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17
Télécharger pour lire hors ligne
1) 이 논문은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을 수정 및 보완한 것임.
2) 박성미, 북인천중학교 교사
3) 교신저자: 이지연, 인천대학교 창의인재개발학과 교수 / E-mail: becoming@incheon.ac.kr
4) 장진이,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연구원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1)
박 성 미
2)
이 지 연
3)
장 진 이
4)
인천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들의 정신건강과 정서조절 능력의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정신건강과 정서조절 능력 향상을 목표로 자신과 타인의 정서에 대
한 인식, 정서수용, 정서조절 등을 훈련하는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한 뒤, 수도권 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한부모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대인예민성, 우울
에서는 유의미한 집단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적대감과 불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서조절
능력에서는 자기의 정서 인식 및 표현, 타인의 정서 인식 및 또래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집단 차이가 발견되었으
나, 정서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의 정서 이용,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 종결 후 정신건강 수준과 정서조절 능력에서 유의미
한 상승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의 심리적 지원에서 정신건강과 정서
조절 능력 향상에 초점화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활용도를 논의하였다.
주요어 : 집단미술치료, 한부모 가정, 정신건강, 정서조절, 정서인식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12. Vol. 19, No. 3(SN. 60), 565~581
2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Ⅰ. 서 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한부모가정이란 만 18세 미만의 미성년자 자
녀를 둔 가정에서 부모 중 어느 한쪽의 사망,
이혼, 유기, 별거로 인해 혼자서 자녀를 키우며
부모 역할을 담당하는 한 부모와 자녀로 구
성된 가족을 말한다(Giovaaoni & Billingsley,
1995; 문석인, 2008 재인용: 6-10). 최근 우리 사
회에는 부모의 사망, 이혼, 별거와 그 밖의 특
수한 상황으로 인해 한부모가정이 늘고 있다
(통계청, 2005). 이러한 한부모가정의 증가는 4
0~50대 가장의 높은 사망률, 여성의 활발한
경제적 진출과 개인주의의 확산으로 인한 이혼
및 별거의 급증에 기인한다(한국여성개발원,
2006).
대부분의 한부모가정은 가족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던 부나 모의 부재로 인해 가
족기능의 부분적 혹은 전체적인 수행 불능, 가
족원의 욕구불만, 경제 및 정서적 문제(김영아,
2006)와 대인관계 문제(박수현, 정순영, 2004)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한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아동 청소년 자녀들은 생활상
의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 외에 낮은 자
기통제력과 공격성(김남숙, 1994), 불안(손병규,
2006), 우울(김남숙, 1994; 김지영, 2002), 낮은
자기존중감(권영미, 2002; 김남숙, 1994; 김지영,
2002; 방진희, 2004; 이삼연, 2002; 홍순혜,
2004), 슬픔 및 상실감(박수현, 전순영, 2004),
교우관계의 어려움(구차순, 2002) 등을 호소하
였다. 이혼가정 자녀 13,000명을 대상으로 메타
분석한 Amato(1994)의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낮은 학업성취도, 문제행동, 낮은 자기존중감,
부정적 자기상, 사회부적응, 부모와의 문제적인
관계’를 경험하였다. 한부모가정에서는 부 혹은
모의 생계유지와 양육이라는 다중역할로 인해
자녀와의 대화 및 접촉 시간이 감소되고 그로
인한 지도감독의 소홀뿐 아니라 다중역할에 따
른 과도한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부정적인 영
향을 미쳤다(방진희, 2004). 이러한 연구 결과들
은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이 복합적인 스
트레스 상황에서 다양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경
험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들은 청
소년 시기에 요구되는 신체 및 심리적 변화에
대한 적응과 심리적 독립과 정체성 확립, 학업
성취 등과 같은 다양한 발달과업을 이루어야
하는 부담감과 함께 한부모가정으로의 변화라
는 스트레스 상황으로 인하여 정신건강상의 문
제를 경험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정신건강이란 정신병리적 상태에 있지 않음
을 의미할 뿐 아니라 모든 개인적 혹은 사회적
인 적응을 포함하는데, 만족스러운 인간관계를
이루고 유지해 나가는 능력과 곤란한 생활조건
을 처리해 나갈 수 있는 건강하고 균형 잡힌
통일된 성격 발달을 의미한다(김준희, 1995). 선
행 연구에 따르면 한부모가정의 자녀들은 더
큰 심리적 부적응과 어려움을 보여 정신건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였고(주소희, 2002),
약물남용, 학교폭력 등의 문제행동을 보일 가
능성이 높았다(박진영, 2000). 이와 같이 한부모
가정 청소년 자녀들이 정신건강상의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연구 결과가 보고
되고 있지만, 그렇다고 모든 한부모가정의 청
소년 자녀들이 발달상의 어려움이나 적응에서
의 문제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이들 대부분은
양부모가정과 마찬가지로 정상적으로 발달하
고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잘 적응하였고(이명
순, 2006), 오히려 더 높은 자기효능감과 내적
통제력으로 성숙된 모습을 보였다(조홍식, 김인
숙, 김혜란, 심은주, 2002).
이러한 상반된 연구 결과들은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
양한 변인들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한부모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3
가정이라는 환경적인 스트레스와 청소년기의
다양한 발달과업으로 인한 부담감 등을 효과적
으로 다룰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심리적 부
적응의 표현은 크게 우울, 불안 등의 내적인
증상이 주가 되는 정서장애와 내적인 긴장 및
갈등을 밖으로 표현하는 행동장애 등 두 가지
를 생각할 수 있는데, 아동들에서는 이 두 유
형이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되어 나타나지만 청
소년들에게서는 정서장애와 함께 반항적인 행
동 혹은 비행 등의 행동장애가 뒤섞여서 나타
날 수 있다(민성길, 1992).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의 정신건강을 우
울, 불안, 적대감과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대인예민성 등에 초점화하여 살펴보
고자 하였다.
한편, 개인의 적응과 정신병리 및 정신건강
을 정서조절의 측면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노력
이 활발한데(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이
라는 개념의 복합성과 포괄성 때문에 개념적
합의는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최근에 정서
조절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Gratz와
Roemer(2004)가 정서조절을 정서의 자각과 이
해, 정서수용,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면서도 목
표지향적 행동하기, 충동적 행동 통제, 상황에
적절한 정서조절전략 사용, 자신의 정서에 대
한 명료성 등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Bonanno
(2001)는 정서조절은 개인의 안녕감과 성공적인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하였
고, Greenberg(2002)와 Gross(1999)는 정서조절
의 실패를 정신병리의 핵심으로 보고 다양한
정서조절 기술을 습득시켜 정서조절 능력을 향
상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이지영, 권석만, 2006: 463-466). 이
와 같은 정서조절은 청소년들의 사회적 관계에
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정서조절 능력
을 가질 경우 사회적으로 보다 적절한 행동을
하고 덜 공격적이며 친구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김은경, 2004).
이상의 연구들은 정서조절 능력이 한 개인
의 정신병리 뿐 아니라 대인관계 등을 포괄하
는 정신건강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
음을 보여 주는 것인데, 정서조절 능력이 한부
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 장소현(2010)에 따르면 청소년의 정서 표
현은 그들의 생활조건에 따라 개인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정서조절 능력이 부족할 경우 자
기파괴적 행동이나 퇴행적 행동을 보일 수 있
고, 부모, 또래 등 주변 환경에의 적응에 어려
움을 경험하였다. 특히, 앞서 살핀 바와 같이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은 발달 혹은 상황
적 스트레스로 인해 다양한 부정적 정서 경험
에 노출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보다 많은
정서조절 노력이 요구될 수 있다. 더구나 이러
한 정서조절의 실패가 정신건강상의 문제와 관
련될 수 있는 만큼 중요한 심리적 자원으로서
이들의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
하다.
그러나 앞서 강조하였듯이 모든 한부모가정
의 청소년들이 발달상의 어려움이나 사회부적
응을 경험한다고 할 수 없다. 이들은 일반 가
정의 청소년들에 비하여 적응상의 어려움을
더 경험하였지만 그 차이는 매우 작았다(오승
환, 2001). 오정수(2003) 역시 저소득 한부모가
정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삶의 질에 대한 비
교 연구에서 저소득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이 열
악한 환경에 놓여 있지만, 복지관 및 기타 재
단으로부터 경제적, 문화적 지원을 받을 경우
자기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서 일반 청소년
들과 차이가 없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어
떠한 심리사회적 지원이 이뤄지냐에 따라 한부
모가정 청소년들도 일반 청소년과 다름없이 건
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
4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다. 따라서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의 정
신건강에 대한 명료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신건
강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 프로그
램이 필요하다. 현장에서는 이미 한부모가정의
아동 청소년을 위한 각종 상담프로그램과 방과
후 학교 등이 운영되고 있지만, 막상 프로그램
개발과 이에 대한 효과성 검증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어서(김은영, 2003; 박사라, 2001; 오승환,
2001; 조성연, 2004)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
다.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정서조절 능력의 향상
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가운데 집단미술치료
는 방어를 감소시키고 창조적인 에너지 발산과
자기표현을 통한 긍정적인 자기개념 형성(김태
은, 2002)이라는 개인미술치료의 이점 외에 집
단이라는 사회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잠
재적인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한다. 즉
자기존중감 향상과 우울 감소(오가영, 이영환,
2003), 자기인식의 변화(최선남, 현은민, 2003),
자기존중감 향상(김혜선, 2004) 외에 집단원 간
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사회성을 향상시켰
다(김경은, 2003; 김미영, 2000). 실제로 저소득
층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에 대한 집단미
술치료 결과 자존감 향상 및 우울 감소(이민정,
2003) 외에 모-자관계지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박수현, 전순영, 2004). 또한 집단미술치
료는 억눌려 왔던 감정 표현을 촉진시켜 안전
한 공간에서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한다(옥금자, 2007a, 2007b).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결과, 집단미술치
료를 통해 정서표현이 향상되었고(김동연, 문혜
숙, 1999; 성복순, 2006), 분노억제에 대한 사고
가 변화되었다(팽은경, 2005). 이는 집단미술치
료 과정에서 자신의 정서를 탐색하고 표현하며
정서 표현에 대한 갈등을 감소시켜 정서의 자
각과 이해, 정서수용, 충동적 행동 통제 등의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
다. 따라서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의 정
신건강 수준과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
해서는 집단미술치료적 접근이 유용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들은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스트레스를 경
험하고, 보다 많은 정서조절 능력이 요구되는
정서 경험에 노출될 수 있는 만큼 이들의 정신
건강 수준과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정신건강 수준과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는데, 프로그
램의 형태로는 청소년에게 집단 속에서 매체를
활용하는 활동 중심의 개입이 보다 유용할 것
으로 판단하여 집단미술치료를 선택하였다. 집
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한부모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 효과성을 검증한 본 연
구는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이 일반 가정
의 청소년들과 다름없는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심리적 지원 활동과 이후 이들
을 대상으로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
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문제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
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정신건강에
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는가?
