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66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다. 지반상태
 - 수로가 형성된 구간으로 지반상태는 파악하기 어려우나 주로 하부에 위치하여 붕적층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됨.
 - 좌우측이 석축으로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음.


라. 대책방안검토
 -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배수관 정비 필요


③ 형촌-3구간
가. 개요
• 개요도




                <그림 3.4.2-9> 형촌-3구간의 조사현황도




                          - 197 -
- 피해이전에는 산책로가 있던 구간으로 토석류 및 집중호우로 유로가 형성되었음.
 - 피해이전에는 자연적인 수목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유로형성 폭은 하부가 10m 위쪽에서는 22m 정도
  를 형성하고 있음.
 - 토석류로 인해 상부에서의 떠내려 온 나무가 걸려 있으며 부분적으로 유속이 있는 구간의 하부토층이
  세굴이 발생되어 있음.
 - 상부 제방측으로 올라가면서 제방의 붕괴로 인해 자연수로는 배수로의 우측구간에 형성되어 있음.


나. 사진현황




                 <그림 3.4.2-10> 형촌-3구간의 현황사진




                           - 198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다. 지반상태
 - 세굴이 심하게 발생된 구간에서는 하부에 원암조직을 가지고 있는 풍화토의 노출이 있음.


라. 대책방안검토
 - 배수시설 및 원지반 복구


④ 형촌-4구간
가. 개요
 • 산책로 제방 쪽으로 오르는 길목의 좌측 자연사면에서 붕괴가 발생됨.
 - 하부는 18m 정도이고 중간에서는 14m 정도의 붕괴폭을 형성하고 있음.
 - 상부 붕괴유형은 토층원호파괴가 발생되었으나 토석류가 발생되어 붕괴규모가 확대되었음.
 - 붕괴가 발생된 구간은 35~40° 정도의 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 붕괴연장 : 약 60m, 붕괴폭 상부 약 7~8m




                   <그림 3.4.2-11> 형촌-4구간의 조사현황도




                             - 199 -
나. 사진현황




                 <그림 3.4.2-12> 형촌-4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토층은 암괴가 혼재되어 있는 붕적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붕적층의 두께는 1~2m 정도로 얇게 형성하
  고 있음.
 - 토층구성은 씰트질 모래정도이고 암괴의 크기는 20cm 이내의 크기가 일반적임.
 - 강우시 불투수층을 형성하는 암반면과 투수성이 좋은 붕적층의 경계면을 따라 1~2m 정도의 붕적층
  에서 붕괴가 발생됨.




                           - 200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용수상태
 - 조사당시 상부 붕괴가 발생된 구간에서 용수량은 많지 않으나 용수가 발생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음.
 - 암반이 노출된 구간에서는 용수로 인해 물이 고여 있음.
 - 강우 시에는 용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됨.




               <그림 3.4.2-13> 형촌-4구간의 붕괴시점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암반상부에 붕괴가 발생된 구간에서의 추가붕괴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부에 대한 보강이
   요망됨.
 - 배수시설의 확충 : 사면 내에서 용수가 발생되므로 이 구간에 배수로를 설치하여 하부로 유도하여 줌.


⑤ 형촌-5구간(저수지 제방)
가. 개요
 • 저수지 제방 구간
 - 제방 좌측의 도수로는 상부에서 떠 내려온 유송잡물에 의해 막힘이 발생되었음.
 - 제방구간은 폭 19m, 깊이 7~8m로 제방붕괴가 발생되었으며 배수로의 콘크리트 구조가 하부가 들어
   난 상태임.
 - 좌측부의 배수로는 이중의 이물질 월류 방지시설이 되어 있으나 나무로 인해 막혀 있음.




                            - 201 -
• 개요도




          <그림 3.4.2-14> 형촌-5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 202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4.2-15> 형촌-5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배수로 하부구간은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붕괴가 발생된 하부구간에도 암반이 노출됨.


• 붕괴원인
 - 배수로에 유송잡물이 퇴적되어 배수기능을 상실하였고 제방측에서 수압 및 월류가 발생되어 제방의
  붕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됨.




                          - 203 -
라. 대책방안검토
  - 제방 재축조 및 좌측 배수시설 보완 또는 저수지를 없애는 방안 등.


⑥ 형촌-6구간(우면산 자연생태공원(저수지))
 가. 개요
 • 저수지 구간
  - 우면산 자연생태공원 구간으로 저수지가 위치하고 있음.
                   3               2
  - 저유량 : 평균 약 5,000m , 면적 2,430m , 수심(원퇴적물의 깊이 및 제방에서의 수위로 추정) 평균
   1~1.5m 정도.
  - 퇴적층이 검은색을 보이는 것은 원래의 퇴적토층이고 황토색을 보이는 토층은 금번 토석류 발생으로
   인해 퇴적된 토층으로 검은 색의 원 퇴적층은 2m 정도이고 황토색의 퇴적토층은 1m 정도의 두께로
   덮여있음.
  - 제방의 붕괴로 유로가 형성된 구간은 깊이가 2~3m 정도 형성되어 있음.
  - 저수지와 계곡이 연결되는 구간에서는 나무가 암괴가 퇴적되어 있으며 주로 토사는 저수지에 퇴적되
   어 있음.
  - 생태공원의 저수지는 상부 계곡에서 발생된 토석을 저류하여 주는 상당한 구실을 한 것으로 판단됨.
                               3
  - 토석류 퇴적토층의 부피 : 약 2,400m


• 개요도




                       <그림 3.4.2-16> 형촌-6구간의 조사현황도




                                       - 204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나. 사진현황




                 <그림 3.4.2-17> 형촌-6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퇴적된 층은 크게 두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검은색은 원퇴적층과 황토색의 상부에서 발생된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음.
 - 검은색의 원퇴적층은 2~3m 정도의 두께를 형성하고 있으며 황토색의 퇴적층은 평균 1m 정도의
  두께를 형성하고 있음.



                           - 205 -
<그림 3.4.2-18> 형촌-6구간의 저수지 지반상태


• 생태공원의 역할
 - 토석류에 의해 발생된 토사 및 암괴, 나뭇가지가 저수지내에 퇴적되어 있으며 저수지의 저유량이
   작아 상류에서 발생된 토석류 및 유입되는 물을 저유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임.
 - 이로 인해 배수로 나무로 인해 막힘이 발생되고 측면의 제방측으로 유속에 의한 수압 및 월류가 발생되
   면서 피해를 발생시킨 것으로 판단됨.
 - 생태공원은 상부에서 발생된 토석류를 상당량 저유하는 기능을 하여 피해를 경감시켜 주는 사방시설
   의 구실을 함.


라. 대책방안검토
 - 저수지 하부 준설 작업 및 시설보완


⑦ 형촌-L0(7구간)
가. 개요
• 계곡 하류구간
 - 우면산 자연생태공원으로 유입되는 계곡하류 구간으로 상부에서 떠내려 온 많은 유송잡물이 퇴적되어
   있음.
 - 유송잡물은 주로 상부에 밀려 내려온 큰 나무가 많으며 큰 암괴블록이 약 1m 정도 퇴적되어 형성되어
   있음.
 - 계곡의 퇴적폭은 20~30m 정도이고 기존에 형성된 좌우측으로 확대되어 유로가 형성되어 넓은 면적
   을 차지하고 있음.
 - 토사층은 주로 유속에 의해 하부 저수지 및 주택지로 이동되어 세립분의 토사는 관찰하기 어려움.




                            - 206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개요도




          <그림 3.4.2-19> 형촌-7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그림 2.4.2-20> 형촌-L0(7구간)의 현황사진


                      - 207 -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유로의 하부는 편마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퇴적된 층은 주로 큰 암괴블록과 나무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 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의 경사는 10°~15° 정도의 완만한 지형경사를 형성하고 있으며 붕적층 내의 암괴는 30cm 이내의
   블록이 주를 이루고 있음.




                   <그림 3.4.2-21> 형촌-L0(7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하부 퇴적토석 준설작업 및 측면 계곡부 정리 및 보강, 사방시설


⑧ 형촌-L1(8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좌측에 위치하는 소계곡
  - 토석류가 발생된 구간으로 입구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이 흐른 흔적이 보이나 상부로
   오르면 소계곡이 나타나는 구간임.
  - 전면에 보이는 넓은 면적에는 부직포 및 토사둔덕이 형성된 것으로 미루어 과거에 토석류가 발생된
   것으로 추정됨.
  - 주계곡에서 소계곡까지 20~30m 정도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이 구간은 STEP이 형성되어 있음.
  - 토석류가 발생된 계곡은 2~3m 정도의 폭을 가지고 붕적층 하부에 암반층이 노출되어 있으며 암반층
   으로 물이 흐르고 있음.
  - 붕괴가 발생된 사면의 끝단부는 5m 폭의 원호파괴유형을 보이고 이 구간의 경사는 30° 정도를 보임.




                               - 208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개요도




          <그림 3.4.2-22> 형촌-L1(8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 209 -
<그림 3.4.2-23> 형촌-L1(8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주계곡부와 계곡부의 사이는 붕적층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유로하부는 편마암 암반이 노출
  되어 있음.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의 경사는 20°~25° 정도의 지형경사를 형성하고 있으며 붕적층 내의 암괴는 10cm 이내의 작은
  암괴블록이 주를 이루고 있음.




                 <그림 3.4.2-24> 형촌-L1(8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사방시설




                             - 210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⑨ 형촌-L2(9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우측에 위치하는 소계곡
  - 토석류가 발생된 구간으로 입구는 비교적 소규모의 계곡을 형성하고 있음.
  - 계곡 폭은 3~4m 정도의 폭을 가지고 있으며 깊이는 2m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 토석류의 원인은 계곡지류에서 120m 떨어진 지점의 계곡에서 약 20m의 이격된 지점에 사면붕괴가
   발생되었고 붕괴가 토사가 댐구실을 하여 토석류가 발생된 것으로 추정됨.
  - 이 구간의 계곡길이는 300m 정도로 매우 길게 형성된 구간으로 토석류는 120m에 발생되었음.
  - 토석류 발생하부는 암반이 노출되어 있고 물이 흐르고 있음.


• 개요도




                <그림 3.4.2-25> 형촌-L3(9구간)의 조사현황도




                            - 211 -
나. 사진현황




                 <그림 3.4.2-26> 형촌-L3(9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주계곡부와 계곡부의 사이는 붕적층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유로하부는 편마암 암반이 노출
  되어 있음.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내에는 30cm 정도의 큰 암괴가 퇴적되어 있으나 주로 20cm 미만의 암괴가 주를 형성하고 있음.
 - 계곡의 경사는 20°~25° 정도의 지형경사를 형성하고 있으며 붕적층 내의 암괴는 20cm 이내의 작은
  암괴블록이 주를 이루고 있음.


                             - 212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4.2-27> 형촌-L3(9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사방시설


⑩ 형촌-10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우측에 위치하는 자연사면
 - 주계곡부 우측부의 자연사면에서 2개의 지점에서 붕괴가 발생되어 주계곡부에 쌓여 계곡부의 토석류
   에 영향을 준 구간으로 표면에서 2m 이내의 깊이에서 붕괴가 발생되었음.
 - 붕괴구간의 상부는 원호파괴유형을 보이고 붕괴구간 하부는 무한사면의 파괴유형을 보임.
 - 붕적층과 암반면의 경계는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고 붕괴지점에서 주계곡까지는 약 52m 정도의
   이격거리에서 붕괴가 발생됨.
 - 지형의 경사는 20~30° 정도로 급하게 형성되어 있고 붕괴지점은 30°정도의 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 붕괴폭은 3m 이내로 비교적 좁은 폭에서 붕괴가 발생되었고 다른 지점은 표면에서 유실되는 정도의
   붕괴유형을 보임.
 - 나무뿌리의 깊이가 전반적으로 얕게 근입되어 표면층 유실에도 쉽게 넘어지게 되어 하부에 상부에서
   떠내러 온 나무의 퇴적물이 많음.




                            - 213 -
• 개요도




           <그림 3.4.2-28> 형촌-10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 214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4.2-29> 형촌-10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내에는 주로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암괴블록은 많지 않음.




                <그림 3.4.2-30> 형촌-10구간의 지반상태




                          - 215 -
라. 대책방안검토
  - 자연사면 붕괴구간 보강, 계곡부 정리작업 및 사방시설


⑪ 형촌-L3(11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우측에 위치하는 자연사면
  - 주계곡부 우측부의 자연사면 구간으로 약간의 오목한 지형형상을 가지고 있음.
  -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이나 유출이 거의 없는 자연사면 상태이고 하부에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상부
   에는 붕적층이 퇴적되어 있음.
  - 상부의 붕괴시점은 2지점에서 발생되었고 표토층의 두께가 1m 이내로 바로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이 구간까지 나무뿌리가 들어와 있음.
  - 나무뿌리의 깊이가 전반적으로 얕게 근입되어 표면층 유실에도 쉽게 넘어지게 되어 하부에 상부에서
   떠내러 온 나무의 퇴적물이 많음.
  - 암반상부의 토층(붕적층)이 강우에 의해 활동되어 붕괴가 발생된 양상을 보이고 주계곡에서부터의
   거리가 약 70m 정도임.
  - 지형의 경사는 15~20° 정도로 급하게 형성되어 있고 붕괴지점은 30°정도의 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 상부시작점의 붕괴폭은 10m 정도로 비교적 좁은 폭에서 붕괴가 발생되었고 다른 지점은 표면에서
   유실되는 정도의 붕괴유형을 보임.
  - 하부로 내려올수록 계곡을 형성하는 구간의 폭이 좁게 형성됨.


