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ité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

haja production school
18 Apr 2013
Publicité

Contenu connexe

Publicité
Publicité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

  1.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 미술’ - 인간과 인간다움에 대한 성찰 전혜숙 하자센터 강의 2013.4.18
  2. 니체의 < 비극의 탄생 >, 인간의 두 가지 성향  아폴로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니체 미학의 두 가지 근본적 범주  “ 아폴론적인 것“ ( 이성 ) - 아폴로적 명징성과 유쾌함 , " 지식의 빛 " 과 자아 인식의 인간적 구현 - 그리스 철학의 바탕이 되는 이성을 상징 . - 아폴론 신은 태양의 신 , 음악의 신 , 예언의 신 , 의술의 신 - 지적이고 단호하며 명확한 형태를 가진 것을 편애함 .  " 디오니소스적인 것“ ( 감정 ) - 감성과 욕망 상징 . 술과 황홀경 , 광기 어린 욕망의 신 . (ex. 술과 날고기를 즐기는 디오니소스 숭배의식 ) - "광란에 가까운 소동과 춤 " 의 " 어두운 심연 ", " 사랑의 도취에서 생긴 자아망각“ - 인간에게 화를 입히는 충동적이고 즉흥적인 감정 , 상념과 관련 ( 예를 들어 , 제우스가 판도라에게 내린 벌은 매력과 고통스런 그리움과 몸을 상하게 하는 상념… .)
  3. 그리스 시대에 표현된 아폴론 < 리라와 아폴론 >, BC.5 세기경 카일릭스의 적색상 리라는 음악의 신 , 머리의 월계관은 태양의 신을 상징 : 당시 음악은 감성의 영역에 속한다기보다는 사회의 기강을 바로잡고 청소년을 교육하기 위한 정치적 , 윤리적 , 교육적 도구였다 .
  4. 라파엘로 산티 , < 파르낫소스 >, 바티칸 교황서명실 , 1509
  5. 아폴론 상들
  6. 아폴론 상들
  7. 니체의 비판을 눈여겨보자 !!  “ 그리스 예술에서 아폴론적인 이성과 디오니소스적인 감성이 잘 조화되어 있었으나 , 합리성과 질서를 중요하게 생각한 소크라테스 이후 디오니소스적인 측면을 무시하거 나 죄악으로 여기기 시작했다 .”  “ 서구 유럽의 문명은 냉철하고 건조한 이성만을 중시 . 삶에 생명력을 주는 열정과 도 취 , 쾌락을 잊었다 .”  “ 유럽 문명이 병들고 타락한 이유는 아폴론적 이성에만 집착했기 때문이다 . 잃어버린 생명력을 되찾으려면 역사 속에서 잊힌 디오니소스적 자유로움과 열정을 불러 일으켜야 한다 .”
  8. 그리스 시대에 표현된 디오니소스
  9. 그리스 시대에 표현된 디오니소스
  10. 이후 각 시대에 표현된 디오니소스
  11. 바로크 시대에 표현된 디오니소스
  12. 바로크 시대에 표현된 디오니소스 축제
  13. 인간이란 무엇인가 우리의 삶의 조건은 무엇인가 ? 태어나는 것은 스스로 선택하지 않았음에도 세상에 태어나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
  14. 고대 그리스 신화와 철학의 인간이해 “ 사람다운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
  15. 신화와 철학  그리스 신화 1. 그리스 신화는 그리스인들의 인간이해를 가장 잘 나타냄 . 2. 신화가 사실이냐 허구냐는 중요하지 않다 . - 진실이 신화라는 외피를 쓰고 나타나기 때문에 두꺼운 외피를 벗겨내고 그 안에서 진실을 찾아야 함 . 3. 그리스 신화의 형성 - 선사시대부터 시작되어 미케네 시대 (BC.1500-1100) 에 원형이 형성됨 . - 그 후 입으로 전승되다가 호메로스 (BC.800-750) 와 헤시오도스 (BC.740-670) 에 이르러 문학으로 기록됨 . ( 그들이 그리스인들에게 신을 만들어줌 )
  16. 4. 그리스 신화에는 그리스 철학의 모태가 되는 원초적 세계관과 인생관이 들어있다 . - “ 신화에서 이성으로”가 아니라 , 신화와 이성이 서로 의존하고 있는 “신화 속의 이성” 5. 호메로스 (BC.8C 경 ) 가 쓴 < 일리아드 > 와 < 오딧세이 > 는 그리스 신화를 설명해주는 가장 중요한 문학작품 . 인간중심의 사고 아래 , 인간과 신들이 얽힌 트로이 전쟁의 역사적 이야기를 그림 .