2)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
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정서조절능
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는가?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5
Ⅱ.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수도권 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한
부모가정 청소년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
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
생 가운데 정신건강 수준과 정서조절 능력에서
점수가 유사한 16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남학
생 4명, 여학생 4명)과 통제집단(남학생 3명, 여
학생 5명) 각각에 8명씩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연구 설계
효과성 검증을 위한 연구설계는 다음과 같
다.
구분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실험 집단 O₁ X O₂
통제 집단 O₃ O₄
O, O₃: 사전검사(정신건강 척도, 정서조절능력 척도)
O, O₄: 사후검사(정신건강 척도, 정서조절능력 척도)
X :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을 위한 집단미술 프로그램
표 1. 연구 설계
프로그램 개발 및 구성
프로그램 개발은 한국예술치료학회의 프로
그램을 기초로 하고, 정여주(2006)의 ‘미술치료
의 이해-이론과 실제’, 유미(2010b)의 ‘현장적
용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과 진행’, 박현주와
서명옥(2009)의 ‘미술치료의 매체 활용법’ 등을
참고로 하였다. 전체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를 선정하고 하위 구성요소와 회기수를 결정한
다음 각 회기별 목표 및 활동 내용을 선정하였
다. 각 회기는 가족에 대한 생각과 감정 탐색,
자신이 경험하는 부정적인 혹은 긍적적인 정서
를 탐색하고 수용하기, 이름 붙이기, 정서 표현
등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안정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구성
된 활동 내용이 과연 정서조절 능력과 정신건
강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후
관련 전문가의 평정을 받았는데, 상담심리전문
가 1인, 미술치료학 박사 1인의 평정을 통해
내용타당도가 높고 2인 모두 치료적합도가 7점
이상으로(10점 만점) 평가한 활동만을 선택하였
다. 이 가운데 일부는 평정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였다.
프로그램은 크게 초기 단계, 정서인식의 단
계, 정서수용의 단계, 정서조절의 단계, 종결
단계 등 총 5단계로 구성하였다. 초기 단계인
1회기는 프로그램 소개, 자기소개, 서약서 작
성, K-HTP 검사 실시로 구성하였다.
정서인식의 단계(2회기-4회기) 가운데 2회기
에서는 KFD(동적가족화) 검사를 통해 가족에
대한 참가자의 생각과 감정을 탐색하고 명상을
통한 이완의 시간을 갖는다. 또한 쉐이빙 폼을
통해 새로운 매체에 대해 경험하고 감정의 이
완과 집단원간의 친밀감을 도모하며 만다라 색
칠을 통하여 감정을 인식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3회기에서는 점토놀이를 통해 내면의 감정
에 귀기울이고 자신의 아바타를 만들어 내가
원하는 나의 모습을 반영토록 하여, 스스로를
탐색하고 자신이 바라는 모습은 어떤 모습인지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다. 또한 아바타의 프로
필을 만들어 새로운 하나의 객체로서 아바타를
인식하고 그 아바타를 통해 긍정적으로 변화하
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4회기는 잡지 꼴라주 작업을 통해 자신이 원
하는 것이 무엇이고 싫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그것을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고 대리만족하는 경험을 해 보도록 하였
6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단계 주제 회기 목표 활동 내용 기대효과
초기 나의 소개 1
▪프로그램 진행과 내용을 이해
하고, 집단원간 라포를 형성하
도록 한다.
▪오리엔테이션
▪서약서 작성
▪감정노트
▪K-HTP 검사
▪이름 이미지
▪인터뷰 게임
- 흥미 유발
- 라포 형성
- 규칙 알기
정서
인식
구름나라로 2
▪가족에 대한 생각과 감정을 탐
색하도록 한다.
▪호흡 및 이완 훈련을 한다.
▪감정노트
▪KFD 그림검사
▪명상
▪쉐이빙 폼 작업
▪만다라 색칠하기
- 라포 형성
- 즐거움
- 자기탐색
또 다른 나 3
▪자신이 자주 경험하는 감정을
탐색하고 수용 하도록 한다.
▪감정노트
▪점토 탐색
▪내 아바타 만들기
▪아바타 프로필 만들기
- 이완
- 욕구 표현
- 자기 탐색
내가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
4
▪자신이 경험하는 감정에 이름
을 붙이고, 시각화하여 표현하
도록 한다.
▪감정노트
▪잡지 콜라주
- 욕구탐색과 인식
- 만족감
정서
수용
스트레스
날려 버려
5
▪자신이 경험하는 부정적인 감
정을 수용하고 표현하도록 한
다.
▪감정노트
▪신문 위에 난화작업
▪신문찢기, 던지기, 날리기
▪신문지 공 만들어 던지기
▪풍선 불어 터트리기
- 정서 표현
- 부정적 정서인식 및
표현
- 스트레스 해소
내 마음속
이야기
6
▪부정적인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감정노트
▪국수놀이
▪국수반죽 만들기
▪내 마음속 이야기책 만들기
- 감정표현
- 즐거움
- 스트레스 해소
정서
조절
아름다운
가정 만들기
7
▪미래의 가정에 대한 안정감을
갖도록 한다.
▪감정노트
▪플레이콘으로 나의 미래의 집
만들기
▪따뜻한 가정의 10계명 만들기
- 가정에 대한 욕구 표
현
- 긍정적 미래설계
- 미래의 가정에 대한
안정감
칵테일
파티
8
▪긍정적인 감정을 인식하고 이
름붙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나눈다.
▪감정노트
▪천사점토 탐색
▪만들고 싶은 것 만들기
▪친구들의 작품에 필요한 것 만
들어 선물하기
- 자기효능감 향상
- 긍정적 자기인식
내 마음의
한 조각
9
▪긍정적인 피드백을 나누고 긍
정적인 감정의 표현을 촉진한
다.
▪감정노트
▪단점 장점 만다라
▪커다란 원을 조각내어 한조각씩
나누기
▪긍정적 마음을 조각에 마음껏
표현하기
▪전체를 다시 모아 피자모양 만
들기
- 긍정적 피드백
- 정서조절 향상
- 정신건강 향상
종결 고마워 10
▪자신의 미래상을 시각화 하여
간직하도록 한다.
▪감정노트
▪K-HTP검사
▪KFD검사
▪나에게 상장 주기
▪소망 나무
▪종결파티
- 자존감 향상
- 정서조절 향상
- 정신건강
표 2.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내용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7
다. 또한 서로의 작품을 통해서 집단원간의 공
통점을 찾고 나누어 유대감을 형성하도록 한
다.
정서수용의 단계(5회기- 6회기) 가운데 5회기
에서는 신문지 위에 난화작업을 통해 자신의
감정 중에 분노와 화를 표출하도록 하였다. 신
문을 찢고, 던지고 날리면서 부정적인 감정들
을 끄집어내어 분출하도록 하였다. 찢은 신문
지를 이용해 공을 만들어 던지는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풍선을 불어 터뜨리는
활동으로 부정적인 감정들을 표현하고 스스로
정화되는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6회기에서는 국수놀이를 통해 5회기에 이어
부정적 감정의 해소에 대한 경험을 한 번 더
갖도록 하였으며 작게 부셔진 국수를 가지고
반죽을 하여 나에게 주는 선물을 만들어 스스
로를 격려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내마음
속 이야기 책 만들기를 통해 내 안에 있는 감
정들을 살펴보고 긍정적인 감정들을 찾아내어
자기존중감을 높이고 정서를 수용하는 에너지
로 삼을 수 있도록 하였다.
정서조절의 단계(7회기- 9회기) 가운데 7회기
에서는 플레이콘으로 나의 미래의 집을 만들어
보면서 가정에 대한 긍정적인 미래상을 갖도록
하였다. 따뜻한 가정의 10계명을 만들어 행복
하고 따뜻한 가정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
각해 보고 지금의 가정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8회기에서는 천사점토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만들도록 하여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였다. 또한 친구들이 필요한 것을 만들어 선
물해 주는 활동을 통해 집단원간 긍정적인 피
드백을 나눌 수 있게 하였다. 9회기에서는 단
점을 장점으로 바꿔주는 만다라를 통해 긍정적
인 정서를 가질 수 있게 하였으며 마음조각나
누기를 통하여 서로에게 힘이 되어줄 수 있도
록 격려하고 지지하는 과정을 통해 정서를 조
절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 10회기에서는 간이정신진단검사, 정
서조절능력 척도, KHTP 검사와 KFD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검사 결과와 비교하고, 나에게
상장주기를 통하여 10회기 동안 열심히 참여했
던 자신에게 칭찬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소
망나무를 통하여 앞으로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꿈과 자신의 긍정적인 모습에 대한 소망을 갖
고 그것을 이룰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이상의
전체 회기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부모가정의 청
소년 자녀들은 자신이 경험하는 부정적 혹은
긍정적인 정서에 대한 조절 능력을 유지하고,
정신건강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구체적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표 2와
같다.
연구 도구
1) 정신건강
Dwrogatis(1976)등이 개발하고 김광일, 김재
환, 원호택(1984)이 번안한 한국판 간이정신진
단검사(Checklist-90-Revision: SLC-90-R)로 김성
숙(2005)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9개
증상 9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대인예민성,
우울, 적대감, 불안 등 네 영역의 총 24문항만
을 사용하였다. 지난 1주일 동안 경험한 증상
의 정도에 따라 Likert식 5점 척도(5점; 매우
그렇다,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 따라 응답하
게 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하위영역의
증상 수준이 심각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연구
에서의 신뢰도는 대인예민성, .84, 우울, .79. 적
대감, .89. 불안, .82, 전체 .95로 나타났다.
2) 정서조절 능력
Goleman(1995), Mayer 등(1990, 1995)의 연
구결과를 토대로 김경희(1998)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 척도로 김옥희(2009)가 재구
8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성한 것을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
기 정서인식 및 표현, 정서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 정서이용, 타인 정서인식 및 또래관계, 교
사와의 관계 등 5개 하위영역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Likert식 5점 척도(5점; 매우 그렇
다,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 따라 응답하게
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조절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각
각 .90, .63, .68, .87,.77, 전체 .83으로 나타났다.
