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광)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Jay Park
Jay ParkCTO à EX-EM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프로덕트매니지먼트
한 페이지 요약
• 책 분류
• 경영, 관리
• 대상 독자
• 프로덕트 매니징 업무에 관심이 있는 분들
• 더 나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싶은 분들
• 특징
• 프로덕트 매니지먼트의 전 과정을 다루고 있음
• 복잡한 이론이나 원론적인 내용은 최소로 줄이면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내용
을 요약 정리하고 있음
이 책의 목차
성공하는 프로덕트라는 미스테리를 풀어보자
프로덕트매니지먼트
Chapter 1 프로덕트 매니지먼트란 무엇인가?
1.1 프로덕트 정의
1.2 PM 정의
1.3 B2B와 B2C
1.4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젝트 매니저, 프로그램 매니저는 어떻게 다른가?
1.5 글로벌 기술 기업의 조직 구조 이해하기
1.6 프로덕트 리더십 팀의 역할과 책임
1.7 PM과 PO의 차이
Chapter 2 프로덕트 라이프 사이클, 프로세스와 프레임워크
2.1 프로덕트 라이프 사이클 4단계
2.2 프로덕트 개발 라이프 사이클 7단계
2.3 프로세스와 프레임워크
Chapter 3 고객 개발
3.1 고객 개발이란?
3.2 사용자 스토리로 문제 가설 세우기
3.3 고객 설문 조사 116
3.4 순고객추천지수 조사 118
3.5 고객 인터뷰
Chapter 4 프로덕트 전략과 로드맵
4.1 사용자 필요성
4.2 경쟁
4.3 경쟁자 평가를 위한 다섯 가지 방법
4.4 이기는 전략
4.5 전략 만들기
4.6 엘리베이터 피치 프레임워크
4.7 로드맵
Chapter 5 PM의 일상 업무
5.1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입, 목업
5.2 프로덕트 백로그, 에픽, 사용자 스토리
5.3 속도와 번 다운 차트
5.4 우선순위 정하기
5.5 MVP
Chapter 6 능력 있는 PM 되기
6.1 제품 시장 적합성
6.2 지표
6.3 OKR과 KPI
6.4 주의해야 할 네 가지 편향적 의사결정
6.5 좋은 PM에게 협업이란
6.6 PM/PO가 되고 싶다면?
무엇이 이 책을 흥미롭게 만드는가?(1)
좋은 PM에게서 좋은 프로덕트가 나온다
프로덕트매니지먼트
• 그렇다면 좋은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 프로덕트 매니지먼트에 대한 이해, 프로덕트 제품 생애 주기, 프로세스와 프레임워크, 고객과의 접점 만들기, 프
로덕트 전략과 로드맵 구성, PM의 핵심 업무, 능력 있는 PM이 알아야 하는 여러 가지 지식 … à 이 책에서는 깊
지는 않지만 넓게 다루고 있음
• 이론적으로 완결성을 추구하는 대신 꼭 필요한 내용에 집중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음
• 즉, 이 책에 나오는 용어와 개념은 알고 있어야 PM으로서 원활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음 à (기존에 나와 있던
개념을 조금 색다르게 설명하는 부분도 있는데 나름 신선하므로) 현업의 프로덕트 매니저라면 정리하는 기분으
로 읽어봐도 좋음
무엇이 이 책을 흥미롭게 만드는가?(2)
표와 그림을 잘 활용하고 있음
프로덕트매니지먼트
대상 독자
프로덕트 전주기에 걸쳐 프로덕트 매니저가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프로덕트매니지먼트
• 프로덕트 매니징 직무에 관심이 많은 PM/PO
•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고 싶은 주니어 관리자
• 제품과 서비스를 제대로 만들고 싶은 분들
결론
**** 프로덕트 매니저는 제품 개발의 모든 측면을 조정하고 책임지는 중요한 리더임을 잊지 말자
• 프로덕트 매니저가 사용하는 여러 도구, 규칙, 방법론과 프레임워크가 있지만, 그 자체가 성공을 보장하지
는 않음
• 사용자와 시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해하고, 측정하고, 평가하고, 적절히 통제함으로써 나만의 프로덕트 레시피를
만들어야 성공에 한 발자국 접근할 수 있음
• 이 책에서 특히 프로덕트 전략과 로드맵 부분이 재미있었음. 특히 전략에 대한 정의와 여러 뒷이야기
• 전략은 기능 리스트가 아니다
• 전략은 비밀문서가 아니다
프로덕트매니지먼트
발표자 소개
기술 배경
전문 검색 엔진, 임베디드 시스템(리눅스 커널 디바이스 드라이버), 빅데이터/인공지능 연구 개발,
고성능 고가용성 데이터베이스
주요활동
IT 전문서 번역 (클린 코드, 피플웨어, 해커: 광기의 랩소디, 게임 엔진 블랙 북 등)
개발강의 (삼성전자, SK C&C, 삼성SDC, 현대자동차 기술 세미나와 교육)
활동채널
블로그: https://jhrogue.blogspot.com
슬라이드 셰어: https://www.slideshare.net/jrogue/presentations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박재호dev
문의 jrogue@gmail.com
