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30
Télécharger pour lire hors ligne
......아직까지 한국의 식물공장은 걸음마 수준이다. 현재 식물공장을
통해 상품을 공급하고 있는 업체는 인성테크밖에 없다.
인성테크에서는 독자적으로 식물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총 50평
규모이며 월 1만 포기의 상추를 생산하고 있다. 인성테크 안형주
팀장은 “현재 롯데슈퍼 1백50곳을 포함해 신세계와 롯데마트 등에
납품을 하고 있지만, 2천만원가량으로 소규모이다”라고 밝혔다.
롯데마트 장종혁 과장은“행복가든이 생산하는 상추는 1일 8kg
가량으로 매출에는 별로 영향이 없다. 초기 설비 비용을 생각한다면
오히려 손해이다. 다만 홍보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병관 인턴기자
시사저널 2010.8.4
농민신문 2010.8.13
한국경제 2011.2.11
......일본 정부는 가격 등락이 큰 야채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진작부터 식물공장 건설을 지원해왔다.
일본에서 식물공장은 지난해 50개를 넘어섰고,시장
규모는 100억엔(1350억원)을 돌파했다. 이를 위해 일본
정부가 지난해 지급한 관련 보조금만 146억엔이다. 일본
정부는 민간 기업의 참여를 유도해 내년엔 식물공장 수를
150여개로 늘린다는 목표다......
차병석 특파원
......하지만 한국의 식물공장은 아직까지 걸음마 수준이다. 국내 식물공장이
상용화되기까지는 시설 투자비와 한국형 수익모델 개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중략)......식물공장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다. 우선
초기 투자비와 관련 기술에 대한 정부 지원이다. 평균 건설비가 비닐하우스보다 15~20
배나 많고, 조명 등 관련 기술 수준도 세계 최고 수준의 20~72%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김태억 기자
- 한국 식물공장 산업이 초기 시장 미형성으로 학문적ㆍ연구적 단계에
머물러 있는 상황.
- 초기 시장이 형성 되지 않고 있는 이유를 분석해 보았더니 식물공장 산업
이라는 신사업에 대해서 정부와 민간이 확신을 가지고 참여,투자 할 수 있는
비지니스 모델이 정립되어 있지 않음.
- GMO 실패 사례에 비추어 식물공장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 선입견이
초기시장 형성에 심각한 방해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음.
국내 식물공장 산업의 초기시장 형성
- 식물 공장 산업의 선진 시장을 탐방하고 한국형 식물 공장의 성공 비지니스 모델을 제시한다.
- 식물공장과 관련된 논문과 신문기사 그리고 인터넷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팀원들과
토의를 통해 식물공장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킴.
- 기획서 준비 단계에서 성균관대학교 이석찬 교수님, 황 헌 교수님을 찾아뵈어 식물공장에 대한
조언을 구했고 식물공장연구포럼 2차 정기 세미나 참석을 통해 국내 식물공장 산업 현황에
대해 알게 되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식물공장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식물공장 관련 시장이 형성된 유일한 국가인 일본을 방문하여 식물공장에 관련된
여러가지 벤치마킹요소를 습득해왔다.
1. 식물공장의 개념
2. 식물공장의 필요성 (거시적 측면, 미시적 측면)
식물의 광원으로 태양 대신 특정 빛의 파장을 생산 할 수 있는 LED를
사용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이나 면역성, 생산성 등에 영향을 주는
파장만을 집중적으로 식물에 공급하여 식물의 생육속도 및 생산성의
극대화를 유도한다. 또한 LED는 전력 소비가 형광등에 비해 30%
정도 적고 열발생이 적어 식물공장의 인공광원으로 각광 받고 있다.
내 용분 야
고효율에너지 소재산업
환경/공조 제어산업
식품 바이오 산업
LED 인공조명, 태양전지, 태양열, 지열, 풍력, 2차전지
지능형 로봇응용산업, 실내환경감지, 전력에너지 관리
시스템, RFID/USN을 활용
고기능 특용작물, 안정성 및 특수목적의 항생제,
바이오매스, 바이오에너지 산업
일반 세균 수 (/g)
대장균 수 (/g)
폐쇠형 식물공장 노지 재배
1.0 ×10²
1.0 ×10²
100.0×10⁴
측정 불가
자료 출처: 일본식물공장보급진흥회
<식물공장과 노지재배의 세균 수 비교>
우리나라의 LED기술 수준은 일본, 미국, 대만에 이어 세계 4위로 시장 점유율이
2.5%정도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응용분야인 가전분야의 경우는 95%정도의
기술수준을 보이고 있다. 또한 LED 이외에도 식물공장과 관련된 국내 기술 수준은
높은 편인데, 배양액 공급 기술, 실내 환경 제어 및 자동화 기술, 식물 생산 공장
자동화 시스템, 육묘 생산 시스템 등 식물공장과 관련한 기초 기반 기술은 세계적
수준이다. 공장 운영 에너지 활용(신재생에너지 분야) 및 정밀 환경제어 기술은
일본과 몇몇 나라에 상대적으로 뒤쳐지지만 전반적으로 관련 기술의 수준이 높아
식물공장 산업을 시작하게 되면 기술면에 있어서는 이미 산업에 진입해 있는 다른
국가와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판단 된다. 즉 우리나라는 식물공장 비지니스를
하기에 유리한 기술적 환경에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식물공장이 활성화 되면 위에서 언급한 국내 다양한 전후방 산업에
신수요를 창출하면서 시너지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1. 주위 둘러보기 2. 우리 둘러보기 3. 국내 탐방
- 현재 우리나라에는 아직 식물공장이라고 부를 수 있는 시설농업은 존재하지
않으며 농업연구기관에서 시험재배를 실시하는 정도임.
- 연구는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음.
- 국내 몇개의 중소기업과 전라북도, 남양주시,부천시 등의 몇 개의 지자체들이
식물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나 소형 식물공장 형태로 시설과 사업 규모가 매우 영세함.
- 정부는 지식경제부를 포함한 3개의 부처를 통해 국내 식물공장에 대한 경과를
지켜보고 있으나 현재 식물공장 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전혀 없음.
- 정부는 대기업 중심으로 식물공장 산업이 활성화 되기 시작하면 제도적 지원을
뒷받침하겠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으나 초기 투자 비용이 높은 식물공장 산업의
특성상 이러한 정부 태도 하에서는 국내에 식물공장 초기 시장의 형성 자체가
힘들어 질 수 있음.
따라서 이 두 가지 문제점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하여 국내 식물공장
산업의 초기시장 형성을 실현하는 것이 우리의 본 연구 탐방의
목적이자 반드시 제시하고자 하는 성과이다.”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
이석찬 교수님
sukchan@skku.ac.kr
인터뷰 실시일자 : 10. 10. 06
성균관대학교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학과
황 헌 교수님
hhwang@skku.edu
인터뷰 실시일자 : 10. 11. 03
기타
- 물론 표본집단이 137명으로 작은 편으로,
모든 소비자의 경향으로 일반화시킬 만큼
데이터적으로 매우 가치있는 설문은 아니
었으나 농산물의 실구매자인 주부들의
살아있는 의견을 들을 수 있어서 매우 뜻깊었다.
- 구매의사를 묻는 질문에는 3분의2 이상이
구매를 하지 않겠다고 하였고 주요한 이유는
땅에서 자연적으로 재배되지 않았다는 점이
꺼림직하다는 막연한 거부감이었다.
- 구매를 하겠다는 3분의1의 응답자는 식물공장
생산품이 무농약 무비료 청정 농산물이라는
점이 구매의 이유라고 답했다.
- 응답자 대부분은 식물공장 산업의 기반기술의
유용성 및 친환경성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이
긍정적이었으며 구매 의사 유발을 위한
보완요소 설문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먹기
시작하고 식품 안정성이 확실하다는게 스스로
이해 되면 구매를 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
1. Subway 2. PasonaO2
3. Pizzeria LABEFANA
4. Osaka Prefecture University
오사카 부립 대학교 / 박재억 박사님
greenwindgenerator@gmail.com
인터뷰 실시일자 : 11. 1. 25
“소프트웨어(식물공장에서 재배가능한 작물)의 개발이 없이는
결국 식물공장은 한계에 부딪힐 것입니다.”
건설 후 센터의 운영에
대해서는 산학협력이 되어 있는 SANYO, 에스펙믹 등 80
여개의 일본 기업이 운영 자금을 지원 할 것이라고 한다.
박재억 박사님께서는 오사카 부립 대학 식물공장 센터의
차별화된 점으로‘복지형 식물공장’을 말씀하셨다. 노령화에
