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52
Télécharger pour lire hors ligne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A Design of Online Teaching Competencies Program
for Vocational Trainers
2019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이러닝학과 춘계 워크숍
2019.04
이러닝학과 7기 김주영
Table Of Contents
01
02
03
04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온라인 교수역량, #직업훈련 분야 교수자, # 교수역량 개발 프로그램
연구 절차 및 방법
교수역량 프로그램 개발 절차 및 방법
연구 내용 및 결과
온라인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설계 및 전문가 타당화
결론 및 시사점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후속 연구 제언
2
이러닝학과 7기 김주영(surfrider@naver.com)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온라인 학습 경험 증가
- 연구 배경 -
4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자료출처]: https://www.weforum.org/agenda/2016/09/is-online-learning-the-future-of-education/
Global Shapers Survey(2016)
국내 개인의 이러닝 이용경험
이러닝산업실태조사(2017)
51.10%
83.50%
77%
59.30%
51.90%
38.20%
50대 40대 30대 20대 10대 3-9세
58.9%
표본수: 2,009명187개국 18~35세 청년 대상
(2,6615명 중 20,079명 응답)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직업훈련의 확대
- 연구 배경 -
5
연구배경 및 필요성
이러닝산업실태조사(2017)
• ‘직업을 얻거나 유지하기 위해’한 과정 수강 수요 높음
• 직업훈련을 위한 시간적/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
5.10%
20.90%
47.10%
69.80%
0.00%
20.00%
40.00%
60.00%
80.00%
2017
9명 이하 10명~49명 50~299명 300명 이상
[개인의 이러닝 이용 분야] [사업체의 이러닝 도입률]
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부터 고용노동부에서 근로자 원격훈련을 도입하여 운영 중
교육훈련비 절감, 정부의 직업훈련 사각지대 해소
방안, 교수학습 방안 혁신(MOOCs, 플립러닝…) 등을
위해 이러닝 확대 전망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4th Industrial Revolution
온라인 교육훈련의
성과 제고 필요
기술 및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필요
디지털 네이티브 학습자와 교수자
7
vs
10.50%
89.50%
직업훈련교사의 이러닝 강좌 운영 경험
있다
없다
* 권오영, 온라인 공동훈련센터의 요구조사 및
운영모델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센터, 2014.
디지털 네이티브 학습자와 교수자
8
vs
* 권오영, 온라인 공동훈련센터의 요구조사 및
운영모델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센터, 2014.
52%
48%
3년 이내 이러닝 수강경험
있다
없다.
교육훈련의 품질 & 성과
×
교수자의 역할
온라인에서 잘 가르치기
위한 역량?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온라인 교수역량은 ‘개발되어야 할’ 역량인가? -
10
연구 배경 및 필요성
Traditional Classroom Online Classroom
많은 교수자들이 전통적인 교실에서 사용하던 교수학습 방식을
온라인 교수학습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려고 노력하지만 어려움을 겪는다.“ ”
Transforming
Berge, Zane L.(1998), Peter Shea(2007)
온라인 교수자가 겪는
어려움들 Faceless
Teaching
온라인
기술 도구
활용
너무 많은
시간 소요
적은 보상
변화에
대한
두려움
온라인
교수법
부족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교육 환경 변화와 교수자의 역량 변화 요구 -
12
연구배경 및 필요성
Teacher
Learner a.k.a
“Digital Native”
Classroom ① 교수학습 환경
② 학습자
④ 상호작용 방식
③ 교재 및 매체
Flipped Learning
Active Knowledge
Making
Project-based Learning
Learner-CenteredProblem-Solving
…
…
Multimodal
Collaborative Intelligence
…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직업훈련 분야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설계
13
연구배경 및 필요성
“이러닝은
오프라인보다
훈련효과가 낮
아”
“필요는 하지만
내 강의엔
안 맞아”
“온라인 강의는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들
어.”
“이러닝 하려면
촬영 편집 같은
IT기술을
배워야 되잖아.”
“온라인에서는
학습자와
원활한 커뮤니
케이션이
어렵잖아.”
“강의하고
행정처리하기도
바쁜데 어떻게
시간 내서
교육을 들어?”
직업훈련 교강사가 온라인에서 가르치는 것과
관련한 여러가지 장애 요인들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 변화에 대한
저항 축소
해당 교과를
온라인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수법 교육
온라인 강의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지원 +
효율적인
시간관리 전략
지나친 기술에
대한 강조X
교육적 활용
방안 학습 및
기술지원 제공
온라인 기술을
활용한
상호작용/피드
백 방법 학습
온라인을
통한 교육과정
제공
이러닝학과 7기 김주영(surfrider@naver.com)
2. 연구 절차 및 방법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15
연구배경 절차 및 방법
연구절차
문헌분석
프로그램
설계
프로그램
평가
요구분석
전문가 평가
온라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
온라인 교수자
전문성 개발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과제분석
교수체제 설계
과정별 세부 설계전략 수립
전문가 평가 결과 분석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연구대상
- 직업훈련 분야 교강사 -
16
연구배경 및 필요성
중등 이후 직업교육훈련
학원 등…에
관한 법률
근로자 직업
능력개발법
직업훈련 분야
교+강사
• 최대 513,828명 ~
최소 30,272명
• 63.2%가
4년제 이상 졸업
• 평균수입
월 215.3만원
• 전임<비전임
• 자격보유자 20.5%
• 전문성 향상
기회가 낮음
인구특성
초중등 교원
초중등
교육법
교원연수
대학 교원
고등
교육법
CTL 지원
초중등 교육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온라인 교수역량은 ‘개발되어야 할’ 역량인가? -
17
연구 배경 및 필요성
Teaching
Competency
면대면
학습 환경
블렌디드
학습 환경
온라인
학습환경
면대면 교수역량
온라인 교수역량
블렌디드 교수역량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교수활동을 위해 교수자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을 말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교수학습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요구되는 개인적 성향, 지식, 기술, 태도를 포괄하는 것
다양한 교수학습 상황의
실천적-상황적 맥락의
특성을 반영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
18
연구 배경 및 필요성
*Ismail Yuksel(2009), Instructor Competencies for Online Courses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
잇19
연구 배경 및 필요성
내용전문가
평가
전문가
학습
안내자
학습동기
제공자
학습
촉진자
학습운영자
학습
관리자
학습내용 및
평가 전문가
동기유발 및
상호작용 촉진자
학습과정 안내자
*이수경(2009), 원격훈련 교·강사의 활용실태 분석 및 역할 제고 방안 연구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온라인 교수역량(Online Teaching Competency)이란 무엇인가? -
20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온라인 교수역량
효과적인 온라인 교수자의
자질과 특성
교수적
역량
사회적
역량
관리적
역량
기술적
역량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온라인 교수역량(Online Teaching Competency)이란 무엇인가? -
2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온라인에서 가르치려는
직업훈련 교강사에게
필요한 온라인 교수 역량은?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교육 프로그램 설계
- ADDIE 모형-
22
연구 배경 및 필요성
단계 수행 내용
분석
(Analysis)
요구분석
온라인 직업훈련에 필요한 교수자 역량개발과 관련된 교육훈련 타당성을
확인하고 잠정적인 교육목표를 도출
학습자 분석 학습대상자인 직업훈련 교·강사의 일반적 특성과 학습 관련 특성을 분석
환경분석 온라인 학습환경 분석(LMS 메뉴별 기능 등)