• 개요도




                    <그림 3.4.2-31> 형촌-L3(11구간)의 조사현황도


                                 - 216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나. 사진현황




          <그림 3.4.2-32> 형촌-L3(11구간)의 현황사진




                      - 217 -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내에는 주로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암괴블록은 많지 않음.




                <그림 3.4.2-33> 형촌-L3(11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자연사면 구간 보강, 붕괴구간 정리작업 및 하부 사방시설


⑫ 형촌-12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암반노출
 - 주계곡부 암반이 노출되는 구간으로 깊게 형성되어 암반세굴 폭은 3~4m 정도이고 깊이는 3m 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 암반이 바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부의 토층은 50cm 이내로 매우 얇은 층을 형성하고 있음.




                            - 218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개요도




                 <그림 3.4.2-34> 형촌-12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붕적층은 50cm 이내 정도로 분포하고 계곡의 경사는 20° 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그림 3.4.2-35> 형촌-12구간의 지반상태


⑬ 형촌-13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우측에 위치하는 자연사면
  - 주계곡부 우측부의 자연사면 구간으로 약간의 오목한 지형형상을 가지고 있음.


                            - 219 -
-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이나 유출이 거의 없는 자연사면 상태이고 하부에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상부
   에는 붕적층이 퇴적되어 있음.
  - 상부의 붕괴시점은 오목한 형태의 자연사면에서 발생되었고 표토층의 두께가 1m 이내로 바로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이 구간까지 나무뿌리가 들어와 있음.
  - 나무뿌리의 깊이가 전반적으로 얕게 근입되어 표면층 유실에도 쉽게 넘어지게 되어 하부에 상부에서
   떠내려 온 나무의 퇴적물이 많음.


• 개요도
  - 암반상부의 토층(붕적층)이 강우에 의해 활동되어 붕괴가 발생된 양상을 보이고 주계곡에서부터의
   거리가 약 70m 정도임.
  - 지형의 경사는 15~20° 정도로 급하게 형성되어 있고 붕괴지점은 30°정도의 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 상부시작점의 붕괴폭은 10m 정도로 비교적 넓은 폭에서 붕괴가 발생되었고 다른 지점은 표면에서
   유실되는 정도의 붕괴유형을 보임.
  - 하부로 내려올수록 계곡을 형성하는 구간의 폭이 좁게 형성됨.




                    <그림 3.4.2-36> 형촌-13구간의 조사현황도




                               - 220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나. 사진현황




                  <그림 3.4.2-37> 형촌-13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내에는 주로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암괴블록은 많지 않음.




                  <그림 3.4.2-38> 형촌-13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배수시설


⑭ 형촌-L4(14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좌측에 위치하는 계곡부
  - 주계곡부 좌측부의 계곡부로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이나 유출이 거의 없는 계곡의 형상을 이루고 있음.



                            - 221 -
하부에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유실된 좌우측면부에도 작은 암편이 함유된 붕적층이 포함되어 있음.
  - 상부의 붕괴시점은 경사가 40° 정도의 경사지에서 시작이 되었으며 시작점은 토층의 침식정도에
   해당됨.
  - 시작점은 토층침식정도에 해당하는 붕괴규모를 보이고 조사당시에도 계곡부를 따라 물이 흐르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암반면의 불투수층과 토층의 투수층의 경계면을 따라 물의 흐름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됨.
  - 표토층의 두께가 1m 이내로 바로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이 구간까지 나무뿌리가 들어와 있으며
   나무뿌리의 깊이가 전반적으로 얕게 근입되어 표면층 유실에도 쉽게 넘어지는 특성을 보이고 나무의
   수령이 얼마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개요도
  - 시점의 경사가 급하고 표면침식정도의 매우 작은 규모의 붕괴양상을 보이며 암반상부의 토층(붕적층)
   이 강우에 의해 활동되어 붕괴가 발생된 양상을 보이고 주계곡에서부터의 거리가 약 65m 정도임.
  - 계곡의 크기는 약간 오목한 형태의 지형을 형상을 갖는 그다지 크지 않은 계곡 형상을 이루고 있음.
  - 지형의 경사는 20~25° 정도로 급하게 형성되어 있고 붕괴지점은 40°정도의 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 상부시작점의 붕괴폭은 5m 이내로 비교적 좁은 폭에서 붕괴가 발생되었고 다른 지점은 표면에서
   유실되는 정도의 붕괴유형을 보임.




                 <그림 3.4.2-39> 형촌-L4(14구간)의 조사현황도



                              - 222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나. 사진현황




               <그림 3.4.2-40> 형촌-L4(14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내에는 주로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점부에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암반층이 노출된 것을 관찰
  할 수 있으며 토층내에 포함된 암괴의 크기는 10cm 이내로 크지 않은 특성을 보임.




               <그림 3.4.2-41> 형촌-L4(14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배수시설, 붕괴시점부 사면보강 및 표면보호




                           - 223 -
⑮ 형촌-L5(15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우측에 위치하는 계곡부
  - 주계곡부 우측부의 계곡부로 계곡길이가 350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
   이나 유출이 거의 없는 계곡을 이루고 있음.
  - 토석류가 발생한 후에 하부에 바로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유실된 좌우측면부에도 작은 암편이 함유
   된 붕적층이 포함되어 있음.
  - 계곡의 하류지점은 토석류에 의해 상부에 퇴적된 붕적층이 침식되어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조사당
   시에도 물이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조사됨.
  - 토층의 두께는 1m 이내로 바로 암반이 분포하고 있음.


• 개요도




                <그림 3.4.2-42> 형촌-L5(15구간)의 조사현황도




                             - 224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본 계곡부의 하류경사는 10~15° 정도로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계곡 폭은 5m 정도로 형성되어
  있음.
 - 붕괴지점은 주계곡에서부터의 거리가 약 65m 정도임.
 - 계곡의 규모는 오목한 형태의 지형을 형상을 갖고 비교적 규모가 있는 계곡을 형성하고 있음.


나. 사진현황




                <그림 3.4.2-43> 형촌-L5(15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내에는 주로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점부에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암반층이 노출된 것을 관찰
  할 수 있으며 토층내에 포함된 암괴의 크기는 10cm 이내로 크지 않은 특성을 보임.
 - 하부의 암반면의 거칠기가 심한 면을 보이고 있음.




                            - 225 -
<그림 3.4.2-44> 형촌-L5(15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사방시설


󰊘
󰊉 형촌-16구간
가. 개요
• 개요도




               <그림 3.4.2-45> 형촌-16구간의 조사현황도




                           - 226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주계곡의 좌측에 위치하는 자연사면
 - 주계곡부 좌측부에 위치하는 자연사면으로 계곡부에 바로 인접해 있음.
 - 붕괴유형상 자연사면의 유실에 해당하는 정도의 표면부의 토층이 유실된 구간으로 암반면 상부에
  분포하는 붕적층이 유실되어 발생됨.
 - 유실구간의 주계곡 폭은 약 10m 정도에 이르고 토석류가 발생될 당시에 바닥면에서 3~4m 정도의
  수위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됨.
 - 붕적층의 깊이는 2m 정도이고 풍화가 심하게 받은 암편이 혼재되어 있음.
 - 주계곡부의 경사는 20° 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 붕괴구간의 경사는 40° 이상의 급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나. 사진현황




                 <그림 3.4.2-46> 형촌-16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유실이 발생된 자연사면은 붕적층으로 형성하고 두께는 2m 정도의 분포를 보임.
 - 붕적층의 유실로 붕괴토사를 증가시켜 주는 구실을 함.
 - 붕적층에 혼합된 암편은 풍화를 받아 변색 및 쉽게 부서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암편의 크기는
  20cm 이내의 크기를 보이고 있음.



                           - 227 -
<그림 3.4.2-47> 형촌-16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면정리 작업 및 사면보강


󰊙
󰊉 형촌-17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좌측에 위치하는 자연사면
 - 주계곡부 우측부에 위치하는 자연사면으로 계곡부에 바로 인접해 있음.
 - 붕괴유형상 자연사면 및 표토의 유실 정도의 표면부 토층이 유실된 구간으로 절리면은 사면방향으로
  경사져 발달하고 있음.
 - 표토층의 두께는 50cm 이내로 매우 얇게 분포하고 있음.
 - 형촌-L6구간(17구간)에서 발생된 토석류에 유실토사가 퇴적되어 댐을 형성하고상류의 계류에서 흐르
  는 물이 저유되면서 측면부의 자연사면을 유실시켰을 가능성을 가지는 구간임.
 - 유실구간의 주계곡 폭은 약 10m 정도에 주계곡부의 경사는 20° 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 붕괴구간의 경사는 45° 이상의 급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 228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개요도




                 <그림 3.4.2-48> 형촌-17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그림 3.4.2-49> 형촌-17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유실이 발생된 자연사면으로 표층의 두께는 0.5m 정도의 분포를 보임.
  - 암반은 비교적 신선한 상태를 보이고 절리면이 계곡부로 경사져 있음.


                            - 229 -
<그림 3.4.2-50> 형촌-17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면정리 작업 및 사면보강


󰊚
󰊉 형촌-L6(18구간, 군부대 헬기장하부)
가. 개요
• 주계곡의 좌측에 위치하는 계곡부
 - 상부에는 군부대 헬기장이 위치하고 있으며 펜스하부에는 석축이 시공되어 있으나 붕괴로 인해 석축
  이 파손되어 있고 콘크리트 잔해가 하부에서 발견됨.
 - 비교적 붕괴규모가 크게 발생된 구간으로 주계곡부 좌측부의 계곡부로 계곡길이가 200m 정도의 길이
  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이나 유출이 거의 없는 계곡을 이루고 있음.
 - 하부구간에서는 많은 양의 암편들이 퇴적되어 있으며 이 구간에서 발생된 토사량이 주계곡부를 막아
  댐 구실을 하게 해준 구실을 한 것으로 판단됨.
 - 암반면은 물이 흐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유량은 많지 않은 상태임.
 - 계곡의 시점경사는 25° 정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에서는 폭은 5m 정도, 상부로 올라갈수록 유실폭
  은 30m 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 붕괴시점부
 - 붕괴가 시작된 지점은 암반면 상부에 붕적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경사가 30~40°의 비교적 급한 경사
  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구간에서는 붕적층의 두께가 상부로 올라 갈수록 4~5m 정도로 깊게 분포함.
 - 토층의 구성은 매우 느슨한 상태이고 구성 암편도 10cm 내외의 작은 크기가 주를 이루나 국부적으로
  50cm 이상의 큰 암괴블록이 나타나고 있음.
 - 펜스의 파손은 최하단부 펜스에서 토층의 붕괴로 인해 30m 이상 이동된 상태이고 중간부의 펜스는
  기초 콘크리트가 붕괴로 인해 들어나 있는 상태임.
 - 붕괴지점은 군부대 펜스하부까지 발생되었으며 붕괴구간의 지반상태로 미루어 암반면 상부에 붕적층
  이 얇게 분포되는 구간에서 물에 의해 침식 및 유실이 발생되면서 펜스구간으로 점진적으로 올라갔을
  것으로 판단됨.


                             - 230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개요도




           <그림 3.4.2-51> 형촌-L6(18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 231 -
<그림 3.4.2-52> 형촌-L6(18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하부는 붕적층의 두께가 비교적 두텁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로 올라 갈수록 얇은 분포를
  보이고 있음.
 - 상부의 노출된 암반은 매우 신선한 상태이고 절리가 발달하고 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군부대
  하부의 붕적층의 두께는 두텁게 형성되어 있음.
 - 하부의 암반면의 거칠기가 심한 면을 보이고 있음.




               <그림 3.4.2-53> 형촌-L6(18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배수시설, 사방시설, 시점부 사면보강공법 적용


                           - 232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 형촌-L7(19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상류에 위치하는 계곡부
 - 상부에는 군부대 펜스가 위치하고 있으며 펜스하부에서 유실이 발생되어 토석류가 발생됨.
 - 붕괴시점부는 군부대 펜스의 기초가 들어나 있는 상태이고 이 구간도 하부에 암반층이 노출되어 있음.
 - 붕괴시점부 하부에 2개의 골막이 댐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과거에도 토석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
   며 골막이 댐은 파손되지 않아 있음.
 - 계곡길이가 200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이나 유출이 거의 없는 계곡
   을 이루고 있음.
 - 계곡의 시점경사는 40° 정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 계곡폭은 5m 정도, 상부의 올라 갈수록 유실폭
   은 20m 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 붕괴시점에서 주계곡과의 거리는 약 100m 정도의 연장을 가지고 있음.
• 붕괴시점부
 - 붕괴가 시작된 지점은 암반면 상부에 붕적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경사가 30~40°의 비교적 급한 경사
   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구간에서는 붕적층의 두께가 상부로 올라 갈수록 4~5m 정도로 깊게 분포함.
 - 토층의 구성은 매우 느슨한 상태이고 구성 암편도 10cm 내외의 작은 크기가 주를 이루나 국부적으로
   50cm 이상의 큰 암괴블록이 나타나고 있음.
 - 펜스의 파손상태는 토층붕괴로 인해 기초 콘크리트가 붕괴로 인해 들어나 있는 상태임.
 - 붕괴지점은 군부대 펜스하부까지 발생되었으며 붕괴구간의 지반상태로 미루어 암반면 상부에 붕적층
   이 얇게 분포되는 구간에서 물에 의해 침식 및 유실이 발생되면서 펜스구간으로 점진적으로 올라갔을
   것으로 판단됨.
• 개요도




                <그림 3.4.2-54> 형촌-L7(19구간)의 조사현황도


                             - 233 -
나. 사진현황




                <그림 3.4.2-55> 형촌-L7(19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붕괴시점부는 붕적층의 두께가 비교적 두텁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 계곡부는 얇은 분포를 보이고 있음.
 - 상부의 노출된 암반은 비교적 신선한 상태이고 절리가 발달하고 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토층구성
  은 매우 느슨한 상태이고 구성암편도 10cm 내외의 작은 크기가 주를 이루나 국부적으로 50cm이상의
  큰 암괴블록이 나타나고 있음.
 - 하부의 암반면의 거칠기가 심한 면을 보이고 있음.




