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8
Télécharger pour lire hors ligne
박사학위논문요약(히로시마대학대학원 교육학연구과)

   한일 초중학생간 인터넷교류수업에서의
   이문화커뮤니케이션 행동에 관한 연구
                                               - 조규복 -
               제1장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1절 연구의 의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 위해 ‘외국인과의 접촉’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는 것이 Allport(1954)를 비롯한 수많은 연구에서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원격지에 사는 외
국인과 직접 접촉하는 기회가 적고 또 직접적인 접촉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외국인과의 간접적인 접촉이 가능하게 되었고,
인터넷을 통한 교류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검토도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한 간접적인 접촉은 직접적인 접촉과 다른 다양한 제약 조건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
라서 인터넷을 통해 외국인과의 교류를 통해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 위해서
는 그 제약과 유의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제2절 선행 연구의 동향
 인터넷을 통해 양자 간의 상호작용 기록을 검토한 Liaw와 Johnson(2001), Lin과
Schwartz(2003)의 연구는 상호작용 기록의 화제를 검토했지만 그 화제가 수량화되지 않았
기 때문에, 화제의 출현 빈도를 비교하거나 화제 빈도에 반영되는 화제의 중요도 등을 비교
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문화 이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화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검토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통신 기록을 분석하는 데 단순히 화제를 추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인터넷 교류의 개선 방법을 시야에 넣고 화제의 수량 분석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면접 조사, 서술형과 객관식 질문지조사를 바탕으로 한 Itakura(2004)는 ‘학교와 대중 매체
에서 얻은 정보와 E-mail 교류에서 얻은 정보 사이에 어떤 불일치가 발생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되어 있지 않다. 또한 Thurston(2004)에서는 ’민족성에 대한 서술형 기록에
나타난 어떤 언어 표현이 이문화 이해의 판단 기준이 되는 것인가‘라는 점에 대한 검토가
충분하지 않다. 또한 森田 외(2004)에서는 분석 데이터가 수업 전후에 실시된 복수 선택형
질문지 코딩 기록이기 때문에 수업 중에 어떤 교류 활동이 문화 이해 촉진에 기여했는지를
밝힐 수 없고, 문화 이해를 높이기 위한 교류 수업의 진행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시사를 얻
을 수 없다.

                          - 1 -
이상과 같이 인터넷을 통한 문화 교류에 관한 선행연구는 모두 교류활동의 내용 및 데이터
분석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인터넷 교류의 효과를 시사하고는 있지만, 인터넷을 통해 외국
사람과의 교류를 통해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 위한 조건과 유의점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제3절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을 통해 외국인과의 교류를 통해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
성하기위한 조건과 유의점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 교류를 실시하고 교환 행
동의 실태와 효과를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 위
한 인터넷 교류수업을 디자인한 후, 학교 교사에게 수업의 일환으로 실시해 줄 것을 의뢰했
다. 또한 인터넷 교류 수업을 디자인할 때에는 Macrae, Stanger & Hewstone (1996) ‘문화
의 인격화‘ 가설, Brewer(1988)의 ‘개인화’및 佐藤(1999)의 '페어링‘ 개념을 참고하여 1대1 로
짝을 지었고, 또한 1대 1 관계 형성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E-mail과 채팅 기능을 이용했
다. 그리고 교환 기록과 교류 수업 시작과 마지막에 실시한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관
한 설문조사 기록을 분석하고 교류의 실태와 능력의 변화를 검토했다. 그 후, 교환 기록 질
문지 조사의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위한 조건과
유의 사항을 고려했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국적은 일본과 한국으로 하였다.

제2장 인터넷 교류수업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촉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제1절 한일초등학생간 채팅교류수업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행동 분석 [연구 1]
○목적 :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 육성을 위한 인터넷 교류수업 방법을 탐구하는 본 연
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 1】에서는 동기식 채팅교류에서의 학생간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분석했다.
○방법 : 동경의 공립 K초등학교와 서울의 공립 M초등학교 6학년 72명 (일본 35명, 한국
37명)을 대상으로 채팅 기능과 기계번역기능을 이용한 인터넷 교류 수업을 4회 실시했다.
또한 서울과 동경의 두 초등학교에서는 pre-test, post-test의 질문지 조사를 위해 2시간분
의 수업이 사용되었고, 동경 K초등학교에서는 채팅 연습을 위해 추가로 1시간분의 수업이
사용되었다.
○결과와 고찰
(1)설문조사 분석결과
요인분석 결과, 2요인(요인1 ‘타인 수용’, 요인2 ‘이문화 수용’)이 추출되었다. 두 요인자에
대해, 시간(수업 전/후) × 국적(일본/한국) × 성별(남/여)의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을 실
시한 결과, 한국학생의 ‘이문화 수용’이 감소되었고, 일본학생의 ‘이문화 수용’은 향상되었



                             - 2 -
다. 또한 교류 수업 후 일본과 한국학생 모두 ‘타인 수용'이 저하된 것이 확인되었다.
(2)채팅기록 내용분석결과
36개의 화제를 추출한 후 이를 6개의 카테고리 (개인정보, 개인 취향, 인간관계, 친근감,
학교, 국가)로 분류하여 수량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인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즉, 학
생들은 ‘상대’와 ‘상대 국가’를 염두하며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한국(일본) 교류
수업 전에 알고 있던 일본(한국)이 아니라 지금 자신과 교류하고 있는 ‘상대의 국가'로   인
식하고 있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한일 양국간의 역사를 화제로 하는 장면도 종종 볼 수 있었다. 그 화제는 일본과 한
국의 영토문제와 식민지 또는 전쟁 등 양국의 바람직하지 않은 관계를 나타내는 역사에 한
정되어 있었다. 이러한 주제에 대한 상호작용 속에서 일본학생은 침묵과 당황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한국학생은 스스로 이러한 화제를 꺼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가 마음에 걸리고 불안
해 하는 모습이 채팅기록속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오역과 오해로 인해 학생들이 답답해 하는 장면이 적지 않았다. 오역이 생기는 이
유로 먼저 한일(일한) 기계번역 기능이 불완전한 점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양국의 학생들이
구어를 사용하거나 축약 및 글자를 틀리게 입력해서 제대로 번역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
았다.
【연구 1】 채팅 교류수업에서는 ‘개인화’된 모습이 보였던 것으로부터 ‘국가’의 카테고리를
사용하기 어려워져, 고정관념과 편견을 줄일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런 의미에서 자기 소
개서 교환 및 1대 1 페어링은 인터넷 교류를 통한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촉진 조건
이 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본학생의 ‘이문화 수용’이외의 향상을 볼
수 없었던 이유로 채팅 교류의 산만함과 피상성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지금까지 몰랐던 외
국인 상대와 처음으로 단둘이 채팅하면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어려웠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므로 교류과정에 대한 교사의 개입이 수업 중에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도 요인 중 하나로 언급할 수 있다.