과제분석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해 필요한 교수자의 역량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필요와 수준에 맞는 학습내용 도출
설계
(Design)
과정별 세부설계 과정별로 학습내용을 계열화하여 주차별 커리큘럼 구성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전문가 타당화
전문가 타당화를 위해 온라인 직업훈련 분야에 대한 경험을 가진 23명의 전문가 패널 선정
23
연구배경 절차 및 방법
5
8
7
3
30대 40대 50대 60대
4
13
6
학사 석사 박사
[성별] [연령대] [학력]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전문가 타당화
전문가 타당화를 위해 온라인 직업훈련 분야에 대한 경험을 가진 23명의 전문가 패널 선정
24
연구배경 절차 및 방법
7 7
9
10년 이하 11~20년 20년 이상
3
14
4
2
없음 1~5회 6~10회 11회 이상
5 5
4
9
없음 3년 이하 5년 이하 6년 이상
[교육훈련 경력 연수] [온라인 과정 개발 경험(회)] [온라인 과정 운영 경험(연)]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전문가 패널 평가 설문지 구성
25
연구배경 절차 및 방법
구분 설문 항목 답변 형태
인적
정보
성별, 연령, 학력 제시 항목 중 선택
전공, 교육훈련 분야, 교육훈련 연수, 온라인 과정 개발횟수,
온라인 과정 개발 경험
직접 기재
교육 프로그램
평가
각 과정의 학습주제별 적합도: 온라인에서 가르치는 것과 관련해
교수자에게 필요한 내용인가?
매우 적합(5점), 적합(4점), 보통(3점),
적합하지 않음(2점), 전혀 적합하지
않음(1점)
각 과정의 학습주제별 중요도: 온라인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수자에게 중요한 내용인가?
매우 중요(5점), 중요(4점), 보통(3점),
중요하지 않음(2점), 전혀 중요하지
않음(1점)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유 의견 자유 의견 기술
이러닝학과 7기 김주영(surfrider@naver.com)
3. 연구 내용 및 결과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온라인 직업훈련
과정 개발의
확대 요구
직업훈련 품질
향상을 위한
교수역량
강화 요구
새로운 온라인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요구
내용전달자가
아닌 조력자/
촉진자로서의
역할 전환 요구
현장적용력 제고를
위한 새로운
훈련방식 적용 요구
직업훈련을 둘러싼 변화
정책적 변화 기술적 변화 교육적변화
4차산업혁명 대응
직업훈련 투자 확대
교육훈련 분야의
ICT 기술의 활용 증대
창의적 숙련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의 질 제고
• 신산업/신기술 분야 콘텐츠 확대
•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을 통한
산업현장 적합 온라인 직업훈련
콘텐츠 개발 확대 및 탑재
• 지식공유마켓을 통한 프로슈머
(강사 제작) 콘텐츠 활성화
• 직업훈련 교강사 역량 향상
• MOOCs, Open Content,
소셜 네트워크,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등의 활용 증가
•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을
통한 학습자 맞춤형 과정 추천,
적응형(adaptive) 학습 강화
• AR/VR을 활용한 실감형 학습
• 교수자 중심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훈련 방식으로 변화
(상호작용, 학습활동 강화)
• 지식 이해가 아닌 현장 적용력을
제고할 수 있는 훈련방식 적용
(플립러닝, 프로젝트기반 학습 등)
직업훈련분야 교강사의 온라인 교수역량 강화 요구
Analysis
1. 요구 분석
27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Analysis
2. 학습자 분석
구분 내용
대상 직업훈련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고자 하는 교·강사
자격
직업훈련교사 또는 해당 분야에서 훈련생을 가르칠 수 있는
전문지식이 있는 사람으로 인정되는 사람
선수지식
조건
기본적인 인터넷/스마트폰 사용 능력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이메일, 게시판 사용, 채팅) 능력, 오피스 등을 통한 문서작성 능력 필요
학습자 수준
온라인 교육에 대한 관심과 경험 정도에 따라 3단계로 구분
1. 관심 단계: 온라인 훈련과정을 가르치는 데 관심이 있는 교수자
2. 참여 단계: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에 직접 참여하려는 교수자
3. 향상 단계: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또는 운영에 대한 경험을 갖고 있으며,
자신의 수업을 개선하고자 하는 교수자
• 교사와 강사는 자격의 유무에 따라 구분되는 용어(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
• 내용전문가(교수자)와 튜터(강사)의 역할을 구분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교수자의 역할에 포함하여 다룸*
학습 대상 정의
28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Analysis
2. 학습자 분석
온라인 교육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가지고
직접 교육훈련에 활용해
보고자 하는 교수자
온라인 훈련과정을 직접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거나 운영할 예정인
교수자
온라인 훈련과정을 이미
운영한 경험이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온라인에서 가르치기
원하는 교수자
관심 단계 참여 단계 향상 단계
학습 대상 수준별로 필요한 교육적 지원
온라인 교육훈련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정보 제공
온라인 훈련과정을
실제로 어떻게 만들고
운영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법에 관한
교육 제공 + 적용 연습
온라인을 통한
교육훈련의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맞춤형 코칭
29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과제분석
Analysis 온라인 직업훈련 프로세스와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 분석
30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과제분석
Analysis
프로세스 및 과업 교수자 역할 역할 설명
훈련 준비 및
계획
훈련 과정 기획 교수설계자 온라인 교육훈련과 관련된 요구를 분석하고 온라인 교육과정을 기획한다.
훈련 과정
설계 및 개발
온라인 교수학습환경과 매체 특성을 고려하여 교재 내용과 학습활동을 설계하고,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한다.
내용전문가
강의자료 개발자
운영 계획 및 준비 교수자 개발된 프로그램(콘텐츠)를 활용한 세부적인 훈련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훈련 실시
학습 안내 학습 안내자 온라인 학습 진행 및 방법에 대해 안내한다.
학습 활동 지원 상호작용 촉진자
현장 실무와 관련한 학습활동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개인 및 집단 학습활동을 촉진하고
지원한다.
정보 제공 내용촉진자
학습자가 학습내용에 대한 개별적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학습자 개인별로 필요한
보충/심화학습자료를 제공하는 등의 도움을 제공한다.
피드백 피드백 제공자 학습자의 질문 및 학습활동 결과 등에 대한 피드백을 신속하게 제공한다.
평가
훈련생 평가
평가 전문가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대한 평가 계획을 수립하여 공정하게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에
대해 피드백 한다.
훈련 효과 평가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 수업 개선에 반영한다.
관리 및
촉진
온라인 학습지도 학습 지도자
효율적인 온라인 학습방법을 안내하고, 온라인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의 학습
문제를 진단하고 조언한다.
역량 개발
전문성 개발 연구자 교육 전문가로서 지속적으로 교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다.
업무관리 -
온라인 교수학습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협업 등을 통해 업무 과부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온라인 직업훈련 프로세스와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 분석
31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과제분석
Analysis 직업훈련 분야 온라인 교수자 역할별 필요 역량 분석
프로세스
및 과업
교수자 역할 역할별 필요 역량 출처
훈련 준비
및 계획
훈련 과정 기획
교수
설계자
요구분석, 학습자 분석(학습자 특성과 선수지식 분석), 환경분석
Thach(1995), 홍순정 (2014), 한승연 (2012),
홍효정 (2015), Bailie (2006)
훈련 과정
설계 및 개발
기획 능력, 교수학습이론, 교수설계 프로세스 이해, 학습에 대한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의 활용, 학습 과부하를 피하는 기술, 동기유발 전략,
상호작용 설계, 다양한 교수법의 이해와 활용
Thach(1995), Abdulla (2004), Smith(2005),
Varvel (2007), Bailie (2006),한승연(2012),
Mahboub(2016)