박재호
1 sur 8

Contenu connexe

(독서광)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2. 프로덕트매니지먼트 한 페이지 요약 • 책 분류 • 경영, 관리 • 대상 독자 • 프로덕트 매니징 업무에 관심이 있는 분들 • 더 나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싶은 분들 • 특징 • 프로덕트 매니지먼트의 전 과정을 다루고 있음 • 복잡한 이론이나 원론적인 내용은 최소로 줄이면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내용 을 요약 정리하고 있음
  • 3. 이 책의 목차 성공하는 프로덕트라는 미스테리를 풀어보자 프로덕트매니지먼트 Chapter 1 프로덕트 매니지먼트란 무엇인가? 1.1 프로덕트 정의 1.2 PM 정의 1.3 B2B와 B2C 1.4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젝트 매니저, 프로그램 매니저는 어떻게 다른가? 1.5 글로벌 기술 기업의 조직 구조 이해하기 1.6 프로덕트 리더십 팀의 역할과 책임 1.7 PM과 PO의 차이 Chapter 2 프로덕트 라이프 사이클, 프로세스와 프레임워크 2.1 프로덕트 라이프 사이클 4단계 2.2 프로덕트 개발 라이프 사이클 7단계 2.3 프로세스와 프레임워크 Chapter 3 고객 개발 3.1 고객 개발이란? 3.2 사용자 스토리로 문제 가설 세우기 3.3 고객 설문 조사 116 3.4 순고객추천지수 조사 118 3.5 고객 인터뷰 Chapter 4 프로덕트 전략과 로드맵 4.1 사용자 필요성 4.2 경쟁 4.3 경쟁자 평가를 위한 다섯 가지 방법 4.4 이기는 전략 4.5 전략 만들기 4.6 엘리베이터 피치 프레임워크 4.7 로드맵 Chapter 5 PM의 일상 업무 5.1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입, 목업 5.2 프로덕트 백로그, 에픽, 사용자 스토리 5.3 속도와 번 다운 차트 5.4 우선순위 정하기 5.5 MVP Chapter 6 능력 있는 PM 되기 6.1 제품 시장 적합성 6.2 지표 6.3 OKR과 KPI 6.4 주의해야 할 네 가지 편향적 의사결정 6.5 좋은 PM에게 협업이란 6.6 PM/PO가 되고 싶다면?
  • 4. 무엇이 이 책을 흥미롭게 만드는가?(1) 좋은 PM에게서 좋은 프로덕트가 나온다 프로덕트매니지먼트 • 그렇다면 좋은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 프로덕트 매니지먼트에 대한 이해, 프로덕트 제품 생애 주기, 프로세스와 프레임워크, 고객과의 접점 만들기, 프 로덕트 전략과 로드맵 구성, PM의 핵심 업무, 능력 있는 PM이 알아야 하는 여러 가지 지식 … à 이 책에서는 깊 지는 않지만 넓게 다루고 있음 • 이론적으로 완결성을 추구하는 대신 꼭 필요한 내용에 집중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음 • 즉, 이 책에 나오는 용어와 개념은 알고 있어야 PM으로서 원활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음 à (기존에 나와 있던 개념을 조금 색다르게 설명하는 부분도 있는데 나름 신선하므로) 현업의 프로덕트 매니저라면 정리하는 기분으 로 읽어봐도 좋음
  • 5. 무엇이 이 책을 흥미롭게 만드는가?(2) 표와 그림을 잘 활용하고 있음 프로덕트매니지먼트
  • 6. 대상 독자 프로덕트 전주기에 걸쳐 프로덕트 매니저가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프로덕트매니지먼트 • 프로덕트 매니징 직무에 관심이 많은 PM/PO •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고 싶은 주니어 관리자 • 제품과 서비스를 제대로 만들고 싶은 분들
  • 7. 결론 **** 프로덕트 매니저는 제품 개발의 모든 측면을 조정하고 책임지는 중요한 리더임을 잊지 말자 • 프로덕트 매니저가 사용하는 여러 도구, 규칙, 방법론과 프레임워크가 있지만, 그 자체가 성공을 보장하지 는 않음 • 사용자와 시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해하고, 측정하고, 평가하고, 적절히 통제함으로써 나만의 프로덕트 레시피를 만들어야 성공에 한 발자국 접근할 수 있음 • 이 책에서 특히 프로덕트 전략과 로드맵 부분이 재미있었음. 특히 전략에 대한 정의와 여러 뒷이야기 • 전략은 기능 리스트가 아니다 • 전략은 비밀문서가 아니다 프로덕트매니지먼트
  • 8. 발표자 소개 기술 배경 전문 검색 엔진, 임베디드 시스템(리눅스 커널 디바이스 드라이버), 빅데이터/인공지능 연구 개발, 고성능 고가용성 데이터베이스 주요활동 IT 전문서 번역 (클린 코드, 피플웨어, 해커: 광기의 랩소디, 게임 엔진 블랙 북 등) 개발강의 (삼성전자, SK C&C, 삼성SDC, 현대자동차 기술 세미나와 교육) 활동채널 블로그: https://jhrogue.blogspot.com 슬라이드 셰어: https://www.slideshare.net/jrogue/presentations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박재호dev 문의 jrogue@gmail.com 박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