따른 노인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일본에서
식물공장을 통한 노인들의 작업치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씀
하시면서 식물공장과 작업치료를 융합한‘복지형 식물공장’
이라는 새로운 가능성도 언급 해주셨다 .
1. 건설 중인 식물공장
센터의 외부 전경
2. 식물공장 센터의 조감도
3. 센터에 대한 박사님의
설명을 듣고 있는 우리
1. 연구탐방 결론 도출배경
2. 연구탐방 결론1 (Solution1)
3. 연구탐방 결론2 (Solution2)
4. 탐방 후 성과
해외 탐방을 가기 전
✚
노지 재배에
비해 낮은
가격경쟁력
노지재배와
식물공장 상품간
소비자의 인지 품질의
큰 차이 없음
기반기술의
특성상 생산
비용의 획기적
감축의 여지가
적음
“노지 재배와 경쟁시 사업성 낮음”
✚
식량 안보에
대한 효율적 대비책
저탄소
녹색기술
식품 안정성에
대한 시회적
요구를
충족시킬수
있는 대안
식물공장의
단기적 사업성
식물공장의
기반 기술
“대의적으로 필수적인 기술임”
VS
VS
우리는 연구탐방을 통해 노지 재배와 경쟁하는 형태로 식물공장 산업의 초기시장을 형성한다는 것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시장 여건이 변화하여 식물공장 비지니스가 노지 재배와 경쟁할 수 있을 만큼 대중화되는 시점까지
식물공장의 기반 기술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형태의 사업성을 확보 할 필요가 있다. 쉽게 말해서 현재
식물공장을 통해 채소 따위를 생산하고 그것을 파는 형태로는 충분한 사업성을 확보하는 것도, 초기 시장 형성도 어렵기
때문에 다른 형태로 사업성을 확보하고 관심과 투자를 이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첫 번째 전략 테마로 선정한 것이
B2oC (business to overseas customer), 즉 수출시장을 공략하자는 것이다. 수출시장에 대해서는 노지 재배가 어려운
중동지역이나 아프리카 등에 식물공장 플렛폼 그 자체를 판매하는 것이다. 이것은 실제로 미쓰비시 화학이나 마루베니 상사와
같은 일본 대기업들이 중동지역 등에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을 판매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LED 산업을
중심으로 몇몇 식물공장 기반 기술에 있어 강점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토대로 한국형 식물공장 플렛폼을 개발하고
이것을 판매하는 것이 오히려 경쟁력이 있을 것이다. 표준화 된 식물공장 설비와 함께 효율적인 식물공장 운영 시스템과
전체적 비지니스 운용에 관한 컨설팅과 같은 서비스까지 함께 제공한다면 우리나라만의 차별화된 식물공장 플렛폼으로 해외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것은 한국형 식물공장 플렛폼에 대한 제품 경쟁력을 전제로 한다. 일괄적인 플렛폼
생산이 아니라 수출 타겟 시장의 정확한 분석을 바탕으로 해당 국가에 현지화된 식물공장 플렛폼을 제공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이 될것이다,
또한 두 번째로 노지 재배와 경쟁하지 않으면서 또다른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B2dC (business to domestic
customer), 즉 고부가가치 작물을 중심으로 한 내수시장 구축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지 재배를 통해 재배가 가능한 엽채류
생산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현재 일반적인 식물공장 형태로는 낮은 가격 경쟁력으로 인해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식물공장의 높은 설비,운영 비용을 생각하더라도 굳이 노지에서 생산 가능한 작물을 생산하기 보다는 일반적 노지 환경에서는
생산하기 어려운 고부가가치 농작물들 (인삼, 특수버섯. 해외 소재 특산물, 약용작물 등)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것이 사업
수지에 맞는 전략일 것이다. 희소성으로 인해 단위 가격이 높은 이러한 작물들은 대량 생산이 가능한 식물공장 재배 시스템을
통해서 노지 재배보다 더욱더 값싸게 소비자들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오히려 더 높은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현재 우리나라 제약 산업의 새로운 도약 기회로 떠오르면서 정부차원의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복제 단백질 약품인
바이오시밀러 (biosimilars)와 식물공장을 연계한다면 엄청난 동반 수요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생산에 있어서 식물세포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균일한 상태의 식물 생산이 가능한 식물공장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2015년까지 30조원 규모의 시장이 예상되는 바이오시밀러 산업과 식물공장의 연계는 식물공장의 새로운
성공 비지니스 모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는 식물공장 플렛폼 수출을 통한 수출시장의 구축과 고부가가치 작물 생산, 판매 중심의 내수시장 구축, 이 두 가지를
통해서 노지 재배와 경쟁하지 않으면서 우리나라에 입체적인 식물공장 초기 시장을 구축을 실현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초기시장과 사업성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식물공장 기술을 축적, 발전시켜 나간다면 미래에 전 세계적으로 식물공장 기술이
핵심 주류를 이루면서 노지 재배와 경쟁할 수 있는 시기가 올 때 우리나라의 식물공장 기술이 무리없이 국제적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경우 미쓰비시 화학이나 마루베니 상사 등의 기업에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 형태로 식물공장 플렛폼을 중동 등지로 수출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각 사의 기술에 표준화된 형태로 일괄적으로 생산되어 해외에 수출
되고 있다. 만약 수출시장의 현지 소비자에게 선호되면서 희소가치가 높은
현지 특산물 생산에 최적화된 식물공장 플렛폼을 공급한다면, 수출시장
현지의 구동 환경을 고려하여 보다 에너지 집약적인 식물공장 플렛폼을
공급할 수 있다면 현지 시장의 반응이 더욱더 뜨거울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식물공장은 기본적인 목적 자체가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인데 농산물은 국가와
지역마다 선호도나 희소가치가 모두 다르다. 또한 각 국가 마다 자연 환경은
물론이고 에너지 정책이나 주(主) 에너지원 종류와 사용 가격이 모두 다르다.
따라서 타겟 수출 시장의 자연 및 농업환경, 현지 소비자 선호 농산물, 에너지 정책, 플렛폼 구동 환경 등에 대한 철저한
시장 조사를 통해 수출용 식물공장 플렛폼의‘현지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이 먹는 식물(농산물)을 생산하고
운영시 전력을 필요로 한다는 식물공장의 두 가지 기본 원리상, 플렛폼 수출에 있어‘제품(생산 농산물)과 구동 환경(운영
전력 소요방식)의 현지화’는 성공의 핵심이 될 것이다.
바이오시밀러는 단백질 기반의 복제의약품을 뜻하는 용어로
2012년 이후 연간 50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다수의 대형 바이오 의약품의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특허가
만료된 이 의약품들과 유사한 성분과 효능을 갖도록 만든
복제 의약품을 말한다. 집중적인 R&D 투자 없이도 단기단에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의 확보된 시장에서 수익성을 보장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 제약업계의 새로운 블루오션
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대기업들이 앞다투어
진출하고 있고 정부 또한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 중에 있다.
고가의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동물세포 기반의 생산을 대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생산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세계 최대의 글로벌 제약회사 중
하나인 Pfizer는 작년 초 식물세포를 기반으로 바이오 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식물 기반의 생산