                            - 234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4.2-56> 형촌-L7(19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배수시설, 사방시설, 시점부 사면보강공법 적용


󰊒
󰊊 형촌-L8구간(20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상류의 우측부에 위치하는 계곡부
 - 상부에는 군부대 펜스가 위치하나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서 붕괴가 발생되었고 시점부는 침식 및 유실
  이 발생되어 있음.
 - 붕괴시점부는 주계곡에서 140m 정도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경사는 13°~25° 정도의 경사를
  분포를 보임.
 - 계곡의 붕괴시점경사는 30° 정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 계곡 폭은 5m 정도를 형성하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계곡 폭은 좁아짐.
• 붕괴시점부
 - 붕괴가 시작된 지점은 식생이 밀집한 풍화잔류토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경사가 30°의 다소 급한 경사
  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구간에서는 풍화잔류토 정도로 두께가 0.5~1m 이내로 비교적 얇은 층을
  형성하고 있음.
 - 토층의 구성은 매우 느슨한 상태이고 구성 암편도 10cm 내외의 작은 크기가 주를 이룸.



                              - 235 -
• 개요도




          <그림 3.4.2-57> 형촌-L8(20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그림 3.4.2-58> 형촌-L8(20구간)의 현황사진


                       - 236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붕괴시점부는 풍화잔류토층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하부 계곡부에 큰 암괴가 다량 퇴적되어 있음.
 - 계곡 바닥에 노출된 암반은 비교적 신선한 상태이고 절리가 발달하고 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토층구성은 매우 느슨한 상태이고 구성 암편도 10cm 내외의 작은 크기가 주를 이룸.
 - 하부의 암반면의 거칠기가 심한 면을 보이고 있음.




               <그림 3.4.2-59> 형촌-L8(20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배수시설, 사방시설




                           - 237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가. 형촌-L0 종단면도
                                                                                                    4) 각 계류별 종단면도 및 조사현황도




- 238 -
                                     <그림 3.4.2-60> 형촌-L0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0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나. 형촌-L1(8구간) 종단면도
                                                                                           나. 형촌-L1(8구간) 종단면도




- 239 -
                                     <그림 3.4.2-61> 형촌-L1(8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1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다. 형촌-L2(9구간) 종단면도




- 240 -
                                     <그림 3.4.2-62> 형촌-L2(9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2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라. 형촌-10구간 종단면도
                                                                                       라. 형촌-10구간 종단면도




- 241 -
                                      <그림 3.4.2-63> 형촌-10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3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마. 형촌-L3(11구간) 종단면도
                                                                                           마. 형촌-L3(11구간) 종단면도




- 242 -
                                      <그림 3.4.2-64> 형촌-L3(11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4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바. 형촌-13구간 종단면도
                                                                                       바. 형촌-13구간 종단면도




- 243 -
                                      <그림 3.4.2-65> 형촌-13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5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사. 형촌-L4(14구간) 종단면도
                                                                                           사. 형촌-L4(14구간) 종단면도




- 244 -
                                      <그림 3.4.2-66> 형촌-L4(14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6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아. 형촌-L6(18구간 : 군부대 헬기장하부) 종단면도
                                                                                                    아. 형촌-L6(18구간 : 군부대 헬기장하부) 종단면도




- 245 -
                                  <그림 3.4.2-67> 형촌-L6(18구간 : 군부대 헬기장 하부)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7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자. 형촌-L6(18구간 : 군부대 헬기장하부) 상세도
                                                                                                     자. 형촌-L6(18구간 : 군부대 헬기장하부) 상세도




- 246 -
                                <그림 3.4.2-68> 형촌-L6 상세(18구간 : 군부대 헬기장 하부)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8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차. 형촌-L7(19구간) 종단면도
                                                                                           차. 형촌-L7(19구간) 종단면도




- 247 -
                                      <그림 3.4.2-69> 형촌-L7(19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9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카. 형촌-L8(20구간) 종단면도
                                                                                           카. 형촌-L8(20구간) 종단면도




- 248 -
                                      <그림 3.4.2-70> 형촌-L8(20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50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3.4.3 원인분석
 1) 산사태의 유형
 가. 시점부의 붕괴유형
 • 소규모의 사면붕괴
  - 지반구성 : 암편이 혼합된 붕적층
  - 편마암 상부에 퇴적된 붕적토층의 원호파괴 발생유형으로 초기에는 침식 및 유실이 발생되고 상부토
   층이 소규모의 원호양상의 붕괴를 보이는 유형으로 평시에는 약간의 지반변형이 발생되나 안정성이
   확보된 구간에서 강우로 인한 자중의 증가 및 전단강도의 상실로 인해 붕괴가 발생되는 유형이다.
  - 붕괴규모 : 일반적으로 피해 규모는 10m~30m 정도의 규모를 보이고 활동깊이는 1~3m 정도의
   규모를 보이고 있다.




                  <그림 3.4.3-1> 원호파괴 유형의 붕괴사례
• 소규모의 사면붕괴
  - 붕괴유형 : 침식 및 유실로 인한 표층 붕괴
  - 지반구성 : 붕적층
  - 붕괴되기 이전에 표면부는 식생이 되어 있으나, 강우로 침식된 계곡부를 따라 주변부의 토사 및 암편
   이 퇴적되어 암반면 상부에 느슨한 층을 형성하게 됨.
  - 강우시 느슨한 지반의 토층의 빗물에 의해 침식되면서 단단한 지반의 경계면을 따라 빗물에 의해
   유실되는 유형이다.
  - 붕괴규모 : 일반적으로 깊이가 50cm~1m 이내의 천층 깊이에서 발생되며 규모가 작게 시작이 된다.




                  <그림 3.4.3-2> 침식 및 유실의 붕괴사례


                            - 249 -
나. 토석류
• 붕괴유형 : 토석류(Debris flow)
 - 시작점에서는 유실 및 침식 소규모 사면붕괴의 단계로 시작되나 이동단계에서 경사가 급한 계곡에서
   흐르는 물과 토석(흙과 암)이 혼합되어 빠르게 이동하여 흘러 피해를 가중시켜 준다.




                   <그림 3.4.3-3> 암반의 불연속면에 의한 붕괴사례


 - 지반구성 : 비교적 강한 암반면 위에 얇은 토층이 형성되어 있고 토층은 주로 큰 암괴가 혼합된 붕적층
   이 주를 형성하고 있다.
 - 토석류는 전면부에서 큰 규모를 예측하기가 어려운 상태이나 발생 규모에 따라 붕괴가 발생된 연장이
   큰 차이를 보인다.
 - 토석류가 발생된 계곡부의 경사는 10°~25°의 범위가 많으며 계곡부의 나무와 크고 작은 규모의 암괴
   를 쓸고 내려오는 붕괴유형을 보인다.
 - 형촌마을 지구에서 발생된 토석류의 대부분은 하부 지반조건을 강한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3.4.3-4> 계곡부에서의 토석류



                                - 250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2) 붕괴원인
 가. 계곡부의 토석량산정
 각 계류에서 발생된 토석량을 산정하기 위해 계곡별 대표단면에서 붕괴이전의 붕적층의 두께를 추정하여
계류에서 발생된 개략적인 토석량을 산정하여 보았다. 분석방법은 대표단면에서 분포하는 붕적층의 두께에
대한 붕괴지점과의 거리를 산출하여 토석량을 계산하였는데 평균적으로 붕적층의 두께는 1m 정도의 분포가
가장 많으며 모두 8개 구간의 계류에서 GPS 측량으로 측정된 붕괴지점과 주계곡부와의 거리를 산정하였다.
                                  3
 전체적인 토석량의 규모는 개략적으로 3,800m 정도의 토석량으로 산정되었으며 세립분의 토사는 이동거
리가 길어 하부 생태저수지 및 주택지까지 이동되었고 암괴는 주변부나 주계곡부에 퇴적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다.


            <표 3.4.3-1> 단면형상 추정 및 토석류 발생지점에서의 거리산정을 통한 토석량 산정

                계곡      토석류발생                           토사유출량      유출토사량
  지류 No.                                        단면형상
               길이(m)   지점에서의 거리                          (m2/m)      (m3)

   형촌 L1
                178m      140m                            3.66      512.4
   (8구간)

   형촌 L2
                309m      120m                            6.92      830.4
   (9구간)


    형촌
                 -        52m                             2.37      123.24
   10구간

   형촌 13
                 -        80m                             3.67      293.6
    구간

   형촌 L3
                178m      70m                             2.38      166.6
   11구간

   형촌 L4
                153m      65m                             1.49      96.85
   (14구간)

   형촌 L5
                354m      150m                            3.22       483
   (15구간)

   형촌 L6
                193m      140m                            3.53      494.2
   (18구간)

   형촌 L7
                683m      100m                            4.12       412
   (19구간)

  형촌 L8
                680m      140m                            2.31      323.4
  (20구간)

       계         -         -                     -      3.37(평균)   ≒3,800



                                      - 251 -
나. 군부대 토석량이 전체 토석류에서 차지하는 비율
 군부대가 위치하는 펜스하부에서 시작된 형촌-L6(18구간 : 헬기장하부) 및 형촌-L19구간은 위에서 산정
               3
된 바에 의하면, 약 1,000m 정도로 전체 토석량의 25% 정도에 해당하는 토석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형촌마을 지구는 전반적으로 8개의 계류 및 자연사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유실 및 토석류가 발생되었으므
로 군부대의 영향에 의해 피해를 발생되었다고 가정하기는 어렵다.


3) 우면산 생태공원 저수지 역할
 생태공원 저수지는 원퇴적토가 2~3m 정도 퇴적되어 있었으며 금번에 발생된 토석류에 의해 토사 및
암괴, 나무가 저수지 내에 퇴적되어 있었고 저수지의 저유량이 부족하여 상류에서 유입되는 물을 저유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측면부의 배수로가 나무로 인해 배수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배수로 측면의 높이가 제방보다 낮은
쪽으로 물이 월류되면서 제방유실 및 붕괴피해를 발생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생태공원은 상부에서 발생된 토석류를 상당량 저유시키는 기능을 하여 피해를 경감시켜 주는
사방시설의 구실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평면도




                      면적 : 2,430m2, 둘레 : 188m




                              - 252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토석류 퇴적량 : 2,430m3(평균 퇴적토사량 : 1m)

                <그림 3.4.3-5> 생태공원 저수지에서의 퇴적 토석량 산정


4) 형촌마을 지구 토석류 발생원인
 가. 내적 요인
• 지형적 요인
  - 1개의 큰 주계곡을 형성하는 구간과 8개소 정도의 소계곡이 분포하고 있으며 만나는 지형형상을 이루
   고 경사도는 주계곡은 10~20° 정도의 비교적 완경사를 이루고 있다.


• 지반 및 지질적 요인
  - 토층과 암반의 경계면이 뚜렷한 지반조건을 보이고 토층은 붕적층을 형성하고 있다.
  - 토층내에는 20cm 미만의 암괴가 혼재되어 있으며 주로 씰트가 우세하나 지역에 따라 점토성분이
   많은 토층구간이 존재한다.
  - 붕적층의 두께는 평균 1m 정도가 많으며 계곡과 계곡이 만나는 일정구간에서는 최대 5m 정도의 붕적
   층이 분포하고 소계곡을 형성하는 구간에서는 50cm 미만이 많이 분포하기도 한다.


• 식생조건
  - 토층의 깊이가 얇게 형성되어 뿌리가 깊게 활착되지 못하고 암반과 토층의 경계면을 따라 넓게 분포하
   게 되어 두 층의 이질경계면을 형성하게 되는 원인을 준다.


 나. 외적요인
• 강우조건 : 강우강도, 지속시간, 이전 강우량
  - 시간당 강우량 50mm 이상 및 누적강우량이 200mm 이상의 집중호우를 보여 계곡부의 토층이 완전
   포화상태를 이른 것으로 판단된다.


• 붕괴시작점
  - 상부에서 평형상태의 상실로 인한 소규모의 토층에서의 유실 또는 원호파괴가 발생되어 토석류가
   발생되는 원인을 제공한다.




