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49
Télécharger pour lire hors ligne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제1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학습목표

  1. 학교사회복지 필요성에 대해 인식한다.
  2. 학교사회복지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
  3. 학교사회복지 목적에 대해 이해한다.
  4. 학교사회복지 대상에 대해 이해한다.
  5. 학교사회복지실천유형과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학교는 학생들이 하루일과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장소이며, 인생의 가장 중
요한 시기를 보내는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학교는 학생들의 지적 능력 향상의 기
능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기능을 향상시켜 학생들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역할
을 수행해야 한다. 이런 차원에서 서구 선진국들은 의무교육제도와 함께 학생들의
복지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사회복지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세계 40여
개의 나라들이 학교사회복지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학교사회
복지제도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고 있다.
 이에 본 장에서는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목적 및 실천대
상을 살펴보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학교사회복지실천유형에 대해 간
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9
학교사회복지론




                      1.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세계에서 가장 빈곤한 국가에 속했던 우리나라가 1970년대 이후 눈부신 경제성
     장과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국가적 차원의 교육에 대한 투자와 학부모들의
     교육열 때문이었다. 이러한 교육열은 개인의 성취와 사회참여 기회 제공 및 전문적
     인력 양성을 통해 우리나라 국가발전의 근본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1990년
     대 중반 이후 경제위기와 아동․청소년 및 학생 문제의 심화를 경험하면서 기존 교
     육에 대한 새로운 평가 및 대안을 요구하게 되었다. 더 이상 교육은 학생 개인의 능
     력과 노력에 의한 보상이 되기보다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교육의 기
     회와 학생의 교육적 성취가 결정되는 합법적인 기제가 되고 말았다(한국학교사회복
     지사협회, 2010). 이제 우리나라 교육제도는 학생들에게 균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

     하기 위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학업성취를 위한 경쟁위주
     의 교육구조에서 학생들이 행복하고 즐거운 학교가 되기 위한 다양한 대안들이 마
     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대안 중 하나가 학교사회복지제도인데 학교사회복지는
     학생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며 학생들이 가진 잠재력과 능력을 최
     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절에서는 교육현실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
     로운 패러다임으로 도입될 수 있는 학교사회복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교육현실과 한계

      (1) 학생 개인적 차원

      최근 학교폭력과 집단따돌림의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잦은 지각과 결석 등의 학교부적응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학생 중 절반
     이상(56.5%)이 학업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고, 학교에 적응하지 못해 가출하는 청소
10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년이 매해 증가하고 있다. OECD 국가 중 학교참여도(우리나라 : 546점 OECD평균 500점
OECD 국가 일본에 이어 2위)는 우리나라가 상당히 높지만 학교소속감(우리나라 : 461점

OECD평균 : 500점 OECD 국가 중 최하위)은 매우 낮다. 이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교

는 어쩔 수 없이 나오고 있지만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은 떨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일보, 2004). 이외에도 요즘의 학생들은 개인적 차원에서 많은 문제를 겪고 있

는데, 이러한 문제는 이들의 학교생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대해 한인영 외(2004)는 학생이 경험하는 문제를 크게 공격적, 분열적, 표출적 행동
으로 표현되는 외현화된 행동과 퇴행, 불안, 의기소침한 행동 등의 내재화된 행동
그리고 학생들이 여러 가지 어려움에 처하게 되는 환경적 차원에서의 사회문제 등
으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다.


<표 1-1>   학생이 개인적 차원에서 겪게 되는 문제

  문제          내용                    세부적인 학생의 문제

                     ∙학급 내 문제행동(좌석에 앉지 않고 돌아다니기, 소리 지르기, 무례하
                      거나 무질서하게 행동하기, 교칙위반, 부정행위)
 외현화된 공격적, 분열적,      ∙교내 괴롭힘 문제(괴소문 퍼트리기, 놀림, 조롱, 협박, 때리기, 물건 훔
  행동  표출적 행동          치기)
                     ∙성적 괴롭힘 문제(성적인 말투의 사용, 성적인 소문 퍼트리기, 성적인
                      노출, 접촉, 만지거나 꼬집기)
 내재화된 퇴행, 불안,
                     ∙불안과 두려움, 외로움/부끄러움, 애도, 우울과 자살
  행동  의기소침한 행동
           개인의 문제를   ∙무단결석, 중퇴/퇴출, 노숙, 위탁보호, 학대와 방임, 이혼과 별거, 물질
 사회문제
           유발하는 사회문제  남용, 성행동, 임신, 아동양육

출처 : 한인영 외(2004).



  (2) 가정적 차원

  현대사회의 가족은 전통적으로 수행해 왔던 노동력 재생산과 피부양자 보호, 가
족원 간의 정서적 유대감 유지 등의 가족의 주요기능들에 대해 혁명적인 변화와 균

                                                                  11
학교사회복지론




     열을 겪고 있다(홍봉선․남미애, 2009). 고령화와 낮은 출산율, 이혼율의 증가, 1인 가
     구, 여성가장가족, 한부모가족의 증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증가 등 인구 및 가
     족구조의 변화는 그 자체도 문제이지만 교육정책의 변화를 동반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자녀의 양육환경이 악화되면서 조손가정이 증가하고 있고, 방임 및 학대
     받는 아동과 청소년이 꾸준히 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일반 가정의 경우에도 맞벌이 가정의 확대와 핵가족화에 따른 가족 간의 의사소통
     부족과 갈등 그리고 우호적이지 않는 가정환경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외국인 노동자 이주 및 국제결혼의 증가로 학령기에 접어든 다문화가정의 자
     녀가 점차 늘어나면서 언어, 습관, 윤리 등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편견으로 학교 및
     사회생활적응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행정안전부, 2011).


      (3) 학교․교육적 차원

      지금까지 우리의 학교 및 교육환경에서는 학생들을 미성숙하고 불안정한 존재로
     서 지도를 받아야 할 대상으로 여겼고 이에 따라 복장규제, 언어폭력, 차별, 체벌
     등과 같은 비민주적인 교육방법으로 훈육하여 왔다. 또한 학생은 단순히 피교육자
     신분에서 입시를 위한 교육만을 강요받고, 자신의 개성과 끼 그리고 열정을 표현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에 대해 제약을 받아왔다. 이러한 학생의 교육적 환경은 과중
     한 점수 부담을 주는 시험제도, 비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의 기계적․형식적 대인관계 양산, 지식위주의 교육으로 인한 비균형적인 인성발
     달, 진학위주의 교육체계 등의 교육병리 현상을 일으켜왔다. 이에 담임교사의 학생
     지도와 학교수준에서의 생활지도 방식으로는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에 이르
     고 있다(전재일 외, 2011).
      교육은 개개인의 사회적 생존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통로
     이며 개개인의 사회화 성취를 통해 사회에 참여하고 사회적 지위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필수불가결한 사회제도의 하나이다(조흥식, 2007). 그러므로 교육이 이뤄지는
     학교에서는 과거의 잘못된 교육방법과 교육만을 강조하는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학
12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생들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삶의 공간이자 학생의 건강, 문화 등 복지의 기능을 수
행하는 곳으로 거듭나야 한다.


 (4) 사회․환경적 차원

 1980년대부터 소득분배가 악화되어 왔을 뿐 아니라 1997년 말의 IMF 체제를 겪으
면서 더욱 소득 불평등 수준이 심화되고 빈곤율이 급증하였다(홍봉선․남미애, 2009).
이러한 현상은 가족의 빈곤 수준이 결과적으로 자녀의 발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
며, 가족의 빈곤은 교육격차로 인한 빈곤이 대물림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개천에서 용 난다”라는 말은 현재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거의 불가능한 상황
이라 보인다. 최근에는 “개천에서 용만 쓴다”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로 우리나
라의 교육 불평등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소득양극화에 따른 교육
불평등의 심화는 빈곤의 대물림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획일적이고 통제중심적이며
경쟁을 강조하는 학교풍토는 경쟁 일변도의 사회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학교
에서 학생들은 무단결석, 중퇴, 가출, 왕따, 약물남용, 폭력, 비행, 청소년매매춘 등
과 같은 다양한 부적응 문제를 경험하고 심각한 경우에는 이들의 문제가 사회문제
로 비화되기도 한다. 즉, 지금의 학교는 청소년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환
경이 되기보다 오히려 문제를 유발하는 환경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가 교육
본연의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눈높이에서 그들이 처해 있
는 상황을 바로 이해하고 더불어 이들이 경험하는 문제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가
정, 지역사회 등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협력하고 지원해야 한다.



 2) 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입 필요

 (1) 학생들의 삶의 질 향상

 대부분의 아동․청소년은 학생이라는 사회적 신분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는 아동․청소년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삶의 공간이다. 이곳에서 학생들은 학
                                                      13
학교사회복지론




     문 습득뿐 아니라 친구들을 사귀고 휴식을 취하고 놀면서 생활을 하게 된다. 또한
     학교생활 속에서 심리적․사회적․신체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고, 생리적․
     자아실현 등 다양한 수준의 욕구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학교는 교육적인 가르
     침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생활상의 문제와 욕구를 다루어주는 복지적인 기능을 수행
     해야 한다. 즉, 학생으로 하여금 교육과정을 “끝까지”, “잘” 이수하게 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잠재능력을 극대화하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
     야 한다. 또한 학교교육의 패러다임이 우수한 성적으로 좋은 대학에 학생을 입학시
     키는 것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졸업 후 진학 및 취업을 통해 학생들의 삶의 질이 얼
     마만큼 향상되었는지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전환되는 것이 필요하다.


      (2) 학생중심의 관점 적용

      교육은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야 하고, 수요자인 학생들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다
     시 말해 교육정책과 교수방법, 그리고 학교운영방법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
     본적인 관점은 학생중심의 가치가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교육현장은 학생들을 배제하고 성인중심의 시각에서 운영되
     어 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학생들이 잘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사
     중심의 교수법에서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잘 배울 수 있는가에 대한 학생중심의 교
     수법으로 교육의 관점이 전환되고 있다.


      (3) 교육 분야 이외 타 전문가들의 참여를 인정하는 개방적인 학교 조성

      최근 학교현장에는 학교폭력, 인터넷 과다사용, 가출, 우울 및 불안 등과 같이 학
     생들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다양한 심리․사회적 문제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여러 문제가 상호 유기적으로 복잡하게 얽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거처럼 교사들만이 학생교육의 전문가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사회복지, 임상전문, 청소년 지도 및 상담 등에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들이 학교교육에 참여해야만 한다. 즉, 교사와 타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협
14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력할 수 있는 학교환경이 조성될 때 비로소 복합적인 문제와 욕구를 가진 학생들의
어려움을 협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 학교는 지역사회로
부터 고립된 조직이 아니라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중심적인 조직이고, 교육을 위해
필요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참여와 협력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개방적 조직이 되어야
한다.


 (4) 학교의 복지적 기능 수행에 대한 당위성

 산업화와 핵가족화 등과 같은 사회환경 변화는 학교의 기능과 역할의 변화를 요
구하고 있으며, 학교는 지식 전달의 역할뿐만 아니라 학생들 누구에게나 균등한 복
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안전망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학교는 개인적․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학생들을 예
방․발견․치료하여, 이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아동․청소
년기에 겪게 되는 발달단계상의 문제와 욕구들을 해결하고 충족시킬 수 있는 복지
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5) 교육과 복지를 통합하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제도 도입의 필요

 학교사회복지는 사회복지적인 관점과 방법을 통해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고,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는 학교에 대해 보완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학교사회복지는 교육을 통해 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교육적
목적과 인간을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지의 목적을 함께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과 복지는 일맥상통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교육현장에
복지를 통합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학교사회복지는 학생을 비롯한 학
교와 가정 및 지역사회를 연계하여 교육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학교조직의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며,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관점에서 학생 개개인의 문제 및 욕구를 예
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문 분야이다. 그러므로 학교사회복지는 교육과 복지를 통
합하기 위해 교육현장에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 할 수 있겠다.
                                                  15
학교사회복지론




         생각해 봅시다

      Q1. 여러분들은 학교사회복지가 왜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각자의 의견을 함께 나누
        어 봅시다.




                    2.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학교사회복지란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학교-가정-지역
     사회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와 어려움을 사회복지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해결하
     고, 궁극적으로 전인교육의 학교교육 이념을 달성하도록 돕는 사회복지의 한 전문분
     야이다(한인영 외, 1997). 따라서 교육과 복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개념을 정
     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1) 학교교육

      우리나라 헌법 제31조에 의하면 “모든 국민은 자기의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
     을 받을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는 의무적인 공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민주시민으로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가치와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고,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계발하여 책임 있고 성숙한 인간으로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초석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학교는 국가로부터 이러한
     임무를 위탁받아 수행하는 중요한 사회체계로써 교사를 중심으로 한 전문 인력이
     교육의 목적달성을 위해 교육활동을 수행하는 장소이다.
      학교교육(敎育)은 단순히 가르치는 행위인 교(敎)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육
     (育)이 접목될 때 진정한 의미를 가진다. 학교교육이 학생의 균등한 교육기회와 적

     합한 교육의 권리를 제대로 보장하고, 교육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회적 서비스가 필요하다. 즉, 학생들이 질병으로부터 안
16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전하도록 도와주는 보건, 건강한 식단을 위한 영양, 심리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상담, 복지를 다각적으로 지원하는 사회복지 등이 종합적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2) 학교와 복지

 아동․청소년이 진정으로 행복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학교를 바탕으로 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 실효를 거두기 힘들다. 학교는 아동․청소년복지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청소년에게 가장 중요한 공간은 일차적으로 가정
이고, 그 다음으로 학교이다. 따라서 가정에서 제대로 보호받고 지원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학교라는 공간에서 서비스
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은
위험에 노출된 학생에 대해 근접한 접근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낙인감 없이 대상학
생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한, 학교는 부모들의 신뢰를 가장 많이 받는 곳이기도 하며,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거점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학교는 아동․청소년복지를 체계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3) 교육과 복지

 교육복지를 바라보는 견해는 학자들마다 다양하다. 안병영과 김인희(2009)는 교육
복지에 대한 기본 관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첫째, 교육복지는 교
육의 영역 속에서 교육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도록 하여 그 안에 내포된 복지적 가치
를 실현토록 하는 일이라는 관점이다(관점 1). 둘째, 교육복지를 교육과 복지의 교집
합 지점에 있는 영역으로 보는 관점이다(관점 2). 셋째, 교육을 사회복지의 한 구성
요소로서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수단적 기능으로 바라보며, 사회복지적 방법을 통
한 교육지원 활동을 교육복지로 보는 관점이 있다(관점 3).

                                                      17
학교사회복지론




       출처 : 안병영․김인희(2009).
                         [그림 1-1]   교육복지에 대한 관점


      첫 번째 관점에서 바라본 이기범(1996)은 “교육복지는 복지가 교육에 내재되어 있
     다는 사실을 명시화 한 개념”이라고 하였으며, 이돈희(1999)는 “교육은 교육의 내재
     적인 가치를 충실히 실현함으로써 복지의 목적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이라고 언급
     하였다. 우리나라 교육복지사업의 총괄적인 연구를 맡았던 교육개발원의 이혜영
     (2003)은 “교육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제반 지원활동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하였

     다. 이는 교육의 본질을 충실히 하면 복지적인 것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는 관점
     으로 굳이 복지의 개념을 교육 내에 포함시킬 이유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러한 주장은 오히려 교육의 폐쇄성을 드러내게 되고, 현존하는 교육 불평등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불가능하게 하는 단점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첫 번째 관점은 교육계에서 바라보는 교육복지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세 번째 관점을 주장하는 대표적인 학자인 홍봉선(2004)은 “교육복지란 사회복지

18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의 한 영역으로서 인간의 출발점 평등지향의 가치를 근간으로 하고 전 국민의 교육
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교육취약집단은 물론 모든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교육
기회의 확대에서부터 교육과정, 교육결과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불평등을 해소
하고 교육여건을 개선해 주는 정책, 서비스 및 전문적 활동을 말한다”라고 정의하였
다. 이는 복지의 개념을 교육의 상위개념으로 놓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현 실정에서
는 복지계에서도 실현하기 힘든 개념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두 가지 관점의 중립적 위치에 있는 두 번째 관점은 중앙정부차원에서 교육복지
를 바라보는 관점이다. 교육정책자문회의(1992)에서 “교육복지란 교육소외․결손집
단에 대하여 교육기회를 확충함과 동시에 예방․치료․보상활동을 통하여 교육의
질적 평등을 보장하고, 정상적 학생집단에 대하여는 잠재능력을 최대한으로 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전인교육이 가능토록 교육여건을 계속적으로 개선해 주는
것을 말하며, 더 나아가 모든 국민의 교육적 욕구에 부응하여 평생교육기회를 제공
함으로써 모든 개인으로 하여금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자아를 실현케 하며, 사
회 전체가 학습하는 사회로 발전하는 과정과 그 결과를 말한다”라고 하였다. 교육인
적자원부(2004)에서는 “교육복지란 개인․가정․지역․사회경제적 요인 등으로 인
해 발생하는 각종 교육소외 및 교육 불평등 현상들을 해소하고, 전 국민이 높은 교
육의 질적 수준을 누리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을
기함은 물론 나아가 국가의 성장 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펼치는 교육현장에서의 다
양한 노력의 총체를 의미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현재 우리 교육현장은 교육부의
이러한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복지관련 사업을 총괄적으로 추진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태수, 2010).

 교육복지의 필요성은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 교육이 국민의 기본적 권리라는 이
념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특히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교육은 사회적 통합을 이루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제도이다. 따라서 교육과 복지는 상호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어서 복지는 교육의 목적인 동시에 수단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호보
완적인 관계인 이 두 가지 개념의 합성어인 “교육복지”라 함은 ‘학교에서 학생의 교
                                                     19
학교사회복지론




     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가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복지서비스’라고 할
     수 있겠다(전구훈·윤철수·배성우, 2007).



      4) 학교사회복지의 정의

      학교사회복지의 정의에 대한 견해는 학자(단체)들마다 다양하다. 먼저 국외의 학
     교사회복지 정의를 살펴보면 학교사회복지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발전시킨 Costin
     (1981)은 학교사회복지를 “학교가 학생 개개인의 지적․사회적․정서적 욕구와 문제

     해결에 관심을 갖도록 도와주며, 이를 통하여 모든 학생이 학교에서 공평한 교육기
     회와 성취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학교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적인 사회복지 분
     야”라고 정의하였다. 전미사회복지사협회(2002)는 학교사회복지를 “공교육체계에서
     학교교육의 목적 달성을 지원하고, 학생들이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를 위해 학교-가족-지역사회가 수행하는 노력을 조정하고 영향을 미치는 활동”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다음으로 국내의 학교사회복지 정의를 살펴보면 한인영 외(1997)는 학교사회복지
     를 “학교를 실천 장소로 하여 학생-가정-학교-지역사회의 역기능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발생하는 학생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며, 모든 학생이 자
     신의 잠재력과 능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학교가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기능의 한 부분이
     며 사회사업(social work)의 전문분야”라고 정의하였다. 윤철수 외(2010)는 학교사회
     복지를 “학교에서 학교사회복지사라는 전문가가 학생의 심리․사회적 문제의 예방
     및 해결을 통해 학교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학생-학교-가족-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의 기술과 지식을 활용하여 개입하는 활동”이라고 하였다. 한국학
     교사회복지사협회(2012)는 학교사회복지를 “학교에서 일어나는 학생들의 심리․사회
     적인 문제들을 학생-학교-가정-지역사회를 연계를 통해 예방하고 해결함은 물
     론, 모든 학생이 자신의 잠재력과 능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최상의 교육환
20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경과 공평한 교육기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하고,
또한 학생복지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기능의 한 부분이며, 사회복지의
전문분야”라고 정의하고 있다.