방식은 동물기반에 비해서 배지와 같은 까다로운 환경이 필요 없기 때문에 투자 대비 효율적인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오염가능성이 낮다는 장점 때문에 기존의 바이오 생산 방식을 대체할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여기서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하는 기반이 되는 식물을 균일한 조건과 상태로 생육하는데 식물공장이 응용 될 수 있고 실제로 거론되고 있다.
시장규모가 수십조원에 달하는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그것도 지금이 시장의 초기 단계임을 감안할 때, 바이오시밀러와
연계된 식물공장은 엄청난 동반 수요와 함께 우리나라에 약용식물로 특화된 독자적인 식물공장기술을 축적케 할것이다.
연구 탐방 결론
28
소비자 물가 완충제로서 식물공장 상품의 긍정적인 면을 소비자들에게 전달
사실 초기 기획서에서 제시하고자 했던 Solution2인 소비자의 올바른 식물공장 상품인지 전략은 노지재배와 경쟁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인공적인 환경에서 생산되는 식물공장 상품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을 줄이고 노지 재배 상품과 차별화 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도록 하고자 하는 방안이었다. 하지만 앞서 언급 했듯이 연구 탐방을 통해서 현재 시장 여건이나 소비자
인식으로 미루어 볼때 식물공장은 노지 재배와 경쟁하는 형태로는 초기 시장의 형성도, 사업성의 확보도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초기 기획서의 논리를 조금 수정하여 소비자들의 올바른 식물공장 상품 인지 전략을 상시 구매하는 환경이 아닌 특수한
경우에만 구매가 가능한 맥락 속에서 설명하겠다. 즉 평소에는 노지 재배와 경쟁이 어려우니 노지 재배가 재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소비자에게 농산물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을 때와 같은 경우에만 대체 물량으로 식물공장 생산 농산물을 시중에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초여름 긴 장마와 여름부터 가을까지 년 한 두 차례 지나가는 태풍에 의해서 매년 일정한 수준으로 노지
재배가 타격을 입고 있고 이것이 농산물의 공급량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는 소비자 물가에 악영향을 미친다. 만약 정부 주도
하에 전국적으로 각 지차체에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빌딩형 식물공장을 건설하고 노지 재배에 의한 농산물 공급에 차질이 생겼을
때 식물공장 생산품을 시중에 대체 물량으로 집중 공급한다면 매년 거듭되는 악순환의 부작용은 훨씬 줄어들 것이다. 그러면
소비자 물가상승의 완충 역할을 한 식물공장은 자연스럽게 이슈화가 될것이고 일반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상품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인식될 것이다.
또한 각 지자체별로 빌딩형 식물공장을 지역의 랜드마크화 및 연구 거점화 하여 노지 재배 농산물 공급이 원활한 평시에는 관광과
연계하여 일반 대중에 자연스러운 관심을 유도하고, 동시에 식물공장 기반 기술에 관한 대규모 연구시설로 활용한다면 보다 더
전략적인 식물공장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식물공장 기술과 상품에 대한 대중의 긍정적 관심을 이어간다면 미래에 식물공장이 노지 재배와 경쟁할 수 있는
시기에 별도의 노력 없이 자연스럽게 일반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것이다.
연구 탐방 결론 2 (Solution2.) - 소비자의 식물공장 상품에 대한 올바른 상품인지 전략
[소비자의 올바른 식물공장 상품인지 전략의 테마 ]
▶ 긍정적 이슈화(positive issue-making)를 통한 자연스러운 상품 인지 유도.
정부 주도 하에 식물공장을 농산물의 공급 조절의 보조 인자로 활용, 기상이변으로 노지 재배 농산물
공급이 타격을 받을 시 식물공장 생산품 공급을 통해 소비자 물가를 조절하고 긍정적 이미지 전달
정부 주도 하에 전국 각 지자체 단위별
빌딩형 식물공장 설립 및 운영
노지 재배 농산물의 공급 원활 시 (평상시)
노지 재배 타격으로 농산물의 공급 차질 시
- 빌딩형 식물공장을 지역의 랜드마크화
하여 관광산업과 연계
- 식물공장의 연구 거점화 하여 전략적으로
운영
- 식물공장 농산물을 집중적으로 생산하여
시중에 노지재배 대체 물량을 공급함으로써
소비자 물가 완충제로서의 역할 수행
우리팀은 글로벌 프런티어 선발 이후 기획서 단계에서
인터뷰 및 많은 도움을 주셨던 성균관대학교 이석찬
교수님과 황헌 교수님을 찾아 뵙게 되었다. 두 분
교수님께서는 우리 팀원 모두가 속해있는 생명공학부의
전임 교수님으로서 우리팀의 탐방 기획서를 긍정적으로
검토해 주셨다. 이후 우리 팀의 연구 탐방 주제인
‘식물공장’이 생명공학부 내 세 개의 전공, 즉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유전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 2010년 시작한 교육과학기술부의
학부교육선진화 지원사업(ACE
사업)의 일화임
- 글로벌 이슈 융복합 탐구(IGI)는
특정 분야 전공지식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학제적으로
연구/학습함과 동시에 이를 해외 현지
탐구활동을 통해 체험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임
- 학생들은 다양한 소속을 가진 또래
연구자들로써 팀(team)을 이루어
특정 글로벌 이슈(Global Issue)에
대한 학습 및 탐구계획을 수립하여,
지원 신청을 할 수 있음
- 일정 선발절차를 거쳐 본 프로그램의
지원 대상으로 선발된 학생(team
기준)에게는 항공료 전액과 소정액의
체제비가 지원되며, 학기 중 선행
연구/학습을 위한 지원(공간 배정)
역시 이루어짐
- 신청 및 지원대상은 팀(team) 단위로
하며, 선행 학습 및 탐구 과정 또한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해당 팀 단위로
이루어져야 함
모두를 포괄하는 학문 분야인 동시에 충분한 연구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시고 학부행정실과
연계하여 ‘식물공장’의 학부 교육적 효용에 대해서 검토 하셨다. 몇 번의 교수 회의를
거쳐 식물공장은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의 글로벌이슈융복합탐구(IGI)사업의 주제로
선정 되었다. IGI 사업은 교육과학기술부의 학부교육선진화 지원사업인 ACE사업의
일환으로 다양한 학문 베이스를 가진 학생들이 팀을 이뤄 글로벌 이슈를 탐구하고 해외
현지 탐구활동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우리팀의 연구탐방 주제인 식물공장은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의 2011학년도 1학기, 3학점의 정규 교과목으로 채택 되었으며
우리팀은 공로를 인정받아 전원 우선 수강 및 프로그램 참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생명공학부는 이번 학기를 시작으로 IGI 프로그램의 경과를 지켜본 후 식물공장을 학부
차원의 연구과제로 전략화하여 궁극에는 성균관대 식물공장 연구센터 건립까지 전망하고
있다.
우리팀은 이번 글로벌 프런티어 연구탐방을 통해 얻은 결론과 해결하지 못한 과제를
교내 IGI 프로그램을 통해서 계속해서 탐구,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통해 식물공장에 대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앞으로 식물공장 이슈를
다루는데 전문성을 가지고 임할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Special Thanks
학술논문
김정호, 식물공장의 동향과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진석용, 농업과 제조업의 만남, 식물공장, LG경제연구원, 2010
강희찬,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의 진화: 식물공장, SERI, 2009
김창길,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소, 2008
김정호, 일본의 식물공장 동향과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웹사이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http://www.krei.re.kr
박재억 박사님 블로그 http://plant-factory.tistory.com
삼성경제연구원 http://www.seri.org
LG경제 연구원 http://www.lgeri.com
녹색기술정보포털 http://www.gtnet.go.kr
태연이엔지 http://www.taeyouneng.com
파루스 http://www.growlight.co.kr
일본경제산업성 http://www.meti.go.jp
농촌 진흥청 http://www.rda.go.kr
REFERENCE