                               - 253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254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56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3.4.4 대책방안 제안
 자연사면의 사면붕괴는 기본적으로 사면보강이 필요하며 계곡부에서의 토석류에 대해서는 사방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저수지 제방 하류의 배수로가 위치하는 구간에서는 배수시설의
정비가 필요하다.
 각 구간별에서의 대책방안을 제안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3.4.4-1> 각 구간별 대책방안 제안

      구간            붕괴유형                  대책방안                비고

                               - 전면부 차폐시설 설치
      형촌-1         배수로 막힘
                               - 상류 배수로 직선화


      형촌-2         배수로 막힘      - 배수관 직선화 재설치

      형촌-3           월류        - 배수시설 정비 및 원지반 복구


                               - 사면보강
      형촌-4        소규모 사면붕괴
                               - 배수로 설치


                               - 제방 재축조 및 좌측 배수시설 보완 또는
      형촌-5          제방붕괴
                               저수지를 없애는 방안


      형촌-6        저수지 토사퇴적     - 저수지 준설작업 및 시설보완


                               - 퇴적토석 준설작업 및 측면 계곡부 정리
                 토사 퇴적 및 계곡부
   형촌-L0(7구간)                    및 보강
                   측면부 유실
                               - 사방시설


                 소규모 침식 유실 및   - 계곡부 정리작업
   형촌-L1(8구간)
                    토석류        - 사방시설


                 소규모 침식 유실 및   - 계곡부 정리작업
   형촌-L3(9구간)
                    토석류        - 사방시설


                               - 자연사면 붕괴구간 보강
    형촌-10구간      소규모 침식 유실     - 계곡부 정리작업
                               - 사방시설



                               - 자연사면보강
                 소규모 침식 유실 및
   형촌-L3(11구간)                 - 붕괴구간 정리작업
                    토석류
                               - 하부 사방시설




                               - 255 -
구간           붕괴유형                  대책방안      비고

              소규모 침식 유실 및   - 계곡부 정리작업
 형촌-13구간
                 토석류        - 배수시설


                            - 계곡부 정리작업
              소규모 침식 유실 및
형촌-L4(14구간)                 - 배수로 설치
                 토석류
                            - 붕괴시점 사면보강 및 표면보호


              소규모 침식 유실 및   - 계곡부 정리작업
형촌-L5(15구간)
                 토석류        - 사방시설


 형촌-16구간      소규모 침식 유실     - 면정리 작업 및 사면보강

 형촌-17구간      소규모 침식 유실     - 면정리 작업 및 사면보강


                            -   계곡부 정리작업
                            -   배수시설
형촌-L6(18구간)   사면붕괴 및 토석류
                            -   사방시설
                            -   시점부 사면보강공법



                            -   계곡부 정리작업
                            -   배수시설
형촌-L7(19구간)   사면붕괴 및 토석류
                            -   사방시설
                            -   시점부 사면보강공법



                            - 계곡부 정리작업
              소규모 침식 유실 및
형촌-L8(20구간)                 - 배수시설
                 토석류
                            - 사방시설




                            - 256 -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257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64 -
3.5 산사태 방재를 위한 관리방안

 3.5.1 방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지난 7월 26일~29일까지 집중강우(총 강수량 550mm)로 인하여 서울시에서는 서초구 우면동과 방배동,
남태령 등지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수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발생시켰다.
 산사태는 일차적으로 귀중한 인명피해를 일으키고 이차적으로는 도로 및 주거시설 파손 등의 재산피해와
같이 사회적으로 큰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며, 특히 집중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붕괴 또는 토지 유출은 매년
큰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지지형이 많고 주거지역이 산지지형과 접해 있는 경우가 많아 산사태에 의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산사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산사태의 특성을 정밀하고 과학적
으로 연구하여 산사태 발생에 취약한 지역을 선정하여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산사태의 경우 지역적 특성 등 주변 환경요소에 의해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산사태를
예방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산사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모니터
링, 산사태 피해 규모 예측 및 분석 등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산사태 발생에 대비한 대피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3.5.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국외 산사태 방재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국외 사면붕괴와 관련된 국가들 중 일본의 경우 급경사지 사면(경사가 30°이상)에 대한 대책과 완경사 사면이
나 산사태에 대한 사면을 구분하여 국토관리 운영체계를 시행하고 있는데 1998년 5월 민생의 안전과 국토의
보전을 목적으로 급경사지 붕괴대책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1998년 이후 총 1조 1,900억엔을 투자하고
있는데 이중 급경사지에만 약 5,900억엔에 해당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 주도하는 산사태와
도로사면 붕괴의 일환으로 일본 독립행정법인 토목연구소에서 민간기업과 연계하여 도로사면에 광섬유 센서를
설치하여 재해를 대비하고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홍콩은 자치정부 내 토목공정서 토력공정처(Civil Engineering Department ; CED)에서 주관하여 산사태
방지대책(Landslip Preventive Measures ; LPM)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LPM프로그램의 목적은 사면
붕괴에 의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저감함과 동시에 한정된 영역에서 도시개발 극대화를 위한 지반 안정성
확보, 사면 안정성 평가 및 보강을 위한 방법 표준화를 하는 것으로 연구기간은 1995년부터 2010년까지이며
총 24조원의 예산을 투자하였다.
 미국의 산사태 관리는 미국지질조사소(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를 중심으로 미국내 일부
대학과 공동연구 과제로 수행되고 산사태 재해 프로그램(Landslide Hazard Program, LHP)을 개발하여 미국
내 산사태를 관리하고 있다. 연구는 1990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행되고 있으며, 2000년의 경우 산사태
재해에만 26억불의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며, 미국지질조사소에는 활화산의 원격감시를 위해 개발한 실시간
자료수집 및 전송시스템을 응용하여 대규모로 붕괴될 조짐이 있는 산사태의 활동 상태를 계속 감시하기 위한


                                - 258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실시간 산사태 감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유럽에서는 산사태 발생에 대한 공간적이고 시간적인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사
태 방지대책을 수립하고 자료의 분석과 저장의 효율성 및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나 GIS와 같은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 중에 있다.
 GIS관련 기술개발로 인해 선진외국에서는 재해관련 DB구축 및 시스템 활용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상태로
미국, 홍콩, 일본 등이 산사태 예방을 위한 일환으로 광역적인 산사태 예측 기술의 개발을 위해 주도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미국은 지질조사소(USGS)에서 산사태 재해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으며, 미국 전역을 대상으
로 광역적인 산사태 취약성 평가 및 산사태 발생 가능지역의 지도 작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캐나다
지질조사소(GSC)는 산사태 발생 모델을 개발하고, 확률론적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연구하고 이를 공간정보와
연계하여 산사태 발생확률을 예측하고 있고, 일본은 주로 산사태 분포를 조사하고 이를 기초로 강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


 ▪국내 산사태 방재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국내 사면붕괴와 관련된 연구는 한국도로공사에서 고속도로 건설유지관리시법(HCMS : Highway Construction
& Maintenance System)을 구축하여 고속도로의 설계, 건설계획으로부터 공사,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각종 자료를 통합 관리하고 업무흐름에 따라 연계 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화환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자연재해방지기술개발사업 1, 2단계 연구에서는 산사태, 홍수, 해수침투 및 지질환경재해의 평가․예측을
위한 연구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 연구수행, 산사태 관련 DB 구축, 각 분야별 발생인자 분석 및 정량적 지질재해
발생확률 산정기법 등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시설안전공단 등에서는 90년대 후반부터 국도 절토사면의 안전진단 및 보호공법 등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국도사면관리 전담부서를 통하여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2003)은 국내 주요지역을 대상으로 정량화 된 “산사태발생가능성도”를 작성하여 제시
하였으며, 자연재해방재기술개발사업을 통하여 확률론적 산사태 예측기술과 산사태 예측도 작성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GIS/RS 기법을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 위치를 탐지해 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국토해양부 지역특성화사업 낙석 및 산사태 방재연구단에서는 위험 사면에 대한 사면 조사 시 조사자의
오차 및 자료 처리 시 발생하는 편차를 최대한으로 줄여 수집 자료의 정확도를 추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보고 첨단 사면 조사장비를 개발함으로서 위험 대상사면에 대해 주기적으로 현황 자료를 취득하여
지속적인 관리 이력을 파악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자료의 정확성 및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첨단
사면 조사장비 proto-type의 개발은 사면 유지관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현장 관리인 또는 도로관리 공무원
등 상대적으로 비전문가에 속하는 인력이 손쉽게 유지관리에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동시에 데이터
베이스화됨으로써 유지관리 업무에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또한 개발된 시스템과 국가 재난방재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정보의 공유를 통한 통합적 재난관리 체제 운영가능 하므로 강원도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운영기법을 도입한 국토 전체의 정보관리체제로 확대하여 전 국토의 낙석 및 산사태 위험도 관리체제의 연계가
가능한 연구가 진행 되었다.




                               - 259 -
<그림 3.5.2-1> 사면조사차량             <그림 3.5.2-2> 산사태 정보 관리시스템




        <그림 3.5.2-3> 위험사면의 계측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지반재해 통합 상황실)



 3.5.3 방재시스템 구축 추진 방안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 산재해 있는 수많은 붕괴위험지역들에 대한 집중관리를 통해 재해로부터
발생하는 인적, 물적 피해를 줄이는 방재시스템구축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이번 우면산 산사태 피해를 계기
로 위험사면에 대한 첨단 방재시스템 개발 및 적용과 체계적인 재난관리체제를 구축하여 시민의 안전과 자연을
보존하고 추가적이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므로 피해 복구비용의 절감뿐만 아니라 안전한 생활 기반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3.5.2-4> 산사태 발생 경고 알림 서비스

 방재시스템 구축 이후 적극적인 홍보와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시스템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타 방재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하여 산사태 발생 경고 시 이를 SMS서비스 등을 통하여 담당자
및 관련기관에 알림으로서 사전대피 및 조치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대처 방안 및 주민들의 대처요령에
대한 주기적인 교육을 통해 안전의식의 질적 향상과 추가적인 피해의 최소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260 -
제4장 결론   ∎∎∎




                        제 4 장 결 론

 본 연구는 2011년 7월 말 서울을 중심으로 중부지방에 3일간 약 500mm의 국지성 폭우가 내려 수많은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일으킨 우면산 산사태 발생지역 4개소(래미안 APT, 신동아 APT, 형촌마을, 전원마을)
를 중심으로 현장 조사 및 산사태 원인을 분석하고 거시적 복구 대책 방안을 수립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래미안 APT와 신동아 APT지역은 시간당 85.5mm의 집중호우로 15시간 동안 230mm의 누적강우량을
      기록하였다. 이 지역은 과거 붕괴이력으로 인해 느슨하고 두꺼운 붕적토 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높은
      지하수위로 상부에서는 지하수 용출과 약수터가 다수 분포하고 있다. 본 구간의 경우 계안부 침식에
      의한 수목전도 현상이 소규모 댐 역할을 하게 되어 누적된 토석 및 우수가 축적된 후 급격한 붕괴로
      인한 흐름이 본 피해 발생 원인으로 판단된다.


  2) 전원마을 지역의 24시간 강수량은 424.5mm를 기록하였으며, 붕괴발생 직전 1시간 동안 112.5mm의
      강우가 발생하였다. 이 지역은 느슨한 형태의 붕적토층이 계곡 측면부에 1~1.5m 두께로 분포하고
      있으며, 기존 배수계통이 불충분 한 것으로 판단된다.


  3) 형촌마을은 1개의 큰 주계곡과 8개소 소계곡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계곡은 10~20˚ 정도의 완경사, 시작점
      붕괴발생 구간은 30~40˚ 정도의 경사로 조사되었다. 이 지역의 붕적층 두께는 평균 1m 정도이며 계곡과
      계곡이 만나는 일정 구간에서는 최대 5m 정도까지 분포하고 있다. 형촌마을 지역은 시간당 강우량이
      85.5mm 이상이며, 24시간 누적강우량이 364.5mm 이상으로 기록되었다. 또한 계속되는 집중호우로
      계곡부의 토층이 완전 포화상태를 이룬 것이 흐름의 발생 원인으로 판단되며, 생태저수지 용량부족으로
      월류로 인한 제방붕괴가 발생하였다.


  4) 군부대 영향 검토는 조사여건의 제한 등으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조사된 자료 및 군부대에서 제공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제공자료의 분석 결과 군부대 내외시설(도로, 건물, 헬기장, 배수시설
      등)은 건전한 상태이며, 군부대 경계부근의 소규모 사면붕괴가 발생하여 일부 석축, 철책이 유실되었으
      나 이러한 현상이 전체 붕괴의 원인이라고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군부대 유출수량과 경계부분 토사
      유실량을 분석해볼 때 군부대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5) 래미안 APT와 신동아 APT 방향의 추가붕괴 방지를 위해서는, 상부에는 법면 붕괴 및 토사유실 방지공을
      설치하고 계곡 중앙부 바닥에는 통수단면이 충분한 침식방지용 수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유로상에



                               - 261 -
유속감소를 위한 시설도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하부에는 중력식 사방시설과 침사지를 설치하고 남부
 순환로로 유입되는 유량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남부순환로변에 통수단면이 충분한 배수로를 확보하여
 야 한다.


6) 전원마을의 경우는 상부에 법면 토사유실 방지를 위한 시설을 설치하고, 토석류 차단시설을 설치한다.
 또한 마을에 설치된 배수로의 원활한 통수단면을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고 형촌마을과 같이 계곡이
 좁고 급경사를 이루고 있는 경우는 적절한 지점에 사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생태저수지 복원시는
 철저한 조사, 설계, 시공 및 관리로 완전한 저수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7) 본 조사지역의 반복되는 산사태 붕괴를 억제하기 위하여 다음의 사항을 건의 하고자 한다. 우면산에
 산재되어 있는 집수시설(군부대 방류구 포함)은 가급적 서울시에서 설치한 사방시설과 연결하여야 한다.
 또한 계곡부에 인접한 수목류는 충분한 조사를 통하여 벌목계획을 수립하고 수목의 건강한 활착을 위하
 여 간벌할 것을 권유한다.
 그리고 대책방안으로는 현장상황에 맞추어 적절한 공법을 결정하여 시행하도록 하고, 주택, 기반시설,
 도시안전, 녹지관련 부서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산사태를 관리할 수 있는 기구를 신설할 것을 권유한다.
 아울러 이에 따른 각계각층의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기구의 신설도 필요하다.