연구 절차
사전검사로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에게 간
이정신진단검사, 정서조절능력 척도를 실시하
였고, 실험집단에게는 프로그램 1, 2회기에
KHTP 검사와 KFD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
램 실시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3월 28일부터
6월 27일까지 총 10회기 실시하였으며 매주 월
요일 방과 후에 진행하였다. 사후검사로 실험
집단, 통제집단 모두에게 간이정신진단검사, 정
서조절능력 척도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게
는 프로그램 9, 10회기에 KHTP 검사와 KFD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SPSS 15.0을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의 평균 점수를 비교하고, 평균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
사를 분류해서 채점한 후 사전검사를 공변인으
로 한 다변량공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을 실시하였다(이
영선, 권정혜, 이순묵, 2006).
아울러 통계검증에서 F값은 물론 표본크기
에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크기를 함께 제시하
였는데, F값이 유의하지 않아도 효과크기가 유
의하면 내용적 해석의 대상으로 한다. 효과크
기의 지수로서는 , , f, d 등이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SPSS에서 제공되는 (변산원이 복
수일 경우 partial 로 부르기도 함)를 제시하
였다. 이 는 회귀분석에서의 와 같은 개
념으로서, ‘집단구분’이라는 예측변수가 결과변
수의 분산을 설명하는 비율이다. 크기가 .01이
면 작은 효과, .06은 중간 효과, .15는 큰 효과
로 해석할 수 있다. 보다 신중한 해석을 위해
중간크기 또는 그에 가까운 정도의 효과에 대
해서만 해석하였다.
Ⅲ. 연구 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신건강에 미
치는 영향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Levene의 동질성 검사를 실
시한 결과 두 집단의 분산이 동질임이 입증되
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 검
증 결과는 표 3과 같다. 정신건강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정신건강 총점은 사전검
사의 영향을 제거했을 때 집단의 주효과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F(1,10)=3.66, p=.08], 효과크기 η2
이 .27로 효
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대인예민성[F(1,10)=8.79,
p<.05, η2
=.47], 우울[F(1,10)=5.15, p<.05, η2
=.34]
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적대감
[F(1,10)=3.52, p=.09, η2
=.26]과 불안[F(1,10)=.25,
p=.63, η2
=.03]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효과크기는 대인예민성, 우울, 적대
감에서는 컸으나(.15이상), 불안에서는 작았다.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9
하위변인
집단
(N=8)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대인 예민성
실험집단 14.25 4.59 12.87 3.87
통제집단 16.50 3.16 17.75 3.61
우울
실험집단 13.00 3.70 10.87 3.75
통제집단 13.25 3.41 14.00 3.42
적대감
실험집단 12.00 4.00 10.62 3.92
통제집단 12.38 4.03 13.87 4.58
불안
실험집단 12.38 2.82 11.87 4.54
통제집단 12.13 3.87 13.37 3.50
정신건강 총점
실험집단 51.63 14.12 46.25 14.88
통제집단 54.25 12.99 59.00 14.43
표 3. 정신건강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평균 및 표준편차
하위
변인
변량원 총 제곱합 자유도
평균
제곱
F partial η2
observed
power
a
대인
예민성
사전점수(공변인) 241.82 5 48.36 9.74
**
집단 43.63 1 43.63 8.79
*
.47 .76
오차 49.62 10 4.96
우울
사전점수(공변인) 174.27 5 34.85 7.63
**
집단 23.54 1 23.54 5.15
*
.34 .54
오차 45.67 10 4.56
적대감
사전점수(공변인) 224.86 5 44.97 6.23
**
집단 25.39 1 25.39 3.52 .26 .40
오차 72.14 10 7.21
불안
사전점수(공변인) 127.99 5 25.60 2.29
집단 2.83 1 2.82 .25 .03 .07
오차 111.75 10 11.17
정신
건강
총점
사전점수(공변인) 2,758.87 5 551.77 6.12
**
집단 330.46 1 330.46 3.66 .27 .41
오차 900.88 10 90.08
*** p<.001 ** p<.01 * p<.05,
a. observed power는 경험자료에 근거한 검증력이다. 예를 들어, 통계검증력 .99는 이런 효과크기에 이런 표본크기를 가지고 검
증을 (여기서의 1종 오류 확률은 .05)할 때 99%가 유의하게 나올 것임을 의미한다. 즉 유의하지 않게 나올 확률은 1%라는 의
미이다.
표 4. 정신건강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두 집단 비교
10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0
20
40
60
80
정
신
건
강
사전 사후
54.25 59
51.63
46.25실험집단
통제집단
하위변인
집단
(N=8)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자기 정서인식 및 표현
실험집단 31.50 6.18 34.25 5.00
통제집단 28.50 7.13 28.25 7.26
장사조절 및 충동억제
실험집단 28.62 2.77 30.12 3.31
통제집단 26.62 2.92 26.25 3.99
자기 정서이용
실험집단 37.87 7.07 44.87 13.74
통제집단 34.37 9.31 33.50 8.33
타인 정서인식 및 또래관계
실험집단 51.50 6.67 53.50 4.92
통제집단 51.75 7.32 49.75 8.11
교사와의 관계
실험집단 16.12 3.68 16.62 2.77
통제집단 14.62 4.10 14.50 3.33
정서조절 능력 총점
실험집단 165.63 20.98 179.37 20.42
통제집단 155.87 26.58 152.25 27.13
표 5.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평균 및 표준편차
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그림 1에서 알 수 있듯이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검사 점수는 54.25에서 59.00으로 4.75 증
가하였으나,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점수는
51.63에서 46.25로 5.38 감소하여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의 점수가 10.13 더 감소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서조절능력
에 미치는 영향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Levene의 동질성 검사를 실
시한 결과 두 집단의 분산이 동질임이 입증되
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정서조절능력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 검사점수에
대한 공분산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정서조절능력 총점은 사전검사의 영향을 제
거했을 때 집단의 주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
였고[F(1,9)=9.19, p<.05], 효과크기 또한 η2
이
.50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조절능력 하
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자기 정서인식 및 표현
[F(1,9)=5.66, p<.05, η2
=.38], 타인 정서인식 및
또래관계 [F(1,9)=5.90, p<.05, η2
=.39]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서조절 및 충동억
제[F(1,9)=2.49, p=.15, η2
=.21], 자기 정서이용
[F(1,9)=4.60, p=.06, η2
=.33], 교사와의 관계
[F(1,9)=1.46, p=.26, η2
=.14]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효과크기는 자기 정서
인식 및 표현, 정서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 정
서이용, 타인 정서인식 및 또래관계에서에서는
컸으나(.15이상),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중간 효
과크기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11
하위
변인
변량원 총 제곱합 자유도
평균
제곱
F partial η2
observed
power
a
자기 정서인식
및 표현
사전점수(공변인) 552.79 6 92.13 6.08
**
집단 85.67 1 85.67 5.66
*
.38 .56
오차 136.20 9 15.13
정서조절 및
충동억제
사전점수(공변인) 95.81 6 15.96 .94
집단 42.35 1 42.35 2.49 .21 .29
오차 152.62 9 16.95
자기
정서이용
사전점수(공변인) 1816.77 6 302.79 5.34
*
집단 260.91 1 260.91 4.60 .33 .48
오차 509.66 9 56.62
타인
정서인식 및
또래관계
사전점수(공변인) 574.91 6 95.82 7.64
**
집단 74.08 1 74.08 5.90
*
.39 .58
오차 112.83 9 12.53
교사와의 관계
사전점수(공변인) 120.71 6 20.11 6.19
**
집단 4.74 1 4.74 1.46 .14 .19
오차 29.22 9 3.24
정서조절
능력
총점
사전점수(공변인) 9234.45 6 1,539.07 7.76
**
집단 1823.41 1 1,823.41 9.19
*
.50 .77
오차 1783.98 9 198.22
*** p<.001 ** p<.01 * p<.05,
a. observed power는 경험자료에 근거한 검증력이다. 예를 들어, 통계검증력 .99는 이런 효과크기에 이런 표본크기를 가지고 검증
을 (여기서의 1종 오류 확률은 .05)할 때 99%가 유의하게 나올 것임을 의미한다. 즉 유의하지 않게 나올 확률은 1%라는 의미이
다.
표 6. 정서조절능력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두 집단 비교
0
60
120
180
240
정
서
조
절
능
력
사전 사후
155.87 152.25
165.63
179.37
실험집단
통제집단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2와 같
다.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점수는 155.87에서
152. 25로 3.62 감소하였으나,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검사점수는 165.63에서 179.37로 13.74 증
가하여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의 점수가 17.36
더 증가하였다.
12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Ⅵ.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들의 정
신건강과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
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미
술치료 이론과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청소년
들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 능력 향상을 촉진
시킬 수 있는 미술활동을 선정하였고, 전문가
의 평정을 통해 내용타당도 및 치료적 적합도
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5단계로 진행되는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실험집단
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신
건강과 정서조절 능력에서 유사한 남녀 중학생
16명을 선별하고 이들을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에는 간이정신진단
검사와 정서조절능력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실
험집단의 경우 1,2회기와 9,10회기 각각에서
KHTP와 KFD 검사를 실시하여 가족에 대한
지각의 변화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 참여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대인예민성, 우울에서는 유의미한 집단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적대감과 불안에서는 유
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본크기의 영
향을 받지 않는 효과크기로 살펴보았을 때는
적대감에서도 큰 효과(.15이상)가 있었다. 단,
불안은 작은 효과를 보였는데, 불안의 경우 일
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불안 수
준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한 김혜선(2004)의 연
구에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집단미술치료의
활동이 불안을 다루지 못한 한계가 있을 수 있
음을 시사하는 것인데, 이후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
게 되는 요인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또한
일반가정의 청소년과 결손가정의 청소년 간에
불안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
던 연구 결과가 있는 만큼(김지영, 2002), 불안
등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이 경험할 수
있는 정서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우울에서 집단 차이가 발견된 것은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의
우울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 준 이민정
(2003)도 지적하였듯이 비슷한 처지의 집단원끼
리 서로 이해하고 공감받는 경험을 통해 자신
감을 형성하고 자신을 보다 적극적으로 표현한
경험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타
인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불편감과 열등감인
대인예민성 역시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모-자의 관계지각에 효과
가 있음을 보여 준 박수현과 정순영(2004)의 연
구와 또래관계 및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음
을 보여 준 이근매(2004) 연구와 함께 집단미술
치료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신뢰감을 갖게 하
고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지각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주장(공마리아, 2004)을 뒷
받침하는 결과이다.