제2절 한일초등학생간 E-mail 교류수업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행동 분석【연구 2】
 ○목적 :【연구 1】에서 채팅교류수업의 문제점으로 지목된 피상성과 산만성을 개선하고
【연구 2】에서는 E-mail교류 수업에서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위한 조건과
유의점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상호작용의 특성과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변화를 분
석하여 화제를 추출한 후 수량화하여 화제간 비교를 실시했다. 또한 질문지 기록을 분석하
고 ‘이문화 수용'과 '타인 수용’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교환 기록과 질문지 기록 및 분석 결
과를 바탕으로 교류의 산만함과 피상성 문제에 대해 검토했다.
○방법 : 동경의 공립 S초등학교와 서울의 공립 M초등학교 4학년 총 139명(일본 67 명,
한국 72명)을 대상으로 E-mail 기능을 이용한 인터넷 교류수업을 4회 실시했다. 또한 교류
수업은 기계 번역 기능을 이용하는 그룹과 필자의 번역을 사용하는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했
다.




                        - 3 -
○결과와 고찰
(1)설문조사 분석결과
요인분석 결과, 【연구 1】과 같이 2요인(‘타인 수용’과 ‘이문화 수용’)이 추출되었다. 이
두 요인에 대해, 시간(수업 전/후) × 국적(일본/한국) × 성별 (남/여) × 번역 방법(기계번역
/필자번역) 반복 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류수업을 통해 일본학생은 한국학
생에 비해 ‘이문화수용’이 향상되었고, 한국학생은 감소되었다. 또한 교류 수업을 통해 필자
번역 그룹의 ‘타인 수용’이 감소되었다. 또한 필자 번역 - 일본학생의 ‘타인 수용’이 감소하
였다.
(2)E-mail의 내용분석결과
한국학생의 문장 수가 일본학생보다 많았고, 한국학생의 ‘이문화 수용’은 하락했지만, 일본
학생은 향상되었다. 이처럼 국적별로 변화 패턴이 다른 원인으로 두 학생 간의 문장 수의
차이를 꼽을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수업 전에 양국의 학생간 교환되는 문장 수의 균형
을 유지하기 위해 상대국에 대한 흥미·관심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하나의 메일 평균 문장 수는 16개로 화제수는 10개 이상이었다. 이를 통해 이메일 작성
중에 여러번 화제를 바꾸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내용이 피상적(산만)으로 되어 상대에 대
해서 깊이 생각하는 것이 어렵고, 그 결과 전체적으로 '타인 수용‘이 향상되지 않았을 것으
로 판단된다.
채팅에서 E-mail로 인터넷 기능을 바꾸는 것만으로 산만함과 피상성의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는 것을 말할 수 있다. 그 극복을 위해서는 화제를 좁히도록 지도하는 것, 그리고
상대국가의 문화를 접하고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사전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
각된다. 또한, 초등학생보다 정보활용능력과 작문능력이 높은 중학생 이상을 대상으로 인터
넷 교류수업을 검토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교류기록을 분석하는 방법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즉, 하나의 문장에서
하나의 화제를 추출하였기 때문에 ‘누가 무엇을 어떻게 말했는가?’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맥이 간과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관련된 문맥’을 고려한
분석하기 위해서는 ‘누가’ ‘어느 국가의’ ‘무엇에 대해서’ ‘어떻게’ 발언을 했는지를 구분하고
수량화할 필요가 있다.


제3절 한일중학생간 E-mail 교류수업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행동 분석 [연구 3]
◯목적 : 【연구 3】의 목적은 의【연구 2】의 교류수업과 분석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E-mail 교류 수업에서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위한 조건과 유의점을 분명
히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연구 3】에서는 교환기록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이
문화 수용’과 ‘타인 수용’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했다.
◯방법 : 히로시마 공립 H중학교와 서울의 공립 D중학교 1학년 242명(일본 121명, 한국
121명)을 대상으로 E-mail 기능을 이용한 인터넷 교류 수업을 각 중학교에서 3회씩 실시했
다. 【연구 1】과 【연구 2】의 요인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질문지 조사를 10분정도에 마치




                          - 4 -
고 이어서 E-mail 교류수업을 할 수 있도록 질문지 항목수를 줄이고 그 내용도 대답하기
쉽도록 수정했다. 또한 화제가 분산되지 않도록 첫 번째 E-mail 교류에서는 자기소개 내용
을 서두에 쓰도록 했다. 그리고 두 번째 E-mail은 ‘새해를 맞이하는 소감’을 포함해서 메일
을 작성하도록 유도하여 공통의 화제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연구 2】와 달리 E-mail 문장의 문맥을 고려하여 분석했다. 즉, 모든 이메일의 각 문장은
누가(한국학생/일본학생) 어느 국가의(한국/일본) 무엇(개인, 가족, 친구, 학교, 국가)에 대해
서 어떻게(피상적/심층적) 기술했는지를 코딩하고 수량화 했다. 이메일교류수업에 대한 기술
과 인사말 그리고 양국의 문화에 대한 고유명사(연예인이름, 지명, 음식명 등)는 별도로 수
량화했다. 그리고 문맥을 고려해 문장을 수량화한 자료(질적자료의 양적자료화)와 설문지조
사자료를 통해 상호관계를 비교분석했다.
◯결과와 고찰
(1)설문조사 분석결과
 요인분석 결과, 2요인(‘타인 수용’과 ‘이문화 수용’)이 추출되었다. ‘이문화 수용'과 '타인
수용’의 두 요인에 대해 시간(수업 전/후) × 국적 (일본/한국) × 성별 (남/여)의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국 학생의 ‘이문화 수용’이 향상되었다. 또한 여학생이 남
학생보다 ‘이문화 수용’과 ‘타인 수용’이 높았다. 또한 남학생들이 교류 수업을 통해 ‘타인
수용’이 향상되었다.
(2)E-mail의 내용 분석결과 1(내용분석자료와 )
전체적으로 여학생이 1회 E-mail 평균 문장 수가 25.6개로 남학생의 18.15개보다 더 많
았다. 이러한 문장수 차이의 배경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이문화 수용'과 '타인 수용’이
높은 것을 언급할 수 있다.
한국 학생은 일본 상대가 일본 문화와 E-mail교류수업에 관한 의견이나 생각을 많이 언급
할수록 ‘이문화 수용’이 향상되었지만, 일본 학생은 한국 상대가 일본 문화의 고유명사를 많
이 언급할수록 향상되었다. 한편, '타인 수용‘에 대해서는 한국 학생이 일본 상대가 일본 문
화에 대한 감상이나 생각을 많이 언급할수록, 일본 학생은 한국 학생들이 일본 문화의 고유
명사와 일본의 학교에 대한 감상과 생각을 많이 언급할수록 향상되었다. 또한 E-mail 문장
수가 많을 수록 ’이문화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타인 수용‘에 반드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대학생이 평소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대중문화에 대해 대화를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먼저 상대국의 대중문화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할 수 있
다. 또한 일본과 한국의 초중학생이 관심을 가지는 애니메이션이나 가수, 영화, 게임 등의
경우 일본의 초등학생에게 인기있는 일본의 대중문화는 한국의 초중학생에게 잘 알려져 있
지만, 한국 초중학생이 관심을 가지는 한국의 대중문화는 일본의 초중학생에게 거의 알려지
지 않은 것이 이번 E-mail 기록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양국의 학생들이 대중 문화
의 영향이 더 강한 나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대중문화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국가에
사는 학생의 ‘타인 수용’과 약한 국가에 사는 학생의 ‘이문화 수용’이 향상되는 불균형적인