  17. < 사유와 매혹 > 참조 철학의 발달과 함께 고대 그리스인들의 “인간” 이해에 영향을 준 요인들
  18.  인간이 주인공인 신화  신의 간섭에 저항하는 인간 모습  신의 뜻을 거스르는 인간 < 오딧세우스와 사이렌 >, < 인간에게 불을 가져다 준 프로메테우스 >, BC.480-460 경 BC.530 경
  19. 디오니소스적인 욕망이나 광기적인 감정을 억압한 것은 부족 공동체를 힘으로 제압하 고 국가를 세우기 위한 가부장 체제의 전략이었다 .  국가권력의 가장 큰 적은 기존의 혈연적 공동체 , 즉 난혼에 기초한 모계전통 . - 혈연적 공동체나 모계전통은 모두 자연적 감정과 관계에 기초하고 있어서 , 국가를 세우려는 지배세력의 입장에서는 감성과 축제를 억압하고 이성과 제도로 교체 필요 .  플라톤의 < 국가 > : 욕망에 맞서는 이성의 투쟁을 촉구 . - “ 인간이 격렬한 욕망에 의해 이성에 반대되는 행동을 한다는 것은 곧 자신을 모욕하고 내부에 있는 것을 향해 화를 내며 그 폭력을 감수한다는 것이다 .”  “ 이성을 통한 욕망의 배제”는 그리스 뿐 아니라 ,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구적 사유를 관통 .
  20.  개인의 발견  신화 속 나르키소스 (narcissus) 는 자의식 형성의 대표적 인물 - 자아의 중요성이 너무 과장되어 장애에 이른 상태 - 자아 감각의 인플레이션 상태 - 자신을 사랑하는 ’나’ 개인으로서 자신에 대한 자각 Narcissus fresco from Pompeii
  21. – 제우스가 정점인 그리스 신화는 당시 그리스 사회에서 가부장적 의식이 틀을 잡아가고 있음을 보여줌 . ( 제우스는 부권제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는 존재 .) - 신화에 등장하는 아마존 전투 : 모계사회에 대한 적대감과 부계사회로의 전환을 상징 - 부계사회 , 가부장제로의 전환에 상당한 억압과 폭력이 있었음 . < 아킬레우스와 펜테실레아의 전투 >, BC.540-530
  22. 철학자들의 등장 자연철학자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23.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 ( 자연철학 )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은 세계에 대해 , 만물에 대해 성찰하는 ‘자연철학’ 즉 , 만물의 근원 ( 아르케 , arche) 에 관한 해답을 찾고자 함 . ex) “ 세계는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 “ 모든 것은 늘 변화한다 . 영원히 존재하는 것은 없다 .” “ 만물은 흙 , 물 , 공기 , 불의 4 원소로 이루어진다 .” 등등 철학의 대상을 자연의 본질 탐구에 두고 있었음 . - 존재론을 이해하는 핵심 . ( 있음과 없음 )
  24.  소크라테스 이전의 자연철학자들 – 이들이 과학자가 아니라 철학자인 이유는 현상에만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 이면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려 했기 때문 . 1) 탈레스 , “ 만물의 근원은 물…” - ‘ 만물’…’근원’…이라는 개념의 발상이 중요 . 현상과 본질을 구분하기 시작 . 2) 피타고라스 . “ 만물의 근원은 수 ( 數 )..” 수학적 탐구는 곧 우주질서의 탐구 . - 세계의 인식은 그것을 지배하고 있는 수를 인식하는 데 있다 . - 모든 자연현상은 수학적 질서로 파악됨 . 이는 이성적 사고의 전개를 의미 . - 음악과 수적 질서는 같다 . 음악은 우주의 원리를 반영한다 . • 헤라클레이토스 , “ 불은 모든 자연현상의 통일적 , 보편적 기초 , 물질적 근원” - 불은 물질과 정신의 통일이다 . 불은 변화의 상징이다 . - “ 만물은 흐른다 . 어느 누구도 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 . 오직 변화한다는 사실만이 변하지 않는다 .”