정서조절 능력에서는 자기 정서인식 및 표
현, 타인 정서인식 및 또래관계에서는 유의미
한 집단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정서조절 및 충
동억제, 자기 정서 이용,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사전-사
후검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결
과, 프로그램 종결 후 우울, 불안, 적대감, 대인
예민성 등을 포괄하는 정신건강 수준과 정서조
절 능력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발견되었다. 정
서조절 능력의 하위영역별로 집단 간 차이가
다르게 나타난 것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정서조
절 능력의 하위영역별로 다르게 영향을 미쳤음
을 보여 주는 것이다. 단, 표본 크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크기로 살펴보았을 때는 교사와
의 관계(.14)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큰 효과
크기(.15이상)를 나타낸 만큼 추후의 반복 검증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13
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가 자기 정서인식과
표현에 효과가 있다는 김나미(2011)의 연구와
ADHD아동의 충동억제와 감정조절에 효과적이
라는 정유진(2007)의 연구와 일맥상통하는 결과
이다. 정서조절능력 가운데에서도 자기 정서인
식과 표현, 타인 정서인식과 또래관계에서만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된 것은 집단미술치료가
정서표현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들을(김동연, 문혜숙, 1999; 성복순, 2006;
홍수현, 김경희, 2006) 뒷받침하는 것이다. 즉
집단미술치료는 집단이라는 안전한 공간에서
자신의 정서를 이미지화하고 이를 타인과 공유
함으로써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을 줄여 주고
자유롭게 표현하는 경험을 통해 정서표현 능력
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내 자신의
정서 인식뿐 아니라 타인의 정서에 대한 인식
능력도 향상시켜 또래관계 및 사회성에도 영향
을 미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정서표현 능력은 정서조절능력 가운
데 하나의 하위영역이다. 정서조절의 주요 하
위영역 가운데 하나인 정서조절 및 충동억제에
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집단미
술치료가 단순히 정서를 발산하고 표현하여 카
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하는 것을 넘어서 자신의
정서를 충동적으로 발산하지 않고 조절하여 표
현할 수 있는 능력 향상에도 초점을 둬야 함을
시사한다.
한편,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실시한 KHTP
와 KFD검사에서 가족 간의 상호작용이 늘어나
고 친밀감이 향상되었음을 암시하는 한 공간에
서 함께 활동하는 모습이 많이 등장하였다. 이
는 정신건강과 정서조절능력에서의 변화뿐 아
니라 가족관계와 가족에 대한 상에서도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집단미술치료가 모-
자의 관계지각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
음을 보여 준 박수현과 정순영(2004)의 연구를
뒷받침한다. 또한 그림들의 인물과 사물의 형
태가 선명하고 커지는 등 정서 면에서도 긍정
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발된 집단미
술치료프로그램은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들의
정신건강과 정서조절 능력을 유의미하게 향상
시켰다. 정신건강과 정서조절능력은 한부모가
정 청소년들이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발달 및
상황적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일반 가정 청소년
들과 마찬가지로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
록 하는 중요한 심리적 자원인 만큼 이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심리적 개입은 긴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초점화되어 개발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그 활용도가 높을 것이
다.
이미 현장에서는 한부모가정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막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외에 부 혹은 모, 가
족 전체가 가지는 특성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
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이후
의 프로그램에서는 부 혹은 모와 함께 참여하
는 내용으로 구성한다면 청소년 자녀 외에 가
족 전체의 기능 회복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
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효과성 검증이 프로그
램에 참여한 소수의 반응에 기초를 둔 만큼 일
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보다 다양한 한
부모가정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효과성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 동안 가
정, 학교, 학원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외적변수의 영향을 통제하지 못한 한계가 있
다. 비록 사전사후 연구설계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예비검
사를 실시하였으나 프로그램 진행 동안에 있을
14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수 있는 외적변수의 영향은 통제하지 못하였
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집단미술치
료 프로그램은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의 정신건
강뿐 아니라 정서조절능력이라는 보다 구체적
인 심리적 자원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화하였다
는 데 의의가 있다.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은 다
양한 스트레스로 인해 보다 많은 정서조절 노
력이 요구될 수 있는 만큼 정서조절능력을 향
상시키는 데 초점화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은 이들의 심리적 지원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
이다.
참고문헌
공마리아(2004). 미술치료개론. 서울: 동아문화사.
구차순(2002). 한부모가정의 가족상호작용과 자녀
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권영미(2002).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김경은(2003). 자아개념 증진 집단미술활동이 아동
의 공격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김경희(1998).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
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나미(2011). 미술치료가 정서적 방임 아동의 지
기인식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김남숙(1994).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 자녀에게 미
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동연, 문혜숙(1999).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6
(1), 207-244.
김미영(2000).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우울과 자기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김성숙(2005). 아동의 자기노출과 정신건강 및 학
교생활적응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김영아(2006).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
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옥희(2009). 정서조절 능력증진 집단상담 프로그
램이 시설 청소년의 정서조절 능력 및 또
래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김은경(2004). 청소년이 지각한 가정의 역기능과
심리성숙도와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영(2003). 한부모가족의 특성에 관한연구-미성
년 자녀를 둔 한부모를 중심으로. 평택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김준희(1995). 비합리적 신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영(2002). 결손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우
울, 불안, 자기개념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은(2002).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아동의 집단미
술치료 활동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김혜선(2004). 집단미술활동의 청소년의 불안과 자
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문석인(2008). 집단미술치료가 부모의 부재로 인한
문제행동을 해소하는데 미치는 효과. 조선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민성길(1992).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박사라(2001). 방과 후 프로그램이 한부모가정 아
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림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박수현, 정순영(2004).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족
의 모-자 자아존중감 및 관계지각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1(3), 427-453.
박진영(2000). 결손가정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15
석사학위논문.
박현주, 서명옥(2009). 미술치료의 매체 활용법.
서울: 학지사
방진희(2004). 저소득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심리사
회 적응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
과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성복순(2006).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우울 및 감정
표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손병규(2006).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자존감이 대인
관계와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
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가영, 이영환(200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서장애 아동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347-375.
오승환(2001). 저소득 편모가족의 가족기능과 자녀
의 심리사회적 특성비교 연구: 양친가족,
편부가족, 편모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
국아동복지학, 12, 77-107.
오정수(2003). 빈곤아동과 삶의 질: 기회보장. 한
국아동복지학회 제19회 학술대회 자료집,
68-74.
옥금자(2007a). 집단미술치료 방법론(이론과 실
제). 서울: 하나의학사.
______(2007b). 집단미술치료 방법론(임상적 실
제). 서울: 하나의학사.
유 미(2010a). 현장적용을 위한 미술치료의 이
해. 파주: 한국학술정보.
______(2010b). 현장적용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
램과 진행. 서울: 이담북스
이근매(2004).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결손가정
아동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 연구, 20(1), 357-372.
이명순(2006).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고등학
생의 학교생활 적응 비교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민정(2003). 집단미술치료가 편모가족 청소년의
자존감 향상과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 영
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삼연(2002). 이혼가정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관
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2), 37-64.
이영선, 권정혜, 이순묵(2006). 문제해결적 집단상
담이 집단따돌림 가해 청소년과 피해 청소
년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
상, 25(4), 881-898.
이지영, 권석만(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
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
담과 심리치료, 18(3), 461-493.
장소현(2010).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부모양육
행동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정묘순(2010). 한부모가정과 양부모가정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여주(2006). 미술치료의 이해(이론과 실제). 학
지사.
정유진(2007). ADHD아동의 행동개선을 위한 색
채수업 지도방안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조성연(2004). 여성 한부모가족의 모-자녀관계. 한
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53-167.
조홍식, 김인숙, 김혜란, 심은주(2002). 가족복지
학. 서울: 학지사
주소희(2002). 이혼가정 자녀의 부모 이혼 후 심리
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 연구. 한국복지학회지, 9, 77-106.
최선남, 현은민(2003). 편모가족을 위한 집단미술
치료 프로그램 모형개발. 미술치료 연구,
4(2), 161-174.
통계청(2005).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팽은경(2005). 분노 스트레스상황에서 자기표현의
미술매체활동이 분노억제 집단의 분노정서
와 생리적 각성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여성개발원(2006). 이혼 후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
홍순혜(2004).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자녀의 심리사
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학회,
16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17(2), 151-177.
홍수현, 김경희(2006).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
동의 정서지능과 대인 불안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3(4), 755-779.
Amato, P, R. (1994). Life-span adjustment of
children to their parents'divorce. Future
of Children; Children and Divor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
143-164.
Bonanno, G. A. (2001). Emotion self-regulation.
In T. J. Mayne & G. A. Bonanno(Eds),
Emotion(pp. 251-285). New York: The
Guilford Press.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1), 41-54.
투 고 일: 2012년 3월 20일
수 정 일: 2012년 4월 18일
게재확정일: 2012년 4월 27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Mental
Health and Emotion Regulation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Park, Sung-Mi Lee, Jee-Yon Jang, Jin-Yi
University of Incheon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velope and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mental health and emotion regulation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The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in which adolescents were trained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ir emotional experience.
After receiving the program intervention, the training group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t the
pre-post assessment points. The results showed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degree of the mental health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including emotion awareness and expression
and so on. The implication for future studies and practi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Finally, the study's limits and further discussion suggested.