8) 산사태 발생지점은 일반적으로 붕괴이력이 있는 지점과 함께 붕괴이력이 없는 지역에서도 발생한다.
 따라서 산사태 예방을 위하여 서울시 전역에 걸쳐 위험지역의 정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며, 구축되는
 전수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산사태 방재관리시스템 구축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 262 -

Contenu connexe

Plus de kysnyou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kysnyou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kysnyou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kysnyou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kysnyou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kysnyou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kysnyou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kysnyou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kysnyou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kysnyou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kysnyou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kysnyou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kysnyou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kysnyou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kysnyou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kysnyou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kysnyou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kysnyou
 

Plus de kysnyou (20)

1
11
1
 
6
66
6
 
1
11
1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203 268

  • 1.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다. 지반상태 - 수로가 형성된 구간으로 지반상태는 파악하기 어려우나 주로 하부에 위치하여 붕적층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됨. - 좌우측이 석축으로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음. 라. 대책방안검토 -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배수관 정비 필요 ③ 형촌-3구간 가. 개요 • 개요도 <그림 3.4.2-9> 형촌-3구간의 조사현황도 - 197 -
  • 2. - 피해이전에는 산책로가 있던 구간으로 토석류 및 집중호우로 유로가 형성되었음. - 피해이전에는 자연적인 수목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유로형성 폭은 하부가 10m 위쪽에서는 22m 정도 를 형성하고 있음. - 토석류로 인해 상부에서의 떠내려 온 나무가 걸려 있으며 부분적으로 유속이 있는 구간의 하부토층이 세굴이 발생되어 있음. - 상부 제방측으로 올라가면서 제방의 붕괴로 인해 자연수로는 배수로의 우측구간에 형성되어 있음. 나. 사진현황 <그림 3.4.2-10> 형촌-3구간의 현황사진 - 198 -
  • 3.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다. 지반상태 - 세굴이 심하게 발생된 구간에서는 하부에 원암조직을 가지고 있는 풍화토의 노출이 있음. 라. 대책방안검토 - 배수시설 및 원지반 복구 ④ 형촌-4구간 가. 개요 • 산책로 제방 쪽으로 오르는 길목의 좌측 자연사면에서 붕괴가 발생됨. - 하부는 18m 정도이고 중간에서는 14m 정도의 붕괴폭을 형성하고 있음. - 상부 붕괴유형은 토층원호파괴가 발생되었으나 토석류가 발생되어 붕괴규모가 확대되었음. - 붕괴가 발생된 구간은 35~40° 정도의 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 붕괴연장 : 약 60m, 붕괴폭 상부 약 7~8m <그림 3.4.2-11> 형촌-4구간의 조사현황도 - 199 -
  • 4. 나. 사진현황 <그림 3.4.2-12> 형촌-4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토층은 암괴가 혼재되어 있는 붕적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붕적층의 두께는 1~2m 정도로 얇게 형성하 고 있음. - 토층구성은 씰트질 모래정도이고 암괴의 크기는 20cm 이내의 크기가 일반적임. - 강우시 불투수층을 형성하는 암반면과 투수성이 좋은 붕적층의 경계면을 따라 1~2m 정도의 붕적층 에서 붕괴가 발생됨. - 200 -
  • 5.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용수상태 - 조사당시 상부 붕괴가 발생된 구간에서 용수량은 많지 않으나 용수가 발생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음. - 암반이 노출된 구간에서는 용수로 인해 물이 고여 있음. - 강우 시에는 용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됨. <그림 3.4.2-13> 형촌-4구간의 붕괴시점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암반상부에 붕괴가 발생된 구간에서의 추가붕괴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부에 대한 보강이 요망됨. - 배수시설의 확충 : 사면 내에서 용수가 발생되므로 이 구간에 배수로를 설치하여 하부로 유도하여 줌. ⑤ 형촌-5구간(저수지 제방) 가. 개요 • 저수지 제방 구간 - 제방 좌측의 도수로는 상부에서 떠 내려온 유송잡물에 의해 막힘이 발생되었음. - 제방구간은 폭 19m, 깊이 7~8m로 제방붕괴가 발생되었으며 배수로의 콘크리트 구조가 하부가 들어 난 상태임. - 좌측부의 배수로는 이중의 이물질 월류 방지시설이 되어 있으나 나무로 인해 막혀 있음. - 201 -
  • 6. • 개요도 <그림 3.4.2-14> 형촌-5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 202 -
  • 7.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4.2-15> 형촌-5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배수로 하부구간은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붕괴가 발생된 하부구간에도 암반이 노출됨. • 붕괴원인 - 배수로에 유송잡물이 퇴적되어 배수기능을 상실하였고 제방측에서 수압 및 월류가 발생되어 제방의 붕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됨. - 203 -
  • 8. 라. 대책방안검토 - 제방 재축조 및 좌측 배수시설 보완 또는 저수지를 없애는 방안 등. ⑥ 형촌-6구간(우면산 자연생태공원(저수지)) 가. 개요 • 저수지 구간 - 우면산 자연생태공원 구간으로 저수지가 위치하고 있음. 3 2 - 저유량 : 평균 약 5,000m , 면적 2,430m , 수심(원퇴적물의 깊이 및 제방에서의 수위로 추정) 평균 1~1.5m 정도. - 퇴적층이 검은색을 보이는 것은 원래의 퇴적토층이고 황토색을 보이는 토층은 금번 토석류 발생으로 인해 퇴적된 토층으로 검은 색의 원 퇴적층은 2m 정도이고 황토색의 퇴적토층은 1m 정도의 두께로 덮여있음. - 제방의 붕괴로 유로가 형성된 구간은 깊이가 2~3m 정도 형성되어 있음. - 저수지와 계곡이 연결되는 구간에서는 나무가 암괴가 퇴적되어 있으며 주로 토사는 저수지에 퇴적되 어 있음. - 생태공원의 저수지는 상부 계곡에서 발생된 토석을 저류하여 주는 상당한 구실을 한 것으로 판단됨. 3 - 토석류 퇴적토층의 부피 : 약 2,400m • 개요도 <그림 3.4.2-16> 형촌-6구간의 조사현황도 - 204 -
  • 9.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나. 사진현황 <그림 3.4.2-17> 형촌-6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퇴적된 층은 크게 두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검은색은 원퇴적층과 황토색의 상부에서 발생된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음. - 검은색의 원퇴적층은 2~3m 정도의 두께를 형성하고 있으며 황토색의 퇴적층은 평균 1m 정도의 두께를 형성하고 있음. - 205 -
  • 10. <그림 3.4.2-18> 형촌-6구간의 저수지 지반상태 • 생태공원의 역할 - 토석류에 의해 발생된 토사 및 암괴, 나뭇가지가 저수지내에 퇴적되어 있으며 저수지의 저유량이 작아 상류에서 발생된 토석류 및 유입되는 물을 저유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임. - 이로 인해 배수로 나무로 인해 막힘이 발생되고 측면의 제방측으로 유속에 의한 수압 및 월류가 발생되 면서 피해를 발생시킨 것으로 판단됨. - 생태공원은 상부에서 발생된 토석류를 상당량 저유하는 기능을 하여 피해를 경감시켜 주는 사방시설 의 구실을 함. 라. 대책방안검토 - 저수지 하부 준설 작업 및 시설보완 ⑦ 형촌-L0(7구간) 가. 개요 • 계곡 하류구간 - 우면산 자연생태공원으로 유입되는 계곡하류 구간으로 상부에서 떠내려 온 많은 유송잡물이 퇴적되어 있음. - 유송잡물은 주로 상부에 밀려 내려온 큰 나무가 많으며 큰 암괴블록이 약 1m 정도 퇴적되어 형성되어 있음. - 계곡의 퇴적폭은 20~30m 정도이고 기존에 형성된 좌우측으로 확대되어 유로가 형성되어 넓은 면적 을 차지하고 있음. - 토사층은 주로 유속에 의해 하부 저수지 및 주택지로 이동되어 세립분의 토사는 관찰하기 어려움. - 206 -
  • 11.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개요도 <그림 3.4.2-19> 형촌-7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그림 2.4.2-20> 형촌-L0(7구간)의 현황사진 - 207 -
  • 12.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유로의 하부는 편마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퇴적된 층은 주로 큰 암괴블록과 나무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 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의 경사는 10°~15° 정도의 완만한 지형경사를 형성하고 있으며 붕적층 내의 암괴는 30cm 이내의 블록이 주를 이루고 있음. <그림 3.4.2-21> 형촌-L0(7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하부 퇴적토석 준설작업 및 측면 계곡부 정리 및 보강, 사방시설 ⑧ 형촌-L1(8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좌측에 위치하는 소계곡 - 토석류가 발생된 구간으로 입구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이 흐른 흔적이 보이나 상부로 오르면 소계곡이 나타나는 구간임. - 전면에 보이는 넓은 면적에는 부직포 및 토사둔덕이 형성된 것으로 미루어 과거에 토석류가 발생된 것으로 추정됨. - 주계곡에서 소계곡까지 20~30m 정도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이 구간은 STEP이 형성되어 있음. - 토석류가 발생된 계곡은 2~3m 정도의 폭을 가지고 붕적층 하부에 암반층이 노출되어 있으며 암반층 으로 물이 흐르고 있음. - 붕괴가 발생된 사면의 끝단부는 5m 폭의 원호파괴유형을 보이고 이 구간의 경사는 30° 정도를 보임. - 208 -
  • 13.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개요도 <그림 3.4.2-22> 형촌-L1(8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 209 -
  • 14. <그림 3.4.2-23> 형촌-L1(8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주계곡부와 계곡부의 사이는 붕적층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유로하부는 편마암 암반이 노출 되어 있음.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의 경사는 20°~25° 정도의 지형경사를 형성하고 있으며 붕적층 내의 암괴는 10cm 이내의 작은 암괴블록이 주를 이루고 있음. <그림 3.4.2-24> 형촌-L1(8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사방시설 - 210 -
  • 15.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⑨ 형촌-L2(9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우측에 위치하는 소계곡 - 토석류가 발생된 구간으로 입구는 비교적 소규모의 계곡을 형성하고 있음. - 계곡 폭은 3~4m 정도의 폭을 가지고 있으며 깊이는 2m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 토석류의 원인은 계곡지류에서 120m 떨어진 지점의 계곡에서 약 20m의 이격된 지점에 사면붕괴가 발생되었고 붕괴가 토사가 댐구실을 하여 토석류가 발생된 것으로 추정됨. - 이 구간의 계곡길이는 300m 정도로 매우 길게 형성된 구간으로 토석류는 120m에 발생되었음. - 토석류 발생하부는 암반이 노출되어 있고 물이 흐르고 있음. • 개요도 <그림 3.4.2-25> 형촌-L3(9구간)의 조사현황도 - 211 -
  • 16. 나. 사진현황 <그림 3.4.2-26> 형촌-L3(9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주계곡부와 계곡부의 사이는 붕적층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유로하부는 편마암 암반이 노출 되어 있음.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내에는 30cm 정도의 큰 암괴가 퇴적되어 있으나 주로 20cm 미만의 암괴가 주를 형성하고 있음. - 계곡의 경사는 20°~25° 정도의 지형경사를 형성하고 있으며 붕적층 내의 암괴는 20cm 이내의 작은 암괴블록이 주를 이루고 있음. - 212 -
  • 17.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4.2-27> 형촌-L3(9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사방시설 ⑩ 형촌-10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우측에 위치하는 자연사면 - 주계곡부 우측부의 자연사면에서 2개의 지점에서 붕괴가 발생되어 주계곡부에 쌓여 계곡부의 토석류 에 영향을 준 구간으로 표면에서 2m 이내의 깊이에서 붕괴가 발생되었음. - 붕괴구간의 상부는 원호파괴유형을 보이고 붕괴구간 하부는 무한사면의 파괴유형을 보임. - 붕적층과 암반면의 경계는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고 붕괴지점에서 주계곡까지는 약 52m 정도의 이격거리에서 붕괴가 발생됨. - 지형의 경사는 20~30° 정도로 급하게 형성되어 있고 붕괴지점은 30°정도의 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 붕괴폭은 3m 이내로 비교적 좁은 폭에서 붕괴가 발생되었고 다른 지점은 표면에서 유실되는 정도의 붕괴유형을 보임. - 나무뿌리의 깊이가 전반적으로 얕게 근입되어 표면층 유실에도 쉽게 넘어지게 되어 하부에 상부에서 떠내러 온 나무의 퇴적물이 많음. - 213 -
  • 18. • 개요도 <그림 3.4.2-28> 형촌-10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 214 -
  • 19.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4.2-29> 형촌-10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내에는 주로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암괴블록은 많지 않음. <그림 3.4.2-30> 형촌-10구간의 지반상태 - 215 -