                          - 5 -
교류가 될 수도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
류 기간 동안 서로 대중문화 관련 사진, 그림, 음성 등을 전송 등으로 주고받는 것을 제안
할 수 있다. 덧붙여 상대의 학교 생활과 자국의 문화에 대한 피상적인 언급은 반대로 상대
의 ‘타인 수용’을 감소시킬수 도 있다는 분석 결과를 통해 피상적인 자기 공개는 상대와의
관계를 해칠 우려가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3) E-mail의 내용 분석결과 2 - 교환을 방해하는 화제 검토
양국 학생이 보여준 한일 양국 간의 역사·정치 문제에 관한 화제는 주로 ‘상대국의 역사
교육’ ‘독도(타케시마) 문제’ ‘야스쿠니 신사 참배' 3가지였고, 이러한 과거의 역사와 현재의
상대국의 역사교육 그리고 독도 문제에 대해 양국 학생들은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학생들은 과거 식민지 역사의 연장선상에 지금의 일본의 역사 교육
문제와 독도와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을 괴롭히
는 국가’로서 일본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 일본 학생들은 ‘그 과거는 60년 전의
것으로, 전후부터 일본은 한국을 위협하고 있지 않다’고 언급하거나, 독도와 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한국사람들에게 문제시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서 이러한 문제 자체에 별로 관심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양국의 학생들의 메일에서 상대국의 역사 교육에 문제가
있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거의 역사를 포함해 독도와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의 문제에 대해 일본과 한국의 인식과
근거 등을 이해하여 한일 양국의 학생의 고정 관념과 편견의 재생 및 확산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류 수업 중 양국의 사회나 역사교과 교사와 협력하여 수업을 설계
하는 것도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제3장 총괄
 질문지의 분석을 통해 채팅보다 E-mail 교류가, 기계 번역 기능보다 2개국어능통자 번역
이, 그리고 초등학생보다 중학생이 더 인터넷 교류 조건으로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추측된다.
【연구 3】 중학생의 경우 【연구 2】 초등학생과는 달리, 양국 학생간 문장 수의 불균형이
눈에 띄지 않았고 ‘타인 수용’이 향상되었다. 또한 E-mail기록 내용분석결과 외국에 대한 카
테고리화의 반응을 감소시키고, 고정관념과 편견을 줄이기 위해서는 개인화 처치(페어링, 자
기소개서 작성 등)이 효과적이었음이 밝혀졌다.
 또한 인터넷 교류 수업은 문화에 대한 관심과 친근감 등 ‘이문화 수용’태도의 육성 측면에
서 효과가 인정되었지만, 타인과의 갈등 상황이 발생했을 때의 극복 능력 등을 포함한 ‘타인
수용’태도의 육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원인으로 ‘통신 내용의 피상
성’, ‘작문 능력과 문자입력 능력 부족’, ’상대국에 대한 대중문화의 영향력 차이‘, ’양국 간의
바람직하지 않은 역사·정치 문제가 언급되었을 때의 망설임‘ 등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 6 -
제1절 이론적 고찰
 Allport(1954)와 Brewer(1988)를 참고로 디자인한 '외국인과 개인적인 접촉‘을 지원하는 개
인화 처치(페어링, E-mail/채팅을 통한 1대 1 상호작용, 자기소개 교환 등)에 따라 ’개인화
‘가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를 통해 이문화에 대한 관심을 포함한 ’이문화
수용‘이 향상되면서 이문화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지고 이문화에 대한 감수성이 발달한다는
Hoopes(1979)와 Benett(1993) 이문화 이해 과정이 진행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연
구에서 밝혀진 ’기존의 이문화에 대한 카테고리를 사용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Hoopes(1979) ’자문화·자민족중심주의'와 Benett(1993)의 ‘부정·방위·최소화’의 문제를 극복
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적인 접촉‘과 ’개인화‘를 통해 형성된 ’양자 간의 1대 1
의 교환‘을, 그 내용의 깊이에 따라 ’피상적인 개인화‘와 ’심층적인 개인화'로 분류하고, 양자
가 ‘이문화 수용'과 '타인 수용’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했다. 그 결과, 【연구 1】·【연구 2】·
【연구 3】모두에서 ’피상적인 개인화‘를 통해서도 ’이문화 수용‘이 향상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 3】에서 한국학생들의 피상적인 문장이 일본학생의 ’타인 수용‘에 대
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로부터 해외 학생과의 교류를 수업에 접목할 경우, ’피상
적인 개인화‘가 ’타인 수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주의를 기울여 수업을 디자인하고 진
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구 3】에서 보인 일본과 한국 학생의 심층적인 문장을 통해 상대방의 ‘타인 수용’
이 향상되는 결과는 ‘심층적인 개인화’가 ‘타인 수용’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해외 대학과 인터넷 교류 수업을 실시하는 경우에 ‘이문화 수용‘뿐만 아니라 ’타인
수용‘능력의 육성을 도모하기 위해 ’심층적인 개인화‘를 도모하는 교류 환경을 사전에 디자
인해야 할 것이다. 또한 외국 학생들과 인터넷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경우 자기 소개와 양국
의 정보 및 양자의 학교 등의 화제에 대해 피상적으로 대화하는 것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가
능하면 장기적인 교환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절 앞으로의 과제
 본 연구에서 다룬 인터넷 교류 수업은 3-4개월의 기간동안 이루어졌지만 수업시수로는 (설
문조사와 인터넷교류 사전연습으로 사용된 2-3시간을 제외하면) 모두 4시간 이하였다. 따라
서 양국의 학생들이 보다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기에 한계가 있었
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인터넷 교류를 수업에 도입하여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육성
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교류가 필요하고 이러한 장기간의 교류를 대상으로 하는 연
구가 요구된다.
 또한 교류 수업이 이루어진 사회적 맥락에 대한 검토가 부족했던 점도 본 연구의 한계이
며, 향후의 과제로 지적하고 싶다. 【연구 1】과 【연구 2】의 교류수업은 2002년 한일 공동
개최 월드컵이 개최되고 있던 시기이며, 【연구 3】 교류 수업은 2005 년도에 한국의 대중
문화가 일본에서 널리 소개되며, 한류가 발생할 즈음이었다. 이러한 양국의 큰 영향을 미치


                            - 7 -
는 사회의 사건이 양국 학생의 인터넷 교류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았을 것이라고 판단된
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필자와의 접촉이 어떤 예기치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고려
하여 필자는 교류 기간 동안 교실에 수업을 돕거나 학생들과 직접 인터뷰를 하는 등의 직접
접촉을 삼가했다. 따라서 질문지와 E-mail과 채팅 자료를 기반으로 이문화 이해 과정의 추
측·검토를 할 수 있었지만, 개별 학생의 이문화 교류 과정에 대한 자세한 분석·검토를 하는
것은 어려웠다. 따라서 앞으로는 인터넷 교류 수업 상황이나 분위기를 파악하여 학생의 ‘소
리(Voice)’를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번 교류 수업에서는 학생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학생의 전화 번호
또는 E-mail 주소 등의 개인정보는 번역과 중개를 담당한 필자가 제거하여 본인이 이메일
로 써도 상대에게는 전해지지 않도록 삭제했다. 이것은 만일 발생할지도 모르는 문제를 미
연에 막기위한 대책이었고 학교의 교사의 요청사항이기도 했지만, 이러한 처치가 학생간의
친해지는 과정을 저애하는 요소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서로가 친해지는 것은 ‘타인 수
용'과 '이문화의 수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앞으로는 완전히 제거하
지 않으면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예를 들어 교류 수업용 메일 주소를 별도로 만드는
것 등)을 검토하는 것도 필요하다.