<표 1-2>   학교사회복지 정의에 대한 분류

     구분        공간       주체          목적/목표            방법론
Costin(1981)   학교      사회복지사    공평한 교육기회와 성취감         -
전미사회복지사        공교육                              학교-가정-지역사회의 수행
                       사회복지사    학교교육 목적 달성
협회(2000)       체계                               노력 조정

한인영 외(1997)    학교      사회복지사    교육의 본질적 목적달성    학생-가정-학교-지역사회


윤철수 외(2010)    학교     학교사회복지사 학교교육 목적 달성        학생-학교-가정-지역사회

한국학교사회복지                        교육의 본질적 목적달성,
               학교     학교사회복지사                   학생-학교-가정-지역사회
사협회(2012)                       학생복지



  이상의 내용들을 참고하여 펄만(Perlman, 1957)이 제시한 ‘6P’의 개념으로 정리해
보면, “학교사회복지는 ① 학교체계 내에서 ② 전문능력과 자격을 갖춘 (학교)사회
복지사가 ③ 학생의 ④ 심리․사회적 문제와 가족․학교․지역사회의 역기능적 상
호작용과 유발조건을 예방 또는 해결하기 위하여 ⑤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달성과 학
생복지 증진이 가능한) 사회복지서비스를 ⑥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을 통하여 제

공하는 활동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표 1-3>   학교사회복지 정의

          6P                         내용                     순서
장소(Place)        학교체계 내에서                                    ①
전문가(Professional) 전문능력과 자격을 갖춘 (학교)사회복지사가                    ②
사람(Person)       학생(교사․학부모․지역사회)의                            ③


                                                                   21
학교사회복지론




            6P                           내용                   순서

                       심리․사회적 문제, 가족․학교․지역사회의 역기능적 상호작용 및
     문제(Problem)                                              ④
                       유발조건(을 예방 또는 해결하기 위하여)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달성과 학생복지 증진이 가능한) 사회복지서비
     제공물(Provisions)                                          ⑤
                       스를
     과정(Process)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을 통하여 제공하는 활동이다.          ⑥



           생각해 봅시다

      Q1. “학교사회복지는 [            ](이)다”에서 [    ]에 들어갈 말과 의미를 적어보
          세요.




                           3. 학교사회복지의 목적

      1) 본연의 교육목적 달성 지원

      학교는 학생을 교육시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학교사회복지도 우선
     학생에 대한 교육효과를 최대화하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한인영 외, 2004). 그러
     므로 학교사회복지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학업능력을 저해
     하는 요소들을 감소시키고, 학생들이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
     본연의 교육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즉, 학교사회복지사는 학생들
     이 학교생활을 통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개발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필요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조화로운 인간관계를 맺으
     며 지역사회와 긴밀한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22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표 1-4>   학교교육의 목적

   구 분        세부항목                    내 용

                      ∙읽기, 쓰기, 셈하기에서 기초 기능을 가르치는 것
                      ∙학생들에게 대학진학을 준비시키는 것
             학업적 목적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것
 내용적 목적               ∙교과 영역에 있어서 진보된 지식을 가르치는 것

                      ∙취직/직업을 위해 준비시키는 것
             직업적 목적
                      ∙생활기능을 가르치는 것(금전관리, 직업 찾기 등)

                      ∙교사, 학생, 학부모 간에 사회의식을 고양시키는 것
                      ∙다른 인종과 사회적인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어울리는 법을 가르치
             사회/시민적    는것
               목적     ∙훌륭한 시민이 되는 법을 가르치는 것
                      ∙국제적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
                      ∙사회정의와 약한 자를 이해하고 헌신하며 돕도록 가르치는 것
 과정적 목적
                      ∙개인의 취미, 흥미, 관심사 등을 충족시키는 것
                      ∙개인의 책임감과 독립심을 고취시키는 것
             개인적 목적   ∙개개인에게 그들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심어 주는 것
                      ∙자긍심과 자신감을 심어 주는 것
                      ∙자제력, 자기수양 등을 향상시키는 것

출처 : 황윤환(1995), 성민선 외(2009) 재인용.



  2) 학생복지 도모

  학생복지는 결식아동, 피학대아동, 소년소녀 가장 등 보호가 필요한 학생을 집중
적으로 돕는 것과 전반적으로 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
야 한다. 이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사는 이러한 대상들의 심리적․사회적․가정적 어
려움에 대해 전문적인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연계함으로써 학생이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학습효과를 최대화하며 학생의 복지수
준을 증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한인영 외, 2004). 이 과정에서 학교사회복
지사가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이유는 제한된 학교자원만으

                                                               23
학교사회복지론




     로는 학교체계 내에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자원을 학교 안으로 끌어들이는 일은 학교사회복지사의 고유성
     과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주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겠다(성민선 외, 2009).




                  4. 학교사회복지의 실천대상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대상을 명확히 하는 것은 서비스의 종류와 실천방법을 결
     정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학교사회복지실천의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 체계는 일차
     적으로 학교생활을 경험하는 학생들이고, 다음으로 학생들의 사회적 기능 수행과
     교육목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교사, 학교, 지역사회이다. 즉, 학교교육 목적
     의 달성과 관련된 모든 개인, 집단, 조직 및 지역사회 체계 모두가 학교사회복지의
     실천대상이 될 수 있다.



      1) 학생

      학교사회복지의 일차적 대상은 학교생활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이다. 전통적으
     로 학교사회복지 초기에는 문제가 있는 학생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에 대
     한 치료적인 개입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학교사회복지 실시 초기에 재정적인 지원
     과 사회적 인식이 확대되지 않았기 때문에 선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밖에 없
     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욕구의 결핍과 문제의 미해결이라는 차원
     에서 학교사회복지 대상은 <표 1-5>와 같이 분류해 볼 수 있다. 학교사회복지사는
     욕구결핍 아동들의 욕구충족과 문제 미해결 상태에 놓여 있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
     을 위해 우선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24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표 1-5>   학교사회복지의 대상

              욕구결핍아동                        문제 미해결
 결핍욕구영역                대상         문제형태            대상
   소득욕구      빈곤아동, 실직가정아동         구조적 문제   빈곤아동
   교육욕구      미취학아동, 학교중도탈락아동               이혼가정아동, 한부모가정아동
                                  해체적 문제
   주거욕구      시설아동, 가출아동                    피학대아동

   문화욕구      문화여가 부족아동                     비행아동, 약물남용아동,
                                  탈선적 문제
   건강욕구      장애아동, 질환을 앓고 있는 아동            범죄소년

출처 : 성민선 외(2009).


  하지만 다양한 사회문제의 증대와 보편주의적인 인식이 확대되면서 오늘날은 모
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방활동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전재일 외, 2011). 즉, 모든
학생들이 질적으로 향상된 학교생활을 영위하도록 학생을 돕고 환경체계를 개선해
주기 위한 활동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2) 학교-가정-지역사회

  학생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에 대한 개입뿐만 아니라 학생을 둘러싼
교사, 학부모 및 지역사회에 대한 개입과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사만
이 개입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 특히 담임교사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
더 나아가 학교조직 및 지역사회의 다양한 조직들이 학생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원하는 체계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인디언 속담처럼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는지역사회를 조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그림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생에서 영향을 미치는 교사(학교체계), 가족, 지역사회는 학생의 변화를 유도
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25
학교사회복지론




                    [그림 1-2]   학교사회복지의 대상




                 5. 학교사회복지의 실천유형

      현재 학교사회복지실천유형에 대해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학교사회복지실천초기에는 주로 종합사회복지관의 아
     동․청소년 복지사업의 일환으로 학교사회복지가 실시되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가
     학교에 상주하는지 여부에 따라 실천유형을 단순히 학교중심형과 지역중심형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성민선 외(2009)는 서비스 제공주체와 학교사회복지사의 활동을 중심으로
     실천유형을 새롭게 구분하였는데, 이는 2002년 이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사업
     과 정부차원,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사업이 시작되면서 초기 학교상주형/지역중심형
     구분으로 현장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유형 구분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첫째, 학교기반 학교중심모형은 외부에서 재
     원을 지원한다하더라도 학교장이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는 주체가 되고, 학교 내
     에서 활동을 하게 되는 지금도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는 유형이다. 둘째, 지역사회
26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기반 학교중심모형은 학교외부의 기관장이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여 학교에 상
주시키는 위스타트사업,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사업, 협회 내 학교사회복지사 파
견사업 등이 이에 해당된다. 셋째, 지역사회기반 지역사회중심모형은 외부의 기관
장이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고 학교에 상주하지 않는 유형이다. 이에 해당하는
것은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현재 주로 많이 운영되는 모형으로 지역의 사회복지사에
의해 학교 내부 혹은 외부에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마지막으로
센터기반 순회운영모형은 학교의 상급기관인 교육청에서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
여 학교를 순회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모형이다. 이는 1997년 교육청상담센터, 위프
로젝트의 위센터가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표 1-6>   제공주체와 활동중심 유형

                                   학교사회복지사의 활동중심
            구분
                           학교중심(상주형)        지역사회중심(비상주형)

                        ① 학교기반
                 학교기반
   서비스                    학교중심모형    ④ 센터기반
   제공주체                 ② 지역사회기반      순회운영모형     ③ 지역사회기반
              지역사회기반
                          학교중심모형                   지역사회중심모형

출처 : 성민선 외(2009).


  한편, 2009년 이후 학교사회복지와 관련한 지방자치단체의 조례가 만들어지면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사업을 확대하게 되었다. 또한 중앙정부차
원에서 진행되던 학교사회복지 관련 사업들이 재구조화되면서 일부 사업은 종결이
되었지만 오히려 사업의 양은 대폭 확대되었다. 이러한 사업들은 주로 학교기반 형
태의 학교사회복지 사업으로 확대되면서 이전에 실시되던 지역사회중심의 학교사
회복지사업까지 포괄하여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복지관 유형과 유사하게
학교에 상주하지 않지만 학교외부에서 지원되는 사업들이 늘어나게 되었는데, 이를
재분류해보면 <표 1-7>과 같다. <표 1-7>은 재원(주관기관)과 학교사회복지사의

                                                                 27
학교사회복지론




     활동중심으로 우리나라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교사회복지의 현황을 파악한 것
     으로 과거에 진행되었다가 종결된 사업들은 포함하지 않았다.


     <표 1-7>   학교사회복지 유형구분

                                        학교사회복지사의 활동중심
               재원/주관기관
                                학교중심(상주형)             지역사회중심(비상주형)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교육과학기술부   위프로젝트(위클래스사업)            위프로젝트(위센터사업)
      중앙정부
                           혁신학교
                  보건복지부                             드림스타트
                           과천, 용인, 성남, 수원, 군포, 의왕
               지방자치단체
                           등 학교사회복지사업
                           위스타트 학교사회복지사업     복지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민간기관       공동모금회 지원사업,       중심의 학교사회복지사업
                           학교사회복지사 파견사업(하이원)




       1)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2003년부터 교육과학기술부에 의해 교육․문화적 조건
     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도시 저소득지역 학생의 교육․문화․복지 수준을 제고해 교
     육기회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진행된 사업이다(신익현, 2003). 이 사업은 저소득
     층 영․유아 및 아동․청소년의 주요 취약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다차원적인 지
     원사업이며, 학교가 중심이 되는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통해 학습, 문화, 심리․정서
     등 삶 전반에 대해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정책의 목표는 ①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기본적 욕구해
     결과 문제예방을 위해 취학 전 단계의 영․유아에게는 양질의 취학 전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출발점 단계의 교육․문화 접근기회의 형평성을 보장하며, 초등학생
     에 대해서는 학습결손 예방 및 치유, 방과 후 보호 등 기본적 복지서비스 제공에 중

28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점을 두고, 중학생에 대해서는 다양한 문화활동을 통한 정서적 함양에 중점을 두며,
② 가정의 취약성으로 인한 정서․행동 발달상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학교 및
지역사회의 교육․문화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정서적 안정 속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③ 건강한 신체 발달을 위해 필수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정상적인
학교 및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로 세분화할 수 있다(성민선 외, 2009). 초
기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이라는 명칭으로 8개 지역 45개 학교에서 시범
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12년 현재 1,490개 초․중․고에서 시행 중이다.



 2) 지방자치단체 주관 학교사회복지사업

 과천시에서 2003년에 시작된 지방자치단체 학교사회복지 사업이 이후 용인시, 성
남시, 수원시, 군포시, 의왕시, 화성시, 안양시에서도 실시되고 있다. 이 중 성남시
는 안정적인 사업운영을 위해 2009년 전국 최초로 조례를 제정하였고, 이후 용인시,
수원시, 안양시도 조례를 제정하여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지방
자치단체 학교사회복지사업은 전통적인 학교사회복지사업의 맥락 안에서 운영되는
사업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 학교에 예산을 지원하고 학교장이 채용하는 형태로 운
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2012년 현재를 기준으로 과천시 8개교, 용인시 6개교, 성
남시 21개교, 수원시 10개교, 군포․의왕시 11개교 총 46개교에서 활발하게 운영
중이다.



 3) 위스타트(We-Start) 학교사회복지사업

 위스타트운동은 2004년 3월 중앙일보가 ‘가난에 갇힌 아이들’이라는 기획연재물
을 통해 우리 사회의 빈곤아동들을 집중 조명하면서 시작됐다(전재일 외, 2011). 결
국 이 사업은 2004년 ‘가난의 대물림을 끊자’는 슬로건하에 시민운동으로 출발하게
되었다. 저소득층 아동의 거주 지역을 중심을 복지․교육․보건 통합 맞춤형 서비

                                                       29
학교사회복지론




     스를 제공하여 통합사례관리 체계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마을 만들기 사업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안산시는 위스타트 사업의 효시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실질적
     인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2005년
     부터 경기도가 위스타트 시범마을을 실시함에 있어 안산과 성남의 위스타트 마을에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하게 되었고, 2006년에는 위스타트 시범마을 확대실시와
     함께 학교사회복지실천학교도 8개교로 확대되었다. 이 시기에는 그동안 이 사업의
     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본부체제를 총회와 이사회 및 중앙사무국로 구성
     하여 사단법인으로 재출범하게 되었다. 2007년 위스타트사업은 5개교로 확대되었
     고, 2008년에는 경기고양아동보호전문기관의 주관으로 성사초등학교에서 사업이
     시행되었다(전재일 외, 2011). 현재 경기도를 중심으로 2012년 기준 13개 마을, 14개
     초등학교에서 학교사회복지사업이 운영되고 있다.



      4) 위(Wee)프로젝트사업

      위(Wee)프로젝트사업은 교육과학기술부에 의해 2009년부터 시행된 사업으로 위
     (Wee)프로젝트의 주 대상은 위기학생, 보조 대상은 일반학생이다. 이 사업은 학교․교

     육청․지역사회가 연계된 다중 안전망을 통해 학생들에게 건강하고 즐거운 학교생
     활이 되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정서불안, 폭력, 학교부적응, 일탈행동 등의 문
     제를 가진 위기학생에 대한 촘촘한 3단계 safe-net구축사업을 실시하며, 단위 학교
     내 대안교실(Wee Class)과 지역교육지원청 차원에서의 학생생활지원단(Wee Center)
     및 시․도교육청 차원에서의 장기위탁교육센터(Wee School)를 운영하는 사업이다
     (최상근 외, 2011).

      2011년 5월을 기준으로 위클래스는 2,530개교, 위센터는 110개소, 위스쿨은 3개
     교가 운영 중에 있다. 위클래스는 학교중심, 위센터는 지역사회중심, 위스쿨은 별도
     의 학교체계로 운영되는 형태이다. 위(Wee)프로젝트의 인력은 2011년 기준 위클래
     스 2,530개교에 전문상담교사 526명(20.8%), 전문상담인턴교사 1,489명(58.8%)으로
30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위클래스는 주로 인턴교사에게 의존하여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위센터의 경우 110개
청에 전문상담교사 189명, 전문상담사 236명이 배치되어 있고 위스쿨에는 전문상담
교사 5명, 전문상담사 5명이 활동하고 있다. 현재 위(Wee)프로젝트에서 활동하는 사
회복지사는 위클래스 26명, 위센터 108명, 위스쿨 2명이 있다(최상근 외, 2011). 2012년
에는 위클래스 4,497개교, 위센터 136개소, 위스쿨 4개교(3개교 추가 설치 중)로 확대
설치되었는데, 정부는 추후 모든 중학교에 위클래스를 설치하고, 2013년까지 모든
고등학교로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위센터는 2014년까지 모든 교육지원
청(178개)에 설치를 추진하며, 위스쿨은 고위기 학생을 위한 위탁교육기관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학교 시설비 우선 교부 등 행․재정적 지원을 하기로 하였다(교육과학기
술부, 2012).


<표 1-8>   연도별 위(Wee) 프로젝트 운영기관 구축 현황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위클래스          530개    1,530개    2,530개   3,219개    4,497개
    위센터           31개       80개     110개     126개      136개
    위스쿨                     3개         4개      4개        4개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2012) 일부 수정.



  5) 드림스타트

  아동복지 전달체계가 없었던 정부(보건복지부)에서는 위스타트 사업을 벤치마킹
하여 드림스타트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드림스타트는 아동의 공평한 양육여건과 출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저소득층 0~12세 아동과 그 가족에게 건강, 복지, 보육․교육
프로그램을 통합한 전문적․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주도의 아동복지 프로
그램이다(전재일 외, 2011). 학교에 상주하는 형태보다는 학교 내에 있는 복지인력들
과의 협력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2006년 8월에 보건복지부에서 ‘희망스
타트’ 사업을 시행발표했는데, 2007년 1월에 보건복지부는 16개 지역에 시범사업을
                                                                31
학교사회복지론




     하도록 선정하여 발표하였고, 이듬해 4월에 ‘기획, 교육’, ‘홍보, 평가’ 사업지원단을
     선정하게 되었다. 2008년 들어서는 사업실시지역을 32개 지역으로 확대하고 16개 지
     역에서 실시하도록 확정하였다. 같은 해인 2008년 1월에 희망스타트사업지원단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으로 선정하게 되고 7월에 들어서면서 희망스타트는 드림스타
     트사업으로 전환되었다. 2009년에는 사업실시지역이 75개 지역으로 확대되었고,
     2010년에는 101개 지역, 2011년에는 131개 지역으로 확대하게 되었다. 드림스타트
     사업은 2012년 현재 181개 센터를 중심으로 학교와 연계해서 아동복지와 관련한 다
     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3년 211개 센터로 확대될 계획이다(보건복지부,
     2013).