  25.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이상  “ 너 자신을 알라” - 인간의 본성은 무엇인가 ? 철학의 대상을 자연에서 인간으로 바꾼 발상의 전환  올바름 , 아름다움 등 인간이 도달해야 할 궁극적인 것을 탐구하는데 평생을 바침 - 관념론의 시작 .  세계는 무엇인가 ? 그러나 태양이 얼마나 먼지 , 얼마나 큰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 다 . 우리의 행동은 그 지식에 별로 좌우되지 않는다 . 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우리의 삶을 , 우리 자신을 어떻게 이끌어갈 지의 문제다 .  선이란 무엇인가 , 참이란 무엇인가 , 정의란 무엇인가…  자기 자신에 대한 의무 , “ 스스로에게 진실하라”  합리적 사고의 중요성 강조 .
  26. 플라톤의 이데아 사상  “ 감각적으로 지각되는 모든 세계는 끊임없이 변하여 아무것도 영원히 존재하지 않지 만 , 지성으로 파악한 이데아의 영역은 영원하고 불변적이다 . 개개의 이데아는 사물 들의 특성을 결정하며 , 사물들은 완전한 이데아의 불완전한 모사물에 불과하다 .”  결국 본질이나 진리는 현실의 사물이나 인간의 감각을 초월하여 별도의 세계에 존재 한다 .  “ 수학을 모르는 자는 여기 ( 철학 아카데미 ) 에 들이지 말라” - 수학적 원리로 표현된 질서 . 오직 이성만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세계  이러한 질서는 눈으로 포착할 수 있는 감각적인 것이 아니다 . 정신이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며 , 지성을 통해 드러나는 것이다 .
  27. 자크 루이 다비드 , < 소크라테스의 죽음 >, 1787
  28.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적 사고  이 세계는 끊임없는 관심과 경이의 대상이다 . 인간을 철학적 사색으로 이끄는 , 즉 인간이 깨닫고 이해하기를 바라는 것은 경이로운 이 세계다 . 인식에서 경험이 중요 .  경험의 세계를 이해하고 이성적으로 밝혀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 . - 학문의 기본분야 탐구 ( 타당한 추론과 타당하지 않은 추론의 형태 비교 ) - 인간정신을 탐구하는 인식론 뿐 아니라 , 물리학 , 심리학 , 정치학 , 윤리학 , 역 사, 수사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를 탐구함 .  논리학의 체계화  이 세상에서 사물은 무엇인가 ? 무엇인가가 존재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  알려고 하는 것 , 그것은 모든 인간의 본성이다 . 경험의 폭이 넓을 수록 지식은 늘 어난다 .
  29. 라파엘로 산티 , < 아테네학당 >, 바티칸 교황서명실 , 1509
  30. 라파엘로 산티 , < 아테네학당 >, 바티칸 교황서명실 , 1509
  31.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 티마이오스 >( 형이상학 ) < 에티카 >( 윤리학 ) 형이상학 , 윤리학 , 논리학은 고대 그리스 3 대 학문영역
  32. 소크라테스 헤라클레이토스 피타고라스
  33. 디오게네스 유클리트 혹은 아르키메데스  디오게네스 - 명예와 부귀를 천시함 . 재물과 쾌락을 멀리하고 간소한 생활 . - 대낮에 의인을 찾으려 등불을 들고 다닌 철학자로 유명 . - 일체의 문명 , 관습 , 법률을 거부 . ( 그는 이미 문명적 사고를 비판하며 인간 본래의 모습을 추구하고 있었다 .)
  34. 자 , 이제 그리스인들의 인간이해를 정리하자면 , 1. 보편적인 인간상 , 혹은 바람직한 인간의 모습을 탐구 . 2.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은 정신과 이성 . 3. 이성과 감각세계를 뚜렷이 구별 . 4. 인간은 알려고 노력하는 본성을 지닌다 .
  35. 인간을 중심에 두고 : - 고귀한 인간성 , 고결한 정신 , 이성 - Idea 에 미치지 못하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존재로서 이데아를 닮아가려 노력하는 존재 그렇다면 그러한 인간은 그리스 미술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가 ?