                                        요약 인용문헌
森田裕介,藤木卓,全炳徳,李相秀,上薗恒太郎,渡辺健次,下川俊彦,柳生大輔(2004)日韓遠隔授業における中学
        生の国際性の変容に関するー分析,日本教育工学会論文誌.28(1),pp.197-200
佐藤公治(1999)『対話の中の学びと成長』認識と文化p98
Allport,G.W.(1954) The Nature of Prejudice, Reading Mass: Addison-Wesley
Benett,J. Milton(1993) Cultural Marginality: Identity issues in multicultural training. In R. M. Paige (E
        d.),Education for the Intercultural Experience,Yarmouth, ME: Intercultural Press,pp.109-135
Brewer,M. B.(1988) A dual-process model of impression formation. In T. K. Srull, & R. W. Wyer Jr.
        (Eds.),Advances in social cognition (Vol.1), Hillsdale: NJ: Erlbaum,pp.1-36
Hoopes,D.(1979)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ncepts and the Psychology of Intercultural Experience, in
        Pusch, M.D. (ed.) Multicultural Education: A Cross-Cultural Training Approach, Intercultural
        Press, Chicago, pp.9-38.
Itakura, Hiroko.(2004) Changing cultural stereotypes through e-mail assisted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32, pp.37-51
Liaw, Meei-Ling and Johnson, R. (2001) E-mail writing as a cross-cultural learning experience.System2
        9,pp.235-251
Lin, Xiaodong., and Schwartz, Daniel. L.,(2003) Reflection at the Crossroads of Cultures. Mind,
        Culture,And Activity. 10(1),pp.9-25
Macrae, C.N., Stangor, C., and Hewstone, M.,(1996) Stereotypes and stereotyping, New York:
        Guilford
Thurston,Allen(2004)Promot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primary classroom : Broadband
        videoconferencing facilities and digital video.Computers&Education.43,pp.165-177



                                                 - 8 -

Contenu connexe

Tendances

Konsep sambungan struktur baja
Konsep sambungan struktur bajaKonsep sambungan struktur baja
Konsep sambungan struktur baja
Nunu Nurul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Tendances (20)

PyQGIS와 PyQt를 이용한 QGIS 기능 확장
PyQGIS와 PyQt를 이용한 QGIS 기능 확장PyQGIS와 PyQt를 이용한 QGIS 기능 확장
PyQGIS와 PyQt를 이용한 QGIS 기능 확장
 
きょうだい構成と性格
きょうだい構成と性格きょうだい構成と性格
きょうだい構成と性格
 
[COMPAS] 고양시 공공자전거 분석과제(우수상)
[COMPAS]  고양시 공공자전거 분석과제(우수상)[COMPAS]  고양시 공공자전거 분석과제(우수상)
[COMPAS] 고양시 공공자전거 분석과제(우수상)
 
Cek penampang balok rafter baja gable
Cek penampang balok rafter baja gableCek penampang balok rafter baja gable
Cek penampang balok rafter baja gable
 
古代エジプトの魅力について
古代エジプトの魅力について古代エジプトの魅力について
古代エジプトの魅力について
 
Sni pengujian beton
Sni pengujian betonSni pengujian beton
Sni pengujian beton
 
Beton bertulang 2021.ppt
Beton bertulang 2021.pptBeton bertulang 2021.ppt
Beton bertulang 2021.ppt
 
Diagram interaksi kolom beton menggunakan software PCA COL
Diagram interaksi kolom beton menggunakan software PCA COLDiagram interaksi kolom beton menggunakan software PCA COL
Diagram interaksi kolom beton menggunakan software PCA COL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힐링세포들] : MHTI (Mental Health Type Indicator)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힐링세포들] : MHTI (Mental Health Type Indicator)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힐링세포들] : MHTI (Mental Health Type Indicator)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힐링세포들] : MHTI (Mental Health Type Indicator)
 
Konsep sambungan struktur baja
Konsep sambungan struktur bajaKonsep sambungan struktur baja
Konsep sambungan struktur baja
 
Sni 07 2052-2002 baja tulangan beton
Sni 07 2052-2002 baja tulangan betonSni 07 2052-2002 baja tulangan beton
Sni 07 2052-2002 baja tulangan beton
 
[Rightbrain UX Academy] Megabox UX/UI개선
[Rightbrain UX Academy] Megabox UX/UI개선 [Rightbrain UX Academy] Megabox UX/UI개선
[Rightbrain UX Academy] Megabox UX/UI개선
 
Balok induk
Balok indukBalok induk
Balok induk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Auto select list pada etabs - afret nobel
Auto select list pada etabs - afret nobelAuto select list pada etabs - afret nobel
Auto select list pada etabs - afret nobel
 
Tugas Akhir Struktur Beton Prategang
Tugas Akhir Struktur Beton PrategangTugas Akhir Struktur Beton Prategang
Tugas Akhir Struktur Beton Prategang
 
はじめようArcore (修正版)
はじめようArcore (修正版)はじめようArcore (修正版)
はじめようArcore (修正版)
 
Balok komposit vs balok biasa - afret nobel
Balok komposit vs balok biasa - afret nobelBalok komposit vs balok biasa - afret nobel
Balok komposit vs balok biasa - afret nobel
 
Leaflet初級編 - Web地図サイトを構築してみよう-
Leaflet初級編 - Web地図サイトを構築してみよう-Leaflet初級編 - Web地図サイトを構築してみよう-
Leaflet初級編 - Web地図サイトを構築してみよう-
 
ユーザビリティテストの世界「入門編」
ユーザビリティテストの世界「入門編」ユーザビリティテストの世界「入門編」
ユーザビリティテストの世界「入門編」
 

En vedette (6)

Dop
DopDop
Dop
 
Google scholar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 (201509)
Google scholar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 (201509)Google scholar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 (201509)
Google scholar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 (201509)
 
영어 논문 작성법
영어 논문 작성법영어 논문 작성법
영어 논문 작성법
 
논문 잘 읽는 법
논문 잘 읽는 법논문 잘 읽는 법
논문 잘 읽는 법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하우 (개정증보판) (UST 대학원 신입생 OT 강연)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하우 (개정증보판) (UST 대학원 신입생 OT 강연)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하우 (개정증보판) (UST 대학원 신입생 OT 강연)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하우 (개정증보판) (UST 대학원 신입생 OT 강연)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하우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하우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하우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하우
 

Similaire à 학위논문요약(조규복)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혜원 정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Eun Suh Jang
 
Rainbow Project 보고서
Rainbow Project 보고서Rainbow Project 보고서
Rainbow Project 보고서
다운 이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혜원 정
 