Contenu connexe

Similaire à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THE 초식남_탐방 보고서

2009 생명공학백서 2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2009 생명공학백서 2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Soo-Ik Chang
 
협동조합 다시 생각하기 7장
협동조합 다시 생각하기 7장협동조합 다시 생각하기 7장
협동조합 다시 생각하기 7장gdiwelfare
 
첨단농업을 통한 부의 창출 Output
첨단농업을 통한 부의 창출 Output첨단농업을 통한 부의 창출 Output
첨단농업을 통한 부의 창출 Outputnceo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atelier t*h
 
2009 생명공학백서 1장
2009 생명공학백서 1장2009 생명공학백서 1장
2009 생명공학백서 1장Soo-Ik Chang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Weviokorea
 
유기농 즉시유통 사업계획서
유기농 즉시유통 사업계획서유기농 즉시유통 사업계획서
유기농 즉시유통 사업계획서병희 배
 
환경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자원순환 정책 제안
환경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자원순환 정책 제안환경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자원순환 정책 제안
환경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자원순환 정책 제안Amelia Choi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Soo-Ik Chang
 
10_천호식품
10_천호식품10_천호식품
10_천호식품Jewon Ryu
 
스마트창작터 스마트스프링클러 발표자료
스마트창작터 스마트스프링클러 발표자료스마트창작터 스마트스프링클러 발표자료
스마트창작터 스마트스프링클러 발표자료IM JIN HO
 
유기농산물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판매 효율화 전략
유기농산물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판매 효율화 전략유기농산물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판매 효율화 전략
유기농산물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판매 효율화 전략jihoon jung
 
산수경 회사&제품 소개
산수경 회사&제품 소개산수경 회사&제품 소개
산수경 회사&제품 소개Hyoseong Kim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SoonChul Shin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guestb2591a91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guest216e9e1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atelier t*h
 
2012년 마케팅교육 계획(수정)
2012년 마케팅교육 계획(수정)2012년 마케팅교육 계획(수정)
2012년 마케팅교육 계획(수정)Kang Yeon Park
 

Similaire à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THE 초식남_탐방 보고서 (20)

2009 생명공학백서 2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2009 생명공학백서 2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
 