  36. 그리스 문화 ( 미술 ) 의 기원  지중해의 에게문명이 기원 ( 미노스 , 미케네 문명 )  B.C.1100 년경 그리스부족이 본토 점령 ( 미케네 문명 흡수 )  그리스 부족은 지중해를 중심으로 교역하면서 이집트와 근동의 문화에 접촉  B.C 7 세기중엽까지 글 쓰는 법 ( 문학 ) 과 돌깍는 법 ( 예술 ) 을 습득 이후 본격적인 그리스 문화 ( 미술 ) 시작
  37. 그리스 부 족 (BC.110 0 년경 ) 미케네 문명 에게 문명 BC.13-11C 미노스문명 그리스 문화의 발생
  38. 그리스 미술의 시기구분 ( 후대에 구분하고 명칭을 붙임 ) (1) 아르카익시기 (Archaic Period) : B.C 7C 후반 ~B.C479 년 ( 페르시아 전쟁 끝난 해 ) (2) 고전기 (Classic Period) : B.C 479~B.C 323 년 ( 알렉산더가 사망한 해 ) (3) 헬레니즘기 (Hellenistic Period) : B.C.323 이후
  39. 그리스 문화의 특징  철학의 발달 -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등  인간에 대한 이해 - 인간중심 , 개인중심 , 이성 ( 理性 ) 중시  개인의 업적 중시  과학과 철학은 모두 정확하고 명쾌함  미술에서도 단순함 , 수학적인 정확성 , 이상적인 비례 중시  도시국가들은 같은 언어 , 공통의 종교로 결속됨  스포츠 , 음악 경연 등도 개인 기량 중심
  40. 그리스 ( 로마 ) 신화와 신들 호메로스의 < 일리어드 >, < 오딧세이 > : 인간과 인간을 닮은 신들의 ‘인간중심적인’ 이야기들
  41. 그리스 고전기 (Classic Period) 의 조각과 건축  고전기의 미술 : 고도의 묘사력과 이상화 , 조화 , 비례의 미 , 절대적 미 개념 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웅변술의 이론화 , 체계화 – 언어에 대한 통찰 , 교육 중시 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미 개념과 그리스 고전미술 1) 사물을 있는 그대로 모방하지 말고 이성을 통해 신체를 이상화할 것 . 2) 외적 형식을 통해 영혼을 표현할 수 있음을 믿음 . - 이는 모방보다 이성적 원리가 중요함 . 3) 철저하게 이성적 영역인 수학적 비례 - 절대적인 아름다움
  42. 고전기의 조각  B.C. 5C 경 청동주조 시작 – 새로운 양식 주도 : 다양한 포즈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매체  자연스럽고 사실적이면서도 , 비례가 완벽한 이상적이고 아름다운 모습 : 이 조각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움직이고 있는가 , 정지하고 있는가 ?  대표적인 조각가 : 피디어스 , 폴리클레이토스
  43. 폴리클레이토스 , < 도리포로스 ( 창을 멘 남자 )> B.C.450 년경 콘트라포스토 자세 조화와 정확성 : canon (0.382: 0.618)
  44. 미론 , < 디스코볼로스 ( 원반던지는 사람 )> B.C. 450 경
  45. 피디어스 , < 세 여신 >- 파르테논 동쪽 페디먼트 조각 B.C.438-432 년경
  46. 고전기 건축  신전 ( 신상을 보호할 거처 )  비례와 정확성 , 질서와 조화 중시  주두 ( 柱頭 ) 의 모양에 따른 양식 구분 1) 도리아 양식 2) 이오니아 양식 3) 코린트 양식
  47. 도리아 양식 이오니아 양식 코린트 양식
  48. 파르테논 신전 , B.C.448-432 - 도리아식 비례와 조화 , 수학적 질서를 지닌 고전기 가장 대표적인 건축
  49. 아크로폴리스의 모습 , 아테네
  50. 파르테논신전 평면도 아크로폴리스 언덕의 신전들
  51. 전형적인 신전의 평면도 정면 기둥 6 개의 규모
  52. 고대 그리스 이후의 유럽 동로마 ( 비잔틴제국 ) 1453 년 ( 동방정교 중심 ) ( 터키에 멸망 ) 로마 서로마 이동시대 중세 ( 中世 , Middle Age) 르네상스 (476 년 망함 ) ( 암흑시대 ) ( 로마 카톨릭 중심 ) (15 세기에 시작 ) - 봉건제도의 안정 - 로마네스크 - 고딕 - 국제고딕 , 후기고딕
  53. 르네상스의 미술
  54. Re-naissance 란 재생 혹은 부활 ? 그 옛 것은 “ 옛 것이 어떤 것이고 새롭게 그들은 무엇을 재생 살아난다” 혹은 부활시키려 했을까 ?
  55. 고전과 고전주의 • 고전 (classic) 이란 말은 ‘모범’ , ‘ 본보기’란 뜻 . 학문이나 예술에서 , 역사적으로 인정되는 훌륭한 작품이나 저서 . • 고전주의 (Classicism) 는 ‘ 고전’을 모범으로 삼아 그 정신과 방식을 따르려는 양식을 말함 .