삼총과 기획안 최종
삼총과 기획안 최종삼총과 기획안 최종
삼총과 기획안 최종
Christina Suh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혜원 정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혜원 정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지현 김
 
대박칠조 결과보고서
대박칠조 결과보고서대박칠조 결과보고서
대박칠조 결과보고서
다운 이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heyoungkim
 
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
Soyoung Lee
 
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
Soyoung Lee
 

Similaire à 학위논문요약(조규복) (2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Rainbow Project 보고서
Rainbow Project 보고서Rainbow Project 보고서
Rainbow Project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삼총과 기획안 최종
삼총과 기획안 최종삼총과 기획안 최종
삼총과 기획안 최종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2013 현주 초중등학생 인성교육활성화 방안연구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Cy_Teens @UxCampSeoul
Cy_Teens @UxCampSeoulCy_Teens @UxCampSeoul
Cy_Teens @UxCampSeoul
 
학생언어표준화
학생언어표준화학생언어표준화
학생언어표준화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학부모신문 290호
학부모신문 290호학부모신문 290호
학부모신문 290호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학부모신문 267호(20131205)입니다.
학부모신문 267호(20131205)입니다.학부모신문 267호(20131205)입니다.
학부모신문 267호(20131205)입니다.
 
대박칠조 결과보고서
대박칠조 결과보고서대박칠조 결과보고서
대박칠조 결과보고서
 
jy2
jy2jy2
jy2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et_studio_2_20110926_v5
et_studio_2_20110926_v5
 

Plus de Kyubok Cho

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
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
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
Kyubok Cho
 

Plus de Kyubok Cho (20)

학교폭력예방 메타버스(사이버스) 수업 사례와 시사점 1. 메타버스 교육 2. 메타버스 수업 3. 사이버스 4. 사이버스 수업 ...
학교폭력예방 메타버스(사이버스) 수업 사례와 시사점     1. 메타버스 교육  2. 메타버스 수업  3. 사이버스  4. 사이버스 수업 ...학교폭력예방 메타버스(사이버스) 수업 사례와 시사점     1. 메타버스 교육  2. 메타버스 수업  3. 사이버스  4. 사이버스 수업 ...
학교폭력예방 메타버스(사이버스) 수업 사례와 시사점 1. 메타버스 교육 2. 메타버스 수업 3. 사이버스 4. 사이버스 수업 ...
 
2023년 한국일본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2023년 한국일본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2023년 한국일본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2023년 한국일본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
 
조규복(2023)일본의 학교폭력예방 예방 및 대응체계와 프로그램.pdf
조규복(2023)일본의 학교폭력예방 예방 및 대응체계와 프로그램.pdf조규복(2023)일본의 학교폭력예방 예방 및 대응체계와 프로그램.pdf
조규복(2023)일본의 학교폭력예방 예방 및 대응체계와 프로그램.pdf
 
일본의 교원 업무 적정화 추진 정책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2021)
일본의 교원 업무 적정화 추진 정책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2021)일본의 교원 업무 적정화 추진 정책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2021)
일본의 교원 업무 적정화 추진 정책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2021)
 
문부과학성(2021)미래 학교를 위한 학교 시설 정비
문부과학성(2021)미래 학교를 위한 학교 시설 정비문부과학성(2021)미래 학교를 위한 학교 시설 정비
문부과학성(2021)미래 학교를 위한 학교 시설 정비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해외의 시니어 원격교육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해외의 시니어 원격교육 현황과 시사점(조규복)해외의 시니어 원격교육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해외의 시니어 원격교육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Presentation 20201103(chokyubok)
Presentation 20201103(chokyubok)Presentation 20201103(chokyubok)
Presentation 20201103(chokyubok)
 
World class how to build a 21st century school system
World class how to build a 21st century school systemWorld class how to build a 21st century school system
World class how to build a 21st century school system
 
SNSを活用した授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と子どもの主体性
SNSを活用した授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と子どもの主体性SNSを活用した授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と子どもの主体性
SNSを活用した授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と子どもの主体性
 
授業でのICT活用に関する政策支援とその意義
授業でのICT活用に関する政策支援とその意義授業でのICT活用に関する政策支援とその意義
授業でのICT活用に関する政策支援とその意義
 
2017osaka(chokyubok)
2017osaka(chokyubok)2017osaka(chokyubok)
2017osaka(chokyubok)
 
2017 nee tokyo(chokyubok)0603
2017 nee tokyo(chokyubok)06032017 nee tokyo(chokyubok)0603
2017 nee tokyo(chokyubok)0603
 
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
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
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
 
2016kyoto(0821)open
2016kyoto(0821)open2016kyoto(0821)open
2016kyoto(0821)open
 
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
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
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
 
일본 문부과학성의 교육용 클라우드 플랫폼
일본 문부과학성의 교육용 클라우드 플랫폼일본 문부과학성의 교육용 클라우드 플랫폼
일본 문부과학성의 교육용 클라우드 플랫폼
 

학위논문요약(조규복)