내용
전문가
교과 내용 지식, 수업목표에 따른 강의 분량의 적절한 분배, 내용의 효과적인
계열화, 풍부한 실무/현장 사례의 적용
Thach(1995), 홍순정 (2004), Bailie(2006),
Varvel(2007), 한승연(2012), 홍효정 (2015)
강의
자료 개발자
미디어 속성에 대한 이해, 언어 유창성, 글쓰기 기술, 텍스트 레이아웃 스킬,
교수학습에 필요한 정보와 매체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프레젠테이션 기술, 교수학습자료 제작 능력, 온라인에 맞게 콘텐츠를
변형하는 기술
Thach(1995), Abdulla (2004), 홍순정(2004),
Smith(2005), Varvel (2007), 한승연(2012),
홍효정(2015)
운영 계획 및 준비 교수자 명확한 온라인 수업계획서, 참여 및 채점기준의 정의 Varvel(2007), Shank(2004), Smith(2005)
훈련 실시
학습 안내 학습 안내자
수업을 개관하고 안내, 학습자의 기대를 이끌어냄(동기부여) , 명확한 운영
정책의 안내, 라포 형성
Shank(2004), Smith (2005), Varvel(2007),
한승연(2012),
홍효정(2015)
학습 활동 지원
상호
작용 촉진자
학습자간 다양한 협력학습을 촉진하는 기술, 학습활동 상호작용 촉진, 다양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모범사례의 활용, 유머의 활용, 직접 실습과 적용을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갈등을 관리, 사회적 실재감, 따뜻하고 매력적인
분위기 형성, 지식 공유를 촉진, 온라인 공간의 사회․심리적 환경, 물리적
환경의 이해, 학습 분위기를 조성
Thach(1995), Abdulla(2004), Shank(2004),
Smith(2005), Bailie(2006), Varvel(2007),
홍효정(2015), Mahboub(2016)
정보 제공 내용 촉진자
웹을 학습자원으로 활용, 자료검색 기술, 질문을 통한 학습자 이해도 확인,
내용에 대한 이해를 촉진
Abdulla(2004), Smith (2005), Bailie(2006),
한승연(2012), Mahboub(2016)
피드백 피드백 제공자 신속한 피드백 제공, 피드백 스킬, 과제수행에 대한 컨설팅 제공, 성찰 촉진
Thach(1995), Shank (2004), Smith(2005),
Bailie(2006), 한승연 (2012)
32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과제분석
Analysis 직업훈련 분야 온라인 교수자 역할별 필요 역량 분석
프로세스
및 과업
교수자 역할 역할별 필요 역량 출처
평가
훈련생 평가
평가 전문가
명확한 평가 기준의 제시, 다양한 온라인 평가 방법의 이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 태도, 평가 설계, 평가 실시 기술, 루브릭 활용 및 채점 기술,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 제공
Thach(1995), 홍순정 (2004), Abdulla (2004),
Shank(2004), Smith(2005), Bailie (2006),
Varvel(2007), Mahboub(2016)
훈련 효과 평가 데이터 분석 능력, 훈련결과를 평가하고 훈련과정 개선에 활용
관리 및
촉진
온라인 학습
지도
학습 지도자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을 평가하고, 개인적인 학습목표를 획득할 수
있도록 도움, 학습자에게 온라인 학습 방법을 지도함, 학습자들이 적절한
학습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 능동적 학습(Active Learning)의 이해,
학습자와 교수자의 접촉을 독려, 학습자 모니터링, 조언/상담
Shank(2004), 홍순정(2004), Smith(2005),
Varvel(2007)
공통 역량
전문성 개발 연구자
전문가 의식, 자신의 교육철학에 대한 실천적 성찰능력, 최신 동향과
쟁점에 대한 정보를 얻고 기술과 지식을 지속적으로 향상, 스스로
평생학습자가 되기, 강의에 대한 열정, 자기성찰과 변화 의지
홍순정(2004), Smith(2005), 한승연(2012),
홍효정(2015)
업무
관리
- 시간관리 기술, 업무 과부하를 관리하는 기술, 협업능력 Smith(2005), Varvel(2007), 한승연(2012)
교육적 역량 -
학습자 중심의 교수철학, 성인학습자에 대한 이해, 학습스타일에 대한
이해, 원격교육에 대한 이해, 원격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Thach(1995), 홍순정 (2004), Abdulla (2004),
Bailie(2006), 한승연(2012)
기술적 역량 -
기본적인 웹/모바일 기술에 대한 이해 및 활용 능력, LMS의 기능 이해 및
활용 능력
Thach(1995), Smith (2005), 한승연(2012),
홍효정(2015), Mahboub(2016)
관리적 역량 - 개인정보보호, 저작권 준수, 커뮤니케이션 스킬 Smith(2005), 한승연(2012)
기타 -
다양성 인정, 접근성, 윤리성, 학습자에 대한 존중과 배려, 학습에 대한
개방성, 교수학습과 관련한 협력적 과정을 이해
홍순정(2004), Smith (2005), Bailie(2006),
Varvel(2007), 한승연 (2012), 홍효정(2015)
33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Design
1. 교육목표
도출
온라인 직업훈련
과정 개발의 확대 요구
직업훈련 품질 향상을 위한
교수역량 강화 요구
새로운 온라인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요구
내용전달자가 아닌 조력자/
촉진자로서의 역할 전환 요구
현장적용력 제고를 위한 새로운
훈련방식 적용 요구
교강사들의 온라인 학습에 대한
부정적 인식
교수역량과 관련한
향상훈련 기회 부족
온라인 기술의 교육적 활용
역량 부족
온라인 훈련과정에서
학습자 활동 및 상호작용 부족
전통적인 교수자 중심의
내용 전달식 강의 및 평가방식
온라인 훈련에 대한 인식개선과
참여 의지 향상
온라인을 통해 교수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온라인 기술을 교육훈련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 강화
학습자 중심의 학습활동 및
상호작용 촉진 역량 강화
기존 교수법에 대한 성찰과
훈련방식 혁신 역량 강화
교육적 요구 현재 상태 프로그램 목표
34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2. 교육과정
체제 구성
온라인 교육에 대한
가치와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온라인 기술을
직업훈련에 활용할 수 있다.
온라인 학습환경에 대한
이해와 온라인 교수전략을 익혀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과 운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 훈련교사로서의
전문가 의식을 가지고
지속적인 교수역량 개발을
통해 수업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교육목적 교육 내용
온라인 교육의 개념과 특징, 효과
교육훈련에 활용되는 온라인 기술의 이해
온라인 교수학습의 특징과 온라인 교수법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운영 절차와 방법
온라인 과정개발(교재 개발, 강의촬영 등)
온라인 과정 운영(학습안내, 학습활동 지원)
온라인 과정개발 및 운영 시 업무관리
온라인에서의 학습자 평가 전략
훈련과정 평가와 수업 개선
최신 교수법의 이해와 적용
온라인 훈련 교사로서의 자질과 전문성 개발
단계별 교육과정 구성
온라인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교수자를 위한 기초 이해 과정
온라인에서 가르쳐본 경험을
가지고 있는 교수자를 위한
1:1 코칭 기반 심화 과정
온라인 훈련과정을 실제로 개발하고
운영하려는 교수자를 위해
온라인 훈련과정의 기획, 설계, 개발,
운영 과정을 실습 프로젝트를 통해
직접 수행하면서 필요한 역량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무 과정
기초 과정
실무 과정
전문 과정
Design
35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기초과정
과정 개요
학습대상 온라인 교육에 관심이 있는 직업훈련 교·강사
과정소개
온라인 교육에 관심이 있는 교수자를 위한 기초 이해 과정으로 온라인 교육이 무엇이며, 온라인상에서
학습자들을 어떻게 교육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이고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학습목표
1. 온라인 교육이 무엇이며 면대면에서 가르치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
2. 온라인 교수학습을 위한 콘텐츠가 어떤 형태와 방식으로 제작되는지 설명할 수 있다.
3. 온라인 학습을 돕기 위해 교수자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
4. 내 수업과 관련이 있는 온라인 콘텐츠를 찾아보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도출해 볼 수 있다.
5. 직업훈련 분야의 온라인 교육의 가치와 전망을 이해하고, 온라인에서 가르칠 수 있는 역량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학습방법 온라인 100% (콘텐츠 학습 + 토론 활동)
학습기간 2주, 총 6시간(주당 3시간 학습 분량)
평가방식 토론 참여, 형성평가(시험), 총괄평가(시험)
36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기초과정
학습 플로우
과정 입과 Week1 과정 수료
콘텐츠
학습
학습평가
학습활동
Week2
오리엔테이
션
Ch.01 Ch.07Ch.02 …
Ice-breaking
형성평가 총괄시험
토론 및 과제
37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기초과정
주차별 강의계획
주차 모듈명 학습 콘텐츠 학습활동
학습
시간
학습
평가
1
오리엔테이션
1) 과정 및 강사소개
2) 오리엔테이션
자기소개 &
Ice-breaking
-
형성
평가
(시험)
1. 온라인 교육이란