  56. 최초의 ‘고전주의’ - 15 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 인간성의 부활 –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 • 인문학 (Studia Humanitas) 의 부활 - 보편적인 인간상 (Humo Universal: 교양을 두루 갖춘 이상적인 인간상 ) 추구 - 인간중심주의 혹은 Humanism( 인본주의 ) 에 입각한 모든 학문의 발달 • 자연주의 , 과학의 발달 - 조화와 비례 , 수학적인 정확성의 아름다움을 추구 . - 자연에 대한 관찰과 학문적인 접근 - 미술에서의 가장 큰 혁신은 ‘자연모방과 정확한 인체표현’ : 선원근법의 발명 / 해부학의 발달
  57.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 < 성모와 성자들 >, 1472 경 ( 일명 몬테펠트로 제단화 ) 목판에 템페라 (Sacra Conversazione)
  58. 안토니오 델 폴라이우올로 < 성 세바스찬의 순교 >, 1475
  59. 보티첼리 , < 봄 ( 프리마베라 )> 1482 년경 , 나무에 템페라 , 우피치 미술관
  60. 보티첼리 , <Primavera> c. 1482
  61. “blind cupid” 보티첼리 , <Primavera> c. 1482(detail)
  62. 보티첼리 , < 비너스의 탄생 >, c. 1485, Tempera on canvas, 메디치 별장 ( 현재는 우피치미술관 ) 68
  63. 69
  64. 페루지노 , < 하늘나라의 열쇠를 받는 성 베드로 >, 1482
  65. 레오나르오 다 빈치
  66. 레오나르오 다 빈치 < 동굴의 성모 >, 1483-86 Oil on panel, 199 x 122 cm Musée du Louvre, Paris “ 스푸마토 (sfumato)” 2 점 ( 루브르 , 대영박물관 )
  67. <The Last Supper>, 1498 Mixed technique, 460 x 880 cm Convent of Santa Maria delle Grazie, Milan
  68. 미켈란젤로 , < 피에타 (Pietà)>, 1499, 대리석
  69. 시스틴 예배당 내부 시스틴 예배당 외부
  70. View of the Medici Chapel, 1526-33 77
  71. Tomb of Lorenzo de' Medici 1524-31 78
  72. Lorenzo de' Medici 79
  73. Tomb of Giuliano de' Medici (detail) 80
  74. Giuliano de' Medici 81
  75. Giuliano de' Medici 82
  76. 라파엘로 <Madonna del Cardellino> ( 검은 방울새의 성모 ), 1507 Oil on wood, 107 x 77 cm
  77. 르네 데카르트와 이성 “ Cogito ergo sum”(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78. 고대 그리스 자연철학자들 : ‘ 무엇이 있는가 ( 존재하는가 ?)’ , ‘ 세계는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 ?’  소크라테스 : ‘ 인간은 무엇인가’ . ‘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이러한 질문들이 천년이 넘게 철학을 이끌어 옴 .  데카르트 등장 이후 : 이 질문들은 ‘내가 무엇을 알 수 있는가 ?’ 로 바뀜 . 혹은 ‘무엇이 우리 인간으로 하여금 아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가 ? ’
  79. 신고전주의 Jacques Louis David, < 호라티우스 형제의 맹세 >, 1784 로마의 호라티우스 가문과 알바의 쿠라티어스 가문의 대립 , 애국심과 형제애의 대립 – 자기희생과 명예로운 애국심 대신 폭력과 무정부상태를 통해 프랑스 대혁명 자극하는 결과
  80. 남성성과 여성성의 대립 Jacques Louis David, < 호라티우스 형제의 맹세 >, 1784
  81. J.L.David, < 사비니여인의 중재 >, 1799
  82. 마치며…  무엇이 인간중심적이고 고귀한 인간성의 표현인가 ?  우리는 ‘고전 (classic)’ 이라고 부르는 것에 동의하는가 ? 즉 , 보편성 , 보편적인 아름다움 , 보편적 가치 , 무한하고 영원한 가치 , 감정이 아닌 이성을 담보로 한 것 , 고결한 정신성… ..  어떤 작품이 ‘고전주의 (classicism)’ 양식을 가진다는 것은 무슨 의미 인가 ?  이성이 과도해지면 ? 이성의 그늘은 어떤 모습일까…
Publicit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