Key Words : Group Art Therapy, Single-parent Families, Mental Health, Emotion Regulation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12. Vol. 19, No. 3(SN. 60), 565~581

Contenu connexe

Similaire à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마음빼기 명상을 활용한 고등학교 인성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마음빼기 명상을 활용한 고등학교 인성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마음빼기 명상을 활용한 고등학교 인성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마음빼기 명상을 활용한 고등학교 인성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마음수련
 
정서조절 프로그램 박지은
정서조절 프로그램 박지은정서조절 프로그램 박지은
정서조절 프로그램 박지은혜원 정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혜원 정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혜원 정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21ERICK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혜원 정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21ERICK
 
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John Kang
 
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John Kang
 
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John Kang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21ERICK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혜원 정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혜원 정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Similaire à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

마음빼기 명상을 활용한 고등학교 인성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마음빼기 명상을 활용한 고등학교 인성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마음빼기 명상을 활용한 고등학교 인성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마음빼기 명상을 활용한 고등학교 인성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서조절 프로그램 박지은
정서조절 프로그램 박지은정서조절 프로그램 박지은
정서조절 프로그램 박지은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구조적가족치료2
구조적가족치료2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Plus de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혜원 정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혜원 정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혜원 정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혜원 정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혜원 정
 

Plus de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 1. 1) 이 논문은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을 수정 및 보완한 것임. 2) 박성미, 북인천중학교 교사 3) 교신저자: 이지연, 인천대학교 창의인재개발학과 교수 / E-mail: becoming@incheon.ac.kr 4) 장진이,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연구원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1) 박 성 미 2) 이 지 연 3) 장 진 이 4) 인천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들의 정신건강과 정서조절 능력의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정신건강과 정서조절 능력 향상을 목표로 자신과 타인의 정서에 대 한 인식, 정서수용, 정서조절 등을 훈련하는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한 뒤, 수도권 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한부모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대인예민성, 우울 에서는 유의미한 집단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적대감과 불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서조절 능력에서는 자기의 정서 인식 및 표현, 타인의 정서 인식 및 또래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집단 차이가 발견되었으 나, 정서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의 정서 이용,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 종결 후 정신건강 수준과 정서조절 능력에서 유의미 한 상승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의 심리적 지원에서 정신건강과 정서 조절 능력 향상에 초점화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활용도를 논의하였다. 주요어 : 집단미술치료, 한부모 가정, 정신건강, 정서조절, 정서인식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12. Vol. 19, No. 3(SN. 60), 565~581
  • 2. 2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Ⅰ. 서 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한부모가정이란 만 18세 미만의 미성년자 자 녀를 둔 가정에서 부모 중 어느 한쪽의 사망, 이혼, 유기, 별거로 인해 혼자서 자녀를 키우며 부모 역할을 담당하는 한 부모와 자녀로 구 성된 가족을 말한다(Giovaaoni & Billingsley, 1995; 문석인, 2008 재인용: 6-10). 최근 우리 사 회에는 부모의 사망, 이혼, 별거와 그 밖의 특 수한 상황으로 인해 한부모가정이 늘고 있다 (통계청, 2005). 이러한 한부모가정의 증가는 4 0~50대 가장의 높은 사망률, 여성의 활발한 경제적 진출과 개인주의의 확산으로 인한 이혼 및 별거의 급증에 기인한다(한국여성개발원, 2006). 대부분의 한부모가정은 가족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던 부나 모의 부재로 인해 가 족기능의 부분적 혹은 전체적인 수행 불능, 가 족원의 욕구불만, 경제 및 정서적 문제(김영아, 2006)와 대인관계 문제(박수현, 정순영, 2004)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한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아동 청소년 자녀들은 생활상 의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 외에 낮은 자 기통제력과 공격성(김남숙, 1994), 불안(손병규, 2006), 우울(김남숙, 1994; 김지영, 2002), 낮은 자기존중감(권영미, 2002; 김남숙, 1994; 김지영, 2002; 방진희, 2004; 이삼연, 2002; 홍순혜, 2004), 슬픔 및 상실감(박수현, 전순영, 2004), 교우관계의 어려움(구차순, 2002) 등을 호소하 였다. 이혼가정 자녀 13,000명을 대상으로 메타 분석한 Amato(1994)의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낮은 학업성취도, 문제행동, 낮은 자기존중감, 부정적 자기상, 사회부적응, 부모와의 문제적인 관계’를 경험하였다. 한부모가정에서는 부 혹은 모의 생계유지와 양육이라는 다중역할로 인해 자녀와의 대화 및 접촉 시간이 감소되고 그로 인한 지도감독의 소홀뿐 아니라 다중역할에 따 른 과도한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부정적인 영 향을 미쳤다(방진희, 2004). 이러한 연구 결과들 은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이 복합적인 스 트레스 상황에서 다양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경 험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들은 청 소년 시기에 요구되는 신체 및 심리적 변화에 대한 적응과 심리적 독립과 정체성 확립, 학업 성취 등과 같은 다양한 발달과업을 이루어야 하는 부담감과 함께 한부모가정으로의 변화라 는 스트레스 상황으로 인하여 정신건강상의 문 제를 경험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정신건강이란 정신병리적 상태에 있지 않음 을 의미할 뿐 아니라 모든 개인적 혹은 사회적 인 적응을 포함하는데, 만족스러운 인간관계를 이루고 유지해 나가는 능력과 곤란한 생활조건 을 처리해 나갈 수 있는 건강하고 균형 잡힌 통일된 성격 발달을 의미한다(김준희, 1995). 선 행 연구에 따르면 한부모가정의 자녀들은 더 큰 심리적 부적응과 어려움을 보여 정신건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였고(주소희, 2002), 약물남용, 학교폭력 등의 문제행동을 보일 가 능성이 높았다(박진영, 2000). 이와 같이 한부모 가정 청소년 자녀들이 정신건강상의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연구 결과가 보고 되고 있지만, 그렇다고 모든 한부모가정의 청 소년 자녀들이 발달상의 어려움이나 적응에서 의 문제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이들 대부분은 양부모가정과 마찬가지로 정상적으로 발달하 고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잘 적응하였고(이명 순, 2006), 오히려 더 높은 자기효능감과 내적 통제력으로 성숙된 모습을 보였다(조홍식, 김인 숙, 김혜란, 심은주, 2002). 이러한 상반된 연구 결과들은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 양한 변인들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한부모
  • 3.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3 가정이라는 환경적인 스트레스와 청소년기의 다양한 발달과업으로 인한 부담감 등을 효과적 으로 다룰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심리적 부 적응의 표현은 크게 우울, 불안 등의 내적인 증상이 주가 되는 정서장애와 내적인 긴장 및 갈등을 밖으로 표현하는 행동장애 등 두 가지 를 생각할 수 있는데, 아동들에서는 이 두 유 형이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되어 나타나지만 청 소년들에게서는 정서장애와 함께 반항적인 행 동 혹은 비행 등의 행동장애가 뒤섞여서 나타 날 수 있다(민성길, 1992).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의 정신건강을 우 울, 불안, 적대감과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대인예민성 등에 초점화하여 살펴보 고자 하였다. 한편, 개인의 적응과 정신병리 및 정신건강 을 정서조절의 측면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노력 이 활발한데(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이 라는 개념의 복합성과 포괄성 때문에 개념적 합의는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최근에 정서 조절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Gratz와 Roemer(2004)가 정서조절을 정서의 자각과 이 해, 정서수용,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면서도 목 표지향적 행동하기, 충동적 행동 통제, 상황에 적절한 정서조절전략 사용, 자신의 정서에 대 한 명료성 등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Bonanno (2001)는 정서조절은 개인의 안녕감과 성공적인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하였 고, Greenberg(2002)와 Gross(1999)는 정서조절 의 실패를 정신병리의 핵심으로 보고 다양한 정서조절 기술을 습득시켜 정서조절 능력을 향 상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이지영, 권석만, 2006: 463-466). 이 와 같은 정서조절은 청소년들의 사회적 관계에 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정서조절 능력 을 가질 경우 사회적으로 보다 적절한 행동을 하고 덜 공격적이며 친구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김은경, 2004). 이상의 연구들은 정서조절 능력이 한 개인 의 정신병리 뿐 아니라 대인관계 등을 포괄하 는 정신건강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 음을 보여 주는 것인데, 정서조절 능력이 한부 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 장소현(2010)에 따르면 청소년의 정서 표 현은 그들의 생활조건에 따라 개인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정서조절 능력이 부족할 경우 자 기파괴적 행동이나 퇴행적 행동을 보일 수 있 고, 부모, 또래 등 주변 환경에의 적응에 어려 움을 경험하였다. 특히, 앞서 살핀 바와 같이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은 발달 혹은 상황 적 스트레스로 인해 다양한 부정적 정서 경험 에 노출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보다 많은 정서조절 노력이 요구될 수 있다. 더구나 이러 한 정서조절의 실패가 정신건강상의 문제와 관 련될 수 있는 만큼 중요한 심리적 자원으로서 이들의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 하다. 그러나 앞서 강조하였듯이 모든 한부모가정 의 청소년들이 발달상의 어려움이나 사회부적 응을 경험한다고 할 수 없다. 이들은 일반 가 정의 청소년들에 비하여 적응상의 어려움을 더 경험하였지만 그 차이는 매우 작았다(오승 환, 2001). 오정수(2003) 역시 저소득 한부모가 정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삶의 질에 대한 비 교 연구에서 저소득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이 열 악한 환경에 놓여 있지만, 복지관 및 기타 재 단으로부터 경제적, 문화적 지원을 받을 경우 자기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서 일반 청소년 들과 차이가 없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어 떠한 심리사회적 지원이 이뤄지냐에 따라 한부 모가정 청소년들도 일반 청소년과 다름없이 건 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
  • 4. 4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다. 따라서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의 정 신건강에 대한 명료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신건 강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 프로그 램이 필요하다. 현장에서는 이미 한부모가정의 아동 청소년을 위한 각종 상담프로그램과 방과 후 학교 등이 운영되고 있지만, 막상 프로그램 개발과 이에 대한 효과성 검증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어서(김은영, 2003; 박사라, 2001; 오승환, 2001; 조성연, 2004)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 다.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정서조절 능력의 향상 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가운데 집단미술치료 는 방어를 감소시키고 창조적인 에너지 발산과 자기표현을 통한 긍정적인 자기개념 형성(김태 은, 2002)이라는 개인미술치료의 이점 외에 집 단이라는 사회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잠 재적인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한다. 즉 자기존중감 향상과 우울 감소(오가영, 이영환, 2003), 자기인식의 변화(최선남, 현은민, 2003), 자기존중감 향상(김혜선, 2004) 외에 집단원 간 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사회성을 향상시켰 다(김경은, 2003; 김미영, 2000). 실제로 저소득 층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에 대한 집단미 술치료 결과 자존감 향상 및 우울 감소(이민정, 2003) 외에 모-자관계지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박수현, 전순영, 2004). 또한 집단미술치 료는 억눌려 왔던 감정 표현을 촉진시켜 안전 한 공간에서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한다(옥금자, 2007a, 2007b).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결과, 집단미술치 료를 통해 정서표현이 향상되었고(김동연, 문혜 숙, 1999; 성복순, 2006), 분노억제에 대한 사고 가 변화되었다(팽은경, 2005). 이는 집단미술치 료 과정에서 자신의 정서를 탐색하고 표현하며 정서 표현에 대한 갈등을 감소시켜 정서의 자 각과 이해, 정서수용, 충동적 행동 통제 등의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 다. 따라서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의 정 신건강 수준과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 해서는 집단미술치료적 접근이 유용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들은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스트레스를 경 험하고, 보다 많은 정서조절 능력이 요구되는 정서 경험에 노출될 수 있는 만큼 이들의 정신 건강 수준과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정신건강 수준과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는데, 프로그 램의 형태로는 청소년에게 집단 속에서 매체를 활용하는 활동 중심의 개입이 보다 유용할 것 으로 판단하여 집단미술치료를 선택하였다. 집 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한부모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 효과성을 검증한 본 연 구는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이 일반 가정 의 청소년들과 다름없는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심리적 지원 활동과 이후 이들 을 대상으로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 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문제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 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정신건강에 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는가? 2)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 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정서조절능 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는가?