무엇인가?
1) 온라인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2) 온라인 교육의 특징과 장단점
3) 직업훈련에서의 온라인 교육 사례
[토론]
직업훈련에서
의 온라인
교육 사례를
조사하고 그
가치와 효과에
대해 토론하기
1h
2. 온라인에서 가르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
1) 온라인과 면대면 학습환경의 차이
2) 온라인 교수학습의 특징
3)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과 중요성
1h
3. 온라인 강의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1)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작 유형
2) 1인 콘텐츠 제작방식
3) 전문적인 제작방식
1h
2
4. 온라인 학습자를
지도하는 방법
1) 온라인 학습이 어려운 이유
2) 온라인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해
교수자가 해야 할 일
[과제] 자신의
수업과 관련한
이러닝
콘텐츠를
찾아보고
수업에 활용
아이디어
제시하기
1h
총괄
평가
(시험)
5. 온라인 콘텐츠를 수업에
활용하는 방법
1) 직업훈련 관련 온라인 콘텐츠 찾아보기
2)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사례
1h
6. 온라인 교육의 가치와
전망
1) 직업훈련에서의 온라인 교육의 가치와 전망
2) 온라인 교수역량 개발의 필요성
1h
38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실무과정
과정 개요
학습대상 온라인에서 처음 가르치고자 하는 직업훈련 교·강사 중 기초 과정을 이수한 사람
과정소개
온라인 훈련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원하는 교수자를 위한 실무 과정으로서, 실습 프로젝트를
자신이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을 온라인 강의로 만들어 보는 실습과 온라인에서 학습자를 가르치기
위한 동기유발, 학습활동, 학습평가 등을 수행하는 실습을 통해 효과적인 온라인 교수자로서
필요한 역량을 습득할 수 있다.
학습목표
1.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프로세스와 교수자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과 과업을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2. 효과적인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 및 온라인 기술과 관련한 기초지식을
이해할 수 있다.
3. 실제 자신이 가르치는 내용을 온라인 강의로 제작해보는 실습 프로젝트를 통해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을 위해 교수자가 알아야 할 실무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4.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해 운영 단계에서 교수자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이해하고, 이를
위한 실무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5. 훈련 만족도와 훈련성과를 높이기 위한 수업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인 수업 혁신과
교수역량 개발에 대한 실천 의지를 가질 수 있다.
학습방법 온라인 100% (콘텐츠 학습 + 실습 프로젝트 + 토론 활동)
학습기간 12주, 36시간(주당 3시간)
평가 토론 참여, 수행과제 포트폴리오 평가, 형성평가(시험), 총괄평가(시험)
39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실무과정
학습흐름 구성
과정수료
Module1 Module2 Module3 Module 4
사전 준비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온라인 훈련 과정 운영 리뷰&업그레이드
오리엔테이션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사전 지식
콘텐츠
학습
학습 준비 프로젝트 1 프로젝트 2 리뷰/성찰
평가
개인활동
그룹활동
분석
기획
개발
평가 실행
설계
업무
관리
운영
시작
학습
활동
평가 개선
학습
지도
업무
관리
토론 토론
최신 교육훈련
트렌드와 전문성
발전방안
동료 모니터링/멘토링 동료 모니터링/멘토링
모듈 형성평가 모듈 형성평가모듈 형성평가 총괄평가
40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실무과정
주차별 강의계획
주차 모듈명 학습 콘텐츠 학습활동
학습
시간
학습
평가
1
오리엔테이션
1) 과정 및 강사소개
2) 오리엔테이션
자기소개 & Ice-
breaking
-
모듈
형성
평가사전
준비
1. 성공적인 온라인
훈련과정을 위한 조건
1) 성공적인 온라인 훈련과정의 특징
2) 성공적인 온라인 훈련과정을 위한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과 자질
3) 온라인 교수자에게 필요한 역량 [토론] 성공적인 온라인
교수자가 되기 위해
어떤 역량을 개발해야
할 지에 대해 토론
1h
2.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육학 핵심
개념
1) 성인학습자의 특성
2) 온라인 교육을 위한 학습이론
3) 온라인 수업 설계를 위한 교수이론
2h
2
3. 온라인 교수학습을
위한 기술의 이해
1) 학습관리 시스템(LMS)의 이해
2) 온라인 콘텐츠를 위한 기술과 멀티미디어 원리의 이해
3) 온라인 상호작용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이해
[프로젝트 준비]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소그룹 구성 및
퍼실리테이터 배치,
개인별로 아이디어
구상하고 어떤 온라인
과정을 개발할지에 대한
각자의 계획과 관련해
토론하기
1h
4.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
프로세스와 프로젝트
안내
1)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 체제와 프로세스
2)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 시 참여자별 역할과 교수자 업무
3) 프로젝트 수행 안내
3)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협업방법
4) 효율적인 업무관리 방법과 시간관리 전략
2h
41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실무과정
주차별 강의계획
주차 모듈명 학습 콘텐츠 학습활동
학습
시간
학습
평가
3
훈련과
정 개발
1.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준비
1) 온라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체제적 교수설계 모형
2) 온라인 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학습자 분석, 환경분석
3) 유사교육과정 벤치마킹하기
[수행과제1-1]
가르치려는 내용과
관련한 온라인 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요구분석,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을
수행하고 강의계획서
작성하기
1H
프로젝
트
참여 및
결과물
평가
+
모듈
형성
평가
2. 온라인 훈련과정
기획하기
1) 교육목표 설정하기
2) 학습내용 설계하기
3) 교수방법 선정하기
4) 강의계획서 작성하기
2H
4
3. 온라인 훈련과정
설계하기
1) 온라인 교수학습모형의 종류와 특징
2) 모듈별 학습흐름 구성하기
3) 온라인 학습활동 및 학습지원 전략 설계
3) 교수설계전략안 작성 및 검토
[수행과제1-2]
교수설계자와 협업하여
교수설계 전략안
개발하기
3H
5
4.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하기(1)
원고 개발
1) 콘텐츠 개발 유형별 원고 개발 형식
2) 원고 작성을 위한 자료수집
3) 온라인 원고 작성방법
4) 온라인 콘텐츠 개발 시 알아야 할 저작권과 윤리적 이슈
[수행과제1-3]
온라인 콘텐츠용
원고 작성하기
3H
6
4.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하기(2)
강의 촬영
1) 동영상 강의 유형과 방법
2) 매력적인 PPT 강의 교안 작성
3) 메시지 전달과 학습몰입을 높이는 강의 전략
4) 동영상 강의 촬영 준비사항과 유의사항
5) 다양한 유형별 강의 촬영 방법: 실습, 장비시 등
[수행과제1-4]
스튜디오 동영상 강의
촬영 실습과 전문가 &
동료 코칭
3H
7
4.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하기(3)
스토리보드
1) 온라인 콘텐츠의 개발 형태
2) 스토리보드의 구성과 형식
3) 온라인상에서의 학습활동, 상호작용 구현 전략
4) 작성된 스토리보드 검토 방법
[수행과제1-5]
스토리보드
검수하기(유사분야 샘플
보드와 검토 가이드 제공)
3H
8
5. 온라인 훈련과정을
위한 평가 개발하기
1) 학습자 평가의 개념과 유형
2) 온라인 학습자 평가전략
3) 시험 출제 원리와 방법
4) 과제 출제 원리와 방법
[수행과제1-6]
온라인 평가 (시험/과제)
출제하기
2H
6. 온라인 훈련과정
운영 준비
1) 온라인 콘텐츠 품질관리와 교수자의 역할
2) 보편적 학습설계와 온라인 콘텐츠 접근성(accessibility)
3) 훈련과정 운영 전 점검사항
1H
42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실무과정
주차별 강의계획
주차 모듈명 학습 콘텐츠 학습활동
학습
시간
학습
평가
9
훈련과
정 운영
1. 온라인
오리엔테이션과
라포형성
1) 온라인 훈련과정 개설과 교수자의 준비사항
2) 온라인 학습에서 오리엔테이션의 중요성과 교수자가 할 일
3) 학습자와의 라포형성 - 온라인 아이스브레이킹 전략
4)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배려, 다양성 존중하기
[수행과제2-1]
자신의 교육과정에 맞는
효과적인 오리엔테이션
전략 수립하기
3H
프로젝
트
참여 및
결과물
평가
+
모듈