       6) 학교사회복지사 파견사업 학생복지안전망 구축사업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는 하이원리조트 사회공헌 위원회의 지원으로 폐광지역
     청소년의 잠재능력 발굴 및 극대화를 지원하고, 지역사회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과 실천적 프로그램 제공을 위해 학교사회복지사 파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2010년에 강원도의 고한초등학교, 고한 중․고등학교를 시작으로 이후 2011년부터
     는 사북중학교에도 학교사회복지사가 배치되어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최경일․주석
     진, 2011). 기존 학교사회복지 시범사업이 도시중심의 사업이었다면 이 사업은 산촌

     지역의 소규모 학교에 학교사회복지실천모형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사업의 형태로 학교사회복
     지가 실천되고 있다. 따라서 차후에는 한국형 학교사회복지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2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33
학교사회복지론




34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2. 2012 Wee 프로젝트 기능개편(안). Wee 센터 실장 및 전문상담사 워크숍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보건복지부. 2013. 2013년도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성민선․조흥식․오창순․홍금자․김혜래․홍봉선․노혜련․윤찬영․이용교․조미숙․노충래․정
    규석․오승환․이상균․김경숙․김상곤․진혜경․윤철수․최경일․이태수․손병덕․박경
    현. 2009.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신익현. 2003.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의의와 추진방향”. ≷도시와 빈곤≸, 61, 49-65.
안병영․김인희. 2009. ≷교육복지정책론≸. 서울 : 다산출판사.
윤철수․진혜경․안정선. 2010. ≷학교교육과 복지≸. 파주 : 양서원.
이기범. 1996. “복지사회와 교육 : 자유, 평등, 공동체를 위한 교육복지”. ≷교육학연구≸, 34(2), 21-39.
이돈희. 1999. ≷교육정의론≸. 파주 : 교육과학사.
이태수. 2010.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의 재조명 : 교육복지의 개념과 원리를 기반으로≸.
    학교사회복지 7차 포럼 자료집.
이혜영. 2003. “도시 저소득층의 교육복지 실태와 과제-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계획 수
    립을 위한 공청회”, 한국교육개발원, 1-33.
전구훈․윤철수․배성우. 2007. ≷통합적 접근모델로서의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2007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전재일․이경은․이성국․이성희․박영준․이석형․이선자․남영옥․황복옥. 2011. ≷학교사회복
    지≸. 파주 : 양서원.
조흥식. 2007. ≷가족복지학≸. 서울 : 학지사.
최경일․주석진, 2011. 2011년 학교사회복지사파견 ‘학생복지안전망 구축’사업 성과연구 보고서.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한라대학교.
최상근․금명자․정진. 2011. ≷Wee 프로젝트 운영 모델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일보. 2004. 8. 15. 학교 소속감 OECD 국가 중 ‘꼴찌’.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2010. ≷10년을 딛고 내일을 연다≸.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10주년 기
    념자료집.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2012. 학교사회복지 현황 내부자료.
한인영․홍순례․김혜란. 2004. ≷학교와 사회복지실천≸. 서울 : 나남출판.
한인영․홍순혜․김혜란․김기환. 1997. ≷학교와 사회복지≸. 서울 : 학문사.
홍봉선. 2004.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학≸, 56(1), 253-282.
홍봉선․남미애. 2009. ≷학교사회복지론≸. 고양 : 공동체.
                                                                       35
학교사회복지론



     Dupper, D. R. 2002. School social work. 한인영․홍순혜․김혜란․박명숙 공역. 2004. ≷학교
         사회사업≸. 서울 : 학지사.




36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제2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학습목표

  1. 외국의 학교사회복지 역사에 대해 이해한다.
  2. 한국의 학교사회복지 역사와 현황에 대해 이해한다.
  3. 향후 학교사회복지의 방향에 대해 고민해 본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학교사회복지를 시작했던 나라들이 어떠한 배경 속에서 학교
사회복지가 태동되었고 발전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앞으로 우리나라의 학교사
회복지가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방향을 설정하는 데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장에서는 주요국을 중심으로 외국의 학교사회복지가 어떻게 시작
되어 발전, 운영되고 있는지와 함께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1. 외국의 학교사회복지 역사

 학교사회복지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영국과 미국에서 각각 시작되었다. 영
국은 1870년대 의무교육의 실시와 함께 학교사회복지가 시작되었으며, 미국의 경우
에는 1906년에 민간기관들의 주도에 의해 학교사회복지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외의 나라들은 주로 학교 출석의 의무적 이행을 돕는 것과 문제행동과 상황을 발견
하고 개입하는 내용들로 학교사회복지가 진행되고 있다. 오늘날 각 나라의 학교사

                                                          37
학교사회복지론




     회복지는 교육복지, 교육사회사업, 학교사회복지사업 등의 이름으로 전 세계 43개
     국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학교사회복지사의 명칭도 학교사회사업가, 학교 내 사회
     복지사, 학교사회복지사, 교육복지관, 교육사회복지사 등으로 나라마다 조금씩 달
     리 사용되고 있다(성민선 외, 2012).



      1) 미국 학교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가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은 1900년대 이민자들의 급증으로 발
     생하는 사회문제와 의무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에서 학교사회복지가 태동하기 시
     작하였다. 미국의 학교사회복지는 1906년과 1907년 뉴욕, 보스톤, 하트포트의 세 도
     시에서 시범적으로 시작된 방문교사제도를 통해 처음 시작되었다. 즉, 인보관이나
     자선조직단체에서 활동하던 사회복지사가 아동을 중심으로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
     를 연결하는 방문교사의 역할을 담당하면서부터 학교사회복지가 시작되었다. 이후
     1913년 뉴욕의 로체스터 교육국과 1923년 뉴욕공동모금회의 지원 그리고 1921년
     미국방문교사협회의 설립으로 학교사회복지 활동이 촉진되었으나, 1930년대 미국
     의 경제공황기와 맞물려 약간 주춤하게 되었다. 하지만 1945년 미국방문교사협회가
     ‘전국학교사회사업가협회’로 바뀌게 되면서 더욱 활발해지게 되었다(Dupper, 2004).
     이후 1975년 ‘장애아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제정되면서
     민간재단과 연방정부의 교육법을 통해 지원을 받고 있던 학교사회복지 사업은 연방
     법에 의해 제도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한국사회복지
     사협회, 2003).

      1975년 제정된 장애아교육법은 1990년 장애인교육법으로 개정되었는데 이에 따
     라 장애아동은 공교육과 학교사회복지 관련서비스를 무상으로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이 법에서 규정하는 장애는 장애를 가졌거나 가질지 모르는
     학생까지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그들의 장애 형태 또는 정도와 관계없이 그들
     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무상의 적정한 공교육과 학교사회복지와 같은 관련서비
38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스를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들의 권
리보호까지 보장하고 있다. 특별히 이 법은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지위와 역할을 보
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한인영 외, 1999). 이후 이 법은
2004년 장애인교육향상법으로 재인가되었는데 이 법 외에 재활법(504조항)과 아동
낙오방지법 등도 미국의 학교사회복지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현재 미국에는 정부
와 민간의 다양한 재원을 바탕으로 약 2만여 명 이상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
되고 있다(성민선 외, 2012).



 2) 영국 학교사회복지

 영국의 학교사회복지는 1870년대 의무교육 시행과 함께 시작되었다. 즉, 1871년
지방 교육청에서 학교출석관을 고용하면서 실질적인 학교사회복지사업이 시작되었
다고 볼 수 있는데, 이 당시 학교출석담당관은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 공부
를 가르치거나 가정방문을 통해 발견한 가난한 사람들에게 필요한 물품과 연료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이후 ‘학교출석관’은 1906년 학급급식 실시에도 일정부
분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1918년 영국의 교육법이 의무교육 연한을 14세로 연장함
에 따라 학교출석관의 역할과 책임은 더욱 증대되었고, 이러한 계기로 관련 협회를
구성하여 전문가적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 1944년에는 교육법이 개정되면서
“아동은 자신의 나이와 능력에 따라 적절한 일반 혹은 특별교육을 받아야 하나 그렇
지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교육복지사가 해당 아동을 상담하여 필요한 도움을 받아
수행할 수 있다”는 규정이 생기게 되었다. 이를 통해 교육복지(education welfare)라는
말이 처음 등장하였고 ‘학교출석관’이라는 명칭도 자연스럽게 ‘교육복지관(education
welfare officer)’이라는 명칭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후 영국에는 아동법, 교육법, 반사

회행동법 등 교육복지와 관련한 다양한 법들이 제정되면서 교육복지서비스가 다양
한 영역으로 확대되었다(홍봉선 외, 2009).
 특히, 1989년 아동법(Children Act)은 교육복지관의 역할을 더욱 분명히 하고 있다.
                                                           39
학교사회복지론




     즉, 아동학대와 방임 및 이혼 등과 아동이 관련된 모든 법적 절차에 대해서 재판관
     은 아동의 신체적․정서적 부분에 대한 복지적 측면을 가장 우선해 판결하여야 하
     며, 필요한 경우 아동이 정규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조성에 대해 명령할 수 있도
     록 하였다. 그리고 1996년 교육법에서는 교육복지관의 법적인 권한을 강화하고 학
     령기 아동을 학교에 보내지 않는 부모에 대해 법원에 고소할 수 있는 권한까지 부
     여하였다. 또한 2003년의 반사회행동법은 재학 중인 학생이 문제행동을 보이거나
     출석에 있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가족이 학교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고 판단될 때 교육복지관이 즉각 개입할 수 있도록 하고, 문제 해결을 위
     해 교육 당국뿐 아니라 사회복지서비스 관련기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도록 규정
     하고 있다(성민선 외, 2012).
      현재 영국에는 약 3,000여 명의 교육복지관(학교사회복지사)이 있으며 이들은
     초․중․고 재학생들의 교육을 어렵게 만드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예방적․치료적
     접근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3) 독일 학교사회복지

      독일의 학교사회복지는 1970년 서베를린의 제2차 교육제도에서 사회교육사(social
     pedagogues)가 소개되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사회교육사란 사회교

     육학을 전공한 케어, 상담, 가족 및 아동상담을 담당하는 전문가를 의미하는데 사회
     교육학은 학교사회복지 이전에 존재한 유럽 전통의 학문분야이다. 또한 독일의 학
     교사회복지는 독일 아동 및 청소년정책의 근거가 되고 있는 아동 및 청소년지원법
     에 근거를 두고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적․문화적 특성과 학교사회복지사의
     능력 차이에 따라 지역별․학교별로 역할의 차이가 나타난다. 그 이유는 각 지역과
     학교마다 운영내용에서 강조되는 부분이 다양하고 인력을 선발하는 기준도 다양하
     기 때문이다(성민선 외, 2012).
      독일의 학교사회복지사들은 학교에서 학생들의 행동과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40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관련된 업무들을 수행하면서 학생의 개별적인 증상을 치료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생
들의 욕구가 제기되는 전체 환경에서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을 시도한다. 독일에
서 실시하고 있는 대표적인 학교사회복지실천모델은 비스바덴 모델인데 이 모델은
Kerseten과 Wulfers(1999)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1977년부터 비스바덴 시에서 시작
하여 현재 18개 도시에서 청소년복지서비스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는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 학교사회복지사는 가족과 아동의 정서적 욕구를 파악하고 학교생활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에 초점을 둔다(성민선 외, 2012).



 4) 북유럽 학교사회복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위치한 북유럽의 국가들(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아
이슬란드)에서 학교사회복지는 사회복지서비스를 통해 학교교육이 보완되어야 한다

는 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 가운데 스웨덴과 핀란드의 학교사회복지를 살펴보면
먼저 스웨덴의 경우 학교사회복지는 1930년대 후반 한 양호교사의 구호활동으로
시작되었다. 즉, 스톡홀름에 있는 한 양호교사가 많은 학생이 식사를 하지 못하면서
학교생활하는 것을 보게 된 후 지역사회의 자원들을 동원하여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점심 식사를 제공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김상곤․김주미, 2002). 이후 1940년에 스톡
홀름 고등학교에 학교사회복지가 도입되었으며 1950년대 후반에 학교사회복지가
의무교육제도와 함께 정착하게 되었다. 그리고 1966년에는 모든 고등학교에 학교사
회사업가를 둘 수 있도록 시교육위원회(스웨덴은 지방자치제)의 결정에 따라 배치 모
형과 직무 지침이 완성되었다(성민선 외, 2012). 스웨덴의 학교사회복지는 학생들이
잠재력을 성장시키고 교육목적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둔다. 이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도 주로 사회복지와 상담을 통해 문
제를 예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현재 스웨덴 전체에는 학교사회사업가는 1,500명
이 있으며, 이들은 의무교육, 상위 2차 학교, 탁아소, 시민학교에서도 활동하고 있
다(김상곤․김주미, 2002).
                                                           41
학교사회복지론




      핀란드의 경우에는 1960년대 중반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많은 아동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후 1973년 교육부에 의해
     임명된 학생복지위원회가 학교사회복지와 심리상담을 조직화하는 계획을 제안하면
     서 학교사회복지의 예방적 특성이 강조되었고 1990년에 각 시·도의 자치 근거에
     의해 자율적으로 도입이 되었다. 핀란드의 학교사회복지는 사회적 부적응을 예방하
     고 학생들이 의무교육 프로그램을 완수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둔다(김상곤․
     김주미, 2002). 이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사는 학교와 교육환경의 심리사회적인 안녕

     을 증진시키고 개발시키며, 학생들의 정서적, 사회적 성장과 발전을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의 문제를 예방한다. 현재 핀란드에는 400여 명의 학교큐레이터와 학교사회
     복지사들이 활동하고 있다(성민선 외, 2012).



      5) 아시아권의 학교사회복지

      학생 문제에 대해 전통적으로 교사중심으로 대응해오던 일본은 교사폭력, 학생
     간 폭력, 교내폭력, 등교거부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면서 1986년부터 학교사회복
     지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2008년에는 정부(문부과학성)가 15억 엔의 예산을 지
     원하면서 전국 144개 지역으로 학교사회복지가 확대, 실시되었으며 이에 1,000명의
     학교사회복지사가 채용되었다. 이들은 주로 가정환경 개선과 학교-가정, 관계기관
     의 연계조정 역할을 주된 업무로 담당하였다. 하지만 이후 중앙정부가 지원하던 사
     업예산이 대폭 감소하면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수는 점차 줄어들었는데 2010년 조사
     에 의하면 642여 명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본 문부과학성에서
     는 학계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
     으며, 학교사회복지사의 양성과정, 슈퍼비전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차례 우리나
     라를 방문하였다. 현재 일본의 학교사회복지 복지체계는 미흡한 상태지만 문부과학
     성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학교사회복지 도입을 시도하고 있는 중이므로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박경현, 2012).
42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사회주의 국가였던 몽골에서는 1990년대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발달하는 과정에
서 발생한 빈곤가정의 학생의 학교중퇴, 가출, 소녀매춘, 아동중노동 등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중도탈락률을 줄이기 위해 1997년 처음 학교사회복지를 실시하
였다. 이후 1997~1998년의 시범사업과 평가조사를 바탕으로 2001년 몽골의 모든
초․중등학교에 학교사회복지사가 배치되는 결정이 정부를 통해 내려졌고 2002년
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에 대한 공동법령이 발표되었다. 그리고 2003년에는 개
정아동보호에 관한 법을 통해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정해졌는데 이 법에서는 학
교사회복지사가 아동, 가족, 부모 그리고 법적 후견인들을 지원하고 상담하는 역할
을 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성민선 외, 2012).


<표 2-1>   각국의 학교사회복지 동향

             시작                             고용     학교사회
   국가                      명칭                     복지사의 수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
             시기                            학교 타기관   (명)
                          복지관                                 교사를 사회사업대학원에서
    가나        1967                         0   0     320
                      (welfare officer)                       훈련
                      사회사업가 또는
  뉴질랜드        1994                         -   0     150      사회사업 학위
                     학교 내 사회사업가
                      학교사회사업가
    대만        1997                         0   0      58      BSW, 면접통과
                      학교사회공작자
                                                              일반적인 사회사업훈련
    독일        1968    학교사회사업가              0   0     미상
                                                              -전문대학 3년 과정
 룩셈부르크        2001    학교사회사업가              0   -      20      사회사업 학위
 마케도니아        1995    교육사회사업가              0   -     5-6      BSW
                                                              현임훈련과 오리엔테이션,
    몽골        1997    교육사회사업가              0   0   600 이상
                                                              사회사업 단기과정
    미국        1906    학교사회사업가              0   0   20,000 이상 MSW 이상
  사우디                    학교상담가
              1980                         0   -   10,000 이상 BA(사회사업, 사회학, 심리학)
  아라비아               (school counsellor)
                                                              사회사업디플로마 또는
  스리랑카        1997    학교사회사업가              -   0      17
                                                              사회학이나 심리학 학위

                                                                                  43
학교사회복지론




                시작                     고용     학교사회
       국가                    명칭              복지사의 수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
                시기                    학교 타기관   (명)
       스웨덴      1950초    학교사회사업가      0   0   1,500~2,000 BSW
      싱가포르      1965     학교사회사업실천가    -   0     미상       BSW
      아랍에미리
                1972      사회사업가       0          813     BSW
        트
                                               전체 사회 수도권은 사회사업전공,
                          학교사회사업가
      아르헨티나    1960년대                 0   -   사업가의 1/4 교사자격 등,
                         (지방은 사회조무)
                                                정도     지방은 전공무관
                          아동보호사
      에스토니아     1994                  0   -      60      BSW
                          학교교육사
                         교육사회사업가                         사회사업학위 또는
        영국      1871                  0   0     3,000
                          교육복지관                          사회사업 1급
                         학교사회사업가
        인도      1970                  0   -   20,000 이상 MSW
                         특수교육교사
        일본      1986     학교사회사업가      0   0      642     사회복지전공
                                                         MSW,
       캐나다     1940년대    학교사회사업가      0   -      750
                                                         RSW(Registered S․Worker)
       핀란드      1966     학교사회사업가      0   0      400     MSW
                          학교사회복지사
        한국      1993                  0   0     1,800    BSW 이상
                         지역사회교육전문가
               1930 시작
       헝가리               학교사회사업가      0   0      50      사회사업가
               1990 재개
        호주      1947     학교사회사업가      0   0      150     BSW, AASW 회원자격
                                                         BSW, 사회사업등록위원회에
        홍콩     1970년대    학교사회사업가      -   0      466
                                                         등록
     출처 : 성민선 외(2012) 재수정.




                   2. 한국의 학교사회복지 역사와 현황

      세계에서 가장 빈곤한 국가에 속했던 우리나라가 1970년대 이후 눈부신 경제성

44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장과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국가적 차원의 교육에 대한 투자와 국민의 교
육열 때문이었다. 이 시기의 교육은 개인의 성취와 사회참여, 계층 상승의 기회를
제공하여 국가발전의 근본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경
제위기와 청소년 문제의 심화를 경험하면서 기존 교육에 대한 제고와 새로운 평가
및 대안을 요구받게 되었다(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2010).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학교
에 부적응 하는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등장한 제도가 학교사회복지이다.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두 가지 사업형태가
있는데, 첫째는 학교에서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여 진행하는 학교중심형의 학교
사회복지이고, 둘째는 지역사회 기관에서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여 방문프로그
램을 진행하거나 학교 내에 상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지역사회 기관중심형의 학교
사회복지이다.
  본 절에서는 학교사회복지의 역사를 크게 1992년 이전(여명기), 1993년부터 1996년
까지(태동기), 1997년부터 2001년까지(도입기), 2002년부터 2008년까지(성장기), 2009년
이후(확립기)로 구분하였고, 각 시기별로 사업형태에 따른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살
펴보도록 하겠다.


<표 2-2>   학교사회복지 시기 구분

     시기        명칭                      내 용
1992년 이전       여명기   ∙비공식적 실천수행과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
1993∼1996      태동기   ∙1993년 은평종합사회복지관과 윤철수에 의해 학교사회복지 실시
                     ∙1997년 서울시교육청 시범사업, 삼성복지재단 후원사업으로 공식적인
1997∼2001      도입기
                      시작
                     ∙2002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3년 기획사업으로 학교사회복지 기준 마련
2002∼2008      성장기   ∙2003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지방자치단체사업(과천시) 실시
                     ∙2004년 위스타트 학교사회복지 실시
2009년∼               ∙2009년 학교사회복지활성화 법안이 최초(성남시)로 제정
               확립기
법제화 준비기              ∙중앙단위의 법제화를 통한 안정적 사업 추진



                                                                 45
학교사회복지론




       1) 1992년 이전(여명기)

       우리나라에서 첫 학교사회복지 활동은 1969년 민간외원기관인 캐나다 유니테리
     언봉사회(USCC)에서 운영했던 마포사회복지관에 의해 시작되었다. 교사와 시립아동
     상담소, 학부모로부터 신석초등학교 학생 32명을 의뢰받아 상담과 경제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학생 내 보호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원하였다. 같은 해 임정혁의 “한국에
     있어서의 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과 문제점”이라는 학위논문을 발표함으로써 우리
     나라 최초의 학교사회복지 연구자가 되었다. 이후에도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과 업
     무활동 분석 등의 연구가 지속되었다.
       그리고 정부 차원(교육부)에서 1973년 18학급 이상의 중등학교에 의무적으로 교
     도교사를 두는 것을 법제화함으로써 학교 내에 학교사회복지와 관련된 제도가 처음
     시작하였고 1985년에는 상담실 설치 의무화와 자격을 갖춘 교도주임교사 배치 등 제
     도가 한층 강화되었다. 그러나 교도교사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더라도 상담활동은 전
     혀 하지 않거나 교과지도만을 하는 경우도 많았고, 행정처리 위주로 대처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후 교도교사라는 명칭은 진로상담교사(1994)에서 전문상담교사(1997)로 명
     칭이 변화되었다. 이 시기에 특이할 만한 일은 1986년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서 영어교사였던 김혜래가 서울현대고등학교에서 타 교사들과의 팀 접근을
     통해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학교사회복지를 개척하였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 시기에는 학교중심과 지역중심의 학교사회복지가 이제 막 시작을 준비하는 정도
     의 시도로 정리할 수 있겠다.