  • 5.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5 Ⅱ.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수도권 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한 부모가정 청소년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 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 생 가운데 정신건강 수준과 정서조절 능력에서 점수가 유사한 16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남학 생 4명, 여학생 4명)과 통제집단(남학생 3명, 여 학생 5명) 각각에 8명씩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연구 설계 효과성 검증을 위한 연구설계는 다음과 같 다. 구분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실험 집단 O₁ X O₂ 통제 집단 O₃ O₄ O, O₃: 사전검사(정신건강 척도, 정서조절능력 척도) O, O₄: 사후검사(정신건강 척도, 정서조절능력 척도) X :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을 위한 집단미술 프로그램 표 1. 연구 설계 프로그램 개발 및 구성 프로그램 개발은 한국예술치료학회의 프로 그램을 기초로 하고, 정여주(2006)의 ‘미술치료 의 이해-이론과 실제’, 유미(2010b)의 ‘현장적 용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과 진행’, 박현주와 서명옥(2009)의 ‘미술치료의 매체 활용법’ 등을 참고로 하였다. 전체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를 선정하고 하위 구성요소와 회기수를 결정한 다음 각 회기별 목표 및 활동 내용을 선정하였 다. 각 회기는 가족에 대한 생각과 감정 탐색, 자신이 경험하는 부정적인 혹은 긍적적인 정서 를 탐색하고 수용하기, 이름 붙이기, 정서 표현 등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안정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구성 된 활동 내용이 과연 정서조절 능력과 정신건 강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후 관련 전문가의 평정을 받았는데, 상담심리전문 가 1인, 미술치료학 박사 1인의 평정을 통해 내용타당도가 높고 2인 모두 치료적합도가 7점 이상으로(10점 만점) 평가한 활동만을 선택하였 다. 이 가운데 일부는 평정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였다. 프로그램은 크게 초기 단계, 정서인식의 단 계, 정서수용의 단계, 정서조절의 단계, 종결 단계 등 총 5단계로 구성하였다. 초기 단계인 1회기는 프로그램 소개, 자기소개, 서약서 작 성, K-HTP 검사 실시로 구성하였다. 정서인식의 단계(2회기-4회기) 가운데 2회기 에서는 KFD(동적가족화) 검사를 통해 가족에 대한 참가자의 생각과 감정을 탐색하고 명상을 통한 이완의 시간을 갖는다. 또한 쉐이빙 폼을 통해 새로운 매체에 대해 경험하고 감정의 이 완과 집단원간의 친밀감을 도모하며 만다라 색 칠을 통하여 감정을 인식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3회기에서는 점토놀이를 통해 내면의 감정 에 귀기울이고 자신의 아바타를 만들어 내가 원하는 나의 모습을 반영토록 하여, 스스로를 탐색하고 자신이 바라는 모습은 어떤 모습인지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다. 또한 아바타의 프로 필을 만들어 새로운 하나의 객체로서 아바타를 인식하고 그 아바타를 통해 긍정적으로 변화하 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4회기는 잡지 꼴라주 작업을 통해 자신이 원 하는 것이 무엇이고 싫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그것을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고 대리만족하는 경험을 해 보도록 하였
  • 6. 6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단계 주제 회기 목표 활동 내용 기대효과 초기 나의 소개 1 ▪프로그램 진행과 내용을 이해 하고, 집단원간 라포를 형성하 도록 한다. ▪오리엔테이션 ▪서약서 작성 ▪감정노트 ▪K-HTP 검사 ▪이름 이미지 ▪인터뷰 게임 - 흥미 유발 - 라포 형성 - 규칙 알기 정서 인식 구름나라로 2 ▪가족에 대한 생각과 감정을 탐 색하도록 한다. ▪호흡 및 이완 훈련을 한다. ▪감정노트 ▪KFD 그림검사 ▪명상 ▪쉐이빙 폼 작업 ▪만다라 색칠하기 - 라포 형성 - 즐거움 - 자기탐색 또 다른 나 3 ▪자신이 자주 경험하는 감정을 탐색하고 수용 하도록 한다. ▪감정노트 ▪점토 탐색 ▪내 아바타 만들기 ▪아바타 프로필 만들기 - 이완 - 욕구 표현 - 자기 탐색 내가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 4 ▪자신이 경험하는 감정에 이름 을 붙이고, 시각화하여 표현하 도록 한다. ▪감정노트 ▪잡지 콜라주 - 욕구탐색과 인식 - 만족감 정서 수용 스트레스 날려 버려 5 ▪자신이 경험하는 부정적인 감 정을 수용하고 표현하도록 한 다. ▪감정노트 ▪신문 위에 난화작업 ▪신문찢기, 던지기, 날리기 ▪신문지 공 만들어 던지기 ▪풍선 불어 터트리기 - 정서 표현 - 부정적 정서인식 및 표현 - 스트레스 해소 내 마음속 이야기 6 ▪부정적인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감정노트 ▪국수놀이 ▪국수반죽 만들기 ▪내 마음속 이야기책 만들기 - 감정표현 - 즐거움 - 스트레스 해소 정서 조절 아름다운 가정 만들기 7 ▪미래의 가정에 대한 안정감을 갖도록 한다. ▪감정노트 ▪플레이콘으로 나의 미래의 집 만들기 ▪따뜻한 가정의 10계명 만들기 - 가정에 대한 욕구 표 현 - 긍정적 미래설계 - 미래의 가정에 대한 안정감 칵테일 파티 8 ▪긍정적인 감정을 인식하고 이 름붙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나눈다. ▪감정노트 ▪천사점토 탐색 ▪만들고 싶은 것 만들기 ▪친구들의 작품에 필요한 것 만 들어 선물하기 - 자기효능감 향상 - 긍정적 자기인식 내 마음의 한 조각 9 ▪긍정적인 피드백을 나누고 긍 정적인 감정의 표현을 촉진한 다. ▪감정노트 ▪단점 장점 만다라 ▪커다란 원을 조각내어 한조각씩 나누기 ▪긍정적 마음을 조각에 마음껏 표현하기 ▪전체를 다시 모아 피자모양 만 들기 - 긍정적 피드백 - 정서조절 향상 - 정신건강 향상 종결 고마워 10 ▪자신의 미래상을 시각화 하여 간직하도록 한다. ▪감정노트 ▪K-HTP검사 ▪KFD검사 ▪나에게 상장 주기 ▪소망 나무 ▪종결파티 - 자존감 향상 - 정서조절 향상 - 정신건강 표 2.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내용
  • 7.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7 다. 또한 서로의 작품을 통해서 집단원간의 공 통점을 찾고 나누어 유대감을 형성하도록 한 다. 정서수용의 단계(5회기- 6회기) 가운데 5회기 에서는 신문지 위에 난화작업을 통해 자신의 감정 중에 분노와 화를 표출하도록 하였다. 신 문을 찢고, 던지고 날리면서 부정적인 감정들 을 끄집어내어 분출하도록 하였다. 찢은 신문 지를 이용해 공을 만들어 던지는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풍선을 불어 터뜨리는 활동으로 부정적인 감정들을 표현하고 스스로 정화되는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6회기에서는 국수놀이를 통해 5회기에 이어 부정적 감정의 해소에 대한 경험을 한 번 더 갖도록 하였으며 작게 부셔진 국수를 가지고 반죽을 하여 나에게 주는 선물을 만들어 스스 로를 격려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내마음 속 이야기 책 만들기를 통해 내 안에 있는 감 정들을 살펴보고 긍정적인 감정들을 찾아내어 자기존중감을 높이고 정서를 수용하는 에너지 로 삼을 수 있도록 하였다. 정서조절의 단계(7회기- 9회기) 가운데 7회기 에서는 플레이콘으로 나의 미래의 집을 만들어 보면서 가정에 대한 긍정적인 미래상을 갖도록 하였다. 따뜻한 가정의 10계명을 만들어 행복 하고 따뜻한 가정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 각해 보고 지금의 가정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8회기에서는 천사점토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만들도록 하여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였다. 또한 친구들이 필요한 것을 만들어 선 물해 주는 활동을 통해 집단원간 긍정적인 피 드백을 나눌 수 있게 하였다. 9회기에서는 단 점을 장점으로 바꿔주는 만다라를 통해 긍정적 인 정서를 가질 수 있게 하였으며 마음조각나 누기를 통하여 서로에게 힘이 되어줄 수 있도 록 격려하고 지지하는 과정을 통해 정서를 조 절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 10회기에서는 간이정신진단검사, 정 서조절능력 척도, KHTP 검사와 KFD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검사 결과와 비교하고, 나에게 상장주기를 통하여 10회기 동안 열심히 참여했 던 자신에게 칭찬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소 망나무를 통하여 앞으로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꿈과 자신의 긍정적인 모습에 대한 소망을 갖 고 그것을 이룰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이상의 전체 회기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부모가정의 청 소년 자녀들은 자신이 경험하는 부정적 혹은 긍정적인 정서에 대한 조절 능력을 유지하고, 정신건강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구체적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표 2와 같다. 연구 도구 1) 정신건강 Dwrogatis(1976)등이 개발하고 김광일, 김재 환, 원호택(1984)이 번안한 한국판 간이정신진 단검사(Checklist-90-Revision: SLC-90-R)로 김성 숙(2005)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9개 증상 9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대인예민성, 우울, 적대감, 불안 등 네 영역의 총 24문항만 을 사용하였다. 지난 1주일 동안 경험한 증상 의 정도에 따라 Likert식 5점 척도(5점; 매우 그렇다,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 따라 응답하 게 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하위영역의 증상 수준이 심각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연구 에서의 신뢰도는 대인예민성, .84, 우울, .79. 적 대감, .89. 불안, .82, 전체 .95로 나타났다. 2) 정서조절 능력 Goleman(1995), Mayer 등(1990, 1995)의 연 구결과를 토대로 김경희(1998)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 척도로 김옥희(2009)가 재구