형성평
가
10
2. 온라인 학습자에
대한 학습 동기부여와
학습지도
1) 학습자 모니터링과 학습 독려
2) 학습 스타일에 따른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전략
3) 학습자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질문 활용과 학습자료 제공하기
4) 학습과제 수행 지원 및 피드백
5) 온라인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를 돕는 방법
[수행과제2-2]
학습의 어려움을 겪는
온라인 학습자의 모의
상황에 대해
적절한 학습지도 방안을
제시하기
3H
11
3. 온라인 상호작용과
학습활동 전략
1) 온라인 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의 중요성
2) 온라인 상호작용의 유형과 촉진 전략
3) 온라인 지식공유를 촉진하고 토론 활성화하기
4) 효과적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사이버 매너
5)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문제해결: 학습 분위기를 해치는 문제
학습자에 대한 대응, 갈등 해결 등
[수행과제2-3]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발생한
문제 상황에 대처방법
제시하기
3H
12
4. 온라인
학습자 평가하기
1) 학습자 평가의 원칙
2) 평가자의 태도와 윤리적 문제
3) 과제 채점 및 피드백 방법
4) 루브릭을 활용한 평가방법
[수행과제2-4]
루브릭을 적용한 과제
및 채점기준 개발하기
1H
마무리
1. 강의평가와 수업
개선하기
1) 온라인 강의평가의 의미와 중요성
2) 온라인 강의평가 결과를 통한 수업 개선 사례와 전략
1H
총괄
평가2.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하기
1) 4차 산업혁명과 직업훈련의 미래
2) ICT 기반의 새로운 훈련방식을 적용한 수업혁신 사례
3) 직업훈련 교수자로서의 전문성 개발 전략
1H
43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전문과정
과정 개요
학습대상 온라인에서 가르쳐본 경험이 있는 직업훈련 교·강사
과정소개
자기수업컨설팅을 통해 자신의 온라인 수업과 교수자로서의 자기자신의 역량을 진단하고. 개선전략
수립을 통해 실제적인 온라인 수업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1:1 코칭에 기반한 심화과정이다.
학습목차
1. 현재의 자신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성찰과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찾고 이를 개선할 수 있다.
2. 온라인 교수자로서의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교수역량 개발을 위한 자기개발을 실천할 수
있다.
3. 액티브 러닝, 플립러닝, 프로젝트 기반 학습 등 새로운 교수법과 기법 활용을 통해 수업을 혁신할 수
있다.
학습방법 온라인 100% (콘텐츠 학습 + 라이브세미나 + 실습 프로젝트 + 1:1 코칭)
학습기간 10+1주, 30시간(주당 3시간)
평가 수행과제에 대한 포트폴리오 평가
44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전문과정
학습흐름 구성 과정수료
현황 진단 분석 문제해결 업그레이드
과정 입과
코치
온라인
훈련교사
동료교수자
사전진단 사후진단
온라인 훈련교사로서 철
학, 역량, 자기이해
학습내용과 매체
(교육과정과 콘텐츠)
수업목표
수업구성
학습환경과 과정
(운영 환경 및 전략)
온라인 학습자(학습
성과, 참여도, 만족도)
학습동기
Contents
• 온라인 수업과 수업컨설팅
• 내 수업 되돌아보기
(성찰 및 거시분석)
• 내 수업 들여다보기
• 수업분석 도구를 활용한
수업문제 발견하기
• 온라인 수업 개선전략
수립 & Redesign
• 교수역량 강화 코칭
• 새로운 수업전략 적용을
통한 업그레이드
• 지속적인 전문성 강화계획
수업행위
(Video)
수업내용
수업매체
상호작용
학습평가
교수역량 강화
훈련 & 코칭
교육과정 재설계
훈련과정 운영 전략
Redesign
콘텐츠 개선 전략
능동학습 전략 적용하기
프로젝트 학습 적용하기
플립러닝 적용하기
자기성찰 & 지속적인
자기계발 계획 수립
45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전문과정
주차별 강의계획
주차 모듈명 학습 콘텐츠
라이브
세미나
학습활동 1:1코칭
학습
시간
1
준비
하기
1. 자기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중요성
2. 자기수업컨설팅의 절차와 방법, 사례
3. 온라인 자기수업컨설팅 진행 안내
오리엔테이션& Ice-
breaking
온라인 교수역량
사전진단
(온라인) 진단
결과 개별
피드백/상담
3H
2
1단계
현황
진단
1. 내 수업 되돌아보기의 목적과 활동 안내
2. 온라인 교수자로서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
3. 학습자 관점에서 내 수업 진단하기
내 수업
진단 단계 활동안내와
라이브코칭
[수행과제1]
자기 자신, 학습자, 학습
내용, 매체, 학습환경
관점에서 현재 자기
수업 문제 진단하기
(거시분석)
(온라인)
수행과제에 대한
개별
피드백/코칭
3H
3
4. 학습내용과 매체 관점에서 내 수업
진단하기
5. 학습환경 관점에서 내 수업 진단하기
온라인 수업 분석
전략 활동안내와
라이브코칭
3H
4
2단계
수업
분석
1. 내 수업의 문제를 찾기 위한 자료와
분석도구 활용
2. 수업구성과 일관성 분석
3. 수업자료와 매체 분석
- [수행과제2]
수업분석 도구를
활용한 자기 수업 문제
분석 (미시분석)
(온라인)
수행과제에 대한
개별
피드백/코칭
3H
5
4. 학습자의 수업만족과 학습몰입을 위한
동기유발 전략 분석
5. 상호작용 및 커뮤니케이션 관점의 분석
온라인 수업 분석
전략 활동안내와
라이브코칭
3H
6
3단계
문제
해결
1. 수업의 문제와 원인 분석
2. 수업 개선 목표 수립
3. 교육과정(커리큘럼) 개선 전략과 사례분석
문제해결 목표 수립
및 개선 활동 안내 및
라이브코칭
[수행과제3]
수업 개선 목표
도출하기
(온라인)
수행과제에 대한
개별피드백/코칭
3H
7
4. 온라인 콘텐츠 개선전략
- 콘텐츠 구성과 설계전략
- 동영상 강의 개선 방안: 메시지 전달력과
매력 더하기
-
[수행과제4]
온라인 콘텐츠
개선전략 도출하기
(현장 코칭)
스튜디오에서 1:1
강의 비디오 코칭
3H
46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전문과정
주차별 강의계획
주차 모듈명 학습 콘텐츠
라이브
세미나
학습활동 1:1코칭
학습
시간
7
3단계
문제
해결
4. 온라인 콘텐츠 개선전략
- 콘텐츠 구성과 설계전략
- 동영상 강의 개선 방안: 메시지 전달력과
매력 더하기
-
[수행과제4]
온라인 콘텐츠
개선전략 도출하기
(현장 코칭)
스튜디오에서 1:1
강의 비디오 코칭
3H
8
5. 온라인 학습지원 및 학습활동 개선전략과
사례분석
6. 온라인 학습자 평가 다양화와 개선전략
-
[수행과제5]
온라인 학습 활동 및
평가
개선전략 도출하기
(온라인)
수행과제에 대한
개별피드백/코칭
3H
9
4단계
업그레이
드
1. 액티브 러닝 전략 활용
- 액티브 러닝의 개념
- 액티브 러닝의 사례
- 온라인에서 액티브 러닝을 적용하기 위한
전략
수업혁신 전략 안내
및 라이브 코칭
[수행과제4]
새로운 수업전략을
내 수업에 적용해보기
(온라인)
수행과제에 대한
개별
피드백/
코칭
3H
10
2. 프로젝트 기반 학습 적용하기
-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개념과 특징
-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과 적용 사례
- 온라인에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전략
- 3H
11
3. 수업혁신을 위한 전략
1) 플립러닝 활용하기
2) 가상훈련, 온라인 실험과 수업 활용 사례
3) 학습데이터의 활용과 온라인 수업 개선
전략
전체 과정 리뷰 및
후속 활동 안내
온라인 교수자 역량
사후진단
(온라인)
사후 진단 결과에
대한 피드백/
코칭
3H
-
후속
활동
과정 학습 완료 후 +1~3개월 뒤에 개선전략 적용 결과에 대해 교수자와 오프라인 미팅을 갖고,
개선결과를 함께 리뷰한 후 1:1 코칭 제공
-
47
이러닝학과 7기 김주영(surfrider@naver.com)
4. 결론 및 시사점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의 의미
교수자가 온라인 교육훈련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을 제시하고 객관화1
온라인 직업교육훈련의 교육 효과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수자 역량 강화를 통한 교수학습 품질향상 전략 방안 제안2
49
결론 및 시사점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의 기대효과
결론 및 시사점
교강사들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 향상 및 참여 의자 강화
온라인 직업훈련 활성화를 위한
교수 전문성 향상 기회를 갖기 어려웠던
직업훈련 교강사에 대한 전문성 강화
기회 확대
온라인을 통한 교수자 전문성 강화
01
일방적인 콘텐츠 전달 방식에서
벗어나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활성화
온라인 직업훈련 콘텐츠 질 개선
02
03
‘학습자 중심'에 기초하고 있는
온라인의 관점을 환기함으로써
교수자의 교육철학과 관점을 환기
학습자 중심으로의 관점 변화
04
50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의 한계점
결론 및 시사점
51
온라인 교수역량과 관련한 국내 연구 부족, 국내
온라인 직업훈련 맥락에서 이루어진 연구 확대 필요
해외 선행연구 기반으로 내용 구성
국내 직업훈련 교강사 대상으로 온라인 교수역량
진단과 교육요구 설문조사 등의 과정 필요
문헌연구 기반의 분석과정
온라인 교육에 관한 충분한 전문지식을 가진 숙련된
온라인 교수자가 부족.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는 온라인
교수학습전문가를 통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함
전문가 패널의 한계
01
02
03
Thank you
Insert the title of your subtitle Here