     <표 2-3>   여명기의 학교사회복지

          (여명기)                        1992년 이전
         학교중심형       ∙1986년 : 김혜래(현대고등학교에서 교사이면서 사회복지사로 근무)
     지역사회 기관중심형 ∙1969년 : 캐나다유니테리언봉사회 한국지회 마포사회복지관(신석초등학교)

                     ∙1969년 : 임정혁(한국에 있어서의 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과 문제점에 관한 논
               기타
                      문 발표 : 최초)

46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2) 1993년부터 1996년까지(태동기)

 (1) 사회복지관중심 학교사회복지의 시작 (1993∼현재)

 우리나라 최초의 공식적인 학교사회복지 활동은 1993년 은평종합사회복지관(당시
태화은평종합사회복지관)에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수색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꿈나무교실’ 프로그램이다. 이후에 프로그램의 성과를 인정받아
1995년에는 대상을 일반학급 아동 중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동으로 확대
해 나갔다. 은평종합사회복지관은 그 후에도 학교와 연계한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
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2) 학교중심 학교사회복지의 시작 (1993∼1994)

 숭실대학교 대학원생인 윤철수는 1993년 서울 화곡여자상업고등학교를 실습지(주
1회씩 1년간)로 개척하여 학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에 대해 사회복지적인 방법

으로 학생들에게 접근하였다(전재일 외, 2011). 학교중심형 학교사회복지는 윤철수의
이러한 노력들로 인해 그 기초가 놓이게 되었다.


 (3) 삼성복지재단의 학교사회복지 후원사업 (1995 이후)

 1993년 은평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시작된 ‘꿈나무교실’ 사업을 계기로 차츰 복지관
들이 학교사회복지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특히 삼성복지재단에서 운영한 프로그램
후원사업은 복지기관들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삼성복지재
단은 1995년 민간재단 최초로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지원하였고, 이후 청소년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생들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자 사업을 확
대해 나갔다. 특히 1997년 지원사업부터는 청소년사업에 학교사회복지를 명시함으
로써 지역사회 복지기관들의 관심을 증폭하는 계기가 되었고, 전국적으로 학교사회
복지사업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켰다. 또한 단순히 프로그램을 지원한 것뿐만 아니
라 전문가의 정기적인 자문을 받을 수 있는 슈퍼비전 체계를 마련하여 학교사회복

                                                          47
학교사회복지론




     지의 성공적인 수행을 유도하였다. 이후 삼성복지재단은 전국에 있는 사회복지기관
     을 중심으로 아동․청소년 관련 사업에서 학교사회복지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4) 국민복지기획단의 건의 (1995)

       1995년 문민정부 시절 보건복지부 산하 국민복지기획단은 폐쇄적인 학교가 이제
     는 개방되어 외부의 원조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여 정부로 하여금 ‘학교
     사회복지’ 제도화를 실시하도록 권고하였다. 이는 1997년 교육부 시범사업을 실시
     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표 2-4>   태동기의 학교사회복지

           (태동기)                       1993∼1996년
          학교중심형      ∙1993년 : 윤철수 최초의 학교사회복지 실습(화곡여상)
      지역사회 기관중심형 ∙1993년 : 태화은평종합사회복지관(수색초)의 학교사회복지사업 실시

                     ∙1995년 : 삼성복지재단의 학교사회복지 후원사업 실시(∼지속)
               기타
                     ∙1995년 : 국민복지기획단의 학교사회복지제도화 권고




       3) 1997년부터 2001년까지(도입기)

       (1) 교육부 시범사업 (1997∼1999)

       1995년 국민복지기획단의 건의 후 1996년 교육부에서는 학교사회복지제도의 도
     입을 공식으로 표명하였고 1997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2년간 학교사회복지 시
     범사업을 무학여자고등학교(서울), 충남중학교(대전), 북성중학교(광주), 대구제일여
     자상업고등학교(대구)에서 실시하였다. 그러나 인력을 활용할 수 없을 정도의 예산
     (연 500만 원)으로 인해 사회복지사들이 주체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고 상담교사,

     교육학 부전공 교사, 학부모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운영되었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에

48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대한 모형이나 지침도 없이 운영되었다. 이에 따라 이 시범사업은 소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였고 그 결과 교육부의 1999년 이후 확대 계획도 실현되지 못하였다.


  (2) 서울특별시 교육청의 연구사업 및 1, 2차 생활지도 시범사업 (1997, 2000∼2001)

  교육부와 별도로 서울특별시 교육청은 지방 교육청으로는 처음으로 1997년 본격
적인 학교사회복지 연구사업(광신고등학교, 연북중학교, 영등포여자상업고등학교 등)을
시작하였다. 서울특별시 교육청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이해가 없음에도 연구사업
으로 채택하게 된 데에는 숭실대학교 노혜련 교수의 추천과 서울특별시 의회로부터
권고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사업은 이후 영상고등학교와 한가람고등학교에 학교
의 예산으로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는 계기와 서울특별시 교육청 산하 지역청 상
담센터 내에 사회복지사가 고용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후 서울특별시 교육청은 2000년 학교사회복지를 활용한 생활지도 시범사업을
다시 시작하였다. 이는 1997년 연구사업 당시 담당자였던 김성심 장학사가 다시 업
무를 담당하면서 서울시특별시 교육청 직접사업으로 더 발전적이고 전문적인 시범
사업을 진행하게 된 것이다. 2001년 제2차 시범사업은 서울북공업고등학고, 삼성고
등학교, 경성여자실업고등학교, 안천중학교, 성원중학교 등 5개교에서 실시되었는
데 이전과 달리 5개교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공동사업을 수행하였고, 발표회와 보고
서(CD) 발간 등을 통해 학교사회복지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표 2-5>   서울특별시 교육청 연구사업 및 1, 2차 생활지도 시범사업

  시 기          명 칭            내 용                   특 징

                       광신고(서울대), 연북중(연세대),   사업 이후 학교사회복지사를 최초
 1997년        연구사업
                       영등포여상고(숭실대)           로 채용(3명)
               1차      송파공고, 당곡고, 남강중, 은평공 직접사업으로 체계적이고 전문적
 2000년
           (생활지도 시범사업) 고, 동마중(5개교)         으로 운영
               2차      서울북공고, 삼성고, 경성여실,     서울시 본청사업으로 운영
 2001년
           (생활지도 시범사업) 안천중, 성원중(5개교)         공동사업, 발표회, 자료집 발간

                                                                    49
학교사회복지론




       (3)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창립 (1997)

       서울특별시 교육청 연구사업과 삼성복지재단의 지원이 시작되면서, 1997년 5월
     22일 학교사회복지 현장과 실무의 이론적 뒷받침을 제공하기 위해 ‘한국학교사회복
     지학회’(초기 한국학교사회사업학회; www.schoolsocialwork.org)가 만들어졌다. 초대학
     회장으로 가톨릭대학교 성민선 교수가 선임되었다. 학회는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연
     구뿐만 아니라 실천현장 지원(자문교수), 다양한 워크숍, 학술지 출판 등을 전개하면
     서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과 이론발전에 기여해왔다.


       (4)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창립 (2000)

       현장 실무자들의 전문성 신장과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를 위해 실무자들의 조직
     이 2000년 8월 실무자들의 조직인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초기 한국학교사회사업
     실천가협회, www.kassw.or.kr)가 창립되었다. 1998년부터 가양4종합사회복지관에서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초대 협회장으로 윤철수를 선임하였다. 이후 전국적인 지
     회를 결성하는 등 협회원들을 중심으로 조직적인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 자격제도 운영, 제도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활동 등을 전개하고
     있다.


     <표 2-6>   도입기의 학교사회복지

           (도입기)                         1997∼2001
                     ∙1997∼1999년 : 교육부 시범사업
           학교중심형     ∙1997년 : 서울특별시 교육청 연구사업
                     ∙2000∼2001년 : 서울특별시 교육청 1, 2차 생활지도 시범사업
      지역사회 기관중심형 ∙1997∼2001년 : 삼성복지재단의 학교사회복지 후원사업 지속

                     ∙1997년 : 한국학교사회복지 학회 창립
               기타
                     ∙2000년 :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창립




50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4) 2002년부터 2008년까지(성장기)

  (1) 서울특별시 교육청의 3, 4, 5차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 (2002∼2007)

  제2차 생활지도 시범사업 이후 제3차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2002∼2003)부터는
1년 단위가 아닌 2년 연속 시범 연구사업을 수행하게 되는 이례적인 결과를 도출하
였다. 다만 예산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5개교에서 4개교로 대상학교수가 축소되었
고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학교사회복지사를 직접 선발하여 단위학교에 추천하는
형식으로 인력선발 형식이 변경되었다. 그리고 시범사업명을 생활지도 시범사업이
아닌 학교사회복지 시범사업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운영하였다. 이후 제4차 시범사
업(2004∼2005)은 제3차 시범사업과 같은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제5차 시범사업(2006
∼2007)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시범사업은 비록 종결되었지만 이 사업은 학교사

회복지의 가장 바람직한 모형으로 실시되었고, 학교사회복지의 저변 확대에 크게 기
여를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표 2-7>   서울특별시 교육청 3, 4, 5차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

     시 기            명 칭             내 용             특 징
                     3차       서초공고, 성덕여상고,     2년간의 시범사업으로 확대,
  2002∼2003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 도봉중, 연서중(4개교)    인력선발-교육청
                     4차       양서중, 장위중, 송파공고,
  2004∼2005                                   3차 사업과 같은 형태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 한서고(4개교)
                     5차                        교육인적자원부의 ‘사회복
  2006∼2007                   구암중(1개교)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                  지사활용연구학교’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 (2002∼2004, 2005, 2008)

  중앙 공동모금회는 학교사회복지제도화를 목적으로 2002년부터 3개년 기획사업으
로 학교사회복지를 실시하였다. 이 사업은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가 주관하는 6개
학교(학교중심), 8개 사회복지관(지역사회 기관중심)이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여 8개

                                                                  51
학교사회복지론




     학교에 파견하는 형태로 운영되었다. 3년간의 사업이었지만 결과가 좋게 나타나고
     학교에서의 반응도 긍정적으로 평가되어 지원사업으로는 예외적으로 1년간 더 연
     장하여 2005년까지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 사업은 지역 공동모금회 사업에
     도 영향을 미쳐 2003년부터 전국적으로 부산, 대전, 대구, 충북, 인천, 경남 등 지역
     공동모금회가 합류하면서 지역중심의 학교사회복지사업이 확대되고 교육계에 학교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기획사업이 주는 의미
     는 학교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장(setting)을 마련해 주었고, 학
     교 내 상주하는 인력에 대한 임금기준과 사업예산 기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이후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2008년 특수학교에 학교사회복지사를 배
     치하는 시범사업을 3개교에서 실시하였으나 1년만 운영되고 중단되었다.


       (3) 지방자치단체지원 학교사회복지사업 시행 (2003∼현재)

       과천시에서는 2003년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시예산으로 배정하여 관문초등학교에
     서 최초의 지방자치단체 지원사업을 실시하였다. 이전까지는 민간차원, 정부차원의
     예산으로 사업이 운영되었다면 이 사업은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을 배정하여 운영하
     는 방식이 특징이다. 이 사업은 2007년부터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용
     인시와 2009년 최초의 학교사회복지 관련 조례를 제정한 성남시를 포함해 수원시,
     군포시, 의왕시, 화성시 등의 학교사회복지사업 실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표 2-8>   지방자치단체 학교사회복지사업 현황

     지역                              내 용                            학교수

               ∙2003년부터 과천시 청소년상담복지지원센터 직접 운영
      과천       ∙8개교(초등 4개교, 중등 2개교, 고등 2개교-청계초, 관문초, 과천초, 문원초, 과천   8개교
                문원중, 과천중, 중앙고, 과천고)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위탁운영에서
         ∙「용인시 학교사회복지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2011.1.11)」로 용인시청에서
      용인                                                            6개교
          지원
         ∙6개교(초등 3개교, 중등 3개교) 용천초, 신갈초, 용마초, 수지중, 용인중, 용인백현중

52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Contenu connexe

Tendances

İş ve İş Sağlığı Eğitim Sunumu
İş ve İş Sağlığı Eğitim Sunumuİş ve İş Sağlığı Eğitim Sunumu
İş ve İş Sağlığı Eğitim SunumuSrc Serco
 
Cartilha de saneamento ecologico
Cartilha de saneamento ecologicoCartilha de saneamento ecologico
Cartilha de saneamento ecologicoandregrs
 
Informativo suas, cras, creas .-o que é, diferenças-
Informativo  suas, cras, creas .-o que é, diferenças-Informativo  suas, cras, creas .-o que é, diferenças-
Informativo suas, cras, creas .-o que é, diferenças-Rosane Domingues
 
Сенер Местан, презентация на тема "Съвременната социална работа"
Сенер Местан, презентация на тема "Съвременната социална работа"Сенер Местан, презентация на тема "Съвременната социална работа"
Сенер Местан, презентация на тема "Съвременната социална работа"Георги Стефанов
 
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relatórios e laudos.
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relatórios e laudos.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relatórios e laudos.
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relatórios e laudos.Rosane Domingues
 
τροποι προφυλαξης σμν
τροποι προφυλαξης σμντροποι προφυλαξης σμν
τροποι προφυλαξης σμνfilipposh
 
Serviço Social e Educação:
Serviço Social e Educação: Serviço Social e Educação:
Serviço Social e Educação: profadnilson
 
A politica de_assistencia_social_e_o_suas
A politica de_assistencia_social_e_o_suasA politica de_assistencia_social_e_o_suas
A politica de_assistencia_social_e_o_suaspatriciakvg
 
Цветелина Райчева, есе на тема "Социалната работа - Защо и Как?
Цветелина Райчева, есе на тема "Социалната работа - Защо и Как?Цветелина Райчева, есе на тема "Социалната работа - Защо и Как?
Цветелина Райчева, есе на тема "Социалната работа - Защо и Как?Георги Стефанов
 
Coletânea de 100 questões do CÓDIGO DE ÉTICA DO ASSISTENTE SOCIAL - Fonte: ap...
Coletânea de 100 questões do CÓDIGO DE ÉTICA DO ASSISTENTE SOCIAL - Fonte: ap...Coletânea de 100 questões do CÓDIGO DE ÉTICA DO ASSISTENTE SOCIAL - Fonte: ap...
Coletânea de 100 questões do CÓDIGO DE ÉTICA DO ASSISTENTE SOCIAL - Fonte: ap...Rosane Domingues
 
serviço social na educação infantil
serviço social na educação infantilserviço social na educação infantil
serviço social na educação infantilCamila Montezano
 
Teknik akademi temel isg egitimi nisan 2018 mater
Teknik akademi temel isg egitimi nisan 2018 materTeknik akademi temel isg egitimi nisan 2018 mater
Teknik akademi temel isg egitimi nisan 2018 materTeknikakademiisg
 
Η εφηβεία
Η εφηβείαΗ εφηβεία
Η εφηβεία1lykspartis
 
Serviço social no contexto educativo
Serviço social no  contexto educativoServiço social no  contexto educativo
Serviço social no contexto educativoLisandra Rego
 
Què entenem per Ecosistema de Governança Pública
Què entenem per Ecosistema de Governança PúblicaQuè entenem per Ecosistema de Governança Pública
Què entenem per Ecosistema de Governança PúblicaIsmael Peña-López
 
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Estudos e Parecer-Social
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Estudos e Parecer-Social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Estudos e Parecer-Social
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Estudos e Parecer-SocialRosane Domingues
 

Tendances (20)

İş ve İş Sağlığı Eğitim Sunumu
İş ve İş Sağlığı Eğitim Sunumuİş ve İş Sağlığı Eğitim Sunumu
İş ve İş Sağlığı Eğitim Sunumu
 
Cartilha de saneamento ecologico
Cartilha de saneamento ecologicoCartilha de saneamento ecologico
Cartilha de saneamento ecologico
 
Informativo suas, cras, creas .-o que é, diferenças-
Informativo  suas, cras, creas .-o que é, diferenças-Informativo  suas, cras, creas .-o que é, diferenças-
Informativo suas, cras, creas .-o que é, diferenças-
 
Сенер Местан, презентация на тема "Съвременната социална работа"
Сенер Местан, презентация на тема "Съвременната социална работа"Сенер Местан, презентация на тема "Съвременната социална работа"
Сенер Местан, презентация на тема "Съвременната социална работа"
 
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relatórios e laudos.
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relatórios e laudos.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relatórios e laudos.
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relatórios e laudos.
 
τροποι προφυλαξης σμν
τροποι προφυλαξης σμντροποι προφυλαξης σμν
τροποι προφυλαξης σμν
 
Serviço Social e Educação:
Serviço Social e Educação: Serviço Social e Educação:
Serviço Social e Educação:
 
A politica de_assistencia_social_e_o_suas
A politica de_assistencia_social_e_o_suasA politica de_assistencia_social_e_o_suas
A politica de_assistencia_social_e_o_suas
 
Цветелина Райчева, есе на тема "Социалната работа - Защо и Как?
Цветелина Райчева, есе на тема "Социалната работа - Защо и Как?Цветелина Райчева, есе на тема "Социалната работа - Защо и Как?
Цветелина Райчева, есе на тема "Социалната работа - Защо и Как?
 
Coletânea de 100 questões do CÓDIGO DE ÉTICA DO ASSISTENTE SOCIAL - Fonte: ap...
Coletânea de 100 questões do CÓDIGO DE ÉTICA DO ASSISTENTE SOCIAL - Fonte: ap...Coletânea de 100 questões do CÓDIGO DE ÉTICA DO ASSISTENTE SOCIAL - Fonte: ap...
Coletânea de 100 questões do CÓDIGO DE ÉTICA DO ASSISTENTE SOCIAL - Fonte: ap...
 
serviço social na educação infantil
serviço social na educação infantilserviço social na educação infantil
serviço social na educação infantil
 
Νόμοι
ΝόμοιΝόμοι
Νόμοι
 
pravata na deteto
pravata na detetopravata na deteto
pravata na deteto
 
Teknik akademi temel isg egitimi nisan 2018 mater
Teknik akademi temel isg egitimi nisan 2018 materTeknik akademi temel isg egitimi nisan 2018 mater
Teknik akademi temel isg egitimi nisan 2018 mater
 
Η εφηβεία
Η εφηβείαΗ εφηβεία
Η εφηβεία
 
Artigo assistente scial na escola
Artigo assistente scial na escolaArtigo assistente scial na escola
Artigo assistente scial na escola
 
296158
296158296158
296158
 
Serviço social no contexto educativo
Serviço social no  contexto educativoServiço social no  contexto educativo
Serviço social no contexto educativo
 
Què entenem per Ecosistema de Governança Pública
Què entenem per Ecosistema de Governança PúblicaQuè entenem per Ecosistema de Governança Pública
Què entenem per Ecosistema de Governança Pública
 
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Estudos e Parecer-Social
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Estudos e Parecer-Social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Estudos e Parecer-Social
Oficina de Serviço Social- Elaboração de Estudos e Parecer-Social
 

En vedette

As nossas sugestões 8b
As nossas sugestões 8bAs nossas sugestões 8b
As nossas sugestões 8bIsabel Couto
 
Comportamientos Digitales
Comportamientos DigitalesComportamientos Digitales
Comportamientos Digitalesyeimyjohana15
 
Приглашение на мастер-класс
 Приглашение на мастер-класс Приглашение на мастер-класс
Приглашение на мастер-классmila9012
 
心病探测器
心病探测器心病探测器
心病探测器Elin Ling
 
คู่มือการใช้โปรแกรม ปพ.1
คู่มือการใช้โปรแกรม ปพ.1คู่มือการใช้โปรแกรม ปพ.1
คู่มือการใช้โปรแกรม ปพ.1Artit Promratpan
 
2012_DS6_FinalReview_10N1026_にじむ格子ゃ
2012_DS6_FinalReview_10N1026_にじむ格子ゃ2012_DS6_FinalReview_10N1026_にじむ格子ゃ
2012_DS6_FinalReview_10N1026_にじむ格子ゃJumpei Omori
 
Daily Report - Rabu 6 Maret 2013
Daily Report - Rabu 6 Maret 2013Daily Report - Rabu 6 Maret 2013
Daily Report - Rabu 6 Maret 2013Setip Kandio
 
металлочерепица презентация
металлочерепица презентацияметаллочерепица презентация
металлочерепица презентацияlidosha
 
Rpp metabolisme KD 2.1
Rpp metabolisme KD 2.1Rpp metabolisme KD 2.1
Rpp metabolisme KD 2.1almansyahnis .
 