  • 1. 박사학위논문요약(히로시마대학대학원 교육학연구과) 한일 초중학생간 인터넷교류수업에서의 이문화커뮤니케이션 행동에 관한 연구 - 조규복 - 제1장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1절 연구의 의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 위해 ‘외국인과의 접촉’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는 것이 Allport(1954)를 비롯한 수많은 연구에서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원격지에 사는 외 국인과 직접 접촉하는 기회가 적고 또 직접적인 접촉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외국인과의 간접적인 접촉이 가능하게 되었고, 인터넷을 통한 교류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검토도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한 간접적인 접촉은 직접적인 접촉과 다른 다양한 제약 조건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 라서 인터넷을 통해 외국인과의 교류를 통해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 위해서 는 그 제약과 유의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제2절 선행 연구의 동향 인터넷을 통해 양자 간의 상호작용 기록을 검토한 Liaw와 Johnson(2001), Lin과 Schwartz(2003)의 연구는 상호작용 기록의 화제를 검토했지만 그 화제가 수량화되지 않았 기 때문에, 화제의 출현 빈도를 비교하거나 화제 빈도에 반영되는 화제의 중요도 등을 비교 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문화 이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화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검토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통신 기록을 분석하는 데 단순히 화제를 추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인터넷 교류의 개선 방법을 시야에 넣고 화제의 수량 분석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면접 조사, 서술형과 객관식 질문지조사를 바탕으로 한 Itakura(2004)는 ‘학교와 대중 매체 에서 얻은 정보와 E-mail 교류에서 얻은 정보 사이에 어떤 불일치가 발생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되어 있지 않다. 또한 Thurston(2004)에서는 ’민족성에 대한 서술형 기록에 나타난 어떤 언어 표현이 이문화 이해의 판단 기준이 되는 것인가‘라는 점에 대한 검토가 충분하지 않다. 또한 森田 외(2004)에서는 분석 데이터가 수업 전후에 실시된 복수 선택형 질문지 코딩 기록이기 때문에 수업 중에 어떤 교류 활동이 문화 이해 촉진에 기여했는지를 밝힐 수 없고, 문화 이해를 높이기 위한 교류 수업의 진행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시사를 얻 을 수 없다. - 1 -
  • 2. 이상과 같이 인터넷을 통한 문화 교류에 관한 선행연구는 모두 교류활동의 내용 및 데이터 분석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인터넷 교류의 효과를 시사하고는 있지만, 인터넷을 통해 외국 사람과의 교류를 통해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 위한 조건과 유의점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제3절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을 통해 외국인과의 교류를 통해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 성하기위한 조건과 유의점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 교류를 실시하고 교환 행 동의 실태와 효과를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 위 한 인터넷 교류수업을 디자인한 후, 학교 교사에게 수업의 일환으로 실시해 줄 것을 의뢰했 다. 또한 인터넷 교류 수업을 디자인할 때에는 Macrae, Stanger & Hewstone (1996) ‘문화 의 인격화‘ 가설, Brewer(1988)의 ‘개인화’및 佐藤(1999)의 '페어링‘ 개념을 참고하여 1대1 로 짝을 지었고, 또한 1대 1 관계 형성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E-mail과 채팅 기능을 이용했 다. 그리고 교환 기록과 교류 수업 시작과 마지막에 실시한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관 한 설문조사 기록을 분석하고 교류의 실태와 능력의 변화를 검토했다. 그 후, 교환 기록 질 문지 조사의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위한 조건과 유의 사항을 고려했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국적은 일본과 한국으로 하였다. 제2장 인터넷 교류수업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촉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제1절 한일초등학생간 채팅교류수업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행동 분석 [연구 1] ○목적 :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 육성을 위한 인터넷 교류수업 방법을 탐구하는 본 연 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 1】에서는 동기식 채팅교류에서의 학생간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분석했다. ○방법 : 동경의 공립 K초등학교와 서울의 공립 M초등학교 6학년 72명 (일본 35명, 한국 37명)을 대상으로 채팅 기능과 기계번역기능을 이용한 인터넷 교류 수업을 4회 실시했다. 또한 서울과 동경의 두 초등학교에서는 pre-test, post-test의 질문지 조사를 위해 2시간분 의 수업이 사용되었고, 동경 K초등학교에서는 채팅 연습을 위해 추가로 1시간분의 수업이 사용되었다. ○결과와 고찰 (1)설문조사 분석결과 요인분석 결과, 2요인(요인1 ‘타인 수용’, 요인2 ‘이문화 수용’)이 추출되었다. 두 요인자에 대해, 시간(수업 전/후) × 국적(일본/한국) × 성별(남/여)의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을 실 시한 결과, 한국학생의 ‘이문화 수용’이 감소되었고, 일본학생의 ‘이문화 수용’은 향상되었 - 2 -
  • 3. 다. 또한 교류 수업 후 일본과 한국학생 모두 ‘타인 수용'이 저하된 것이 확인되었다. (2)채팅기록 내용분석결과 36개의 화제를 추출한 후 이를 6개의 카테고리 (개인정보, 개인 취향, 인간관계, 친근감, 학교, 국가)로 분류하여 수량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인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즉, 학 생들은 ‘상대’와 ‘상대 국가’를 염두하며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한국(일본) 교류 수업 전에 알고 있던 일본(한국)이 아니라 지금 자신과 교류하고 있는 ‘상대의 국가'로 인 식하고 있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한일 양국간의 역사를 화제로 하는 장면도 종종 볼 수 있었다. 그 화제는 일본과 한 국의 영토문제와 식민지 또는 전쟁 등 양국의 바람직하지 않은 관계를 나타내는 역사에 한 정되어 있었다. 이러한 주제에 대한 상호작용 속에서 일본학생은 침묵과 당황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한국학생은 스스로 이러한 화제를 꺼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가 마음에 걸리고 불안 해 하는 모습이 채팅기록속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오역과 오해로 인해 학생들이 답답해 하는 장면이 적지 않았다. 오역이 생기는 이 유로 먼저 한일(일한) 기계번역 기능이 불완전한 점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양국의 학생들이 구어를 사용하거나 축약 및 글자를 틀리게 입력해서 제대로 번역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 았다. 【연구 1】 채팅 교류수업에서는 ‘개인화’된 모습이 보였던 것으로부터 ‘국가’의 카테고리를 사용하기 어려워져, 고정관념과 편견을 줄일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런 의미에서 자기 소 개서 교환 및 1대 1 페어링은 인터넷 교류를 통한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촉진 조건 이 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본학생의 ‘이문화 수용’이외의 향상을 볼 수 없었던 이유로 채팅 교류의 산만함과 피상성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지금까지 몰랐던 외 국인 상대와 처음으로 단둘이 채팅하면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어려웠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므로 교류과정에 대한 교사의 개입이 수업 중에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도 요인 중 하나로 언급할 수 있다. 제2절 한일초등학생간 E-mail 교류수업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행동 분석【연구 2】 ○목적 :【연구 1】에서 채팅교류수업의 문제점으로 지목된 피상성과 산만성을 개선하고 【연구 2】에서는 E-mail교류 수업에서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위한 조건과 유의점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상호작용의 특성과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변화를 분 석하여 화제를 추출한 후 수량화하여 화제간 비교를 실시했다. 또한 질문지 기록을 분석하 고 ‘이문화 수용'과 '타인 수용’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교환 기록과 질문지 기록 및 분석 결 과를 바탕으로 교류의 산만함과 피상성 문제에 대해 검토했다. ○방법 : 동경의 공립 S초등학교와 서울의 공립 M초등학교 4학년 총 139명(일본 67 명, 한국 72명)을 대상으로 E-mail 기능을 이용한 인터넷 교류수업을 4회 실시했다. 또한 교류 수업은 기계 번역 기능을 이용하는 그룹과 필자의 번역을 사용하는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했 다. - 3 -