Contenu connexe

Tendances

기술사수검전략3
기술사수검전략3기술사수검전략3
기술사수검전략3
skccsocial
 
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
현진 김
 
국문Gece 브로셔1.181058
국문Gece 브로셔1.181058국문Gece 브로셔1.181058
국문Gece 브로셔1.181058
hyang0610
 

Tendances (20)

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
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
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기술사수검전략3
기술사수검전략3기술사수검전략3
기술사수검전략3
 
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
 
[더러닝앤컴퍼니]신입사원 과정 안내서
[더러닝앤컴퍼니]신입사원 과정 안내서[더러닝앤컴퍼니]신입사원 과정 안내서
[더러닝앤컴퍼니]신입사원 과정 안내서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기술사 수검전략 및 답안작성법 2편
 
대학교 취업성공프로젝트 찬스 제안서
대학교 취업성공프로젝트 찬스 제안서대학교 취업성공프로젝트 찬스 제안서
대학교 취업성공프로젝트 찬스 제안서
 
02 skt스마트로봇코딩연구과정안내
02 skt스마트로봇코딩연구과정안내02 skt스마트로봇코딩연구과정안내
02 skt스마트로봇코딩연구과정안내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Sw교육 사례 포산중 김동균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Sw교육 사례 포산중 김동균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Sw교육 사례 포산중 김동균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Sw교육 사례 포산중 김동균
 
클라우드서비스(강의계획서,2018-1)
클라우드서비스(강의계획서,2018-1)클라우드서비스(강의계획서,2018-1)
클라우드서비스(강의계획서,2018-1)
 
기업용 코딩교육제안서 공유
기업용 코딩교육제안서 공유기업용 코딩교육제안서 공유
기업용 코딩교육제안서 공유
 
플립러닝 플랫폼 전략
플립러닝 플랫폼 전략플립러닝 플랫폼 전략
플립러닝 플랫폼 전략
 
플립러닝,해봤더니...
플립러닝,해봤더니...플립러닝,해봤더니...
플립러닝,해봤더니...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이해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이해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이해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이해
 
K mooc출범을 계기로 본 묵스의 진화와 발전전망 v7
K mooc출범을 계기로 본 묵스의 진화와 발전전망 v7K mooc출범을 계기로 본 묵스의 진화와 발전전망 v7
K mooc출범을 계기로 본 묵스의 진화와 발전전망 v7
 