  • 20. 라. 대책방안검토 - 자연사면 붕괴구간 보강, 계곡부 정리작업 및 사방시설 ⑪ 형촌-L3(11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우측에 위치하는 자연사면 - 주계곡부 우측부의 자연사면 구간으로 약간의 오목한 지형형상을 가지고 있음. -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이나 유출이 거의 없는 자연사면 상태이고 하부에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상부 에는 붕적층이 퇴적되어 있음. - 상부의 붕괴시점은 2지점에서 발생되었고 표토층의 두께가 1m 이내로 바로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이 구간까지 나무뿌리가 들어와 있음. - 나무뿌리의 깊이가 전반적으로 얕게 근입되어 표면층 유실에도 쉽게 넘어지게 되어 하부에 상부에서 떠내러 온 나무의 퇴적물이 많음. - 암반상부의 토층(붕적층)이 강우에 의해 활동되어 붕괴가 발생된 양상을 보이고 주계곡에서부터의 거리가 약 70m 정도임. - 지형의 경사는 15~20° 정도로 급하게 형성되어 있고 붕괴지점은 30°정도의 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 상부시작점의 붕괴폭은 10m 정도로 비교적 좁은 폭에서 붕괴가 발생되었고 다른 지점은 표면에서 유실되는 정도의 붕괴유형을 보임. - 하부로 내려올수록 계곡을 형성하는 구간의 폭이 좁게 형성됨. • 개요도 <그림 3.4.2-31> 형촌-L3(11구간)의 조사현황도 - 216 -
  • 21.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나. 사진현황 <그림 3.4.2-32> 형촌-L3(11구간)의 현황사진 - 217 -
  • 22.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내에는 주로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암괴블록은 많지 않음. <그림 3.4.2-33> 형촌-L3(11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자연사면 구간 보강, 붕괴구간 정리작업 및 하부 사방시설 ⑫ 형촌-12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암반노출 - 주계곡부 암반이 노출되는 구간으로 깊게 형성되어 암반세굴 폭은 3~4m 정도이고 깊이는 3m 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 암반이 바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부의 토층은 50cm 이내로 매우 얇은 층을 형성하고 있음. - 218 -
  • 23.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개요도 <그림 3.4.2-34> 형촌-12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붕적층은 50cm 이내 정도로 분포하고 계곡의 경사는 20° 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그림 3.4.2-35> 형촌-12구간의 지반상태 ⑬ 형촌-13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우측에 위치하는 자연사면 - 주계곡부 우측부의 자연사면 구간으로 약간의 오목한 지형형상을 가지고 있음. - 219 -
  • 24. -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이나 유출이 거의 없는 자연사면 상태이고 하부에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상부 에는 붕적층이 퇴적되어 있음. - 상부의 붕괴시점은 오목한 형태의 자연사면에서 발생되었고 표토층의 두께가 1m 이내로 바로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이 구간까지 나무뿌리가 들어와 있음. - 나무뿌리의 깊이가 전반적으로 얕게 근입되어 표면층 유실에도 쉽게 넘어지게 되어 하부에 상부에서 떠내려 온 나무의 퇴적물이 많음. • 개요도 - 암반상부의 토층(붕적층)이 강우에 의해 활동되어 붕괴가 발생된 양상을 보이고 주계곡에서부터의 거리가 약 70m 정도임. - 지형의 경사는 15~20° 정도로 급하게 형성되어 있고 붕괴지점은 30°정도의 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 상부시작점의 붕괴폭은 10m 정도로 비교적 넓은 폭에서 붕괴가 발생되었고 다른 지점은 표면에서 유실되는 정도의 붕괴유형을 보임. - 하부로 내려올수록 계곡을 형성하는 구간의 폭이 좁게 형성됨. <그림 3.4.2-36> 형촌-13구간의 조사현황도 - 220 -
  • 25.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나. 사진현황 <그림 3.4.2-37> 형촌-13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내에는 주로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암괴블록은 많지 않음. <그림 3.4.2-38> 형촌-13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배수시설 ⑭ 형촌-L4(14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좌측에 위치하는 계곡부 - 주계곡부 좌측부의 계곡부로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이나 유출이 거의 없는 계곡의 형상을 이루고 있음. - 221 -
  • 26. 하부에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유실된 좌우측면부에도 작은 암편이 함유된 붕적층이 포함되어 있음. - 상부의 붕괴시점은 경사가 40° 정도의 경사지에서 시작이 되었으며 시작점은 토층의 침식정도에 해당됨. - 시작점은 토층침식정도에 해당하는 붕괴규모를 보이고 조사당시에도 계곡부를 따라 물이 흐르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암반면의 불투수층과 토층의 투수층의 경계면을 따라 물의 흐름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됨. - 표토층의 두께가 1m 이내로 바로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이 구간까지 나무뿌리가 들어와 있으며 나무뿌리의 깊이가 전반적으로 얕게 근입되어 표면층 유실에도 쉽게 넘어지는 특성을 보이고 나무의 수령이 얼마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개요도 - 시점의 경사가 급하고 표면침식정도의 매우 작은 규모의 붕괴양상을 보이며 암반상부의 토층(붕적층) 이 강우에 의해 활동되어 붕괴가 발생된 양상을 보이고 주계곡에서부터의 거리가 약 65m 정도임. - 계곡의 크기는 약간 오목한 형태의 지형을 형상을 갖는 그다지 크지 않은 계곡 형상을 이루고 있음. - 지형의 경사는 20~25° 정도로 급하게 형성되어 있고 붕괴지점은 40°정도의 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 상부시작점의 붕괴폭은 5m 이내로 비교적 좁은 폭에서 붕괴가 발생되었고 다른 지점은 표면에서 유실되는 정도의 붕괴유형을 보임. <그림 3.4.2-39> 형촌-L4(14구간)의 조사현황도 - 222 -
  • 27.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나. 사진현황 <그림 3.4.2-40> 형촌-L4(14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내에는 주로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점부에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암반층이 노출된 것을 관찰 할 수 있으며 토층내에 포함된 암괴의 크기는 10cm 이내로 크지 않은 특성을 보임. <그림 3.4.2-41> 형촌-L4(14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배수시설, 붕괴시점부 사면보강 및 표면보호 - 223 -
  • 28. ⑮ 형촌-L5(15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우측에 위치하는 계곡부 - 주계곡부 우측부의 계곡부로 계곡길이가 350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 이나 유출이 거의 없는 계곡을 이루고 있음. - 토석류가 발생한 후에 하부에 바로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유실된 좌우측면부에도 작은 암편이 함유 된 붕적층이 포함되어 있음. - 계곡의 하류지점은 토석류에 의해 상부에 퇴적된 붕적층이 침식되어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조사당 시에도 물이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조사됨. - 토층의 두께는 1m 이내로 바로 암반이 분포하고 있음. • 개요도 <그림 3.4.2-42> 형촌-L5(15구간)의 조사현황도 - 224 -
  • 29.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본 계곡부의 하류경사는 10~15° 정도로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계곡 폭은 5m 정도로 형성되어 있음. - 붕괴지점은 주계곡에서부터의 거리가 약 65m 정도임. - 계곡의 규모는 오목한 형태의 지형을 형상을 갖고 비교적 규모가 있는 계곡을 형성하고 있음. 나. 사진현황 <그림 3.4.2-43> 형촌-L5(15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붕적층은 세굴되고 잔류된 붕적층이 1m이내의 심도로 분포하고 있음. - 계곡내에는 주로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점부에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암반층이 노출된 것을 관찰 할 수 있으며 토층내에 포함된 암괴의 크기는 10cm 이내로 크지 않은 특성을 보임. - 하부의 암반면의 거칠기가 심한 면을 보이고 있음. - 225 -
  • 30. <그림 3.4.2-44> 형촌-L5(15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사방시설 󰊘 󰊉 형촌-16구간 가. 개요 • 개요도 <그림 3.4.2-45> 형촌-16구간의 조사현황도 - 226 -
  • 31.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주계곡의 좌측에 위치하는 자연사면 - 주계곡부 좌측부에 위치하는 자연사면으로 계곡부에 바로 인접해 있음. - 붕괴유형상 자연사면의 유실에 해당하는 정도의 표면부의 토층이 유실된 구간으로 암반면 상부에 분포하는 붕적층이 유실되어 발생됨. - 유실구간의 주계곡 폭은 약 10m 정도에 이르고 토석류가 발생될 당시에 바닥면에서 3~4m 정도의 수위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됨. - 붕적층의 깊이는 2m 정도이고 풍화가 심하게 받은 암편이 혼재되어 있음. - 주계곡부의 경사는 20° 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 붕괴구간의 경사는 40° 이상의 급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나. 사진현황 <그림 3.4.2-46> 형촌-16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유실이 발생된 자연사면은 붕적층으로 형성하고 두께는 2m 정도의 분포를 보임. - 붕적층의 유실로 붕괴토사를 증가시켜 주는 구실을 함. - 붕적층에 혼합된 암편은 풍화를 받아 변색 및 쉽게 부서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암편의 크기는 20cm 이내의 크기를 보이고 있음. - 227 -
  • 32. <그림 3.4.2-47> 형촌-16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면정리 작업 및 사면보강 󰊙 󰊉 형촌-17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좌측에 위치하는 자연사면 - 주계곡부 우측부에 위치하는 자연사면으로 계곡부에 바로 인접해 있음. - 붕괴유형상 자연사면 및 표토의 유실 정도의 표면부 토층이 유실된 구간으로 절리면은 사면방향으로 경사져 발달하고 있음. - 표토층의 두께는 50cm 이내로 매우 얇게 분포하고 있음. - 형촌-L6구간(17구간)에서 발생된 토석류에 유실토사가 퇴적되어 댐을 형성하고상류의 계류에서 흐르 는 물이 저유되면서 측면부의 자연사면을 유실시켰을 가능성을 가지는 구간임. - 유실구간의 주계곡 폭은 약 10m 정도에 주계곡부의 경사는 20° 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 붕괴구간의 경사는 45° 이상의 급경사를 형성하고 있음. - 228 -
  • 33.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개요도 <그림 3.4.2-48> 형촌-17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그림 3.4.2-49> 형촌-17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유실이 발생된 자연사면으로 표층의 두께는 0.5m 정도의 분포를 보임. - 암반은 비교적 신선한 상태를 보이고 절리면이 계곡부로 경사져 있음. - 229 -
  • 34. <그림 3.4.2-50> 형촌-17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면정리 작업 및 사면보강 󰊚 󰊉 형촌-L6(18구간, 군부대 헬기장하부) 가. 개요 • 주계곡의 좌측에 위치하는 계곡부 - 상부에는 군부대 헬기장이 위치하고 있으며 펜스하부에는 석축이 시공되어 있으나 붕괴로 인해 석축 이 파손되어 있고 콘크리트 잔해가 하부에서 발견됨. - 비교적 붕괴규모가 크게 발생된 구간으로 주계곡부 좌측부의 계곡부로 계곡길이가 200m 정도의 길이 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이나 유출이 거의 없는 계곡을 이루고 있음. - 하부구간에서는 많은 양의 암편들이 퇴적되어 있으며 이 구간에서 발생된 토사량이 주계곡부를 막아 댐 구실을 하게 해준 구실을 한 것으로 판단됨. - 암반면은 물이 흐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유량은 많지 않은 상태임. - 계곡의 시점경사는 25° 정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에서는 폭은 5m 정도, 상부로 올라갈수록 유실폭 은 30m 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 붕괴시점부 - 붕괴가 시작된 지점은 암반면 상부에 붕적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경사가 30~40°의 비교적 급한 경사 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구간에서는 붕적층의 두께가 상부로 올라 갈수록 4~5m 정도로 깊게 분포함. - 토층의 구성은 매우 느슨한 상태이고 구성 암편도 10cm 내외의 작은 크기가 주를 이루나 국부적으로 50cm 이상의 큰 암괴블록이 나타나고 있음. - 펜스의 파손은 최하단부 펜스에서 토층의 붕괴로 인해 30m 이상 이동된 상태이고 중간부의 펜스는 기초 콘크리트가 붕괴로 인해 들어나 있는 상태임. - 붕괴지점은 군부대 펜스하부까지 발생되었으며 붕괴구간의 지반상태로 미루어 암반면 상부에 붕적층 이 얇게 분포되는 구간에서 물에 의해 침식 및 유실이 발생되면서 펜스구간으로 점진적으로 올라갔을 것으로 판단됨. - 230 -
  • 35.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개요도 <그림 3.4.2-51> 형촌-L6(18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 231 -
  • 36. <그림 3.4.2-52> 형촌-L6(18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계곡부의 하부는 붕적층의 두께가 비교적 두텁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로 올라 갈수록 얇은 분포를 보이고 있음. - 상부의 노출된 암반은 매우 신선한 상태이고 절리가 발달하고 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군부대 하부의 붕적층의 두께는 두텁게 형성되어 있음. - 하부의 암반면의 거칠기가 심한 면을 보이고 있음. <그림 3.4.2-53> 형촌-L6(18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배수시설, 사방시설, 시점부 사면보강공법 적용 - 232 -
  • 37.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 형촌-L7(19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상류에 위치하는 계곡부 - 상부에는 군부대 펜스가 위치하고 있으며 펜스하부에서 유실이 발생되어 토석류가 발생됨. - 붕괴시점부는 군부대 펜스의 기초가 들어나 있는 상태이고 이 구간도 하부에 암반층이 노출되어 있음. - 붕괴시점부 하부에 2개의 골막이 댐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과거에도 토석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 며 골막이 댐은 파손되지 않아 있음. - 계곡길이가 200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이나 유출이 거의 없는 계곡 을 이루고 있음. - 계곡의 시점경사는 40° 정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 계곡폭은 5m 정도, 상부의 올라 갈수록 유실폭 은 20m 정도를 형성하고 있음. - 붕괴시점에서 주계곡과의 거리는 약 100m 정도의 연장을 가지고 있음. • 붕괴시점부 - 붕괴가 시작된 지점은 암반면 상부에 붕적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경사가 30~40°의 비교적 급한 경사 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구간에서는 붕적층의 두께가 상부로 올라 갈수록 4~5m 정도로 깊게 분포함. - 토층의 구성은 매우 느슨한 상태이고 구성 암편도 10cm 내외의 작은 크기가 주를 이루나 국부적으로 50cm 이상의 큰 암괴블록이 나타나고 있음. - 펜스의 파손상태는 토층붕괴로 인해 기초 콘크리트가 붕괴로 인해 들어나 있는 상태임. - 붕괴지점은 군부대 펜스하부까지 발생되었으며 붕괴구간의 지반상태로 미루어 암반면 상부에 붕적층 이 얇게 분포되는 구간에서 물에 의해 침식 및 유실이 발생되면서 펜스구간으로 점진적으로 올라갔을 것으로 판단됨. • 개요도 <그림 3.4.2-54> 형촌-L7(19구간)의 조사현황도 - 233 -