협동조합 다시 생각하기 7장
협동조합 다시 생각하기 7장협동조합 다시 생각하기 7장
협동조합 다시 생각하기 7장
 
첨단농업을 통한 부의 창출 Output
첨단농업을 통한 부의 창출 Output첨단농업을 통한 부의 창출 Output
첨단농업을 통한 부의 창출 Output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2009 생명공학백서 1장
2009 생명공학백서 1장2009 생명공학백서 1장
2009 생명공학백서 1장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유기농 즉시유통 사업계획서
유기농 즉시유통 사업계획서유기농 즉시유통 사업계획서
유기농 즉시유통 사업계획서
 
[10]빛트인
[10]빛트인[10]빛트인
[10]빛트인
 
환경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자원순환 정책 제안
환경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자원순환 정책 제안환경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자원순환 정책 제안
환경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자원순환 정책 제안
 
농촌진흥청 국민디자인단 활동자료
농촌진흥청 국민디자인단 활동자료농촌진흥청 국민디자인단 활동자료
농촌진흥청 국민디자인단 활동자료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10_천호식품
10_천호식품10_천호식품
10_천호식품
 
스마트창작터 스마트스프링클러 발표자료
스마트창작터 스마트스프링클러 발표자료스마트창작터 스마트스프링클러 발표자료
스마트창작터 스마트스프링클러 발표자료
 
유기농산물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판매 효율화 전략
유기농산물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판매 효율화 전략유기농산물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판매 효율화 전략
유기농산물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판매 효율화 전략
 
산수경 회사&제품 소개
산수경 회사&제품 소개산수경 회사&제품 소개
산수경 회사&제품 소개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미래 농업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농업연수원)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2012년 마케팅교육 계획(수정)
2012년 마케팅교육 계획(수정)2012년 마케팅교육 계획(수정)
2012년 마케팅교육 계획(수정)
 

Plus de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Plus de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THE 초식남_탐방 보고서