Real Estate Projects by IdeaFIMIT sgr - Mipim Cannes 2013
Real Estate Projects by IdeaFIMIT sgr - Mipim Cannes 2013Real Estate Projects by IdeaFIMIT sgr - Mipim Cannes 2013
Real Estate Projects by IdeaFIMIT sgr - Mipim Cannes 2013East Coast Yacht Brokers
 
Chiusura mercati 7 mar 2013 @salvo62barbato
Chiusura mercati 7 mar 2013 @salvo62barbatoChiusura mercati 7 mar 2013 @salvo62barbato
Chiusura mercati 7 mar 2013 @salvo62barbatosalvatore barbato
 
курсовая работа трошина ксенья
курсовая работа трошина ксеньякурсовая работа трошина ксенья
курсовая работа трошина ксеньяURFU
 
Derivadas e integrales
Derivadas e integralesDerivadas e integrales
Derivadas e integralessantycerru
 
Avesso primeira parte
Avesso   primeira parteAvesso   primeira parte
Avesso primeira partejmpcard
 
De cuong toan 7 hoc ki ii
De cuong toan 7  hoc ki iiDe cuong toan 7  hoc ki ii
De cuong toan 7 hoc ki iiletienthanh71
 

En vedette (20)

As nossas sugestões 8b
As nossas sugestões 8bAs nossas sugestões 8b
As nossas sugestões 8b
 
Comportamientos Digitales
Comportamientos DigitalesComportamientos Digitales
Comportamientos Digitales
 
Приглашение на мастер-класс
 Приглашение на мастер-класс Приглашение на мастер-класс
Приглашение на мастер-класс
 
心病探测器
心病探测器心病探测器
心病探测器
 
คู่มือการใช้โปรแกรม ปพ.1
คู่มือการใช้โปรแกรม ปพ.1คู่มือการใช้โปรแกรม ปพ.1
คู่มือการใช้โปรแกรม ปพ.1
 
P lantes
P lantesP lantes
P lantes
 
Yılanlar
YılanlarYılanlar
Yılanlar
 
2012_DS6_FinalReview_10N1026_にじむ格子ゃ
2012_DS6_FinalReview_10N1026_にじむ格子ゃ2012_DS6_FinalReview_10N1026_にじむ格子ゃ
2012_DS6_FinalReview_10N1026_にじむ格子ゃ
 
Daily Report - Rabu 6 Maret 2013
Daily Report - Rabu 6 Maret 2013Daily Report - Rabu 6 Maret 2013
Daily Report - Rabu 6 Maret 2013
 
металлочерепица презентация
металлочерепица презентацияметаллочерепица презентация
металлочерепица презентация
 
Rpp metabolisme KD 2.1
Rpp metabolisme KD 2.1Rpp metabolisme KD 2.1
Rpp metabolisme KD 2.1
 
การเขียน 1
การเขียน  1การเขียน  1
การเขียน 1
 
Panteres
PanteresPanteres
Panteres
 
Los colores
Los coloresLos colores
Los colores
 
Real Estate Projects by IdeaFIMIT sgr - Mipim Cannes 2013
Real Estate Projects by IdeaFIMIT sgr - Mipim Cannes 2013Real Estate Projects by IdeaFIMIT sgr - Mipim Cannes 2013
Real Estate Projects by IdeaFIMIT sgr - Mipim Cannes 2013
 
Chiusura mercati 7 mar 2013 @salvo62barbato
Chiusura mercati 7 mar 2013 @salvo62barbatoChiusura mercati 7 mar 2013 @salvo62barbato
Chiusura mercati 7 mar 2013 @salvo62barbato
 
курсовая работа трошина ксенья
курсовая работа трошина ксеньякурсовая работа трошина ксенья
курсовая работа трошина ксенья
 
Derivadas e integrales
Derivadas e integralesDerivadas e integrales
Derivadas e integrales
 
Avesso primeira parte
Avesso   primeira parteAvesso   primeira parte
Avesso primeira parte
 
De cuong toan 7 hoc ki ii
De cuong toan 7  hoc ki iiDe cuong toan 7  hoc ki ii
De cuong toan 7 hoc ki ii
 

Similaire à 학교사회복지론 1~2장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thecirclefoundation
 
간디교육연구소직무연수자료 하자작업장학교
간디교육연구소직무연수자료 하자작업장학교간디교육연구소직무연수자료 하자작업장학교
간디교육연구소직무연수자료 하자작업장학교hiiocks kim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혜원 정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혜원 정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bskks606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혜원 정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혜원 정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21ERICK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Jan 2016 newsletter(kor)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Jan 2016 newsletter(kor)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Jan 2016 newsletter(kor)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Jan 2016 newsletter(kor)Woong Choi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21ERICK
 
[박근혜정부 교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토론회 자료집(20130204)
[박근혜정부 교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토론회 자료집(20130204)[박근혜정부 교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토론회 자료집(20130204)
[박근혜정부 교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토론회 자료집(20130204)은영 김
 
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
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
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은영 김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Seongwon Kim
 
2011년3월newsletter
2011년3월newsletter2011년3월newsletter
2011년3월newsletterksssw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October newsletter 2015 (한글...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October newsletter 2015  (한글...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October newsletter 2015  (한글...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October newsletter 2015 (한글...Woong Choi
 
학부모신문283호(20150401)
학부모신문283호(20150401)학부모신문283호(20150401)
학부모신문283호(20150401)경희 배
 
대선후보 교육공약 20121121 토론회 자료집 2013 교육연대
대선후보 교육공약 20121121 토론회 자료집 2013 교육연대대선후보 교육공약 20121121 토론회 자료집 2013 교육연대
대선후보 교육공약 20121121 토론회 자료집 2013 교육연대은영 김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21ERICK
 

Similaire à 학교사회복지론 1~2장 (20)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간디교육연구소직무연수자료 하자작업장학교
간디교육연구소직무연수자료 하자작업장학교간디교육연구소직무연수자료 하자작업장학교
간디교육연구소직무연수자료 하자작업장학교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Dudwk7
Dudwk7Dudwk7
Dudwk7
 
Dudwk7
Dudwk7Dudwk7
Dudwk7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Jan 2016 newsletter(kor)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Jan 2016 newsletter(kor)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Jan 2016 newsletter(kor)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Jan 2016 newsletter(kor)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박근혜정부 교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토론회 자료집(20130204)
[박근혜정부 교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토론회 자료집(20130204)[박근혜정부 교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토론회 자료집(20130204)
[박근혜정부 교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토론회 자료집(20130204)
 
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
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
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2011년3월newsletter
2011년3월newsletter2011년3월newsletter
2011년3월newsletter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October newsletter 2015 (한글...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October newsletter 2015  (한글...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October newsletter 2015  (한글...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October newsletter 2015 (한글...
 
학부모신문283호(20150401)
학부모신문283호(20150401)학부모신문283호(20150401)
학부모신문283호(20150401)
 
대선후보 교육공약 20121121 토론회 자료집 2013 교육연대
대선후보 교육공약 20121121 토론회 자료집 2013 교육연대대선후보 교육공약 20121121 토론회 자료집 2013 교육연대
대선후보 교육공약 20121121 토론회 자료집 2013 교육연대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학교사회복지론 1~2장