  • 38. 나. 사진현황 <그림 3.4.2-55> 형촌-L7(19구간)의 현황사진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붕괴시점부는 붕적층의 두께가 비교적 두텁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 계곡부는 얇은 분포를 보이고 있음. - 상부의 노출된 암반은 비교적 신선한 상태이고 절리가 발달하고 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토층구성 은 매우 느슨한 상태이고 구성암편도 10cm 내외의 작은 크기가 주를 이루나 국부적으로 50cm이상의 큰 암괴블록이 나타나고 있음. - 하부의 암반면의 거칠기가 심한 면을 보이고 있음. - 234 -
  • 39.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4.2-56> 형촌-L7(19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배수시설, 사방시설, 시점부 사면보강공법 적용 󰊒 󰊊 형촌-L8구간(20구간) 가. 개요 • 주계곡의 상류의 우측부에 위치하는 계곡부 - 상부에는 군부대 펜스가 위치하나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서 붕괴가 발생되었고 시점부는 침식 및 유실 이 발생되어 있음. - 붕괴시점부는 주계곡에서 140m 정도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경사는 13°~25° 정도의 경사를 분포를 보임. - 계곡의 붕괴시점경사는 30° 정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 계곡 폭은 5m 정도를 형성하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계곡 폭은 좁아짐. • 붕괴시점부 - 붕괴가 시작된 지점은 식생이 밀집한 풍화잔류토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경사가 30°의 다소 급한 경사 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구간에서는 풍화잔류토 정도로 두께가 0.5~1m 이내로 비교적 얇은 층을 형성하고 있음. - 토층의 구성은 매우 느슨한 상태이고 구성 암편도 10cm 내외의 작은 크기가 주를 이룸. - 235 -
  • 40. • 개요도 <그림 3.4.2-57> 형촌-L8(20구간)의 조사현황도 나. 사진현황 <그림 3.4.2-58> 형촌-L8(20구간)의 현황사진 - 236 -
  • 41.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다. 지반상태 • 지반상태 : 편마암 - 붕괴시점부는 풍화잔류토층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하부 계곡부에 큰 암괴가 다량 퇴적되어 있음. - 계곡 바닥에 노출된 암반은 비교적 신선한 상태이고 절리가 발달하고 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토층구성은 매우 느슨한 상태이고 구성 암편도 10cm 내외의 작은 크기가 주를 이룸. - 하부의 암반면의 거칠기가 심한 면을 보이고 있음. <그림 3.4.2-59> 형촌-L8(20구간)의 지반상태 라. 대책방안검토 - 계곡부 정리작업 및 배수시설, 사방시설 - 237 -
  • 42.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가. 형촌-L0 종단면도 4) 각 계류별 종단면도 및 조사현황도 - 238 - <그림 3.4.2-60> 형촌-L0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0 -
  • 43.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나. 형촌-L1(8구간) 종단면도 나. 형촌-L1(8구간) 종단면도 - 239 - <그림 3.4.2-61> 형촌-L1(8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1 -
  • 44.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다. 형촌-L2(9구간) 종단면도 - 240 - <그림 3.4.2-62> 형촌-L2(9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2 -
  • 45.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라. 형촌-10구간 종단면도 라. 형촌-10구간 종단면도 - 241 - <그림 3.4.2-63> 형촌-10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3 -
  • 46.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마. 형촌-L3(11구간) 종단면도 마. 형촌-L3(11구간) 종단면도 - 242 - <그림 3.4.2-64> 형촌-L3(11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4 -
  • 47.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바. 형촌-13구간 종단면도 바. 형촌-13구간 종단면도 - 243 - <그림 3.4.2-65> 형촌-13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5 -
  • 48.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사. 형촌-L4(14구간) 종단면도 사. 형촌-L4(14구간) 종단면도 - 244 - <그림 3.4.2-66> 형촌-L4(14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6 -
  • 49.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아. 형촌-L6(18구간 : 군부대 헬기장하부) 종단면도 아. 형촌-L6(18구간 : 군부대 헬기장하부) 종단면도 - 245 - <그림 3.4.2-67> 형촌-L6(18구간 : 군부대 헬기장 하부)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7 -
  • 50.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자. 형촌-L6(18구간 : 군부대 헬기장하부) 상세도 자. 형촌-L6(18구간 : 군부대 헬기장하부) 상세도 - 246 - <그림 3.4.2-68> 형촌-L6 상세(18구간 : 군부대 헬기장 하부)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8 -
  • 51.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차. 형촌-L7(19구간) 종단면도 차. 형촌-L7(19구간) 종단면도 - 247 - <그림 3.4.2-69> 형촌-L7(19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49 -
  • 52.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카. 형촌-L8(20구간) 종단면도 카. 형촌-L8(20구간) 종단면도 - 248 - <그림 3.4.2-70> 형촌-L8(20구간) 종단면 및 조사현황도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50 -
  • 53.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3.4.3 원인분석 1) 산사태의 유형 가. 시점부의 붕괴유형 • 소규모의 사면붕괴 - 지반구성 : 암편이 혼합된 붕적층 - 편마암 상부에 퇴적된 붕적토층의 원호파괴 발생유형으로 초기에는 침식 및 유실이 발생되고 상부토 층이 소규모의 원호양상의 붕괴를 보이는 유형으로 평시에는 약간의 지반변형이 발생되나 안정성이 확보된 구간에서 강우로 인한 자중의 증가 및 전단강도의 상실로 인해 붕괴가 발생되는 유형이다. - 붕괴규모 : 일반적으로 피해 규모는 10m~30m 정도의 규모를 보이고 활동깊이는 1~3m 정도의 규모를 보이고 있다. <그림 3.4.3-1> 원호파괴 유형의 붕괴사례 • 소규모의 사면붕괴 - 붕괴유형 : 침식 및 유실로 인한 표층 붕괴 - 지반구성 : 붕적층 - 붕괴되기 이전에 표면부는 식생이 되어 있으나, 강우로 침식된 계곡부를 따라 주변부의 토사 및 암편 이 퇴적되어 암반면 상부에 느슨한 층을 형성하게 됨. - 강우시 느슨한 지반의 토층의 빗물에 의해 침식되면서 단단한 지반의 경계면을 따라 빗물에 의해 유실되는 유형이다. - 붕괴규모 : 일반적으로 깊이가 50cm~1m 이내의 천층 깊이에서 발생되며 규모가 작게 시작이 된다. <그림 3.4.3-2> 침식 및 유실의 붕괴사례 - 249 -
  • 54. 나. 토석류 • 붕괴유형 : 토석류(Debris flow) - 시작점에서는 유실 및 침식 소규모 사면붕괴의 단계로 시작되나 이동단계에서 경사가 급한 계곡에서 흐르는 물과 토석(흙과 암)이 혼합되어 빠르게 이동하여 흘러 피해를 가중시켜 준다. <그림 3.4.3-3> 암반의 불연속면에 의한 붕괴사례 - 지반구성 : 비교적 강한 암반면 위에 얇은 토층이 형성되어 있고 토층은 주로 큰 암괴가 혼합된 붕적층 이 주를 형성하고 있다. - 토석류는 전면부에서 큰 규모를 예측하기가 어려운 상태이나 발생 규모에 따라 붕괴가 발생된 연장이 큰 차이를 보인다. - 토석류가 발생된 계곡부의 경사는 10°~25°의 범위가 많으며 계곡부의 나무와 크고 작은 규모의 암괴 를 쓸고 내려오는 붕괴유형을 보인다. - 형촌마을 지구에서 발생된 토석류의 대부분은 하부 지반조건을 강한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3.4.3-4> 계곡부에서의 토석류 - 250 -
  • 55.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2) 붕괴원인 가. 계곡부의 토석량산정 각 계류에서 발생된 토석량을 산정하기 위해 계곡별 대표단면에서 붕괴이전의 붕적층의 두께를 추정하여 계류에서 발생된 개략적인 토석량을 산정하여 보았다. 분석방법은 대표단면에서 분포하는 붕적층의 두께에 대한 붕괴지점과의 거리를 산출하여 토석량을 계산하였는데 평균적으로 붕적층의 두께는 1m 정도의 분포가 가장 많으며 모두 8개 구간의 계류에서 GPS 측량으로 측정된 붕괴지점과 주계곡부와의 거리를 산정하였다. 3 전체적인 토석량의 규모는 개략적으로 3,800m 정도의 토석량으로 산정되었으며 세립분의 토사는 이동거 리가 길어 하부 생태저수지 및 주택지까지 이동되었고 암괴는 주변부나 주계곡부에 퇴적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다. <표 3.4.3-1> 단면형상 추정 및 토석류 발생지점에서의 거리산정을 통한 토석량 산정 계곡 토석류발생 토사유출량 유출토사량 지류 No. 단면형상 길이(m) 지점에서의 거리 (m2/m) (m3) 형촌 L1 178m 140m 3.66 512.4 (8구간) 형촌 L2 309m 120m 6.92 830.4 (9구간) 형촌 - 52m 2.37 123.24 10구간 형촌 13 - 80m 3.67 293.6 구간 형촌 L3 178m 70m 2.38 166.6 11구간 형촌 L4 153m 65m 1.49 96.85 (14구간) 형촌 L5 354m 150m 3.22 483 (15구간) 형촌 L6 193m 140m 3.53 494.2 (18구간) 형촌 L7 683m 100m 4.12 412 (19구간) 형촌 L8 680m 140m 2.31 323.4 (20구간) 계 - - - 3.37(평균) ≒3,800 - 251 -
  • 56. 나. 군부대 토석량이 전체 토석류에서 차지하는 비율 군부대가 위치하는 펜스하부에서 시작된 형촌-L6(18구간 : 헬기장하부) 및 형촌-L19구간은 위에서 산정 3 된 바에 의하면, 약 1,000m 정도로 전체 토석량의 25% 정도에 해당하는 토석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형촌마을 지구는 전반적으로 8개의 계류 및 자연사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유실 및 토석류가 발생되었으므 로 군부대의 영향에 의해 피해를 발생되었다고 가정하기는 어렵다. 3) 우면산 생태공원 저수지 역할 생태공원 저수지는 원퇴적토가 2~3m 정도 퇴적되어 있었으며 금번에 발생된 토석류에 의해 토사 및 암괴, 나무가 저수지 내에 퇴적되어 있었고 저수지의 저유량이 부족하여 상류에서 유입되는 물을 저유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측면부의 배수로가 나무로 인해 배수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배수로 측면의 높이가 제방보다 낮은 쪽으로 물이 월류되면서 제방유실 및 붕괴피해를 발생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생태공원은 상부에서 발생된 토석류를 상당량 저유시키는 기능을 하여 피해를 경감시켜 주는 사방시설의 구실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평면도 면적 : 2,430m2, 둘레 : 188m - 252 -
  • 57.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토석류 퇴적량 : 2,430m3(평균 퇴적토사량 : 1m) <그림 3.4.3-5> 생태공원 저수지에서의 퇴적 토석량 산정 4) 형촌마을 지구 토석류 발생원인 가. 내적 요인 • 지형적 요인 - 1개의 큰 주계곡을 형성하는 구간과 8개소 정도의 소계곡이 분포하고 있으며 만나는 지형형상을 이루 고 경사도는 주계곡은 10~20° 정도의 비교적 완경사를 이루고 있다. • 지반 및 지질적 요인 - 토층과 암반의 경계면이 뚜렷한 지반조건을 보이고 토층은 붕적층을 형성하고 있다. - 토층내에는 20cm 미만의 암괴가 혼재되어 있으며 주로 씰트가 우세하나 지역에 따라 점토성분이 많은 토층구간이 존재한다. - 붕적층의 두께는 평균 1m 정도가 많으며 계곡과 계곡이 만나는 일정구간에서는 최대 5m 정도의 붕적 층이 분포하고 소계곡을 형성하는 구간에서는 50cm 미만이 많이 분포하기도 한다. • 식생조건 - 토층의 깊이가 얇게 형성되어 뿌리가 깊게 활착되지 못하고 암반과 토층의 경계면을 따라 넓게 분포하 게 되어 두 층의 이질경계면을 형성하게 되는 원인을 준다. 나. 외적요인 • 강우조건 : 강우강도, 지속시간, 이전 강우량 - 시간당 강우량 50mm 이상 및 누적강우량이 200mm 이상의 집중호우를 보여 계곡부의 토층이 완전 포화상태를 이른 것으로 판단된다. • 붕괴시작점 - 상부에서 평형상태의 상실로 인한 소규모의 토층에서의 유실 또는 원호파괴가 발생되어 토석류가 발생되는 원인을 제공한다. - 253 -
  • 58.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254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56 -
  • 59.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3.4.4 대책방안 제안 자연사면의 사면붕괴는 기본적으로 사면보강이 필요하며 계곡부에서의 토석류에 대해서는 사방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저수지 제방 하류의 배수로가 위치하는 구간에서는 배수시설의 정비가 필요하다. 각 구간별에서의 대책방안을 제안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3.4.4-1> 각 구간별 대책방안 제안 구간 붕괴유형 대책방안 비고 - 전면부 차폐시설 설치 형촌-1 배수로 막힘 - 상류 배수로 직선화 형촌-2 배수로 막힘 - 배수관 직선화 재설치 형촌-3 월류 - 배수시설 정비 및 원지반 복구 - 사면보강 형촌-4 소규모 사면붕괴 - 배수로 설치 - 제방 재축조 및 좌측 배수시설 보완 또는 형촌-5 제방붕괴 저수지를 없애는 방안 형촌-6 저수지 토사퇴적 - 저수지 준설작업 및 시설보완 - 퇴적토석 준설작업 및 측면 계곡부 정리 토사 퇴적 및 계곡부 형촌-L0(7구간) 및 보강 측면부 유실 - 사방시설 소규모 침식 유실 및 - 계곡부 정리작업 형촌-L1(8구간) 토석류 - 사방시설 소규모 침식 유실 및 - 계곡부 정리작업 형촌-L3(9구간) 토석류 - 사방시설 - 자연사면 붕괴구간 보강 형촌-10구간 소규모 침식 유실 - 계곡부 정리작업 - 사방시설 - 자연사면보강 소규모 침식 유실 및 형촌-L3(11구간) - 붕괴구간 정리작업 토석류 - 하부 사방시설 - 255 -
  • 60. 구간 붕괴유형 대책방안 비고 소규모 침식 유실 및 - 계곡부 정리작업 형촌-13구간 토석류 - 배수시설 - 계곡부 정리작업 소규모 침식 유실 및 형촌-L4(14구간) - 배수로 설치 토석류 - 붕괴시점 사면보강 및 표면보호 소규모 침식 유실 및 - 계곡부 정리작업 형촌-L5(15구간) 토석류 - 사방시설 형촌-16구간 소규모 침식 유실 - 면정리 작업 및 사면보강 형촌-17구간 소규모 침식 유실 - 면정리 작업 및 사면보강 - 계곡부 정리작업 - 배수시설 형촌-L6(18구간) 사면붕괴 및 토석류 - 사방시설 - 시점부 사면보강공법 - 계곡부 정리작업 - 배수시설 형촌-L7(19구간) 사면붕괴 및 토석류 - 사방시설 - 시점부 사면보강공법 - 계곡부 정리작업 소규모 침식 유실 및 형촌-L8(20구간) - 배수시설 토석류 - 사방시설 - 256 -