  • 8. 8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성한 것을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 기 정서인식 및 표현, 정서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 정서이용, 타인 정서인식 및 또래관계, 교 사와의 관계 등 5개 하위영역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Likert식 5점 척도(5점; 매우 그렇 다,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 따라 응답하게 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조절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각 각 .90, .63, .68, .87,.77, 전체 .83으로 나타났다. 연구 절차 사전검사로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에게 간 이정신진단검사, 정서조절능력 척도를 실시하 였고, 실험집단에게는 프로그램 1, 2회기에 KHTP 검사와 KFD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 램 실시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3월 28일부터 6월 27일까지 총 10회기 실시하였으며 매주 월 요일 방과 후에 진행하였다. 사후검사로 실험 집단, 통제집단 모두에게 간이정신진단검사, 정 서조절능력 척도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게 는 프로그램 9, 10회기에 KHTP 검사와 KFD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SPSS 15.0을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의 평균 점수를 비교하고, 평균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 사를 분류해서 채점한 후 사전검사를 공변인으 로 한 다변량공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을 실시하였다(이 영선, 권정혜, 이순묵, 2006). 아울러 통계검증에서 F값은 물론 표본크기 에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크기를 함께 제시하 였는데, F값이 유의하지 않아도 효과크기가 유 의하면 내용적 해석의 대상으로 한다. 효과크 기의 지수로서는 , , f, d 등이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SPSS에서 제공되는 (변산원이 복 수일 경우 partial 로 부르기도 함)를 제시하 였다. 이 는 회귀분석에서의 와 같은 개 념으로서, ‘집단구분’이라는 예측변수가 결과변 수의 분산을 설명하는 비율이다. 크기가 .01이 면 작은 효과, .06은 중간 효과, .15는 큰 효과 로 해석할 수 있다. 보다 신중한 해석을 위해 중간크기 또는 그에 가까운 정도의 효과에 대 해서만 해석하였다. Ⅲ. 연구 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신건강에 미 치는 영향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Levene의 동질성 검사를 실 시한 결과 두 집단의 분산이 동질임이 입증되 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 검 증 결과는 표 3과 같다. 정신건강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정신건강 총점은 사전검 사의 영향을 제거했을 때 집단의 주효과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F(1,10)=3.66, p=.08], 효과크기 η2 이 .27로 효 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대인예민성[F(1,10)=8.79, p<.05, η2 =.47], 우울[F(1,10)=5.15, p<.05, η2 =.34] 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적대감 [F(1,10)=3.52, p=.09, η2 =.26]과 불안[F(1,10)=.25, p=.63, η2 =.03]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효과크기는 대인예민성, 우울, 적대 감에서는 컸으나(.15이상), 불안에서는 작았다.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
  • 9.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9 하위변인 집단 (N=8)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대인 예민성 실험집단 14.25 4.59 12.87 3.87 통제집단 16.50 3.16 17.75 3.61 우울 실험집단 13.00 3.70 10.87 3.75 통제집단 13.25 3.41 14.00 3.42 적대감 실험집단 12.00 4.00 10.62 3.92 통제집단 12.38 4.03 13.87 4.58 불안 실험집단 12.38 2.82 11.87 4.54 통제집단 12.13 3.87 13.37 3.50 정신건강 총점 실험집단 51.63 14.12 46.25 14.88 통제집단 54.25 12.99 59.00 14.43 표 3. 정신건강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평균 및 표준편차 하위 변인 변량원 총 제곱합 자유도 평균 제곱 F partial η2 observed power a 대인 예민성 사전점수(공변인) 241.82 5 48.36 9.74 ** 집단 43.63 1 43.63 8.79 * .47 .76 오차 49.62 10 4.96 우울 사전점수(공변인) 174.27 5 34.85 7.63 ** 집단 23.54 1 23.54 5.15 * .34 .54 오차 45.67 10 4.56 적대감 사전점수(공변인) 224.86 5 44.97 6.23 ** 집단 25.39 1 25.39 3.52 .26 .40 오차 72.14 10 7.21 불안 사전점수(공변인) 127.99 5 25.60 2.29 집단 2.83 1 2.82 .25 .03 .07 오차 111.75 10 11.17 정신 건강 총점 사전점수(공변인) 2,758.87 5 551.77 6.12 ** 집단 330.46 1 330.46 3.66 .27 .41 오차 900.88 10 90.08 *** p<.001 ** p<.01 * p<.05, a. observed power는 경험자료에 근거한 검증력이다. 예를 들어, 통계검증력 .99는 이런 효과크기에 이런 표본크기를 가지고 검 증을 (여기서의 1종 오류 확률은 .05)할 때 99%가 유의하게 나올 것임을 의미한다. 즉 유의하지 않게 나올 확률은 1%라는 의 미이다. 표 4. 정신건강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두 집단 비교
  • 10. 10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0 20 40 60 80 정 신 건 강 사전 사후 54.25 59 51.63 46.25실험집단 통제집단 하위변인 집단 (N=8)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자기 정서인식 및 표현 실험집단 31.50 6.18 34.25 5.00 통제집단 28.50 7.13 28.25 7.26 장사조절 및 충동억제 실험집단 28.62 2.77 30.12 3.31 통제집단 26.62 2.92 26.25 3.99 자기 정서이용 실험집단 37.87 7.07 44.87 13.74 통제집단 34.37 9.31 33.50 8.33 타인 정서인식 및 또래관계 실험집단 51.50 6.67 53.50 4.92 통제집단 51.75 7.32 49.75 8.11 교사와의 관계 실험집단 16.12 3.68 16.62 2.77 통제집단 14.62 4.10 14.50 3.33 정서조절 능력 총점 실험집단 165.63 20.98 179.37 20.42 통제집단 155.87 26.58 152.25 27.13 표 5.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평균 및 표준편차 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그림 1에서 알 수 있듯이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검사 점수는 54.25에서 59.00으로 4.75 증 가하였으나,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점수는 51.63에서 46.25로 5.38 감소하여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의 점수가 10.13 더 감소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서조절능력 에 미치는 영향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Levene의 동질성 검사를 실 시한 결과 두 집단의 분산이 동질임이 입증되 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정서조절능력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 검사점수에 대한 공분산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정서조절능력 총점은 사전검사의 영향을 제 거했을 때 집단의 주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 였고[F(1,9)=9.19, p<.05], 효과크기 또한 η2 이 .50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조절능력 하 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자기 정서인식 및 표현 [F(1,9)=5.66, p<.05, η2 =.38], 타인 정서인식 및 또래관계 [F(1,9)=5.90, p<.05, η2 =.39]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서조절 및 충동억 제[F(1,9)=2.49, p=.15, η2 =.21], 자기 정서이용 [F(1,9)=4.60, p=.06, η2 =.33], 교사와의 관계 [F(1,9)=1.46, p=.26, η2 =.14]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효과크기는 자기 정서 인식 및 표현, 정서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 정 서이용, 타인 정서인식 및 또래관계에서에서는 컸으나(.15이상),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중간 효 과크기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 11.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11 하위 변인 변량원 총 제곱합 자유도 평균 제곱 F partial η2 observed power a 자기 정서인식 및 표현 사전점수(공변인) 552.79 6 92.13 6.08 ** 집단 85.67 1 85.67 5.66 * .38 .56 오차 136.20 9 15.13 정서조절 및 충동억제 사전점수(공변인) 95.81 6 15.96 .94 집단 42.35 1 42.35 2.49 .21 .29 오차 152.62 9 16.95 자기 정서이용 사전점수(공변인) 1816.77 6 302.79 5.34 * 집단 260.91 1 260.91 4.60 .33 .48 오차 509.66 9 56.62 타인 정서인식 및 또래관계 사전점수(공변인) 574.91 6 95.82 7.64 ** 집단 74.08 1 74.08 5.90 * .39 .58 오차 112.83 9 12.53 교사와의 관계 사전점수(공변인) 120.71 6 20.11 6.19 ** 집단 4.74 1 4.74 1.46 .14 .19 오차 29.22 9 3.24 정서조절 능력 총점 사전점수(공변인) 9234.45 6 1,539.07 7.76 ** 집단 1823.41 1 1,823.41 9.19 * .50 .77 오차 1783.98 9 198.22 *** p<.001 ** p<.01 * p<.05, a. observed power는 경험자료에 근거한 검증력이다. 예를 들어, 통계검증력 .99는 이런 효과크기에 이런 표본크기를 가지고 검증 을 (여기서의 1종 오류 확률은 .05)할 때 99%가 유의하게 나올 것임을 의미한다. 즉 유의하지 않게 나올 확률은 1%라는 의미이 다. 표 6. 정서조절능력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두 집단 비교 0 60 120 180 240 정 서 조 절 능 력 사전 사후 155.87 152.25 165.63 179.37 실험집단 통제집단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2와 같 다.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점수는 155.87에서 152. 25로 3.62 감소하였으나,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검사점수는 165.63에서 179.37로 13.74 증 가하여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의 점수가 17.36 더 증가하였다.