  • 1.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제1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학습목표 1. 학교사회복지 필요성에 대해 인식한다. 2. 학교사회복지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 3. 학교사회복지 목적에 대해 이해한다. 4. 학교사회복지 대상에 대해 이해한다. 5. 학교사회복지실천유형과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학교는 학생들이 하루일과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장소이며, 인생의 가장 중 요한 시기를 보내는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학교는 학생들의 지적 능력 향상의 기 능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기능을 향상시켜 학생들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역할 을 수행해야 한다. 이런 차원에서 서구 선진국들은 의무교육제도와 함께 학생들의 복지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사회복지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세계 40여 개의 나라들이 학교사회복지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학교사회 복지제도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고 있다. 이에 본 장에서는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목적 및 실천대 상을 살펴보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학교사회복지실천유형에 대해 간 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9
  • 2. 학교사회복지론 1.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세계에서 가장 빈곤한 국가에 속했던 우리나라가 1970년대 이후 눈부신 경제성 장과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국가적 차원의 교육에 대한 투자와 학부모들의 교육열 때문이었다. 이러한 교육열은 개인의 성취와 사회참여 기회 제공 및 전문적 인력 양성을 통해 우리나라 국가발전의 근본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1990년 대 중반 이후 경제위기와 아동․청소년 및 학생 문제의 심화를 경험하면서 기존 교 육에 대한 새로운 평가 및 대안을 요구하게 되었다. 더 이상 교육은 학생 개인의 능 력과 노력에 의한 보상이 되기보다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교육의 기 회와 학생의 교육적 성취가 결정되는 합법적인 기제가 되고 말았다(한국학교사회복 지사협회, 2010). 이제 우리나라 교육제도는 학생들에게 균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 하기 위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학업성취를 위한 경쟁위주 의 교육구조에서 학생들이 행복하고 즐거운 학교가 되기 위한 다양한 대안들이 마 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대안 중 하나가 학교사회복지제도인데 학교사회복지는 학생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며 학생들이 가진 잠재력과 능력을 최 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절에서는 교육현실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 로운 패러다임으로 도입될 수 있는 학교사회복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교육현실과 한계 (1) 학생 개인적 차원 최근 학교폭력과 집단따돌림의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잦은 지각과 결석 등의 학교부적응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학생 중 절반 이상(56.5%)이 학업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고, 학교에 적응하지 못해 가출하는 청소 10
  • 3.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년이 매해 증가하고 있다. OECD 국가 중 학교참여도(우리나라 : 546점 OECD평균 500점 OECD 국가 일본에 이어 2위)는 우리나라가 상당히 높지만 학교소속감(우리나라 : 461점 OECD평균 : 500점 OECD 국가 중 최하위)은 매우 낮다. 이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교 는 어쩔 수 없이 나오고 있지만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은 떨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일보, 2004). 이외에도 요즘의 학생들은 개인적 차원에서 많은 문제를 겪고 있 는데, 이러한 문제는 이들의 학교생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대해 한인영 외(2004)는 학생이 경험하는 문제를 크게 공격적, 분열적, 표출적 행동 으로 표현되는 외현화된 행동과 퇴행, 불안, 의기소침한 행동 등의 내재화된 행동 그리고 학생들이 여러 가지 어려움에 처하게 되는 환경적 차원에서의 사회문제 등 으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다. <표 1-1> 학생이 개인적 차원에서 겪게 되는 문제 문제 내용 세부적인 학생의 문제 ∙학급 내 문제행동(좌석에 앉지 않고 돌아다니기, 소리 지르기, 무례하 거나 무질서하게 행동하기, 교칙위반, 부정행위) 외현화된 공격적, 분열적, ∙교내 괴롭힘 문제(괴소문 퍼트리기, 놀림, 조롱, 협박, 때리기, 물건 훔 행동 표출적 행동 치기) ∙성적 괴롭힘 문제(성적인 말투의 사용, 성적인 소문 퍼트리기, 성적인 노출, 접촉, 만지거나 꼬집기) 내재화된 퇴행, 불안, ∙불안과 두려움, 외로움/부끄러움, 애도, 우울과 자살 행동 의기소침한 행동 개인의 문제를 ∙무단결석, 중퇴/퇴출, 노숙, 위탁보호, 학대와 방임, 이혼과 별거, 물질 사회문제 유발하는 사회문제 남용, 성행동, 임신, 아동양육 출처 : 한인영 외(2004). (2) 가정적 차원 현대사회의 가족은 전통적으로 수행해 왔던 노동력 재생산과 피부양자 보호, 가 족원 간의 정서적 유대감 유지 등의 가족의 주요기능들에 대해 혁명적인 변화와 균 11
  • 4. 학교사회복지론 열을 겪고 있다(홍봉선․남미애, 2009). 고령화와 낮은 출산율, 이혼율의 증가, 1인 가 구, 여성가장가족, 한부모가족의 증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증가 등 인구 및 가 족구조의 변화는 그 자체도 문제이지만 교육정책의 변화를 동반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자녀의 양육환경이 악화되면서 조손가정이 증가하고 있고, 방임 및 학대 받는 아동과 청소년이 꾸준히 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일반 가정의 경우에도 맞벌이 가정의 확대와 핵가족화에 따른 가족 간의 의사소통 부족과 갈등 그리고 우호적이지 않는 가정환경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외국인 노동자 이주 및 국제결혼의 증가로 학령기에 접어든 다문화가정의 자 녀가 점차 늘어나면서 언어, 습관, 윤리 등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편견으로 학교 및 사회생활적응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행정안전부, 2011). (3) 학교․교육적 차원 지금까지 우리의 학교 및 교육환경에서는 학생들을 미성숙하고 불안정한 존재로 서 지도를 받아야 할 대상으로 여겼고 이에 따라 복장규제, 언어폭력, 차별, 체벌 등과 같은 비민주적인 교육방법으로 훈육하여 왔다. 또한 학생은 단순히 피교육자 신분에서 입시를 위한 교육만을 강요받고, 자신의 개성과 끼 그리고 열정을 표현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에 대해 제약을 받아왔다. 이러한 학생의 교육적 환경은 과중 한 점수 부담을 주는 시험제도, 비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의 기계적․형식적 대인관계 양산, 지식위주의 교육으로 인한 비균형적인 인성발 달, 진학위주의 교육체계 등의 교육병리 현상을 일으켜왔다. 이에 담임교사의 학생 지도와 학교수준에서의 생활지도 방식으로는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에 이르 고 있다(전재일 외, 2011). 교육은 개개인의 사회적 생존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통로 이며 개개인의 사회화 성취를 통해 사회에 참여하고 사회적 지위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필수불가결한 사회제도의 하나이다(조흥식, 2007). 그러므로 교육이 이뤄지는 학교에서는 과거의 잘못된 교육방법과 교육만을 강조하는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학 12
  • 5.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생들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삶의 공간이자 학생의 건강, 문화 등 복지의 기능을 수 행하는 곳으로 거듭나야 한다. (4) 사회․환경적 차원 1980년대부터 소득분배가 악화되어 왔을 뿐 아니라 1997년 말의 IMF 체제를 겪으 면서 더욱 소득 불평등 수준이 심화되고 빈곤율이 급증하였다(홍봉선․남미애, 2009). 이러한 현상은 가족의 빈곤 수준이 결과적으로 자녀의 발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 며, 가족의 빈곤은 교육격차로 인한 빈곤이 대물림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개천에서 용 난다”라는 말은 현재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거의 불가능한 상황 이라 보인다. 최근에는 “개천에서 용만 쓴다”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로 우리나 라의 교육 불평등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소득양극화에 따른 교육 불평등의 심화는 빈곤의 대물림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획일적이고 통제중심적이며 경쟁을 강조하는 학교풍토는 경쟁 일변도의 사회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학교 에서 학생들은 무단결석, 중퇴, 가출, 왕따, 약물남용, 폭력, 비행, 청소년매매춘 등 과 같은 다양한 부적응 문제를 경험하고 심각한 경우에는 이들의 문제가 사회문제 로 비화되기도 한다. 즉, 지금의 학교는 청소년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환 경이 되기보다 오히려 문제를 유발하는 환경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가 교육 본연의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눈높이에서 그들이 처해 있 는 상황을 바로 이해하고 더불어 이들이 경험하는 문제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가 정, 지역사회 등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협력하고 지원해야 한다. 2) 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입 필요 (1) 학생들의 삶의 질 향상 대부분의 아동․청소년은 학생이라는 사회적 신분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는 아동․청소년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삶의 공간이다. 이곳에서 학생들은 학 13
  • 6. 학교사회복지론 문 습득뿐 아니라 친구들을 사귀고 휴식을 취하고 놀면서 생활을 하게 된다. 또한 학교생활 속에서 심리적․사회적․신체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고, 생리적․ 자아실현 등 다양한 수준의 욕구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학교는 교육적인 가르 침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생활상의 문제와 욕구를 다루어주는 복지적인 기능을 수행 해야 한다. 즉, 학생으로 하여금 교육과정을 “끝까지”, “잘” 이수하게 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잠재능력을 극대화하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 야 한다. 또한 학교교육의 패러다임이 우수한 성적으로 좋은 대학에 학생을 입학시 키는 것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졸업 후 진학 및 취업을 통해 학생들의 삶의 질이 얼 마만큼 향상되었는지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전환되는 것이 필요하다. (2) 학생중심의 관점 적용 교육은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야 하고, 수요자인 학생들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다 시 말해 교육정책과 교수방법, 그리고 학교운영방법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 본적인 관점은 학생중심의 가치가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교육현장은 학생들을 배제하고 성인중심의 시각에서 운영되 어 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학생들이 잘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사 중심의 교수법에서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잘 배울 수 있는가에 대한 학생중심의 교 수법으로 교육의 관점이 전환되고 있다. (3) 교육 분야 이외 타 전문가들의 참여를 인정하는 개방적인 학교 조성 최근 학교현장에는 학교폭력, 인터넷 과다사용, 가출, 우울 및 불안 등과 같이 학 생들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다양한 심리․사회적 문제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여러 문제가 상호 유기적으로 복잡하게 얽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거처럼 교사들만이 학생교육의 전문가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사회복지, 임상전문, 청소년 지도 및 상담 등에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들이 학교교육에 참여해야만 한다. 즉, 교사와 타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협 14
  • 7.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력할 수 있는 학교환경이 조성될 때 비로소 복합적인 문제와 욕구를 가진 학생들의 어려움을 협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 학교는 지역사회로 부터 고립된 조직이 아니라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중심적인 조직이고, 교육을 위해 필요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참여와 협력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개방적 조직이 되어야 한다. (4) 학교의 복지적 기능 수행에 대한 당위성 산업화와 핵가족화 등과 같은 사회환경 변화는 학교의 기능과 역할의 변화를 요 구하고 있으며, 학교는 지식 전달의 역할뿐만 아니라 학생들 누구에게나 균등한 복 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안전망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학교는 개인적․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학생들을 예 방․발견․치료하여, 이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아동․청소 년기에 겪게 되는 발달단계상의 문제와 욕구들을 해결하고 충족시킬 수 있는 복지 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5) 교육과 복지를 통합하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제도 도입의 필요 학교사회복지는 사회복지적인 관점과 방법을 통해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고,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는 학교에 대해 보완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학교사회복지는 교육을 통해 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교육적 목적과 인간을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지의 목적을 함께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과 복지는 일맥상통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교육현장에 복지를 통합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학교사회복지는 학생을 비롯한 학 교와 가정 및 지역사회를 연계하여 교육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학교조직의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며,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관점에서 학생 개개인의 문제 및 욕구를 예 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문 분야이다. 그러므로 학교사회복지는 교육과 복지를 통 합하기 위해 교육현장에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 할 수 있겠다. 15
  • 8. 학교사회복지론 생각해 봅시다 Q1. 여러분들은 학교사회복지가 왜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각자의 의견을 함께 나누 어 봅시다. 2.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학교사회복지란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학교-가정-지역 사회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와 어려움을 사회복지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해결하 고, 궁극적으로 전인교육의 학교교육 이념을 달성하도록 돕는 사회복지의 한 전문분 야이다(한인영 외, 1997). 따라서 교육과 복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개념을 정 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1) 학교교육 우리나라 헌법 제31조에 의하면 “모든 국민은 자기의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 을 받을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는 의무적인 공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민주시민으로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가치와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고,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계발하여 책임 있고 성숙한 인간으로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초석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학교는 국가로부터 이러한 임무를 위탁받아 수행하는 중요한 사회체계로써 교사를 중심으로 한 전문 인력이 교육의 목적달성을 위해 교육활동을 수행하는 장소이다. 학교교육(敎育)은 단순히 가르치는 행위인 교(敎)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육 (育)이 접목될 때 진정한 의미를 가진다. 학교교육이 학생의 균등한 교육기회와 적 합한 교육의 권리를 제대로 보장하고, 교육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회적 서비스가 필요하다. 즉, 학생들이 질병으로부터 안 16
  • 9.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전하도록 도와주는 보건, 건강한 식단을 위한 영양, 심리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상담, 복지를 다각적으로 지원하는 사회복지 등이 종합적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2) 학교와 복지 아동․청소년이 진정으로 행복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학교를 바탕으로 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 실효를 거두기 힘들다. 학교는 아동․청소년복지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청소년에게 가장 중요한 공간은 일차적으로 가정 이고, 그 다음으로 학교이다. 따라서 가정에서 제대로 보호받고 지원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학교라는 공간에서 서비스 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은 위험에 노출된 학생에 대해 근접한 접근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낙인감 없이 대상학 생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한, 학교는 부모들의 신뢰를 가장 많이 받는 곳이기도 하며,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거점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학교는 아동․청소년복지를 체계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3) 교육과 복지 교육복지를 바라보는 견해는 학자들마다 다양하다. 안병영과 김인희(2009)는 교육 복지에 대한 기본 관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첫째, 교육복지는 교 육의 영역 속에서 교육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도록 하여 그 안에 내포된 복지적 가치 를 실현토록 하는 일이라는 관점이다(관점 1). 둘째, 교육복지를 교육과 복지의 교집 합 지점에 있는 영역으로 보는 관점이다(관점 2). 셋째, 교육을 사회복지의 한 구성 요소로서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수단적 기능으로 바라보며, 사회복지적 방법을 통 한 교육지원 활동을 교육복지로 보는 관점이 있다(관점 3). 17
  • 10. 학교사회복지론 출처 : 안병영․김인희(2009). [그림 1-1] 교육복지에 대한 관점 첫 번째 관점에서 바라본 이기범(1996)은 “교육복지는 복지가 교육에 내재되어 있 다는 사실을 명시화 한 개념”이라고 하였으며, 이돈희(1999)는 “교육은 교육의 내재 적인 가치를 충실히 실현함으로써 복지의 목적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이라고 언급 하였다. 우리나라 교육복지사업의 총괄적인 연구를 맡았던 교육개발원의 이혜영 (2003)은 “교육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제반 지원활동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하였 다. 이는 교육의 본질을 충실히 하면 복지적인 것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는 관점 으로 굳이 복지의 개념을 교육 내에 포함시킬 이유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러한 주장은 오히려 교육의 폐쇄성을 드러내게 되고, 현존하는 교육 불평등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불가능하게 하는 단점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첫 번째 관점은 교육계에서 바라보는 교육복지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세 번째 관점을 주장하는 대표적인 학자인 홍봉선(2004)은 “교육복지란 사회복지 18
  • 11.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의 한 영역으로서 인간의 출발점 평등지향의 가치를 근간으로 하고 전 국민의 교육 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교육취약집단은 물론 모든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교육 기회의 확대에서부터 교육과정, 교육결과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불평등을 해소 하고 교육여건을 개선해 주는 정책, 서비스 및 전문적 활동을 말한다”라고 정의하였 다. 이는 복지의 개념을 교육의 상위개념으로 놓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현 실정에서 는 복지계에서도 실현하기 힘든 개념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두 가지 관점의 중립적 위치에 있는 두 번째 관점은 중앙정부차원에서 교육복지 를 바라보는 관점이다. 교육정책자문회의(1992)에서 “교육복지란 교육소외․결손집 단에 대하여 교육기회를 확충함과 동시에 예방․치료․보상활동을 통하여 교육의 질적 평등을 보장하고, 정상적 학생집단에 대하여는 잠재능력을 최대한으로 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전인교육이 가능토록 교육여건을 계속적으로 개선해 주는 것을 말하며, 더 나아가 모든 국민의 교육적 욕구에 부응하여 평생교육기회를 제공 함으로써 모든 개인으로 하여금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자아를 실현케 하며, 사 회 전체가 학습하는 사회로 발전하는 과정과 그 결과를 말한다”라고 하였다. 교육인 적자원부(2004)에서는 “교육복지란 개인․가정․지역․사회경제적 요인 등으로 인 해 발생하는 각종 교육소외 및 교육 불평등 현상들을 해소하고, 전 국민이 높은 교 육의 질적 수준을 누리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을 기함은 물론 나아가 국가의 성장 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펼치는 교육현장에서의 다 양한 노력의 총체를 의미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현재 우리 교육현장은 교육부의 이러한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복지관련 사업을 총괄적으로 추진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태수, 2010). 교육복지의 필요성은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 교육이 국민의 기본적 권리라는 이 념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특히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교육은 사회적 통합을 이루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제도이다. 따라서 교육과 복지는 상호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어서 복지는 교육의 목적인 동시에 수단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호보 완적인 관계인 이 두 가지 개념의 합성어인 “교육복지”라 함은 ‘학교에서 학생의 교 19
  • 12. 학교사회복지론 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가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복지서비스’라고 할 수 있겠다(전구훈·윤철수·배성우, 2007). 4) 학교사회복지의 정의 학교사회복지의 정의에 대한 견해는 학자(단체)들마다 다양하다. 먼저 국외의 학 교사회복지 정의를 살펴보면 학교사회복지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발전시킨 Costin (1981)은 학교사회복지를 “학교가 학생 개개인의 지적․사회적․정서적 욕구와 문제 해결에 관심을 갖도록 도와주며, 이를 통하여 모든 학생이 학교에서 공평한 교육기 회와 성취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학교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적인 사회복지 분 야”라고 정의하였다. 전미사회복지사협회(2002)는 학교사회복지를 “공교육체계에서 학교교육의 목적 달성을 지원하고, 학생들이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를 위해 학교-가족-지역사회가 수행하는 노력을 조정하고 영향을 미치는 활동”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다음으로 국내의 학교사회복지 정의를 살펴보면 한인영 외(1997)는 학교사회복지 를 “학교를 실천 장소로 하여 학생-가정-학교-지역사회의 역기능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발생하는 학생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며, 모든 학생이 자 신의 잠재력과 능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학교가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기능의 한 부분이 며 사회사업(social work)의 전문분야”라고 정의하였다. 윤철수 외(2010)는 학교사회 복지를 “학교에서 학교사회복지사라는 전문가가 학생의 심리․사회적 문제의 예방 및 해결을 통해 학교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학생-학교-가족-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의 기술과 지식을 활용하여 개입하는 활동”이라고 하였다. 한국학 교사회복지사협회(2012)는 학교사회복지를 “학교에서 일어나는 학생들의 심리․사회 적인 문제들을 학생-학교-가정-지역사회를 연계를 통해 예방하고 해결함은 물 론, 모든 학생이 자신의 잠재력과 능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최상의 교육환 20
  • 13.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경과 공평한 교육기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하고, 또한 학생복지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기능의 한 부분이며, 사회복지의 전문분야”라고 정의하고 있다. <표 1-2> 학교사회복지 정의에 대한 분류 구분 공간 주체 목적/목표 방법론 Costin(1981) 학교 사회복지사 공평한 교육기회와 성취감 - 전미사회복지사 공교육 학교-가정-지역사회의 수행 사회복지사 학교교육 목적 달성 협회(2000) 체계 노력 조정 한인영 외(1997) 학교 사회복지사 교육의 본질적 목적달성 학생-가정-학교-지역사회 윤철수 외(2010) 학교 학교사회복지사 학교교육 목적 달성 학생-학교-가정-지역사회 한국학교사회복지 교육의 본질적 목적달성, 학교 학교사회복지사 학생-학교-가정-지역사회 사협회(2012) 학생복지 이상의 내용들을 참고하여 펄만(Perlman, 1957)이 제시한 ‘6P’의 개념으로 정리해 보면, “학교사회복지는 ① 학교체계 내에서 ② 전문능력과 자격을 갖춘 (학교)사회 복지사가 ③ 학생의 ④ 심리․사회적 문제와 가족․학교․지역사회의 역기능적 상 호작용과 유발조건을 예방 또는 해결하기 위하여 ⑤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달성과 학 생복지 증진이 가능한) 사회복지서비스를 ⑥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을 통하여 제 공하는 활동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표 1-3> 학교사회복지 정의 6P 내용 순서 장소(Place) 학교체계 내에서 ① 전문가(Professional) 전문능력과 자격을 갖춘 (학교)사회복지사가 ② 사람(Person) 학생(교사․학부모․지역사회)의 ③ 21