  • 1.
  • 2.
  • 3. ......아직까지 한국의 식물공장은 걸음마 수준이다. 현재 식물공장을 통해 상품을 공급하고 있는 업체는 인성테크밖에 없다. 인성테크에서는 독자적으로 식물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총 50평 규모이며 월 1만 포기의 상추를 생산하고 있다. 인성테크 안형주 팀장은 “현재 롯데슈퍼 1백50곳을 포함해 신세계와 롯데마트 등에 납품을 하고 있지만, 2천만원가량으로 소규모이다”라고 밝혔다. 롯데마트 장종혁 과장은“행복가든이 생산하는 상추는 1일 8kg 가량으로 매출에는 별로 영향이 없다. 초기 설비 비용을 생각한다면 오히려 손해이다. 다만 홍보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병관 인턴기자 시사저널 2010.8.4 농민신문 2010.8.13 한국경제 2011.2.11 ......일본 정부는 가격 등락이 큰 야채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진작부터 식물공장 건설을 지원해왔다. 일본에서 식물공장은 지난해 50개를 넘어섰고,시장 규모는 100억엔(1350억원)을 돌파했다. 이를 위해 일본 정부가 지난해 지급한 관련 보조금만 146억엔이다. 일본 정부는 민간 기업의 참여를 유도해 내년엔 식물공장 수를 150여개로 늘린다는 목표다...... 차병석 특파원 ......하지만 한국의 식물공장은 아직까지 걸음마 수준이다. 국내 식물공장이 상용화되기까지는 시설 투자비와 한국형 수익모델 개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중략)......식물공장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다. 우선 초기 투자비와 관련 기술에 대한 정부 지원이다. 평균 건설비가 비닐하우스보다 15~20 배나 많고, 조명 등 관련 기술 수준도 세계 최고 수준의 20~72%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김태억 기자
  • 4. - 한국 식물공장 산업이 초기 시장 미형성으로 학문적ㆍ연구적 단계에 머물러 있는 상황. - 초기 시장이 형성 되지 않고 있는 이유를 분석해 보았더니 식물공장 산업 이라는 신사업에 대해서 정부와 민간이 확신을 가지고 참여,투자 할 수 있는 비지니스 모델이 정립되어 있지 않음. - GMO 실패 사례에 비추어 식물공장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 선입견이 초기시장 형성에 심각한 방해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음. 국내 식물공장 산업의 초기시장 형성 - 식물 공장 산업의 선진 시장을 탐방하고 한국형 식물 공장의 성공 비지니스 모델을 제시한다. - 식물공장과 관련된 논문과 신문기사 그리고 인터넷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팀원들과 토의를 통해 식물공장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킴. - 기획서 준비 단계에서 성균관대학교 이석찬 교수님, 황 헌 교수님을 찾아뵈어 식물공장에 대한 조언을 구했고 식물공장연구포럼 2차 정기 세미나 참석을 통해 국내 식물공장 산업 현황에 대해 알게 되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식물공장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식물공장 관련 시장이 형성된 유일한 국가인 일본을 방문하여 식물공장에 관련된 여러가지 벤치마킹요소를 습득해왔다.
  • 5. 1. 식물공장의 개념 2. 식물공장의 필요성 (거시적 측면, 미시적 측면)
  • 6.
  • 7. 식물의 광원으로 태양 대신 특정 빛의 파장을 생산 할 수 있는 LED를 사용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이나 면역성, 생산성 등에 영향을 주는 파장만을 집중적으로 식물에 공급하여 식물의 생육속도 및 생산성의 극대화를 유도한다. 또한 LED는 전력 소비가 형광등에 비해 30% 정도 적고 열발생이 적어 식물공장의 인공광원으로 각광 받고 있다.
  • 8. 내 용분 야 고효율에너지 소재산업 환경/공조 제어산업 식품 바이오 산업 LED 인공조명, 태양전지, 태양열, 지열, 풍력, 2차전지 지능형 로봇응용산업, 실내환경감지, 전력에너지 관리 시스템, RFID/USN을 활용 고기능 특용작물, 안정성 및 특수목적의 항생제, 바이오매스, 바이오에너지 산업 일반 세균 수 (/g) 대장균 수 (/g) 폐쇠형 식물공장 노지 재배 1.0 ×10² 1.0 ×10² 100.0×10⁴ 측정 불가 자료 출처: 일본식물공장보급진흥회 <식물공장과 노지재배의 세균 수 비교>
  • 9. 우리나라의 LED기술 수준은 일본, 미국, 대만에 이어 세계 4위로 시장 점유율이 2.5%정도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응용분야인 가전분야의 경우는 95%정도의 기술수준을 보이고 있다. 또한 LED 이외에도 식물공장과 관련된 국내 기술 수준은 높은 편인데, 배양액 공급 기술, 실내 환경 제어 및 자동화 기술, 식물 생산 공장 자동화 시스템, 육묘 생산 시스템 등 식물공장과 관련한 기초 기반 기술은 세계적 수준이다. 공장 운영 에너지 활용(신재생에너지 분야) 및 정밀 환경제어 기술은 일본과 몇몇 나라에 상대적으로 뒤쳐지지만 전반적으로 관련 기술의 수준이 높아 식물공장 산업을 시작하게 되면 기술면에 있어서는 이미 산업에 진입해 있는 다른 국가와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판단 된다. 즉 우리나라는 식물공장 비지니스를 하기에 유리한 기술적 환경에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식물공장이 활성화 되면 위에서 언급한 국내 다양한 전후방 산업에 신수요를 창출하면서 시너지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 10. 1. 주위 둘러보기 2. 우리 둘러보기 3. 국내 탐방
  • 11.
  • 12. - 현재 우리나라에는 아직 식물공장이라고 부를 수 있는 시설농업은 존재하지 않으며 농업연구기관에서 시험재배를 실시하는 정도임. - 연구는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음. - 국내 몇개의 중소기업과 전라북도, 남양주시,부천시 등의 몇 개의 지자체들이 식물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나 소형 식물공장 형태로 시설과 사업 규모가 매우 영세함. - 정부는 지식경제부를 포함한 3개의 부처를 통해 국내 식물공장에 대한 경과를 지켜보고 있으나 현재 식물공장 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전혀 없음. - 정부는 대기업 중심으로 식물공장 산업이 활성화 되기 시작하면 제도적 지원을 뒷받침하겠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으나 초기 투자 비용이 높은 식물공장 산업의 특성상 이러한 정부 태도 하에서는 국내에 식물공장 초기 시장의 형성 자체가 힘들어 질 수 있음. 따라서 이 두 가지 문제점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하여 국내 식물공장 산업의 초기시장 형성을 실현하는 것이 우리의 본 연구 탐방의 목적이자 반드시 제시하고자 하는 성과이다.”
  • 13.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 이석찬 교수님 sukchan@skku.ac.kr 인터뷰 실시일자 : 10. 10. 06 성균관대학교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학과 황 헌 교수님 hhwang@skku.edu 인터뷰 실시일자 : 10. 11. 03
  • 14.
  • 16. - 물론 표본집단이 137명으로 작은 편으로, 모든 소비자의 경향으로 일반화시킬 만큼 데이터적으로 매우 가치있는 설문은 아니 었으나 농산물의 실구매자인 주부들의 살아있는 의견을 들을 수 있어서 매우 뜻깊었다. - 구매의사를 묻는 질문에는 3분의2 이상이 구매를 하지 않겠다고 하였고 주요한 이유는 땅에서 자연적으로 재배되지 않았다는 점이 꺼림직하다는 막연한 거부감이었다. - 구매를 하겠다는 3분의1의 응답자는 식물공장 생산품이 무농약 무비료 청정 농산물이라는 점이 구매의 이유라고 답했다. - 응답자 대부분은 식물공장 산업의 기반기술의 유용성 및 친환경성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이 긍정적이었으며 구매 의사 유발을 위한 보완요소 설문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먹기 시작하고 식품 안정성이 확실하다는게 스스로 이해 되면 구매를 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
  • 17. 1. Subway 2. PasonaO2 3. Pizzeria LABEFANA 4. Osaka Prefecture University
  • 18.
  • 19.
  • 20.
  • 21.
  • 22. 오사카 부립 대학교 / 박재억 박사님 greenwindgenerator@gmail.com 인터뷰 실시일자 : 11. 1. 25 “소프트웨어(식물공장에서 재배가능한 작물)의 개발이 없이는 결국 식물공장은 한계에 부딪힐 것입니다.”