  • 12. 12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Ⅵ.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들의 정 신건강과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 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미 술치료 이론과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청소년 들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 능력 향상을 촉진 시킬 수 있는 미술활동을 선정하였고, 전문가 의 평정을 통해 내용타당도 및 치료적 적합도 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5단계로 진행되는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실험집단 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신 건강과 정서조절 능력에서 유사한 남녀 중학생 16명을 선별하고 이들을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에는 간이정신진단 검사와 정서조절능력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실 험집단의 경우 1,2회기와 9,10회기 각각에서 KHTP와 KFD 검사를 실시하여 가족에 대한 지각의 변화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 참여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대인예민성, 우울에서는 유의미한 집단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적대감과 불안에서는 유 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본크기의 영 향을 받지 않는 효과크기로 살펴보았을 때는 적대감에서도 큰 효과(.15이상)가 있었다. 단, 불안은 작은 효과를 보였는데, 불안의 경우 일 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불안 수 준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한 김혜선(2004)의 연 구에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집단미술치료의 활동이 불안을 다루지 못한 한계가 있을 수 있 음을 시사하는 것인데, 이후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 게 되는 요인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또한 일반가정의 청소년과 결손가정의 청소년 간에 불안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 던 연구 결과가 있는 만큼(김지영, 2002), 불안 등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들이 경험할 수 있는 정서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우울에서 집단 차이가 발견된 것은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의 청소년 자녀의 우울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 준 이민정 (2003)도 지적하였듯이 비슷한 처지의 집단원끼 리 서로 이해하고 공감받는 경험을 통해 자신 감을 형성하고 자신을 보다 적극적으로 표현한 경험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타 인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불편감과 열등감인 대인예민성 역시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모-자의 관계지각에 효과 가 있음을 보여 준 박수현과 정순영(2004)의 연 구와 또래관계 및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음 을 보여 준 이근매(2004) 연구와 함께 집단미술 치료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신뢰감을 갖게 하 고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지각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주장(공마리아, 2004)을 뒷 받침하는 결과이다. 정서조절 능력에서는 자기 정서인식 및 표 현, 타인 정서인식 및 또래관계에서는 유의미 한 집단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정서조절 및 충 동억제, 자기 정서 이용,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사전-사 후검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결 과, 프로그램 종결 후 우울, 불안, 적대감, 대인 예민성 등을 포괄하는 정신건강 수준과 정서조 절 능력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발견되었다. 정 서조절 능력의 하위영역별로 집단 간 차이가 다르게 나타난 것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정서조 절 능력의 하위영역별로 다르게 영향을 미쳤음 을 보여 주는 것이다. 단, 표본 크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크기로 살펴보았을 때는 교사와 의 관계(.14)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큰 효과 크기(.15이상)를 나타낸 만큼 추후의 반복 검증
  • 13.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13 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가 자기 정서인식과 표현에 효과가 있다는 김나미(2011)의 연구와 ADHD아동의 충동억제와 감정조절에 효과적이 라는 정유진(2007)의 연구와 일맥상통하는 결과 이다. 정서조절능력 가운데에서도 자기 정서인 식과 표현, 타인 정서인식과 또래관계에서만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된 것은 집단미술치료가 정서표현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들을(김동연, 문혜숙, 1999; 성복순, 2006; 홍수현, 김경희, 2006) 뒷받침하는 것이다. 즉 집단미술치료는 집단이라는 안전한 공간에서 자신의 정서를 이미지화하고 이를 타인과 공유 함으로써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을 줄여 주고 자유롭게 표현하는 경험을 통해 정서표현 능력 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내 자신의 정서 인식뿐 아니라 타인의 정서에 대한 인식 능력도 향상시켜 또래관계 및 사회성에도 영향 을 미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정서표현 능력은 정서조절능력 가운 데 하나의 하위영역이다. 정서조절의 주요 하 위영역 가운데 하나인 정서조절 및 충동억제에 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집단미 술치료가 단순히 정서를 발산하고 표현하여 카 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하는 것을 넘어서 자신의 정서를 충동적으로 발산하지 않고 조절하여 표 현할 수 있는 능력 향상에도 초점을 둬야 함을 시사한다. 한편,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실시한 KHTP 와 KFD검사에서 가족 간의 상호작용이 늘어나 고 친밀감이 향상되었음을 암시하는 한 공간에 서 함께 활동하는 모습이 많이 등장하였다. 이 는 정신건강과 정서조절능력에서의 변화뿐 아 니라 가족관계와 가족에 대한 상에서도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집단미술치료가 모- 자의 관계지각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 음을 보여 준 박수현과 정순영(2004)의 연구를 뒷받침한다. 또한 그림들의 인물과 사물의 형 태가 선명하고 커지는 등 정서 면에서도 긍정 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발된 집단미 술치료프로그램은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들의 정신건강과 정서조절 능력을 유의미하게 향상 시켰다. 정신건강과 정서조절능력은 한부모가 정 청소년들이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발달 및 상황적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일반 가정 청소년 들과 마찬가지로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 록 하는 중요한 심리적 자원인 만큼 이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심리적 개입은 긴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초점화되어 개발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그 활용도가 높을 것이 다. 이미 현장에서는 한부모가정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막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외에 부 혹은 모, 가 족 전체가 가지는 특성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 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이후 의 프로그램에서는 부 혹은 모와 함께 참여하 는 내용으로 구성한다면 청소년 자녀 외에 가 족 전체의 기능 회복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 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효과성 검증이 프로그 램에 참여한 소수의 반응에 기초를 둔 만큼 일 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보다 다양한 한 부모가정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효과성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 동안 가 정, 학교, 학원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외적변수의 영향을 통제하지 못한 한계가 있 다. 비록 사전사후 연구설계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예비검 사를 실시하였으나 프로그램 진행 동안에 있을
  • 14. 14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수 있는 외적변수의 영향은 통제하지 못하였 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집단미술치 료 프로그램은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의 정신건 강뿐 아니라 정서조절능력이라는 보다 구체적 인 심리적 자원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화하였다 는 데 의의가 있다.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은 다 양한 스트레스로 인해 보다 많은 정서조절 노 력이 요구될 수 있는 만큼 정서조절능력을 향 상시키는 데 초점화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은 이들의 심리적 지원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 이다. 참고문헌 공마리아(2004). 미술치료개론. 서울: 동아문화사. 구차순(2002). 한부모가정의 가족상호작용과 자녀 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권영미(2002).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김경은(2003). 자아개념 증진 집단미술활동이 아동 의 공격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김경희(1998).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 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나미(2011). 미술치료가 정서적 방임 아동의 지 기인식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김남숙(1994).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 자녀에게 미 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동연, 문혜숙(1999).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6 (1), 207-244. 김미영(2000).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우울과 자기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김성숙(2005). 아동의 자기노출과 정신건강 및 학 교생활적응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김영아(2006).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 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옥희(2009). 정서조절 능력증진 집단상담 프로그 램이 시설 청소년의 정서조절 능력 및 또 래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김은경(2004). 청소년이 지각한 가정의 역기능과 심리성숙도와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영(2003). 한부모가족의 특성에 관한연구-미성 년 자녀를 둔 한부모를 중심으로. 평택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김준희(1995). 비합리적 신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영(2002). 결손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우 울, 불안, 자기개념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은(2002).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아동의 집단미 술치료 활동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김혜선(2004). 집단미술활동의 청소년의 불안과 자 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문석인(2008). 집단미술치료가 부모의 부재로 인한 문제행동을 해소하는데 미치는 효과. 조선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민성길(1992).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박사라(2001). 방과 후 프로그램이 한부모가정 아 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림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박수현, 정순영(2004).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족 의 모-자 자아존중감 및 관계지각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1(3), 427-453. 박진영(2000). 결손가정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 15.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15 석사학위논문. 박현주, 서명옥(2009). 미술치료의 매체 활용법. 서울: 학지사 방진희(2004). 저소득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심리사 회 적응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 과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성복순(2006).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우울 및 감정 표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손병규(2006).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자존감이 대인 관계와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 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가영, 이영환(200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서장애 아동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347-375. 오승환(2001). 저소득 편모가족의 가족기능과 자녀 의 심리사회적 특성비교 연구: 양친가족, 편부가족, 편모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 국아동복지학, 12, 77-107. 오정수(2003). 빈곤아동과 삶의 질: 기회보장. 한 국아동복지학회 제19회 학술대회 자료집, 68-74. 옥금자(2007a). 집단미술치료 방법론(이론과 실 제). 서울: 하나의학사. ______(2007b). 집단미술치료 방법론(임상적 실 제). 서울: 하나의학사. 유 미(2010a). 현장적용을 위한 미술치료의 이 해. 파주: 한국학술정보. ______(2010b). 현장적용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 램과 진행. 서울: 이담북스 이근매(2004).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결손가정 아동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 연구, 20(1), 357-372. 이명순(2006).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고등학 생의 학교생활 적응 비교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민정(2003). 집단미술치료가 편모가족 청소년의 자존감 향상과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 영 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삼연(2002). 이혼가정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관 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2), 37-64. 이영선, 권정혜, 이순묵(2006). 문제해결적 집단상 담이 집단따돌림 가해 청소년과 피해 청소 년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 상, 25(4), 881-898. 이지영, 권석만(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 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 담과 심리치료, 18(3), 461-493. 장소현(2010).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부모양육 행동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정묘순(2010). 한부모가정과 양부모가정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여주(2006). 미술치료의 이해(이론과 실제). 학 지사. 정유진(2007). ADHD아동의 행동개선을 위한 색 채수업 지도방안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조성연(2004). 여성 한부모가족의 모-자녀관계. 한 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53-167. 조홍식, 김인숙, 김혜란, 심은주(2002). 가족복지 학. 서울: 학지사 주소희(2002). 이혼가정 자녀의 부모 이혼 후 심리 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 연구. 한국복지학회지, 9, 77-106. 최선남, 현은민(2003). 편모가족을 위한 집단미술 치료 프로그램 모형개발. 미술치료 연구, 4(2), 161-174. 통계청(2005).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팽은경(2005). 분노 스트레스상황에서 자기표현의 미술매체활동이 분노억제 집단의 분노정서 와 생리적 각성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여성개발원(2006). 이혼 후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 홍순혜(2004).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자녀의 심리사 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학회,
  • 16. 16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2012 17(2), 151-177. 홍수현, 김경희(2006).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 동의 정서지능과 대인 불안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3(4), 755-779. Amato, P, R. (1994). Life-span adjustment of children to their parents'divorce. Future of Children; Children and Divor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 143-164. Bonanno, G. A. (2001). Emotion self-regulation. In T. J. Mayne & G. A. Bonanno(Eds), Emotion(pp. 251-285). New York: The Guilford Press.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1), 41-54. 투 고 일: 2012년 3월 20일 수 정 일: 2012년 4월 18일 게재확정일: 2012년 4월 27일
  • 17.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Mental Health and Emotion Regulation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Park, Sung-Mi Lee, Jee-Yon Jang, Jin-Yi University of Incheon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velope and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mental health and emotion regulation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The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in which adolescents were trained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ir emotional experience. After receiving the program intervention, the training group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t the pre-post assessment points. The results showed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degree of the mental health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including emotion awareness and expression and so on. The implication for future studies and practi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Finally, the study's limits and further discussion suggested. Key Words : Group Art Therapy, Single-parent Families, Mental Health, Emotion Regulation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통권 60호)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12. Vol. 19, No. 3(SN. 60), 565~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