  • 14. 학교사회복지론 6P 내용 순서 심리․사회적 문제, 가족․학교․지역사회의 역기능적 상호작용 및 문제(Problem) ④ 유발조건(을 예방 또는 해결하기 위하여)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달성과 학생복지 증진이 가능한) 사회복지서비 제공물(Provisions) ⑤ 스를 과정(Process)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을 통하여 제공하는 활동이다. ⑥ 생각해 봅시다 Q1. “학교사회복지는 [ ](이)다”에서 [ ]에 들어갈 말과 의미를 적어보 세요. 3. 학교사회복지의 목적 1) 본연의 교육목적 달성 지원 학교는 학생을 교육시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학교사회복지도 우선 학생에 대한 교육효과를 최대화하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한인영 외, 2004). 그러 므로 학교사회복지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학업능력을 저해 하는 요소들을 감소시키고, 학생들이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 본연의 교육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즉, 학교사회복지사는 학생들 이 학교생활을 통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개발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필요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조화로운 인간관계를 맺으 며 지역사회와 긴밀한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22
  • 15.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표 1-4> 학교교육의 목적 구 분 세부항목 내 용 ∙읽기, 쓰기, 셈하기에서 기초 기능을 가르치는 것 ∙학생들에게 대학진학을 준비시키는 것 학업적 목적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것 내용적 목적 ∙교과 영역에 있어서 진보된 지식을 가르치는 것 ∙취직/직업을 위해 준비시키는 것 직업적 목적 ∙생활기능을 가르치는 것(금전관리, 직업 찾기 등) ∙교사, 학생, 학부모 간에 사회의식을 고양시키는 것 ∙다른 인종과 사회적인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어울리는 법을 가르치 사회/시민적 는것 목적 ∙훌륭한 시민이 되는 법을 가르치는 것 ∙국제적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 ∙사회정의와 약한 자를 이해하고 헌신하며 돕도록 가르치는 것 과정적 목적 ∙개인의 취미, 흥미, 관심사 등을 충족시키는 것 ∙개인의 책임감과 독립심을 고취시키는 것 개인적 목적 ∙개개인에게 그들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심어 주는 것 ∙자긍심과 자신감을 심어 주는 것 ∙자제력, 자기수양 등을 향상시키는 것 출처 : 황윤환(1995), 성민선 외(2009) 재인용. 2) 학생복지 도모 학생복지는 결식아동, 피학대아동, 소년소녀 가장 등 보호가 필요한 학생을 집중 적으로 돕는 것과 전반적으로 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 야 한다. 이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사는 이러한 대상들의 심리적․사회적․가정적 어 려움에 대해 전문적인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연계함으로써 학생이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학습효과를 최대화하며 학생의 복지수 준을 증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한인영 외, 2004). 이 과정에서 학교사회복 지사가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이유는 제한된 학교자원만으 23
  • 16. 학교사회복지론 로는 학교체계 내에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자원을 학교 안으로 끌어들이는 일은 학교사회복지사의 고유성 과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주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겠다(성민선 외, 2009). 4. 학교사회복지의 실천대상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대상을 명확히 하는 것은 서비스의 종류와 실천방법을 결 정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학교사회복지실천의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 체계는 일차 적으로 학교생활을 경험하는 학생들이고, 다음으로 학생들의 사회적 기능 수행과 교육목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교사, 학교, 지역사회이다. 즉, 학교교육 목적 의 달성과 관련된 모든 개인, 집단, 조직 및 지역사회 체계 모두가 학교사회복지의 실천대상이 될 수 있다. 1) 학생 학교사회복지의 일차적 대상은 학교생활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이다. 전통적으 로 학교사회복지 초기에는 문제가 있는 학생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에 대 한 치료적인 개입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학교사회복지 실시 초기에 재정적인 지원 과 사회적 인식이 확대되지 않았기 때문에 선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밖에 없 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욕구의 결핍과 문제의 미해결이라는 차원 에서 학교사회복지 대상은 <표 1-5>와 같이 분류해 볼 수 있다. 학교사회복지사는 욕구결핍 아동들의 욕구충족과 문제 미해결 상태에 놓여 있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 을 위해 우선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24
  • 17.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표 1-5> 학교사회복지의 대상 욕구결핍아동 문제 미해결 결핍욕구영역 대상 문제형태 대상 소득욕구 빈곤아동, 실직가정아동 구조적 문제 빈곤아동 교육욕구 미취학아동, 학교중도탈락아동 이혼가정아동, 한부모가정아동 해체적 문제 주거욕구 시설아동, 가출아동 피학대아동 문화욕구 문화여가 부족아동 비행아동, 약물남용아동, 탈선적 문제 건강욕구 장애아동, 질환을 앓고 있는 아동 범죄소년 출처 : 성민선 외(2009). 하지만 다양한 사회문제의 증대와 보편주의적인 인식이 확대되면서 오늘날은 모 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방활동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전재일 외, 2011). 즉, 모든 학생들이 질적으로 향상된 학교생활을 영위하도록 학생을 돕고 환경체계를 개선해 주기 위한 활동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2) 학교-가정-지역사회 학생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에 대한 개입뿐만 아니라 학생을 둘러싼 교사, 학부모 및 지역사회에 대한 개입과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사만 이 개입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 특히 담임교사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 더 나아가 학교조직 및 지역사회의 다양한 조직들이 학생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원하는 체계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인디언 속담처럼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는지역사회를 조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그림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생에서 영향을 미치는 교사(학교체계), 가족, 지역사회는 학생의 변화를 유도 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25
  • 18. 학교사회복지론 [그림 1-2] 학교사회복지의 대상 5. 학교사회복지의 실천유형 현재 학교사회복지실천유형에 대해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학교사회복지실천초기에는 주로 종합사회복지관의 아 동․청소년 복지사업의 일환으로 학교사회복지가 실시되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가 학교에 상주하는지 여부에 따라 실천유형을 단순히 학교중심형과 지역중심형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성민선 외(2009)는 서비스 제공주체와 학교사회복지사의 활동을 중심으로 실천유형을 새롭게 구분하였는데, 이는 2002년 이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사업 과 정부차원,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사업이 시작되면서 초기 학교상주형/지역중심형 구분으로 현장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유형 구분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첫째, 학교기반 학교중심모형은 외부에서 재 원을 지원한다하더라도 학교장이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는 주체가 되고, 학교 내 에서 활동을 하게 되는 지금도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는 유형이다. 둘째, 지역사회 26
  • 19.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기반 학교중심모형은 학교외부의 기관장이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여 학교에 상 주시키는 위스타트사업,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사업, 협회 내 학교사회복지사 파 견사업 등이 이에 해당된다. 셋째, 지역사회기반 지역사회중심모형은 외부의 기관 장이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고 학교에 상주하지 않는 유형이다. 이에 해당하는 것은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현재 주로 많이 운영되는 모형으로 지역의 사회복지사에 의해 학교 내부 혹은 외부에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마지막으로 센터기반 순회운영모형은 학교의 상급기관인 교육청에서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 여 학교를 순회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모형이다. 이는 1997년 교육청상담센터, 위프 로젝트의 위센터가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표 1-6> 제공주체와 활동중심 유형 학교사회복지사의 활동중심 구분 학교중심(상주형) 지역사회중심(비상주형) ① 학교기반 학교기반 서비스 학교중심모형 ④ 센터기반 제공주체 ② 지역사회기반 순회운영모형 ③ 지역사회기반 지역사회기반 학교중심모형 지역사회중심모형 출처 : 성민선 외(2009). 한편, 2009년 이후 학교사회복지와 관련한 지방자치단체의 조례가 만들어지면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사업을 확대하게 되었다. 또한 중앙정부차 원에서 진행되던 학교사회복지 관련 사업들이 재구조화되면서 일부 사업은 종결이 되었지만 오히려 사업의 양은 대폭 확대되었다. 이러한 사업들은 주로 학교기반 형 태의 학교사회복지 사업으로 확대되면서 이전에 실시되던 지역사회중심의 학교사 회복지사업까지 포괄하여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복지관 유형과 유사하게 학교에 상주하지 않지만 학교외부에서 지원되는 사업들이 늘어나게 되었는데, 이를 재분류해보면 <표 1-7>과 같다. <표 1-7>은 재원(주관기관)과 학교사회복지사의 27
  • 20. 학교사회복지론 활동중심으로 우리나라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교사회복지의 현황을 파악한 것 으로 과거에 진행되었다가 종결된 사업들은 포함하지 않았다. <표 1-7> 학교사회복지 유형구분 학교사회복지사의 활동중심 재원/주관기관 학교중심(상주형) 지역사회중심(비상주형)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교육과학기술부 위프로젝트(위클래스사업) 위프로젝트(위센터사업) 중앙정부 혁신학교 보건복지부 드림스타트 과천, 용인, 성남, 수원, 군포, 의왕 지방자치단체 등 학교사회복지사업 위스타트 학교사회복지사업 복지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민간기관 공동모금회 지원사업, 중심의 학교사회복지사업 학교사회복지사 파견사업(하이원) 1)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2003년부터 교육과학기술부에 의해 교육․문화적 조건 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도시 저소득지역 학생의 교육․문화․복지 수준을 제고해 교 육기회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진행된 사업이다(신익현, 2003). 이 사업은 저소득 층 영․유아 및 아동․청소년의 주요 취약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다차원적인 지 원사업이며, 학교가 중심이 되는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통해 학습, 문화, 심리․정서 등 삶 전반에 대해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정책의 목표는 ①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기본적 욕구해 결과 문제예방을 위해 취학 전 단계의 영․유아에게는 양질의 취학 전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출발점 단계의 교육․문화 접근기회의 형평성을 보장하며, 초등학생 에 대해서는 학습결손 예방 및 치유, 방과 후 보호 등 기본적 복지서비스 제공에 중 28
  • 21.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점을 두고, 중학생에 대해서는 다양한 문화활동을 통한 정서적 함양에 중점을 두며, ② 가정의 취약성으로 인한 정서․행동 발달상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학교 및 지역사회의 교육․문화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정서적 안정 속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③ 건강한 신체 발달을 위해 필수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정상적인 학교 및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로 세분화할 수 있다(성민선 외, 2009). 초 기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이라는 명칭으로 8개 지역 45개 학교에서 시범 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12년 현재 1,490개 초․중․고에서 시행 중이다. 2) 지방자치단체 주관 학교사회복지사업 과천시에서 2003년에 시작된 지방자치단체 학교사회복지 사업이 이후 용인시, 성 남시, 수원시, 군포시, 의왕시, 화성시, 안양시에서도 실시되고 있다. 이 중 성남시 는 안정적인 사업운영을 위해 2009년 전국 최초로 조례를 제정하였고, 이후 용인시, 수원시, 안양시도 조례를 제정하여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지방 자치단체 학교사회복지사업은 전통적인 학교사회복지사업의 맥락 안에서 운영되는 사업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 학교에 예산을 지원하고 학교장이 채용하는 형태로 운 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2012년 현재를 기준으로 과천시 8개교, 용인시 6개교, 성 남시 21개교, 수원시 10개교, 군포․의왕시 11개교 총 46개교에서 활발하게 운영 중이다. 3) 위스타트(We-Start) 학교사회복지사업 위스타트운동은 2004년 3월 중앙일보가 ‘가난에 갇힌 아이들’이라는 기획연재물 을 통해 우리 사회의 빈곤아동들을 집중 조명하면서 시작됐다(전재일 외, 2011). 결 국 이 사업은 2004년 ‘가난의 대물림을 끊자’는 슬로건하에 시민운동으로 출발하게 되었다. 저소득층 아동의 거주 지역을 중심을 복지․교육․보건 통합 맞춤형 서비 29
  • 22. 학교사회복지론 스를 제공하여 통합사례관리 체계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마을 만들기 사업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안산시는 위스타트 사업의 효시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실질적 인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2005년 부터 경기도가 위스타트 시범마을을 실시함에 있어 안산과 성남의 위스타트 마을에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하게 되었고, 2006년에는 위스타트 시범마을 확대실시와 함께 학교사회복지실천학교도 8개교로 확대되었다. 이 시기에는 그동안 이 사업의 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본부체제를 총회와 이사회 및 중앙사무국로 구성 하여 사단법인으로 재출범하게 되었다. 2007년 위스타트사업은 5개교로 확대되었 고, 2008년에는 경기고양아동보호전문기관의 주관으로 성사초등학교에서 사업이 시행되었다(전재일 외, 2011). 현재 경기도를 중심으로 2012년 기준 13개 마을, 14개 초등학교에서 학교사회복지사업이 운영되고 있다. 4) 위(Wee)프로젝트사업 위(Wee)프로젝트사업은 교육과학기술부에 의해 2009년부터 시행된 사업으로 위 (Wee)프로젝트의 주 대상은 위기학생, 보조 대상은 일반학생이다. 이 사업은 학교․교 육청․지역사회가 연계된 다중 안전망을 통해 학생들에게 건강하고 즐거운 학교생 활이 되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정서불안, 폭력, 학교부적응, 일탈행동 등의 문 제를 가진 위기학생에 대한 촘촘한 3단계 safe-net구축사업을 실시하며, 단위 학교 내 대안교실(Wee Class)과 지역교육지원청 차원에서의 학생생활지원단(Wee Center) 및 시․도교육청 차원에서의 장기위탁교육센터(Wee School)를 운영하는 사업이다 (최상근 외, 2011). 2011년 5월을 기준으로 위클래스는 2,530개교, 위센터는 110개소, 위스쿨은 3개 교가 운영 중에 있다. 위클래스는 학교중심, 위센터는 지역사회중심, 위스쿨은 별도 의 학교체계로 운영되는 형태이다. 위(Wee)프로젝트의 인력은 2011년 기준 위클래 스 2,530개교에 전문상담교사 526명(20.8%), 전문상담인턴교사 1,489명(58.8%)으로 30
  • 23.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위클래스는 주로 인턴교사에게 의존하여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위센터의 경우 110개 청에 전문상담교사 189명, 전문상담사 236명이 배치되어 있고 위스쿨에는 전문상담 교사 5명, 전문상담사 5명이 활동하고 있다. 현재 위(Wee)프로젝트에서 활동하는 사 회복지사는 위클래스 26명, 위센터 108명, 위스쿨 2명이 있다(최상근 외, 2011). 2012년 에는 위클래스 4,497개교, 위센터 136개소, 위스쿨 4개교(3개교 추가 설치 중)로 확대 설치되었는데, 정부는 추후 모든 중학교에 위클래스를 설치하고, 2013년까지 모든 고등학교로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위센터는 2014년까지 모든 교육지원 청(178개)에 설치를 추진하며, 위스쿨은 고위기 학생을 위한 위탁교육기관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학교 시설비 우선 교부 등 행․재정적 지원을 하기로 하였다(교육과학기 술부, 2012). <표 1-8> 연도별 위(Wee) 프로젝트 운영기관 구축 현황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위클래스 530개 1,530개 2,530개 3,219개 4,497개 위센터 31개 80개 110개 126개 136개 위스쿨 3개 4개 4개 4개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2012) 일부 수정. 5) 드림스타트 아동복지 전달체계가 없었던 정부(보건복지부)에서는 위스타트 사업을 벤치마킹 하여 드림스타트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드림스타트는 아동의 공평한 양육여건과 출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저소득층 0~12세 아동과 그 가족에게 건강, 복지, 보육․교육 프로그램을 통합한 전문적․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주도의 아동복지 프로 그램이다(전재일 외, 2011). 학교에 상주하는 형태보다는 학교 내에 있는 복지인력들 과의 협력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2006년 8월에 보건복지부에서 ‘희망스 타트’ 사업을 시행발표했는데, 2007년 1월에 보건복지부는 16개 지역에 시범사업을 31
  • 24. 학교사회복지론 하도록 선정하여 발표하였고, 이듬해 4월에 ‘기획, 교육’, ‘홍보, 평가’ 사업지원단을 선정하게 되었다. 2008년 들어서는 사업실시지역을 32개 지역으로 확대하고 16개 지 역에서 실시하도록 확정하였다. 같은 해인 2008년 1월에 희망스타트사업지원단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으로 선정하게 되고 7월에 들어서면서 희망스타트는 드림스타 트사업으로 전환되었다. 2009년에는 사업실시지역이 75개 지역으로 확대되었고, 2010년에는 101개 지역, 2011년에는 131개 지역으로 확대하게 되었다. 드림스타트 사업은 2012년 현재 181개 센터를 중심으로 학교와 연계해서 아동복지와 관련한 다 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3년 211개 센터로 확대될 계획이다(보건복지부, 2013). 6) 학교사회복지사 파견사업 학생복지안전망 구축사업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는 하이원리조트 사회공헌 위원회의 지원으로 폐광지역 청소년의 잠재능력 발굴 및 극대화를 지원하고, 지역사회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과 실천적 프로그램 제공을 위해 학교사회복지사 파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2010년에 강원도의 고한초등학교, 고한 중․고등학교를 시작으로 이후 2011년부터 는 사북중학교에도 학교사회복지사가 배치되어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최경일․주석 진, 2011). 기존 학교사회복지 시범사업이 도시중심의 사업이었다면 이 사업은 산촌 지역의 소규모 학교에 학교사회복지실천모형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사업의 형태로 학교사회복 지가 실천되고 있다. 따라서 차후에는 한국형 학교사회복지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2
  • 25.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33
  • 27. 제 1 장 학교사회복지 개요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2. 2012 Wee 프로젝트 기능개편(안). Wee 센터 실장 및 전문상담사 워크숍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보건복지부. 2013. 2013년도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성민선․조흥식․오창순․홍금자․김혜래․홍봉선․노혜련․윤찬영․이용교․조미숙․노충래․정 규석․오승환․이상균․김경숙․김상곤․진혜경․윤철수․최경일․이태수․손병덕․박경 현. 2009.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신익현. 2003.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의의와 추진방향”. ≷도시와 빈곤≸, 61, 49-65. 안병영․김인희. 2009. ≷교육복지정책론≸. 서울 : 다산출판사. 윤철수․진혜경․안정선. 2010. ≷학교교육과 복지≸. 파주 : 양서원. 이기범. 1996. “복지사회와 교육 : 자유, 평등, 공동체를 위한 교육복지”. ≷교육학연구≸, 34(2), 21-39. 이돈희. 1999. ≷교육정의론≸. 파주 : 교육과학사. 이태수. 2010.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의 재조명 : 교육복지의 개념과 원리를 기반으로≸. 학교사회복지 7차 포럼 자료집. 이혜영. 2003. “도시 저소득층의 교육복지 실태와 과제-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계획 수 립을 위한 공청회”, 한국교육개발원, 1-33. 전구훈․윤철수․배성우. 2007. ≷통합적 접근모델로서의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2007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전재일․이경은․이성국․이성희․박영준․이석형․이선자․남영옥․황복옥. 2011. ≷학교사회복 지≸. 파주 : 양서원. 조흥식. 2007. ≷가족복지학≸. 서울 : 학지사. 최경일․주석진, 2011. 2011년 학교사회복지사파견 ‘학생복지안전망 구축’사업 성과연구 보고서.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한라대학교. 최상근․금명자․정진. 2011. ≷Wee 프로젝트 운영 모델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일보. 2004. 8. 15. 학교 소속감 OECD 국가 중 ‘꼴찌’.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2010. ≷10년을 딛고 내일을 연다≸.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10주년 기 념자료집.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2012. 학교사회복지 현황 내부자료. 한인영․홍순례․김혜란. 2004. ≷학교와 사회복지실천≸. 서울 : 나남출판. 한인영․홍순혜․김혜란․김기환. 1997. ≷학교와 사회복지≸. 서울 : 학문사. 홍봉선. 2004.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학≸, 56(1), 253-282. 홍봉선․남미애. 2009. ≷학교사회복지론≸. 고양 : 공동체. 35
  • 28. 학교사회복지론 Dupper, D. R. 2002. School social work. 한인영․홍순혜․김혜란․박명숙 공역. 2004. ≷학교 사회사업≸. 서울 : 학지사. 36
  • 29.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제2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학습목표 1. 외국의 학교사회복지 역사에 대해 이해한다. 2. 한국의 학교사회복지 역사와 현황에 대해 이해한다. 3. 향후 학교사회복지의 방향에 대해 고민해 본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학교사회복지를 시작했던 나라들이 어떠한 배경 속에서 학교 사회복지가 태동되었고 발전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앞으로 우리나라의 학교사 회복지가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방향을 설정하는 데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장에서는 주요국을 중심으로 외국의 학교사회복지가 어떻게 시작 되어 발전, 운영되고 있는지와 함께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1. 외국의 학교사회복지 역사 학교사회복지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영국과 미국에서 각각 시작되었다. 영 국은 1870년대 의무교육의 실시와 함께 학교사회복지가 시작되었으며, 미국의 경우 에는 1906년에 민간기관들의 주도에 의해 학교사회복지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외의 나라들은 주로 학교 출석의 의무적 이행을 돕는 것과 문제행동과 상황을 발견 하고 개입하는 내용들로 학교사회복지가 진행되고 있다. 오늘날 각 나라의 학교사 37
  • 30. 학교사회복지론 회복지는 교육복지, 교육사회사업, 학교사회복지사업 등의 이름으로 전 세계 43개 국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학교사회복지사의 명칭도 학교사회사업가, 학교 내 사회 복지사, 학교사회복지사, 교육복지관, 교육사회복지사 등으로 나라마다 조금씩 달 리 사용되고 있다(성민선 외, 2012). 1) 미국 학교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가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은 1900년대 이민자들의 급증으로 발 생하는 사회문제와 의무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에서 학교사회복지가 태동하기 시 작하였다. 미국의 학교사회복지는 1906년과 1907년 뉴욕, 보스톤, 하트포트의 세 도 시에서 시범적으로 시작된 방문교사제도를 통해 처음 시작되었다. 즉, 인보관이나 자선조직단체에서 활동하던 사회복지사가 아동을 중심으로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 를 연결하는 방문교사의 역할을 담당하면서부터 학교사회복지가 시작되었다. 이후 1913년 뉴욕의 로체스터 교육국과 1923년 뉴욕공동모금회의 지원 그리고 1921년 미국방문교사협회의 설립으로 학교사회복지 활동이 촉진되었으나, 1930년대 미국 의 경제공황기와 맞물려 약간 주춤하게 되었다. 하지만 1945년 미국방문교사협회가 ‘전국학교사회사업가협회’로 바뀌게 되면서 더욱 활발해지게 되었다(Dupper, 2004). 이후 1975년 ‘장애아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제정되면서 민간재단과 연방정부의 교육법을 통해 지원을 받고 있던 학교사회복지 사업은 연방 법에 의해 제도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한국사회복지 사협회, 2003). 1975년 제정된 장애아교육법은 1990년 장애인교육법으로 개정되었는데 이에 따 라 장애아동은 공교육과 학교사회복지 관련서비스를 무상으로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이 법에서 규정하는 장애는 장애를 가졌거나 가질지 모르는 학생까지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그들의 장애 형태 또는 정도와 관계없이 그들 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무상의 적정한 공교육과 학교사회복지와 같은 관련서비 38