국문Gece 브로셔1.181058
국문Gece 브로셔1.181058국문Gece 브로셔1.181058
국문Gece 브로셔1.181058
 
플립러닝과 Mooc 대응을 위한 모바일 전략 v1
플립러닝과 Mooc 대응을 위한 모바일 전략 v1플립러닝과 Mooc 대응을 위한 모바일 전략 v1
플립러닝과 Mooc 대응을 위한 모바일 전략 v1
 
[더러닝앤컴퍼니]강연프로그램 안내서
[더러닝앤컴퍼니]강연프로그램 안내서[더러닝앤컴퍼니]강연프로그램 안내서
[더러닝앤컴퍼니]강연프로그램 안내서
 
자이닉스 Mooc 플랫폼에 대한 이해(자이닉스.유선형)
자이닉스 Mooc 플랫폼에 대한 이해(자이닉스.유선형)자이닉스 Mooc 플랫폼에 대한 이해(자이닉스.유선형)
자이닉스 Mooc 플랫폼에 대한 이해(자이닉스.유선형)
 

Similaire à 직업훈련교강사를 위한 온라인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설계

진로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
진로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진로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
진로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
영대 이
 
D:\2010 모항초\Ppt\2009교원능력(고남)
D:\2010 모항초\Ppt\2009교원능력(고남)D:\2010 모항초\Ppt\2009교원능력(고남)
D:\2010 모항초\Ppt\2009교원능력(고남)
parkds2
 
Edu action21 학습전략 컨설팅
Edu action21 학습전략 컨설팅Edu action21 학습전략 컨설팅
Edu action21 학습전략 컨설팅
eduaction21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Nara Lee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Nara Lee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Nara Lee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인정 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
 

Similaire à 직업훈련교강사를 위한 온라인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설계 (20)

6강 기업교육론 20110406
6강 기업교육론 201104066강 기업교육론 20110406
6강 기업교육론 20110406
 
[YJ Sisa Education] 영지어학원 교육운영 안내
[YJ Sisa Education] 영지어학원 교육운영 안내[YJ Sisa Education] 영지어학원 교육운영 안내
[YJ Sisa Education] 영지어학원 교육운영 안내
 
(주)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교육 프로그램 향상 제안
(주)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교육 프로그램 향상 제안(주)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교육 프로그램 향상 제안
(주)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교육 프로그램 향상 제안
 
2014년 교육프로그램 향상 제안 - (주)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2014년 교육프로그램 향상 제안 - (주)쿠 퍼실리테이션 그룹2014년 교육프로그램 향상 제안 - (주)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2014년 교육프로그램 향상 제안 - (주)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연수원 교육과정에의 퍼실리테이션 도입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연수원 교육과정에의 퍼실리테이션 도입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연수원 교육과정에의 퍼실리테이션 도입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연수원 교육과정에의 퍼실리테이션 도입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HRD
HRDHRD
HRD
 
진로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
진로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진로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
진로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D:\2010 모항초\Ppt\2009교원능력(고남)
D:\2010 모항초\Ppt\2009교원능력(고남)D:\2010 모항초\Ppt\2009교원능력(고남)
D:\2010 모항초\Ppt\2009교원능력(고남)
 
외국어 교습의 우수성 입증하기
외국어 교습의 우수성 입증하기외국어 교습의 우수성 입증하기
외국어 교습의 우수성 입증하기
 
2013교육역량강화사업 부산장신대학교(공개용)
2013교육역량강화사업 부산장신대학교(공개용)2013교육역량강화사업 부산장신대학교(공개용)
2013교육역량강화사업 부산장신대학교(공개용)
 
Edu action21 학습전략 컨설팅
Edu action21 학습전략 컨설팅Edu action21 학습전략 컨설팅
Edu action21 학습전략 컨설팅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직업훈련교강사를 위한 온라인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설계