  • 61. 제 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257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우면산 산사태 4개소 원인조사 및 대책 연구 - 264 -
  • 62. 3.5 산사태 방재를 위한 관리방안 3.5.1 방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지난 7월 26일~29일까지 집중강우(총 강수량 550mm)로 인하여 서울시에서는 서초구 우면동과 방배동, 남태령 등지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수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발생시켰다. 산사태는 일차적으로 귀중한 인명피해를 일으키고 이차적으로는 도로 및 주거시설 파손 등의 재산피해와 같이 사회적으로 큰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며, 특히 집중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붕괴 또는 토지 유출은 매년 큰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지지형이 많고 주거지역이 산지지형과 접해 있는 경우가 많아 산사태에 의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산사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산사태의 특성을 정밀하고 과학적 으로 연구하여 산사태 발생에 취약한 지역을 선정하여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산사태의 경우 지역적 특성 등 주변 환경요소에 의해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산사태를 예방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산사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모니터 링, 산사태 피해 규모 예측 및 분석 등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산사태 발생에 대비한 대피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3.5.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국외 산사태 방재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국외 사면붕괴와 관련된 국가들 중 일본의 경우 급경사지 사면(경사가 30°이상)에 대한 대책과 완경사 사면이 나 산사태에 대한 사면을 구분하여 국토관리 운영체계를 시행하고 있는데 1998년 5월 민생의 안전과 국토의 보전을 목적으로 급경사지 붕괴대책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1998년 이후 총 1조 1,900억엔을 투자하고 있는데 이중 급경사지에만 약 5,900억엔에 해당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 주도하는 산사태와 도로사면 붕괴의 일환으로 일본 독립행정법인 토목연구소에서 민간기업과 연계하여 도로사면에 광섬유 센서를 설치하여 재해를 대비하고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홍콩은 자치정부 내 토목공정서 토력공정처(Civil Engineering Department ; CED)에서 주관하여 산사태 방지대책(Landslip Preventive Measures ; LPM)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LPM프로그램의 목적은 사면 붕괴에 의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저감함과 동시에 한정된 영역에서 도시개발 극대화를 위한 지반 안정성 확보, 사면 안정성 평가 및 보강을 위한 방법 표준화를 하는 것으로 연구기간은 1995년부터 2010년까지이며 총 24조원의 예산을 투자하였다. 미국의 산사태 관리는 미국지질조사소(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를 중심으로 미국내 일부 대학과 공동연구 과제로 수행되고 산사태 재해 프로그램(Landslide Hazard Program, LHP)을 개발하여 미국 내 산사태를 관리하고 있다. 연구는 1990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행되고 있으며, 2000년의 경우 산사태 재해에만 26억불의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며, 미국지질조사소에는 활화산의 원격감시를 위해 개발한 실시간 자료수집 및 전송시스템을 응용하여 대규모로 붕괴될 조짐이 있는 산사태의 활동 상태를 계속 감시하기 위한 - 258 -
  • 63.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실시간 산사태 감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유럽에서는 산사태 발생에 대한 공간적이고 시간적인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사 태 방지대책을 수립하고 자료의 분석과 저장의 효율성 및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나 GIS와 같은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 중에 있다. GIS관련 기술개발로 인해 선진외국에서는 재해관련 DB구축 및 시스템 활용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상태로 미국, 홍콩, 일본 등이 산사태 예방을 위한 일환으로 광역적인 산사태 예측 기술의 개발을 위해 주도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미국은 지질조사소(USGS)에서 산사태 재해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으며, 미국 전역을 대상으 로 광역적인 산사태 취약성 평가 및 산사태 발생 가능지역의 지도 작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캐나다 지질조사소(GSC)는 산사태 발생 모델을 개발하고, 확률론적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연구하고 이를 공간정보와 연계하여 산사태 발생확률을 예측하고 있고, 일본은 주로 산사태 분포를 조사하고 이를 기초로 강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 ▪국내 산사태 방재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국내 사면붕괴와 관련된 연구는 한국도로공사에서 고속도로 건설유지관리시법(HCMS : Highway Construction & Maintenance System)을 구축하여 고속도로의 설계, 건설계획으로부터 공사,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각종 자료를 통합 관리하고 업무흐름에 따라 연계 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화환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자연재해방지기술개발사업 1, 2단계 연구에서는 산사태, 홍수, 해수침투 및 지질환경재해의 평가․예측을 위한 연구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 연구수행, 산사태 관련 DB 구축, 각 분야별 발생인자 분석 및 정량적 지질재해 발생확률 산정기법 등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시설안전공단 등에서는 90년대 후반부터 국도 절토사면의 안전진단 및 보호공법 등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국도사면관리 전담부서를 통하여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2003)은 국내 주요지역을 대상으로 정량화 된 “산사태발생가능성도”를 작성하여 제시 하였으며, 자연재해방재기술개발사업을 통하여 확률론적 산사태 예측기술과 산사태 예측도 작성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GIS/RS 기법을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 위치를 탐지해 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국토해양부 지역특성화사업 낙석 및 산사태 방재연구단에서는 위험 사면에 대한 사면 조사 시 조사자의 오차 및 자료 처리 시 발생하는 편차를 최대한으로 줄여 수집 자료의 정확도를 추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보고 첨단 사면 조사장비를 개발함으로서 위험 대상사면에 대해 주기적으로 현황 자료를 취득하여 지속적인 관리 이력을 파악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자료의 정확성 및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첨단 사면 조사장비 proto-type의 개발은 사면 유지관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현장 관리인 또는 도로관리 공무원 등 상대적으로 비전문가에 속하는 인력이 손쉽게 유지관리에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동시에 데이터 베이스화됨으로써 유지관리 업무에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또한 개발된 시스템과 국가 재난방재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정보의 공유를 통한 통합적 재난관리 체제 운영가능 하므로 강원도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운영기법을 도입한 국토 전체의 정보관리체제로 확대하여 전 국토의 낙석 및 산사태 위험도 관리체제의 연계가 가능한 연구가 진행 되었다. - 259 -
  • 64. <그림 3.5.2-1> 사면조사차량 <그림 3.5.2-2> 산사태 정보 관리시스템 <그림 3.5.2-3> 위험사면의 계측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지반재해 통합 상황실) 3.5.3 방재시스템 구축 추진 방안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 산재해 있는 수많은 붕괴위험지역들에 대한 집중관리를 통해 재해로부터 발생하는 인적, 물적 피해를 줄이는 방재시스템구축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이번 우면산 산사태 피해를 계기 로 위험사면에 대한 첨단 방재시스템 개발 및 적용과 체계적인 재난관리체제를 구축하여 시민의 안전과 자연을 보존하고 추가적이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므로 피해 복구비용의 절감뿐만 아니라 안전한 생활 기반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3.5.2-4> 산사태 발생 경고 알림 서비스 방재시스템 구축 이후 적극적인 홍보와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시스템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타 방재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하여 산사태 발생 경고 시 이를 SMS서비스 등을 통하여 담당자 및 관련기관에 알림으로서 사전대피 및 조치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대처 방안 및 주민들의 대처요령에 대한 주기적인 교육을 통해 안전의식의 질적 향상과 추가적인 피해의 최소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260 -
  • 65. 제4장 결론 ∎∎∎ 제 4 장 결 론 본 연구는 2011년 7월 말 서울을 중심으로 중부지방에 3일간 약 500mm의 국지성 폭우가 내려 수많은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일으킨 우면산 산사태 발생지역 4개소(래미안 APT, 신동아 APT, 형촌마을, 전원마을) 를 중심으로 현장 조사 및 산사태 원인을 분석하고 거시적 복구 대책 방안을 수립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래미안 APT와 신동아 APT지역은 시간당 85.5mm의 집중호우로 15시간 동안 230mm의 누적강우량을 기록하였다. 이 지역은 과거 붕괴이력으로 인해 느슨하고 두꺼운 붕적토 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높은 지하수위로 상부에서는 지하수 용출과 약수터가 다수 분포하고 있다. 본 구간의 경우 계안부 침식에 의한 수목전도 현상이 소규모 댐 역할을 하게 되어 누적된 토석 및 우수가 축적된 후 급격한 붕괴로 인한 흐름이 본 피해 발생 원인으로 판단된다. 2) 전원마을 지역의 24시간 강수량은 424.5mm를 기록하였으며, 붕괴발생 직전 1시간 동안 112.5mm의 강우가 발생하였다. 이 지역은 느슨한 형태의 붕적토층이 계곡 측면부에 1~1.5m 두께로 분포하고 있으며, 기존 배수계통이 불충분 한 것으로 판단된다. 3) 형촌마을은 1개의 큰 주계곡과 8개소 소계곡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계곡은 10~20˚ 정도의 완경사, 시작점 붕괴발생 구간은 30~40˚ 정도의 경사로 조사되었다. 이 지역의 붕적층 두께는 평균 1m 정도이며 계곡과 계곡이 만나는 일정 구간에서는 최대 5m 정도까지 분포하고 있다. 형촌마을 지역은 시간당 강우량이 85.5mm 이상이며, 24시간 누적강우량이 364.5mm 이상으로 기록되었다. 또한 계속되는 집중호우로 계곡부의 토층이 완전 포화상태를 이룬 것이 흐름의 발생 원인으로 판단되며, 생태저수지 용량부족으로 월류로 인한 제방붕괴가 발생하였다. 4) 군부대 영향 검토는 조사여건의 제한 등으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조사된 자료 및 군부대에서 제공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제공자료의 분석 결과 군부대 내외시설(도로, 건물, 헬기장, 배수시설 등)은 건전한 상태이며, 군부대 경계부근의 소규모 사면붕괴가 발생하여 일부 석축, 철책이 유실되었으 나 이러한 현상이 전체 붕괴의 원인이라고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군부대 유출수량과 경계부분 토사 유실량을 분석해볼 때 군부대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5) 래미안 APT와 신동아 APT 방향의 추가붕괴 방지를 위해서는, 상부에는 법면 붕괴 및 토사유실 방지공을 설치하고 계곡 중앙부 바닥에는 통수단면이 충분한 침식방지용 수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유로상에 - 261 -
  • 66. 유속감소를 위한 시설도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하부에는 중력식 사방시설과 침사지를 설치하고 남부 순환로로 유입되는 유량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남부순환로변에 통수단면이 충분한 배수로를 확보하여 야 한다. 6) 전원마을의 경우는 상부에 법면 토사유실 방지를 위한 시설을 설치하고, 토석류 차단시설을 설치한다. 또한 마을에 설치된 배수로의 원활한 통수단면을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고 형촌마을과 같이 계곡이 좁고 급경사를 이루고 있는 경우는 적절한 지점에 사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생태저수지 복원시는 철저한 조사, 설계, 시공 및 관리로 완전한 저수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7) 본 조사지역의 반복되는 산사태 붕괴를 억제하기 위하여 다음의 사항을 건의 하고자 한다. 우면산에 산재되어 있는 집수시설(군부대 방류구 포함)은 가급적 서울시에서 설치한 사방시설과 연결하여야 한다. 또한 계곡부에 인접한 수목류는 충분한 조사를 통하여 벌목계획을 수립하고 수목의 건강한 활착을 위하 여 간벌할 것을 권유한다. 그리고 대책방안으로는 현장상황에 맞추어 적절한 공법을 결정하여 시행하도록 하고, 주택, 기반시설, 도시안전, 녹지관련 부서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산사태를 관리할 수 있는 기구를 신설할 것을 권유한다. 아울러 이에 따른 각계각층의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기구의 신설도 필요하다. 8) 산사태 발생지점은 일반적으로 붕괴이력이 있는 지점과 함께 붕괴이력이 없는 지역에서도 발생한다. 따라서 산사태 예방을 위하여 서울시 전역에 걸쳐 위험지역의 정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며, 구축되는 전수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산사태 방재관리시스템 구축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 2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