  • 23. 건설 후 센터의 운영에 대해서는 산학협력이 되어 있는 SANYO, 에스펙믹 등 80 여개의 일본 기업이 운영 자금을 지원 할 것이라고 한다. 박재억 박사님께서는 오사카 부립 대학 식물공장 센터의 차별화된 점으로‘복지형 식물공장’을 말씀하셨다. 노령화에 따른 노인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일본에서 식물공장을 통한 노인들의 작업치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씀 하시면서 식물공장과 작업치료를 융합한‘복지형 식물공장’ 이라는 새로운 가능성도 언급 해주셨다 . 1. 건설 중인 식물공장 센터의 외부 전경 2. 식물공장 센터의 조감도 3. 센터에 대한 박사님의 설명을 듣고 있는 우리
  • 24. 1. 연구탐방 결론 도출배경 2. 연구탐방 결론1 (Solution1) 3. 연구탐방 결론2 (Solution2) 4. 탐방 후 성과
  • 25. 해외 탐방을 가기 전 ✚ 노지 재배에 비해 낮은 가격경쟁력 노지재배와 식물공장 상품간 소비자의 인지 품질의 큰 차이 없음 기반기술의 특성상 생산 비용의 획기적 감축의 여지가 적음 “노지 재배와 경쟁시 사업성 낮음” ✚ 식량 안보에 대한 효율적 대비책 저탄소 녹색기술 식품 안정성에 대한 시회적 요구를 충족시킬수 있는 대안 식물공장의 단기적 사업성 식물공장의 기반 기술 “대의적으로 필수적인 기술임” VS VS
  • 26. 우리는 연구탐방을 통해 노지 재배와 경쟁하는 형태로 식물공장 산업의 초기시장을 형성한다는 것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시장 여건이 변화하여 식물공장 비지니스가 노지 재배와 경쟁할 수 있을 만큼 대중화되는 시점까지 식물공장의 기반 기술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형태의 사업성을 확보 할 필요가 있다. 쉽게 말해서 현재 식물공장을 통해 채소 따위를 생산하고 그것을 파는 형태로는 충분한 사업성을 확보하는 것도, 초기 시장 형성도 어렵기 때문에 다른 형태로 사업성을 확보하고 관심과 투자를 이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첫 번째 전략 테마로 선정한 것이 B2oC (business to overseas customer), 즉 수출시장을 공략하자는 것이다. 수출시장에 대해서는 노지 재배가 어려운 중동지역이나 아프리카 등에 식물공장 플렛폼 그 자체를 판매하는 것이다. 이것은 실제로 미쓰비시 화학이나 마루베니 상사와 같은 일본 대기업들이 중동지역 등에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을 판매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LED 산업을 중심으로 몇몇 식물공장 기반 기술에 있어 강점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토대로 한국형 식물공장 플렛폼을 개발하고 이것을 판매하는 것이 오히려 경쟁력이 있을 것이다. 표준화 된 식물공장 설비와 함께 효율적인 식물공장 운영 시스템과 전체적 비지니스 운용에 관한 컨설팅과 같은 서비스까지 함께 제공한다면 우리나라만의 차별화된 식물공장 플렛폼으로 해외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것은 한국형 식물공장 플렛폼에 대한 제품 경쟁력을 전제로 한다. 일괄적인 플렛폼 생산이 아니라 수출 타겟 시장의 정확한 분석을 바탕으로 해당 국가에 현지화된 식물공장 플렛폼을 제공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이 될것이다, 또한 두 번째로 노지 재배와 경쟁하지 않으면서 또다른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B2dC (business to domestic customer), 즉 고부가가치 작물을 중심으로 한 내수시장 구축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지 재배를 통해 재배가 가능한 엽채류 생산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현재 일반적인 식물공장 형태로는 낮은 가격 경쟁력으로 인해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식물공장의 높은 설비,운영 비용을 생각하더라도 굳이 노지에서 생산 가능한 작물을 생산하기 보다는 일반적 노지 환경에서는 생산하기 어려운 고부가가치 농작물들 (인삼, 특수버섯. 해외 소재 특산물, 약용작물 등)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것이 사업 수지에 맞는 전략일 것이다. 희소성으로 인해 단위 가격이 높은 이러한 작물들은 대량 생산이 가능한 식물공장 재배 시스템을 통해서 노지 재배보다 더욱더 값싸게 소비자들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오히려 더 높은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현재 우리나라 제약 산업의 새로운 도약 기회로 떠오르면서 정부차원의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복제 단백질 약품인 바이오시밀러 (biosimilars)와 식물공장을 연계한다면 엄청난 동반 수요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생산에 있어서 식물세포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균일한 상태의 식물 생산이 가능한 식물공장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2015년까지 30조원 규모의 시장이 예상되는 바이오시밀러 산업과 식물공장의 연계는 식물공장의 새로운 성공 비지니스 모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는 식물공장 플렛폼 수출을 통한 수출시장의 구축과 고부가가치 작물 생산, 판매 중심의 내수시장 구축, 이 두 가지를 통해서 노지 재배와 경쟁하지 않으면서 우리나라에 입체적인 식물공장 초기 시장을 구축을 실현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초기시장과 사업성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식물공장 기술을 축적, 발전시켜 나간다면 미래에 전 세계적으로 식물공장 기술이 핵심 주류를 이루면서 노지 재배와 경쟁할 수 있는 시기가 올 때 우리나라의 식물공장 기술이 무리없이 국제적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 27. 일본의 경우 미쓰비시 화학이나 마루베니 상사 등의 기업에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 형태로 식물공장 플렛폼을 중동 등지로 수출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각 사의 기술에 표준화된 형태로 일괄적으로 생산되어 해외에 수출 되고 있다. 만약 수출시장의 현지 소비자에게 선호되면서 희소가치가 높은 현지 특산물 생산에 최적화된 식물공장 플렛폼을 공급한다면, 수출시장 현지의 구동 환경을 고려하여 보다 에너지 집약적인 식물공장 플렛폼을 공급할 수 있다면 현지 시장의 반응이 더욱더 뜨거울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식물공장은 기본적인 목적 자체가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인데 농산물은 국가와 지역마다 선호도나 희소가치가 모두 다르다. 또한 각 국가 마다 자연 환경은 물론이고 에너지 정책이나 주(主) 에너지원 종류와 사용 가격이 모두 다르다. 따라서 타겟 수출 시장의 자연 및 농업환경, 현지 소비자 선호 농산물, 에너지 정책, 플렛폼 구동 환경 등에 대한 철저한 시장 조사를 통해 수출용 식물공장 플렛폼의‘현지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이 먹는 식물(농산물)을 생산하고 운영시 전력을 필요로 한다는 식물공장의 두 가지 기본 원리상, 플렛폼 수출에 있어‘제품(생산 농산물)과 구동 환경(운영 전력 소요방식)의 현지화’는 성공의 핵심이 될 것이다. 바이오시밀러는 단백질 기반의 복제의약품을 뜻하는 용어로 2012년 이후 연간 50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다수의 대형 바이오 의약품의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특허가 만료된 이 의약품들과 유사한 성분과 효능을 갖도록 만든 복제 의약품을 말한다. 집중적인 R&D 투자 없이도 단기단에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의 확보된 시장에서 수익성을 보장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 제약업계의 새로운 블루오션 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대기업들이 앞다투어 진출하고 있고 정부 또한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 중에 있다. 고가의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동물세포 기반의 생산을 대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생산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세계 최대의 글로벌 제약회사 중 하나인 Pfizer는 작년 초 식물세포를 기반으로 바이오 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식물 기반의 생산 방식은 동물기반에 비해서 배지와 같은 까다로운 환경이 필요 없기 때문에 투자 대비 효율적인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오염가능성이 낮다는 장점 때문에 기존의 바이오 생산 방식을 대체할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여기서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하는 기반이 되는 식물을 균일한 조건과 상태로 생육하는데 식물공장이 응용 될 수 있고 실제로 거론되고 있다. 시장규모가 수십조원에 달하는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그것도 지금이 시장의 초기 단계임을 감안할 때, 바이오시밀러와 연계된 식물공장은 엄청난 동반 수요와 함께 우리나라에 약용식물로 특화된 독자적인 식물공장기술을 축적케 할것이다.
