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블록 볼륨 연결 화면에서 볼륨을 선택(앞서 만든 jaypark_volume)
  13. 13.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4)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블록 볼륨 연결 화면에서 연결 유형과 액세스를 설정함
  14. 14.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5)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블록 볼륨 연결이 완료된 상황 • 액션(점 세 개) 버튼을 누른 다음 iSCSI 명령 및 정보 선택
  15. 15.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6)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접속에 필요한 명령을 확인
  16. 16.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7)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셸 접속 후 iscsiadm 명령 실행
  17. 17.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8)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계속해서 sudo fdisk -l 명령 실행
  18. 18.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9)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파티션을 위해 sudo cfdisk /dev/sdb 명령으로 작업
  19. 19.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10)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파티션을 위해 sudo cfdisk /dev/sdb 명령으로 작업(이어짐)
  20. 20.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10)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파티션을 위해 sudo cfdisk /dev/sdb 명령으로 작업(이어짐)
  21. 21.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11)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다시 sudo fdisk -l 명령 실행
  22. 22.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11)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sudo /sbin/mkfs.ext4 /dev/sdb1 로 포맷 명령 실행
  23. 23.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11) • 블록 볼륨 붙이기(계속됨) • sudo mount /dev/sdb1 /mnt 명령을 사용해 임시로 마운트
  24. 24.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12) • 보너스 • 부팅시 자동 마운트가 필요하다면? • /etc/fstab에 등록해야 함 • 우선 sudo blkid로 UUID를 알아낼 필요가 있음
  25. 25.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붙이기(14) • 정리 • sudo umount /mnt • 그리고 셸 접속 후 iscsiadm 명령 실행
  26. 26.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정리와 삭제(1) • 정리 • 그리고 블록을 인스턴스에서 분리
  27. 27.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정리와 삭제(2) • 정리(계속됨) • 그리고 연결된 블록 볼륨이 없어졌음을 확인
  28. 28.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블록 볼륨 정리와 삭제(3) • 정리(계속됨) • 마지막으로 블록 스토리지에서 블록 볼륨 종료
  29. 29. 2.OCI탐험일지-블록볼륨생성 참고 자료(1, 2회 통합) • https://docs.oracle.com/en-us/iaas/Content/GSG/Reference/overviewworkflow.htm#Tutorial__Launching_Your_First_Linux_Instance
  30. 30. 발표자 소개 기술 배경 전문 검색 엔진, 임베디드 시스템(리눅스 커널 디바이스 드라이버), 빅데이터/인공지능 연구 개발, 고성능 고가용성 데이터베이스 주요활동 IT 전문서 번역 (클린 코드, 피플웨어, 해커: 광기의 랩소디, 게임 엔진 블랙 북 등) 개발강의 (삼성전자, SK C&C, 삼성SDC, 현대자동차 기술 세미나와 교육) 활동채널 블로그: https://jhrogue.blogspot.com 슬라이드 셰어: https://www.slideshare.net/jrogue/presentations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박재호dev 문의 jrogue@gmail.com 박재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