  • 31.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스를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들의 권 리보호까지 보장하고 있다. 특별히 이 법은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지위와 역할을 보 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한인영 외, 1999). 이후 이 법은 2004년 장애인교육향상법으로 재인가되었는데 이 법 외에 재활법(504조항)과 아동 낙오방지법 등도 미국의 학교사회복지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현재 미국에는 정부 와 민간의 다양한 재원을 바탕으로 약 2만여 명 이상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 되고 있다(성민선 외, 2012). 2) 영국 학교사회복지 영국의 학교사회복지는 1870년대 의무교육 시행과 함께 시작되었다. 즉, 1871년 지방 교육청에서 학교출석관을 고용하면서 실질적인 학교사회복지사업이 시작되었 다고 볼 수 있는데, 이 당시 학교출석담당관은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 공부 를 가르치거나 가정방문을 통해 발견한 가난한 사람들에게 필요한 물품과 연료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이후 ‘학교출석관’은 1906년 학급급식 실시에도 일정부 분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1918년 영국의 교육법이 의무교육 연한을 14세로 연장함 에 따라 학교출석관의 역할과 책임은 더욱 증대되었고, 이러한 계기로 관련 협회를 구성하여 전문가적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 1944년에는 교육법이 개정되면서 “아동은 자신의 나이와 능력에 따라 적절한 일반 혹은 특별교육을 받아야 하나 그렇 지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교육복지사가 해당 아동을 상담하여 필요한 도움을 받아 수행할 수 있다”는 규정이 생기게 되었다. 이를 통해 교육복지(education welfare)라는 말이 처음 등장하였고 ‘학교출석관’이라는 명칭도 자연스럽게 ‘교육복지관(education welfare officer)’이라는 명칭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후 영국에는 아동법, 교육법, 반사 회행동법 등 교육복지와 관련한 다양한 법들이 제정되면서 교육복지서비스가 다양 한 영역으로 확대되었다(홍봉선 외, 2009). 특히, 1989년 아동법(Children Act)은 교육복지관의 역할을 더욱 분명히 하고 있다. 39
  • 32. 학교사회복지론 즉, 아동학대와 방임 및 이혼 등과 아동이 관련된 모든 법적 절차에 대해서 재판관 은 아동의 신체적․정서적 부분에 대한 복지적 측면을 가장 우선해 판결하여야 하 며, 필요한 경우 아동이 정규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조성에 대해 명령할 수 있도 록 하였다. 그리고 1996년 교육법에서는 교육복지관의 법적인 권한을 강화하고 학 령기 아동을 학교에 보내지 않는 부모에 대해 법원에 고소할 수 있는 권한까지 부 여하였다. 또한 2003년의 반사회행동법은 재학 중인 학생이 문제행동을 보이거나 출석에 있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가족이 학교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고 판단될 때 교육복지관이 즉각 개입할 수 있도록 하고, 문제 해결을 위 해 교육 당국뿐 아니라 사회복지서비스 관련기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도록 규정 하고 있다(성민선 외, 2012). 현재 영국에는 약 3,000여 명의 교육복지관(학교사회복지사)이 있으며 이들은 초․중․고 재학생들의 교육을 어렵게 만드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예방적․치료적 접근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3) 독일 학교사회복지 독일의 학교사회복지는 1970년 서베를린의 제2차 교육제도에서 사회교육사(social pedagogues)가 소개되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사회교육사란 사회교 육학을 전공한 케어, 상담, 가족 및 아동상담을 담당하는 전문가를 의미하는데 사회 교육학은 학교사회복지 이전에 존재한 유럽 전통의 학문분야이다. 또한 독일의 학 교사회복지는 독일 아동 및 청소년정책의 근거가 되고 있는 아동 및 청소년지원법 에 근거를 두고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적․문화적 특성과 학교사회복지사의 능력 차이에 따라 지역별․학교별로 역할의 차이가 나타난다. 그 이유는 각 지역과 학교마다 운영내용에서 강조되는 부분이 다양하고 인력을 선발하는 기준도 다양하 기 때문이다(성민선 외, 2012). 독일의 학교사회복지사들은 학교에서 학생들의 행동과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40
  • 33.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관련된 업무들을 수행하면서 학생의 개별적인 증상을 치료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생 들의 욕구가 제기되는 전체 환경에서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을 시도한다. 독일에 서 실시하고 있는 대표적인 학교사회복지실천모델은 비스바덴 모델인데 이 모델은 Kerseten과 Wulfers(1999)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1977년부터 비스바덴 시에서 시작 하여 현재 18개 도시에서 청소년복지서비스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는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 학교사회복지사는 가족과 아동의 정서적 욕구를 파악하고 학교생활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에 초점을 둔다(성민선 외, 2012). 4) 북유럽 학교사회복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위치한 북유럽의 국가들(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아 이슬란드)에서 학교사회복지는 사회복지서비스를 통해 학교교육이 보완되어야 한다 는 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 가운데 스웨덴과 핀란드의 학교사회복지를 살펴보면 먼저 스웨덴의 경우 학교사회복지는 1930년대 후반 한 양호교사의 구호활동으로 시작되었다. 즉, 스톡홀름에 있는 한 양호교사가 많은 학생이 식사를 하지 못하면서 학교생활하는 것을 보게 된 후 지역사회의 자원들을 동원하여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점심 식사를 제공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김상곤․김주미, 2002). 이후 1940년에 스톡 홀름 고등학교에 학교사회복지가 도입되었으며 1950년대 후반에 학교사회복지가 의무교육제도와 함께 정착하게 되었다. 그리고 1966년에는 모든 고등학교에 학교사 회사업가를 둘 수 있도록 시교육위원회(스웨덴은 지방자치제)의 결정에 따라 배치 모 형과 직무 지침이 완성되었다(성민선 외, 2012). 스웨덴의 학교사회복지는 학생들이 잠재력을 성장시키고 교육목적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둔다. 이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도 주로 사회복지와 상담을 통해 문 제를 예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현재 스웨덴 전체에는 학교사회사업가는 1,500명 이 있으며, 이들은 의무교육, 상위 2차 학교, 탁아소, 시민학교에서도 활동하고 있 다(김상곤․김주미, 2002). 41
  • 34. 학교사회복지론 핀란드의 경우에는 1960년대 중반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많은 아동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후 1973년 교육부에 의해 임명된 학생복지위원회가 학교사회복지와 심리상담을 조직화하는 계획을 제안하면 서 학교사회복지의 예방적 특성이 강조되었고 1990년에 각 시·도의 자치 근거에 의해 자율적으로 도입이 되었다. 핀란드의 학교사회복지는 사회적 부적응을 예방하 고 학생들이 의무교육 프로그램을 완수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둔다(김상곤․ 김주미, 2002). 이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사는 학교와 교육환경의 심리사회적인 안녕 을 증진시키고 개발시키며, 학생들의 정서적, 사회적 성장과 발전을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의 문제를 예방한다. 현재 핀란드에는 400여 명의 학교큐레이터와 학교사회 복지사들이 활동하고 있다(성민선 외, 2012). 5) 아시아권의 학교사회복지 학생 문제에 대해 전통적으로 교사중심으로 대응해오던 일본은 교사폭력, 학생 간 폭력, 교내폭력, 등교거부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면서 1986년부터 학교사회복 지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2008년에는 정부(문부과학성)가 15억 엔의 예산을 지 원하면서 전국 144개 지역으로 학교사회복지가 확대, 실시되었으며 이에 1,000명의 학교사회복지사가 채용되었다. 이들은 주로 가정환경 개선과 학교-가정, 관계기관 의 연계조정 역할을 주된 업무로 담당하였다. 하지만 이후 중앙정부가 지원하던 사 업예산이 대폭 감소하면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수는 점차 줄어들었는데 2010년 조사 에 의하면 642여 명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본 문부과학성에서 는 학계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 으며, 학교사회복지사의 양성과정, 슈퍼비전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차례 우리나 라를 방문하였다. 현재 일본의 학교사회복지 복지체계는 미흡한 상태지만 문부과학 성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학교사회복지 도입을 시도하고 있는 중이므로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박경현, 2012). 42
  • 35.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사회주의 국가였던 몽골에서는 1990년대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발달하는 과정에 서 발생한 빈곤가정의 학생의 학교중퇴, 가출, 소녀매춘, 아동중노동 등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중도탈락률을 줄이기 위해 1997년 처음 학교사회복지를 실시하 였다. 이후 1997~1998년의 시범사업과 평가조사를 바탕으로 2001년 몽골의 모든 초․중등학교에 학교사회복지사가 배치되는 결정이 정부를 통해 내려졌고 2002년 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에 대한 공동법령이 발표되었다. 그리고 2003년에는 개 정아동보호에 관한 법을 통해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정해졌는데 이 법에서는 학 교사회복지사가 아동, 가족, 부모 그리고 법적 후견인들을 지원하고 상담하는 역할 을 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성민선 외, 2012). <표 2-1> 각국의 학교사회복지 동향 시작 고용 학교사회 국가 명칭 복지사의 수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 시기 학교 타기관 (명) 복지관 교사를 사회사업대학원에서 가나 1967 0 0 320 (welfare officer) 훈련 사회사업가 또는 뉴질랜드 1994 - 0 150 사회사업 학위 학교 내 사회사업가 학교사회사업가 대만 1997 0 0 58 BSW, 면접통과 학교사회공작자 일반적인 사회사업훈련 독일 1968 학교사회사업가 0 0 미상 -전문대학 3년 과정 룩셈부르크 2001 학교사회사업가 0 - 20 사회사업 학위 마케도니아 1995 교육사회사업가 0 - 5-6 BSW 현임훈련과 오리엔테이션, 몽골 1997 교육사회사업가 0 0 600 이상 사회사업 단기과정 미국 1906 학교사회사업가 0 0 20,000 이상 MSW 이상 사우디 학교상담가 1980 0 - 10,000 이상 BA(사회사업, 사회학, 심리학) 아라비아 (school counsellor) 사회사업디플로마 또는 스리랑카 1997 학교사회사업가 - 0 17 사회학이나 심리학 학위 43
  • 36. 학교사회복지론 시작 고용 학교사회 국가 명칭 복지사의 수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 시기 학교 타기관 (명) 스웨덴 1950초 학교사회사업가 0 0 1,500~2,000 BSW 싱가포르 1965 학교사회사업실천가 - 0 미상 BSW 아랍에미리 1972 사회사업가 0 813 BSW 트 전체 사회 수도권은 사회사업전공, 학교사회사업가 아르헨티나 1960년대 0 - 사업가의 1/4 교사자격 등, (지방은 사회조무) 정도 지방은 전공무관 아동보호사 에스토니아 1994 0 - 60 BSW 학교교육사 교육사회사업가 사회사업학위 또는 영국 1871 0 0 3,000 교육복지관 사회사업 1급 학교사회사업가 인도 1970 0 - 20,000 이상 MSW 특수교육교사 일본 1986 학교사회사업가 0 0 642 사회복지전공 MSW, 캐나다 1940년대 학교사회사업가 0 - 750 RSW(Registered S․Worker) 핀란드 1966 학교사회사업가 0 0 400 MSW 학교사회복지사 한국 1993 0 0 1,800 BSW 이상 지역사회교육전문가 1930 시작 헝가리 학교사회사업가 0 0 50 사회사업가 1990 재개 호주 1947 학교사회사업가 0 0 150 BSW, AASW 회원자격 BSW, 사회사업등록위원회에 홍콩 1970년대 학교사회사업가 - 0 466 등록 출처 : 성민선 외(2012) 재수정. 2. 한국의 학교사회복지 역사와 현황 세계에서 가장 빈곤한 국가에 속했던 우리나라가 1970년대 이후 눈부신 경제성 44
  • 37.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장과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국가적 차원의 교육에 대한 투자와 국민의 교 육열 때문이었다. 이 시기의 교육은 개인의 성취와 사회참여, 계층 상승의 기회를 제공하여 국가발전의 근본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경 제위기와 청소년 문제의 심화를 경험하면서 기존 교육에 대한 제고와 새로운 평가 및 대안을 요구받게 되었다(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2010).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학교 에 부적응 하는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등장한 제도가 학교사회복지이다.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두 가지 사업형태가 있는데, 첫째는 학교에서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여 진행하는 학교중심형의 학교 사회복지이고, 둘째는 지역사회 기관에서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여 방문프로그 램을 진행하거나 학교 내에 상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지역사회 기관중심형의 학교 사회복지이다. 본 절에서는 학교사회복지의 역사를 크게 1992년 이전(여명기), 1993년부터 1996년 까지(태동기), 1997년부터 2001년까지(도입기), 2002년부터 2008년까지(성장기), 2009년 이후(확립기)로 구분하였고, 각 시기별로 사업형태에 따른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살 펴보도록 하겠다. <표 2-2> 학교사회복지 시기 구분 시기 명칭 내 용 1992년 이전 여명기 ∙비공식적 실천수행과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 1993∼1996 태동기 ∙1993년 은평종합사회복지관과 윤철수에 의해 학교사회복지 실시 ∙1997년 서울시교육청 시범사업, 삼성복지재단 후원사업으로 공식적인 1997∼2001 도입기 시작 ∙2002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3년 기획사업으로 학교사회복지 기준 마련 2002∼2008 성장기 ∙2003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지방자치단체사업(과천시) 실시 ∙2004년 위스타트 학교사회복지 실시 2009년∼ ∙2009년 학교사회복지활성화 법안이 최초(성남시)로 제정 확립기 법제화 준비기 ∙중앙단위의 법제화를 통한 안정적 사업 추진 45
  • 38. 학교사회복지론 1) 1992년 이전(여명기) 우리나라에서 첫 학교사회복지 활동은 1969년 민간외원기관인 캐나다 유니테리 언봉사회(USCC)에서 운영했던 마포사회복지관에 의해 시작되었다. 교사와 시립아동 상담소, 학부모로부터 신석초등학교 학생 32명을 의뢰받아 상담과 경제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학생 내 보호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원하였다. 같은 해 임정혁의 “한국에 있어서의 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과 문제점”이라는 학위논문을 발표함으로써 우리 나라 최초의 학교사회복지 연구자가 되었다. 이후에도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과 업 무활동 분석 등의 연구가 지속되었다. 그리고 정부 차원(교육부)에서 1973년 18학급 이상의 중등학교에 의무적으로 교 도교사를 두는 것을 법제화함으로써 학교 내에 학교사회복지와 관련된 제도가 처음 시작하였고 1985년에는 상담실 설치 의무화와 자격을 갖춘 교도주임교사 배치 등 제 도가 한층 강화되었다. 그러나 교도교사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더라도 상담활동은 전 혀 하지 않거나 교과지도만을 하는 경우도 많았고, 행정처리 위주로 대처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후 교도교사라는 명칭은 진로상담교사(1994)에서 전문상담교사(1997)로 명 칭이 변화되었다. 이 시기에 특이할 만한 일은 1986년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서 영어교사였던 김혜래가 서울현대고등학교에서 타 교사들과의 팀 접근을 통해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학교사회복지를 개척하였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 시기에는 학교중심과 지역중심의 학교사회복지가 이제 막 시작을 준비하는 정도 의 시도로 정리할 수 있겠다. <표 2-3> 여명기의 학교사회복지 (여명기) 1992년 이전 학교중심형 ∙1986년 : 김혜래(현대고등학교에서 교사이면서 사회복지사로 근무) 지역사회 기관중심형 ∙1969년 : 캐나다유니테리언봉사회 한국지회 마포사회복지관(신석초등학교) ∙1969년 : 임정혁(한국에 있어서의 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과 문제점에 관한 논 기타 문 발표 : 최초) 46
  • 39.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2) 1993년부터 1996년까지(태동기) (1) 사회복지관중심 학교사회복지의 시작 (1993∼현재) 우리나라 최초의 공식적인 학교사회복지 활동은 1993년 은평종합사회복지관(당시 태화은평종합사회복지관)에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수색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꿈나무교실’ 프로그램이다. 이후에 프로그램의 성과를 인정받아 1995년에는 대상을 일반학급 아동 중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동으로 확대 해 나갔다. 은평종합사회복지관은 그 후에도 학교와 연계한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 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2) 학교중심 학교사회복지의 시작 (1993∼1994) 숭실대학교 대학원생인 윤철수는 1993년 서울 화곡여자상업고등학교를 실습지(주 1회씩 1년간)로 개척하여 학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에 대해 사회복지적인 방법 으로 학생들에게 접근하였다(전재일 외, 2011). 학교중심형 학교사회복지는 윤철수의 이러한 노력들로 인해 그 기초가 놓이게 되었다. (3) 삼성복지재단의 학교사회복지 후원사업 (1995 이후) 1993년 은평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시작된 ‘꿈나무교실’ 사업을 계기로 차츰 복지관 들이 학교사회복지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특히 삼성복지재단에서 운영한 프로그램 후원사업은 복지기관들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삼성복지재 단은 1995년 민간재단 최초로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지원하였고, 이후 청소년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생들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자 사업을 확 대해 나갔다. 특히 1997년 지원사업부터는 청소년사업에 학교사회복지를 명시함으 로써 지역사회 복지기관들의 관심을 증폭하는 계기가 되었고, 전국적으로 학교사회 복지사업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켰다. 또한 단순히 프로그램을 지원한 것뿐만 아니 라 전문가의 정기적인 자문을 받을 수 있는 슈퍼비전 체계를 마련하여 학교사회복 47
  • 40. 학교사회복지론 지의 성공적인 수행을 유도하였다. 이후 삼성복지재단은 전국에 있는 사회복지기관 을 중심으로 아동․청소년 관련 사업에서 학교사회복지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4) 국민복지기획단의 건의 (1995) 1995년 문민정부 시절 보건복지부 산하 국민복지기획단은 폐쇄적인 학교가 이제 는 개방되어 외부의 원조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여 정부로 하여금 ‘학교 사회복지’ 제도화를 실시하도록 권고하였다. 이는 1997년 교육부 시범사업을 실시 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표 2-4> 태동기의 학교사회복지 (태동기) 1993∼1996년 학교중심형 ∙1993년 : 윤철수 최초의 학교사회복지 실습(화곡여상) 지역사회 기관중심형 ∙1993년 : 태화은평종합사회복지관(수색초)의 학교사회복지사업 실시 ∙1995년 : 삼성복지재단의 학교사회복지 후원사업 실시(∼지속) 기타 ∙1995년 : 국민복지기획단의 학교사회복지제도화 권고 3) 1997년부터 2001년까지(도입기) (1) 교육부 시범사업 (1997∼1999) 1995년 국민복지기획단의 건의 후 1996년 교육부에서는 학교사회복지제도의 도 입을 공식으로 표명하였고 1997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2년간 학교사회복지 시 범사업을 무학여자고등학교(서울), 충남중학교(대전), 북성중학교(광주), 대구제일여 자상업고등학교(대구)에서 실시하였다. 그러나 인력을 활용할 수 없을 정도의 예산 (연 500만 원)으로 인해 사회복지사들이 주체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고 상담교사, 교육학 부전공 교사, 학부모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운영되었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에 48
  • 41.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대한 모형이나 지침도 없이 운영되었다. 이에 따라 이 시범사업은 소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였고 그 결과 교육부의 1999년 이후 확대 계획도 실현되지 못하였다. (2) 서울특별시 교육청의 연구사업 및 1, 2차 생활지도 시범사업 (1997, 2000∼2001) 교육부와 별도로 서울특별시 교육청은 지방 교육청으로는 처음으로 1997년 본격 적인 학교사회복지 연구사업(광신고등학교, 연북중학교, 영등포여자상업고등학교 등)을 시작하였다. 서울특별시 교육청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이해가 없음에도 연구사업 으로 채택하게 된 데에는 숭실대학교 노혜련 교수의 추천과 서울특별시 의회로부터 권고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사업은 이후 영상고등학교와 한가람고등학교에 학교 의 예산으로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는 계기와 서울특별시 교육청 산하 지역청 상 담센터 내에 사회복지사가 고용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후 서울특별시 교육청은 2000년 학교사회복지를 활용한 생활지도 시범사업을 다시 시작하였다. 이는 1997년 연구사업 당시 담당자였던 김성심 장학사가 다시 업 무를 담당하면서 서울시특별시 교육청 직접사업으로 더 발전적이고 전문적인 시범 사업을 진행하게 된 것이다. 2001년 제2차 시범사업은 서울북공업고등학고, 삼성고 등학교, 경성여자실업고등학교, 안천중학교, 성원중학교 등 5개교에서 실시되었는 데 이전과 달리 5개교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공동사업을 수행하였고, 발표회와 보고 서(CD) 발간 등을 통해 학교사회복지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표 2-5> 서울특별시 교육청 연구사업 및 1, 2차 생활지도 시범사업 시 기 명 칭 내 용 특 징 광신고(서울대), 연북중(연세대), 사업 이후 학교사회복지사를 최초 1997년 연구사업 영등포여상고(숭실대) 로 채용(3명) 1차 송파공고, 당곡고, 남강중, 은평공 직접사업으로 체계적이고 전문적 2000년 (생활지도 시범사업) 고, 동마중(5개교) 으로 운영 2차 서울북공고, 삼성고, 경성여실, 서울시 본청사업으로 운영 2001년 (생활지도 시범사업) 안천중, 성원중(5개교) 공동사업, 발표회, 자료집 발간 49
  • 42. 학교사회복지론 (3)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창립 (1997) 서울특별시 교육청 연구사업과 삼성복지재단의 지원이 시작되면서, 1997년 5월 22일 학교사회복지 현장과 실무의 이론적 뒷받침을 제공하기 위해 ‘한국학교사회복 지학회’(초기 한국학교사회사업학회; www.schoolsocialwork.org)가 만들어졌다. 초대학 회장으로 가톨릭대학교 성민선 교수가 선임되었다. 학회는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연 구뿐만 아니라 실천현장 지원(자문교수), 다양한 워크숍, 학술지 출판 등을 전개하면 서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과 이론발전에 기여해왔다. (4)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창립 (2000) 현장 실무자들의 전문성 신장과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를 위해 실무자들의 조직 이 2000년 8월 실무자들의 조직인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초기 한국학교사회사업 실천가협회, www.kassw.or.kr)가 창립되었다. 1998년부터 가양4종합사회복지관에서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초대 협회장으로 윤철수를 선임하였다. 이후 전국적인 지 회를 결성하는 등 협회원들을 중심으로 조직적인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 자격제도 운영, 제도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활동 등을 전개하고 있다. <표 2-6> 도입기의 학교사회복지 (도입기) 1997∼2001 ∙1997∼1999년 : 교육부 시범사업 학교중심형 ∙1997년 : 서울특별시 교육청 연구사업 ∙2000∼2001년 : 서울특별시 교육청 1, 2차 생활지도 시범사업 지역사회 기관중심형 ∙1997∼2001년 : 삼성복지재단의 학교사회복지 후원사업 지속 ∙1997년 : 한국학교사회복지 학회 창립 기타 ∙2000년 :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창립 50
  • 43. 제 2 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4) 2002년부터 2008년까지(성장기) (1) 서울특별시 교육청의 3, 4, 5차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 (2002∼2007) 제2차 생활지도 시범사업 이후 제3차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2002∼2003)부터는 1년 단위가 아닌 2년 연속 시범 연구사업을 수행하게 되는 이례적인 결과를 도출하 였다. 다만 예산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5개교에서 4개교로 대상학교수가 축소되었 고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학교사회복지사를 직접 선발하여 단위학교에 추천하는 형식으로 인력선발 형식이 변경되었다. 그리고 시범사업명을 생활지도 시범사업이 아닌 학교사회복지 시범사업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운영하였다. 이후 제4차 시범사 업(2004∼2005)은 제3차 시범사업과 같은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제5차 시범사업(2006 ∼2007)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시범사업은 비록 종결되었지만 이 사업은 학교사 회복지의 가장 바람직한 모형으로 실시되었고, 학교사회복지의 저변 확대에 크게 기 여를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표 2-7> 서울특별시 교육청 3, 4, 5차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 시 기 명 칭 내 용 특 징 3차 서초공고, 성덕여상고, 2년간의 시범사업으로 확대, 2002∼2003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 도봉중, 연서중(4개교) 인력선발-교육청 4차 양서중, 장위중, 송파공고, 2004∼2005 3차 사업과 같은 형태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 한서고(4개교) 5차 교육인적자원부의 ‘사회복 2006∼2007 구암중(1개교)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 지사활용연구학교’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 (2002∼2004, 2005, 2008) 중앙 공동모금회는 학교사회복지제도화를 목적으로 2002년부터 3개년 기획사업으 로 학교사회복지를 실시하였다. 이 사업은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가 주관하는 6개 학교(학교중심), 8개 사회복지관(지역사회 기관중심)이 학교사회복지사를 고용하여 8개 51
  • 44. 학교사회복지론 학교에 파견하는 형태로 운영되었다. 3년간의 사업이었지만 결과가 좋게 나타나고 학교에서의 반응도 긍정적으로 평가되어 지원사업으로는 예외적으로 1년간 더 연 장하여 2005년까지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 사업은 지역 공동모금회 사업에 도 영향을 미쳐 2003년부터 전국적으로 부산, 대전, 대구, 충북, 인천, 경남 등 지역 공동모금회가 합류하면서 지역중심의 학교사회복지사업이 확대되고 교육계에 학교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기획사업이 주는 의미 는 학교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장(setting)을 마련해 주었고, 학 교 내 상주하는 인력에 대한 임금기준과 사업예산 기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이후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2008년 특수학교에 학교사회복지사를 배 치하는 시범사업을 3개교에서 실시하였으나 1년만 운영되고 중단되었다. (3) 지방자치단체지원 학교사회복지사업 시행 (2003∼현재) 과천시에서는 2003년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시예산으로 배정하여 관문초등학교에 서 최초의 지방자치단체 지원사업을 실시하였다. 이전까지는 민간차원, 정부차원의 예산으로 사업이 운영되었다면 이 사업은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을 배정하여 운영하 는 방식이 특징이다. 이 사업은 2007년부터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용 인시와 2009년 최초의 학교사회복지 관련 조례를 제정한 성남시를 포함해 수원시, 군포시, 의왕시, 화성시 등의 학교사회복지사업 실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표 2-8> 지방자치단체 학교사회복지사업 현황 지역 내 용 학교수 ∙2003년부터 과천시 청소년상담복지지원센터 직접 운영 과천 ∙8개교(초등 4개교, 중등 2개교, 고등 2개교-청계초, 관문초, 과천초, 문원초, 과천 8개교 문원중, 과천중, 중앙고, 과천고)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위탁운영에서 ∙「용인시 학교사회복지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2011.1.11)」로 용인시청에서 용인 6개교 지원 ∙6개교(초등 3개교, 중등 3개교) 용천초, 신갈초, 용마초, 수지중, 용인중, 용인백현중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