  • 28. 연구 탐방 결론 28 소비자 물가 완충제로서 식물공장 상품의 긍정적인 면을 소비자들에게 전달 사실 초기 기획서에서 제시하고자 했던 Solution2인 소비자의 올바른 식물공장 상품인지 전략은 노지재배와 경쟁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인공적인 환경에서 생산되는 식물공장 상품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을 줄이고 노지 재배 상품과 차별화 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도록 하고자 하는 방안이었다. 하지만 앞서 언급 했듯이 연구 탐방을 통해서 현재 시장 여건이나 소비자 인식으로 미루어 볼때 식물공장은 노지 재배와 경쟁하는 형태로는 초기 시장의 형성도, 사업성의 확보도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초기 기획서의 논리를 조금 수정하여 소비자들의 올바른 식물공장 상품 인지 전략을 상시 구매하는 환경이 아닌 특수한 경우에만 구매가 가능한 맥락 속에서 설명하겠다. 즉 평소에는 노지 재배와 경쟁이 어려우니 노지 재배가 재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소비자에게 농산물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을 때와 같은 경우에만 대체 물량으로 식물공장 생산 농산물을 시중에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초여름 긴 장마와 여름부터 가을까지 년 한 두 차례 지나가는 태풍에 의해서 매년 일정한 수준으로 노지 재배가 타격을 입고 있고 이것이 농산물의 공급량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는 소비자 물가에 악영향을 미친다. 만약 정부 주도 하에 전국적으로 각 지차체에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빌딩형 식물공장을 건설하고 노지 재배에 의한 농산물 공급에 차질이 생겼을 때 식물공장 생산품을 시중에 대체 물량으로 집중 공급한다면 매년 거듭되는 악순환의 부작용은 훨씬 줄어들 것이다. 그러면 소비자 물가상승의 완충 역할을 한 식물공장은 자연스럽게 이슈화가 될것이고 일반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상품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인식될 것이다. 또한 각 지자체별로 빌딩형 식물공장을 지역의 랜드마크화 및 연구 거점화 하여 노지 재배 농산물 공급이 원활한 평시에는 관광과 연계하여 일반 대중에 자연스러운 관심을 유도하고, 동시에 식물공장 기반 기술에 관한 대규모 연구시설로 활용한다면 보다 더 전략적인 식물공장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식물공장 기술과 상품에 대한 대중의 긍정적 관심을 이어간다면 미래에 식물공장이 노지 재배와 경쟁할 수 있는 시기에 별도의 노력 없이 자연스럽게 일반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것이다. 연구 탐방 결론 2 (Solution2.) - 소비자의 식물공장 상품에 대한 올바른 상품인지 전략 [소비자의 올바른 식물공장 상품인지 전략의 테마 ] ▶ 긍정적 이슈화(positive issue-making)를 통한 자연스러운 상품 인지 유도. 정부 주도 하에 식물공장을 농산물의 공급 조절의 보조 인자로 활용, 기상이변으로 노지 재배 농산물 공급이 타격을 받을 시 식물공장 생산품 공급을 통해 소비자 물가를 조절하고 긍정적 이미지 전달 정부 주도 하에 전국 각 지자체 단위별 빌딩형 식물공장 설립 및 운영 노지 재배 농산물의 공급 원활 시 (평상시) 노지 재배 타격으로 농산물의 공급 차질 시 - 빌딩형 식물공장을 지역의 랜드마크화 하여 관광산업과 연계 - 식물공장의 연구 거점화 하여 전략적으로 운영 - 식물공장 농산물을 집중적으로 생산하여 시중에 노지재배 대체 물량을 공급함으로써 소비자 물가 완충제로서의 역할 수행
  • 29. 우리팀은 글로벌 프런티어 선발 이후 기획서 단계에서 인터뷰 및 많은 도움을 주셨던 성균관대학교 이석찬 교수님과 황헌 교수님을 찾아 뵙게 되었다. 두 분 교수님께서는 우리 팀원 모두가 속해있는 생명공학부의 전임 교수님으로서 우리팀의 탐방 기획서를 긍정적으로 검토해 주셨다. 이후 우리 팀의 연구 탐방 주제인 ‘식물공장’이 생명공학부 내 세 개의 전공, 즉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유전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 2010년 시작한 교육과학기술부의 학부교육선진화 지원사업(ACE 사업)의 일화임 - 글로벌 이슈 융복합 탐구(IGI)는 특정 분야 전공지식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학제적으로 연구/학습함과 동시에 이를 해외 현지 탐구활동을 통해 체험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임 - 학생들은 다양한 소속을 가진 또래 연구자들로써 팀(team)을 이루어 특정 글로벌 이슈(Global Issue)에 대한 학습 및 탐구계획을 수립하여, 지원 신청을 할 수 있음 - 일정 선발절차를 거쳐 본 프로그램의 지원 대상으로 선발된 학생(team 기준)에게는 항공료 전액과 소정액의 체제비가 지원되며, 학기 중 선행 연구/학습을 위한 지원(공간 배정) 역시 이루어짐 - 신청 및 지원대상은 팀(team) 단위로 하며, 선행 학습 및 탐구 과정 또한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해당 팀 단위로 이루어져야 함 모두를 포괄하는 학문 분야인 동시에 충분한 연구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시고 학부행정실과 연계하여 ‘식물공장’의 학부 교육적 효용에 대해서 검토 하셨다. 몇 번의 교수 회의를 거쳐 식물공장은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의 글로벌이슈융복합탐구(IGI)사업의 주제로 선정 되었다. IGI 사업은 교육과학기술부의 학부교육선진화 지원사업인 ACE사업의 일환으로 다양한 학문 베이스를 가진 학생들이 팀을 이뤄 글로벌 이슈를 탐구하고 해외 현지 탐구활동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우리팀의 연구탐방 주제인 식물공장은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의 2011학년도 1학기, 3학점의 정규 교과목으로 채택 되었으며 우리팀은 공로를 인정받아 전원 우선 수강 및 프로그램 참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생명공학부는 이번 학기를 시작으로 IGI 프로그램의 경과를 지켜본 후 식물공장을 학부 차원의 연구과제로 전략화하여 궁극에는 성균관대 식물공장 연구센터 건립까지 전망하고 있다. 우리팀은 이번 글로벌 프런티어 연구탐방을 통해 얻은 결론과 해결하지 못한 과제를 교내 IGI 프로그램을 통해서 계속해서 탐구,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통해 식물공장에 대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앞으로 식물공장 이슈를 다루는데 전문성을 가지고 임할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 30. Special Thanks 학술논문 김정호, 식물공장의 동향과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진석용, 농업과 제조업의 만남, 식물공장, LG경제연구원, 2010 강희찬,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의 진화: 식물공장, SERI, 2009 김창길,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소, 2008 김정호, 일본의 식물공장 동향과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웹사이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http://www.krei.re.kr 박재억 박사님 블로그 http://plant-factory.tistory.com 삼성경제연구원 http://www.seri.org LG경제 연구원 http://www.lgeri.com 녹색기술정보포털 http://www.gtnet.go.kr 태연이엔지 http://www.taeyouneng.com 파루스 http://www.growlight.co.kr 일본경제산업성 http://www.meti.go.jp 농촌 진흥청 http://www.rda.go.kr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