  • 4. ○결과와 고찰 (1)설문조사 분석결과 요인분석 결과, 【연구 1】과 같이 2요인(‘타인 수용’과 ‘이문화 수용’)이 추출되었다. 이 두 요인에 대해, 시간(수업 전/후) × 국적(일본/한국) × 성별 (남/여) × 번역 방법(기계번역 /필자번역) 반복 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류수업을 통해 일본학생은 한국학 생에 비해 ‘이문화수용’이 향상되었고, 한국학생은 감소되었다. 또한 교류 수업을 통해 필자 번역 그룹의 ‘타인 수용’이 감소되었다. 또한 필자 번역 - 일본학생의 ‘타인 수용’이 감소하 였다. (2)E-mail의 내용분석결과 한국학생의 문장 수가 일본학생보다 많았고, 한국학생의 ‘이문화 수용’은 하락했지만, 일본 학생은 향상되었다. 이처럼 국적별로 변화 패턴이 다른 원인으로 두 학생 간의 문장 수의 차이를 꼽을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수업 전에 양국의 학생간 교환되는 문장 수의 균형 을 유지하기 위해 상대국에 대한 흥미·관심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하나의 메일 평균 문장 수는 16개로 화제수는 10개 이상이었다. 이를 통해 이메일 작성 중에 여러번 화제를 바꾸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내용이 피상적(산만)으로 되어 상대에 대 해서 깊이 생각하는 것이 어렵고, 그 결과 전체적으로 '타인 수용‘이 향상되지 않았을 것으 로 판단된다. 채팅에서 E-mail로 인터넷 기능을 바꾸는 것만으로 산만함과 피상성의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는 것을 말할 수 있다. 그 극복을 위해서는 화제를 좁히도록 지도하는 것, 그리고 상대국가의 문화를 접하고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사전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 각된다. 또한, 초등학생보다 정보활용능력과 작문능력이 높은 중학생 이상을 대상으로 인터 넷 교류수업을 검토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교류기록을 분석하는 방법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즉, 하나의 문장에서 하나의 화제를 추출하였기 때문에 ‘누가 무엇을 어떻게 말했는가?’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맥이 간과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관련된 문맥’을 고려한 분석하기 위해서는 ‘누가’ ‘어느 국가의’ ‘무엇에 대해서’ ‘어떻게’ 발언을 했는지를 구분하고 수량화할 필요가 있다. 제3절 한일중학생간 E-mail 교류수업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행동 분석 [연구 3] ◯목적 : 【연구 3】의 목적은 의【연구 2】의 교류수업과 분석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E-mail 교류 수업에서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기위한 조건과 유의점을 분명 히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연구 3】에서는 교환기록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이 문화 수용’과 ‘타인 수용’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했다. ◯방법 : 히로시마 공립 H중학교와 서울의 공립 D중학교 1학년 242명(일본 121명, 한국 121명)을 대상으로 E-mail 기능을 이용한 인터넷 교류 수업을 각 중학교에서 3회씩 실시했 다. 【연구 1】과 【연구 2】의 요인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질문지 조사를 10분정도에 마치 - 4 -
  • 5. 고 이어서 E-mail 교류수업을 할 수 있도록 질문지 항목수를 줄이고 그 내용도 대답하기 쉽도록 수정했다. 또한 화제가 분산되지 않도록 첫 번째 E-mail 교류에서는 자기소개 내용 을 서두에 쓰도록 했다. 그리고 두 번째 E-mail은 ‘새해를 맞이하는 소감’을 포함해서 메일 을 작성하도록 유도하여 공통의 화제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연구 2】와 달리 E-mail 문장의 문맥을 고려하여 분석했다. 즉, 모든 이메일의 각 문장은 누가(한국학생/일본학생) 어느 국가의(한국/일본) 무엇(개인, 가족, 친구, 학교, 국가)에 대해 서 어떻게(피상적/심층적) 기술했는지를 코딩하고 수량화 했다. 이메일교류수업에 대한 기술 과 인사말 그리고 양국의 문화에 대한 고유명사(연예인이름, 지명, 음식명 등)는 별도로 수 량화했다. 그리고 문맥을 고려해 문장을 수량화한 자료(질적자료의 양적자료화)와 설문지조 사자료를 통해 상호관계를 비교분석했다. ◯결과와 고찰 (1)설문조사 분석결과 요인분석 결과, 2요인(‘타인 수용’과 ‘이문화 수용’)이 추출되었다. ‘이문화 수용'과 '타인 수용’의 두 요인에 대해 시간(수업 전/후) × 국적 (일본/한국) × 성별 (남/여)의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국 학생의 ‘이문화 수용’이 향상되었다. 또한 여학생이 남 학생보다 ‘이문화 수용’과 ‘타인 수용’이 높았다. 또한 남학생들이 교류 수업을 통해 ‘타인 수용’이 향상되었다. (2)E-mail의 내용 분석결과 1(내용분석자료와 ) 전체적으로 여학생이 1회 E-mail 평균 문장 수가 25.6개로 남학생의 18.15개보다 더 많 았다. 이러한 문장수 차이의 배경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이문화 수용'과 '타인 수용’이 높은 것을 언급할 수 있다. 한국 학생은 일본 상대가 일본 문화와 E-mail교류수업에 관한 의견이나 생각을 많이 언급 할수록 ‘이문화 수용’이 향상되었지만, 일본 학생은 한국 상대가 일본 문화의 고유명사를 많 이 언급할수록 향상되었다. 한편, '타인 수용‘에 대해서는 한국 학생이 일본 상대가 일본 문 화에 대한 감상이나 생각을 많이 언급할수록, 일본 학생은 한국 학생들이 일본 문화의 고유 명사와 일본의 학교에 대한 감상과 생각을 많이 언급할수록 향상되었다. 또한 E-mail 문장 수가 많을 수록 ’이문화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타인 수용‘에 반드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대학생이 평소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대중문화에 대해 대화를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먼저 상대국의 대중문화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할 수 있 다. 또한 일본과 한국의 초중학생이 관심을 가지는 애니메이션이나 가수, 영화, 게임 등의 경우 일본의 초등학생에게 인기있는 일본의 대중문화는 한국의 초중학생에게 잘 알려져 있 지만, 한국 초중학생이 관심을 가지는 한국의 대중문화는 일본의 초중학생에게 거의 알려지 지 않은 것이 이번 E-mail 기록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양국의 학생들이 대중 문화 의 영향이 더 강한 나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대중문화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국가에 사는 학생의 ‘타인 수용’과 약한 국가에 사는 학생의 ‘이문화 수용’이 향상되는 불균형적인 - 5 -
  • 6. 교류가 될 수도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 류 기간 동안 서로 대중문화 관련 사진, 그림, 음성 등을 전송 등으로 주고받는 것을 제안 할 수 있다. 덧붙여 상대의 학교 생활과 자국의 문화에 대한 피상적인 언급은 반대로 상대 의 ‘타인 수용’을 감소시킬수 도 있다는 분석 결과를 통해 피상적인 자기 공개는 상대와의 관계를 해칠 우려가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3) E-mail의 내용 분석결과 2 - 교환을 방해하는 화제 검토 양국 학생이 보여준 한일 양국 간의 역사·정치 문제에 관한 화제는 주로 ‘상대국의 역사 교육’ ‘독도(타케시마) 문제’ ‘야스쿠니 신사 참배' 3가지였고, 이러한 과거의 역사와 현재의 상대국의 역사교육 그리고 독도 문제에 대해 양국 학생들은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학생들은 과거 식민지 역사의 연장선상에 지금의 일본의 역사 교육 문제와 독도와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을 괴롭히 는 국가’로서 일본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 일본 학생들은 ‘그 과거는 60년 전의 것으로, 전후부터 일본은 한국을 위협하고 있지 않다’고 언급하거나, 독도와 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한국사람들에게 문제시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서 이러한 문제 자체에 별로 관심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양국의 학생들의 메일에서 상대국의 역사 교육에 문제가 있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거의 역사를 포함해 독도와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의 문제에 대해 일본과 한국의 인식과 근거 등을 이해하여 한일 양국의 학생의 고정 관념과 편견의 재생 및 확산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류 수업 중 양국의 사회나 역사교과 교사와 협력하여 수업을 설계 하는 것도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제3장 총괄 질문지의 분석을 통해 채팅보다 E-mail 교류가, 기계 번역 기능보다 2개국어능통자 번역 이, 그리고 초등학생보다 중학생이 더 인터넷 교류 조건으로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추측된다. 【연구 3】 중학생의 경우 【연구 2】 초등학생과는 달리, 양국 학생간 문장 수의 불균형이 눈에 띄지 않았고 ‘타인 수용’이 향상되었다. 또한 E-mail기록 내용분석결과 외국에 대한 카 테고리화의 반응을 감소시키고, 고정관념과 편견을 줄이기 위해서는 개인화 처치(페어링, 자 기소개서 작성 등)이 효과적이었음이 밝혀졌다. 또한 인터넷 교류 수업은 문화에 대한 관심과 친근감 등 ‘이문화 수용’태도의 육성 측면에 서 효과가 인정되었지만, 타인과의 갈등 상황이 발생했을 때의 극복 능력 등을 포함한 ‘타인 수용’태도의 육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원인으로 ‘통신 내용의 피상 성’, ‘작문 능력과 문자입력 능력 부족’, ’상대국에 대한 대중문화의 영향력 차이‘, ’양국 간의 바람직하지 않은 역사·정치 문제가 언급되었을 때의 망설임‘ 등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 6 -
  • 7. 제1절 이론적 고찰 Allport(1954)와 Brewer(1988)를 참고로 디자인한 '외국인과 개인적인 접촉‘을 지원하는 개 인화 처치(페어링, E-mail/채팅을 통한 1대 1 상호작용, 자기소개 교환 등)에 따라 ’개인화 ‘가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를 통해 이문화에 대한 관심을 포함한 ’이문화 수용‘이 향상되면서 이문화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지고 이문화에 대한 감수성이 발달한다는 Hoopes(1979)와 Benett(1993) 이문화 이해 과정이 진행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연 구에서 밝혀진 ’기존의 이문화에 대한 카테고리를 사용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Hoopes(1979) ’자문화·자민족중심주의'와 Benett(1993)의 ‘부정·방위·최소화’의 문제를 극복 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적인 접촉‘과 ’개인화‘를 통해 형성된 ’양자 간의 1대 1 의 교환‘을, 그 내용의 깊이에 따라 ’피상적인 개인화‘와 ’심층적인 개인화'로 분류하고, 양자 가 ‘이문화 수용'과 '타인 수용’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했다. 그 결과, 【연구 1】·【연구 2】· 【연구 3】모두에서 ’피상적인 개인화‘를 통해서도 ’이문화 수용‘이 향상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 3】에서 한국학생들의 피상적인 문장이 일본학생의 ’타인 수용‘에 대 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로부터 해외 학생과의 교류를 수업에 접목할 경우, ’피상 적인 개인화‘가 ’타인 수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주의를 기울여 수업을 디자인하고 진 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구 3】에서 보인 일본과 한국 학생의 심층적인 문장을 통해 상대방의 ‘타인 수용’ 이 향상되는 결과는 ‘심층적인 개인화’가 ‘타인 수용’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해외 대학과 인터넷 교류 수업을 실시하는 경우에 ‘이문화 수용‘뿐만 아니라 ’타인 수용‘능력의 육성을 도모하기 위해 ’심층적인 개인화‘를 도모하는 교류 환경을 사전에 디자 인해야 할 것이다. 또한 외국 학생들과 인터넷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경우 자기 소개와 양국 의 정보 및 양자의 학교 등의 화제에 대해 피상적으로 대화하는 것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가 능하면 장기적인 교환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절 앞으로의 과제 본 연구에서 다룬 인터넷 교류 수업은 3-4개월의 기간동안 이루어졌지만 수업시수로는 (설 문조사와 인터넷교류 사전연습으로 사용된 2-3시간을 제외하면) 모두 4시간 이하였다. 따라 서 양국의 학생들이 보다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기에 한계가 있었 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인터넷 교류를 수업에 도입하여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육성 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교류가 필요하고 이러한 장기간의 교류를 대상으로 하는 연 구가 요구된다. 또한 교류 수업이 이루어진 사회적 맥락에 대한 검토가 부족했던 점도 본 연구의 한계이 며, 향후의 과제로 지적하고 싶다. 【연구 1】과 【연구 2】의 교류수업은 2002년 한일 공동 개최 월드컵이 개최되고 있던 시기이며, 【연구 3】 교류 수업은 2005 년도에 한국의 대중 문화가 일본에서 널리 소개되며, 한류가 발생할 즈음이었다. 이러한 양국의 큰 영향을 미치 - 7 -
  • 8. 는 사회의 사건이 양국 학생의 인터넷 교류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았을 것이라고 판단된 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필자와의 접촉이 어떤 예기치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고려 하여 필자는 교류 기간 동안 교실에 수업을 돕거나 학생들과 직접 인터뷰를 하는 등의 직접 접촉을 삼가했다. 따라서 질문지와 E-mail과 채팅 자료를 기반으로 이문화 이해 과정의 추 측·검토를 할 수 있었지만, 개별 학생의 이문화 교류 과정에 대한 자세한 분석·검토를 하는 것은 어려웠다. 따라서 앞으로는 인터넷 교류 수업 상황이나 분위기를 파악하여 학생의 ‘소 리(Voice)’를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번 교류 수업에서는 학생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학생의 전화 번호 또는 E-mail 주소 등의 개인정보는 번역과 중개를 담당한 필자가 제거하여 본인이 이메일 로 써도 상대에게는 전해지지 않도록 삭제했다. 이것은 만일 발생할지도 모르는 문제를 미 연에 막기위한 대책이었고 학교의 교사의 요청사항이기도 했지만, 이러한 처치가 학생간의 친해지는 과정을 저애하는 요소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서로가 친해지는 것은 ‘타인 수 용'과 '이문화의 수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앞으로는 완전히 제거하 지 않으면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예를 들어 교류 수업용 메일 주소를 별도로 만드는 것 등)을 검토하는 것도 필요하다. 요약 인용문헌 森田裕介,藤木卓,全炳徳,李相秀,上薗恒太郎,渡辺健次,下川俊彦,柳生大輔(2004)日韓遠隔授業における中学 生の国際性の変容に関するー分析,日本教育工学会論文誌.28(1),pp.197-200 佐藤公治(1999)『対話の中の学びと成長』認識と文化p98 Allport,G.W.(1954) The Nature of Prejudice, Reading Mass: Addison-Wesley Benett,J. Milton(1993) Cultural Marginality: Identity issues in multicultural training. In R. M. Paige (E d.),Education for the Intercultural Experience,Yarmouth, ME: Intercultural Press,pp.109-135 Brewer,M. B.(1988) A dual-process model of impression formation. In T. K. Srull, & R. W. Wyer Jr. (Eds.),Advances in social cognition (Vol.1), Hillsdale: NJ: Erlbaum,pp.1-36 Hoopes,D.(1979)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ncepts and the Psychology of Intercultural Experience, in Pusch, M.D. (ed.) Multicultural Education: A Cross-Cultural Training Approach, Intercultural Press, Chicago, pp.9-38. Itakura, Hiroko.(2004) Changing cultural stereotypes through e-mail assisted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32, pp.37-51 Liaw, Meei-Ling and Johnson, R. (2001) E-mail writing as a cross-cultural learning experience.System2 9,pp.235-251 Lin, Xiaodong., and Schwartz, Daniel. L.,(2003) Reflection at the Crossroads of Cultures. Mind, Culture,And Activity. 10(1),pp.9-25 Macrae, C.N., Stangor, C., and Hewstone, M.,(1996) Stereotypes and stereotyping, New York: Guilford Thurston,Allen(2004)Promot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primary classroom : Broadband videoconferencing facilities and digital video.Computers&Education.43,pp.165-177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