  • 1.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A Design of Online Teaching Competencies Program for Vocational Trainers 2019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이러닝학과 춘계 워크숍 2019.04 이러닝학과 7기 김주영
  • 2. Table Of Contents 01 02 03 04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온라인 교수역량, #직업훈련 분야 교수자, # 교수역량 개발 프로그램 연구 절차 및 방법 교수역량 프로그램 개발 절차 및 방법 연구 내용 및 결과 온라인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설계 및 전문가 타당화 결론 및 시사점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후속 연구 제언 2
  • 3. 이러닝학과 7기 김주영(surfrider@naver.com)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4.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온라인 학습 경험 증가 - 연구 배경 - 4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자료출처]: https://www.weforum.org/agenda/2016/09/is-online-learning-the-future-of-education/ Global Shapers Survey(2016) 국내 개인의 이러닝 이용경험 이러닝산업실태조사(2017) 51.10% 83.50% 77% 59.30% 51.90% 38.20% 50대 40대 30대 20대 10대 3-9세 58.9% 표본수: 2,009명187개국 18~35세 청년 대상 (2,6615명 중 20,079명 응답)
  • 5.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직업훈련의 확대 - 연구 배경 - 5 연구배경 및 필요성 이러닝산업실태조사(2017) • ‘직업을 얻거나 유지하기 위해’한 과정 수강 수요 높음 • 직업훈련을 위한 시간적/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 5.10% 20.90% 47.10% 69.80% 0.00% 20.00% 40.00% 60.00% 80.00% 2017 9명 이하 10명~49명 50~299명 300명 이상 [개인의 이러닝 이용 분야] [사업체의 이러닝 도입률] 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부터 고용노동부에서 근로자 원격훈련을 도입하여 운영 중 교육훈련비 절감, 정부의 직업훈련 사각지대 해소 방안, 교수학습 방안 혁신(MOOCs, 플립러닝…) 등을 위해 이러닝 확대 전망
  • 6.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4th Industrial Revolution 온라인 교육훈련의 성과 제고 필요 기술 및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필요
  • 7. 디지털 네이티브 학습자와 교수자 7 vs 10.50% 89.50% 직업훈련교사의 이러닝 강좌 운영 경험 있다 없다 * 권오영, 온라인 공동훈련센터의 요구조사 및 운영모델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센터, 2014.
  • 8. 디지털 네이티브 학습자와 교수자 8 vs * 권오영, 온라인 공동훈련센터의 요구조사 및 운영모델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센터, 2014. 52% 48% 3년 이내 이러닝 수강경험 있다 없다.
  • 9. 교육훈련의 품질 & 성과 × 교수자의 역할 온라인에서 잘 가르치기 위한 역량?
  • 10.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온라인 교수역량은 ‘개발되어야 할’ 역량인가? - 10 연구 배경 및 필요성 Traditional Classroom Online Classroom 많은 교수자들이 전통적인 교실에서 사용하던 교수학습 방식을 온라인 교수학습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려고 노력하지만 어려움을 겪는다.“ ” Transforming
  • 11. Berge, Zane L.(1998), Peter Shea(2007) 온라인 교수자가 겪는 어려움들 Faceless Teaching 온라인 기술 도구 활용 너무 많은 시간 소요 적은 보상 변화에 대한 두려움 온라인 교수법 부족
  • 12.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교육 환경 변화와 교수자의 역량 변화 요구 - 12 연구배경 및 필요성 Teacher Learner a.k.a “Digital Native” Classroom ① 교수학습 환경 ② 학습자 ④ 상호작용 방식 ③ 교재 및 매체 Flipped Learning Active Knowledge Making Project-based Learning Learner-CenteredProblem-Solving … … Multimodal Collaborative Intelligence …
  • 13.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직업훈련 분야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설계 13 연구배경 및 필요성 “이러닝은 오프라인보다 훈련효과가 낮 아” “필요는 하지만 내 강의엔 안 맞아” “온라인 강의는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들 어.” “이러닝 하려면 촬영 편집 같은 IT기술을 배워야 되잖아.” “온라인에서는 학습자와 원활한 커뮤니 케이션이 어렵잖아.” “강의하고 행정처리하기도 바쁜데 어떻게 시간 내서 교육을 들어?” 직업훈련 교강사가 온라인에서 가르치는 것과 관련한 여러가지 장애 요인들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 변화에 대한 저항 축소 해당 교과를 온라인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수법 교육 온라인 강의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지원 + 효율적인 시간관리 전략 지나친 기술에 대한 강조X 교육적 활용 방안 학습 및 기술지원 제공 온라인 기술을 활용한 상호작용/피드 백 방법 학습 온라인을 통한 교육과정 제공
  • 14. 이러닝학과 7기 김주영(surfrider@naver.com) 2. 연구 절차 및 방법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15.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15 연구배경 절차 및 방법 연구절차 문헌분석 프로그램 설계 프로그램 평가 요구분석 전문가 평가 온라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 온라인 교수자 전문성 개발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과제분석 교수체제 설계 과정별 세부 설계전략 수립 전문가 평가 결과 분석
  • 16.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연구대상 - 직업훈련 분야 교강사 - 16 연구배경 및 필요성 중등 이후 직업교육훈련 학원 등…에 관한 법률 근로자 직업 능력개발법 직업훈련 분야 교+강사 • 최대 513,828명 ~ 최소 30,272명 • 63.2%가 4년제 이상 졸업 • 평균수입 월 215.3만원 • 전임<비전임 • 자격보유자 20.5% • 전문성 향상 기회가 낮음 인구특성 초중등 교원 초중등 교육법 교원연수 대학 교원 고등 교육법 CTL 지원 초중등 교육
  • 17.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온라인 교수역량은 ‘개발되어야 할’ 역량인가? - 17 연구 배경 및 필요성 Teaching Competency 면대면 학습 환경 블렌디드 학습 환경 온라인 학습환경 면대면 교수역량 온라인 교수역량 블렌디드 교수역량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교수활동을 위해 교수자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을 말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교수학습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요구되는 개인적 성향, 지식, 기술, 태도를 포괄하는 것 다양한 교수학습 상황의 실천적-상황적 맥락의 특성을 반영
  • 18.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 18 연구 배경 및 필요성 *Ismail Yuksel(2009), Instructor Competencies for Online Courses
  • 19.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 잇19 연구 배경 및 필요성 내용전문가 평가 전문가 학습 안내자 학습동기 제공자 학습 촉진자 학습운영자 학습 관리자 학습내용 및 평가 전문가 동기유발 및 상호작용 촉진자 학습과정 안내자 *이수경(2009), 원격훈련 교·강사의 활용실태 분석 및 역할 제고 방안 연구
  • 20.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온라인 교수역량(Online Teaching Competency)이란 무엇인가? - 20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온라인 교수역량 효과적인 온라인 교수자의 자질과 특성 교수적 역량 사회적 역량 관리적 역량 기술적 역량
  • 21.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온라인 교수역량 - 온라인 교수역량(Online Teaching Competency)이란 무엇인가? - 2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온라인에서 가르치려는 직업훈련 교강사에게 필요한 온라인 교수 역량은?
  • 22.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교육 프로그램 설계 - ADDIE 모형- 22 연구 배경 및 필요성 단계 수행 내용 분석 (Analysis) 요구분석 온라인 직업훈련에 필요한 교수자 역량개발과 관련된 교육훈련 타당성을 확인하고 잠정적인 교육목표를 도출 학습자 분석 학습대상자인 직업훈련 교·강사의 일반적 특성과 학습 관련 특성을 분석 환경분석 온라인 학습환경 분석(LMS 메뉴별 기능 등) 과제분석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해 필요한 교수자의 역량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필요와 수준에 맞는 학습내용 도출 설계 (Design) 과정별 세부설계 과정별로 학습내용을 계열화하여 주차별 커리큘럼 구성
  • 23.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전문가 타당화 전문가 타당화를 위해 온라인 직업훈련 분야에 대한 경험을 가진 23명의 전문가 패널 선정 23 연구배경 절차 및 방법 5 8 7 3 30대 40대 50대 60대 4 13 6 학사 석사 박사 [성별] [연령대] [학력]
  • 24.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전문가 타당화 전문가 타당화를 위해 온라인 직업훈련 분야에 대한 경험을 가진 23명의 전문가 패널 선정 24 연구배경 절차 및 방법 7 7 9 10년 이하 11~20년 20년 이상 3 14 4 2 없음 1~5회 6~10회 11회 이상 5 5 4 9 없음 3년 이하 5년 이하 6년 이상 [교육훈련 경력 연수] [온라인 과정 개발 경험(회)] [온라인 과정 운영 경험(연)]
  • 25.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전문가 패널 평가 설문지 구성 25 연구배경 절차 및 방법 구분 설문 항목 답변 형태 인적 정보 성별, 연령, 학력 제시 항목 중 선택 전공, 교육훈련 분야, 교육훈련 연수, 온라인 과정 개발횟수, 온라인 과정 개발 경험 직접 기재 교육 프로그램 평가 각 과정의 학습주제별 적합도: 온라인에서 가르치는 것과 관련해 교수자에게 필요한 내용인가? 매우 적합(5점), 적합(4점), 보통(3점), 적합하지 않음(2점), 전혀 적합하지 않음(1점) 각 과정의 학습주제별 중요도: 온라인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수자에게 중요한 내용인가? 매우 중요(5점), 중요(4점), 보통(3점), 중요하지 않음(2점), 전혀 중요하지 않음(1점)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유 의견 자유 의견 기술
  • 26. 이러닝학과 7기 김주영(surfrider@naver.com) 3. 연구 내용 및 결과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27.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온라인 직업훈련 과정 개발의 확대 요구 직업훈련 품질 향상을 위한 교수역량 강화 요구 새로운 온라인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요구 내용전달자가 아닌 조력자/ 촉진자로서의 역할 전환 요구 현장적용력 제고를 위한 새로운 훈련방식 적용 요구 직업훈련을 둘러싼 변화 정책적 변화 기술적 변화 교육적변화 4차산업혁명 대응 직업훈련 투자 확대 교육훈련 분야의 ICT 기술의 활용 증대 창의적 숙련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의 질 제고 • 신산업/신기술 분야 콘텐츠 확대 •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을 통한 산업현장 적합 온라인 직업훈련 콘텐츠 개발 확대 및 탑재 • 지식공유마켓을 통한 프로슈머 (강사 제작) 콘텐츠 활성화 • 직업훈련 교강사 역량 향상 • MOOCs, Open Content, 소셜 네트워크,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등의 활용 증가 •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을 통한 학습자 맞춤형 과정 추천, 적응형(adaptive) 학습 강화 • AR/VR을 활용한 실감형 학습 • 교수자 중심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훈련 방식으로 변화 (상호작용, 학습활동 강화) • 지식 이해가 아닌 현장 적용력을 제고할 수 있는 훈련방식 적용 (플립러닝, 프로젝트기반 학습 등) 직업훈련분야 교강사의 온라인 교수역량 강화 요구 Analysis 1. 요구 분석 27
  • 28.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Analysis 2. 학습자 분석 구분 내용 대상 직업훈련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고자 하는 교·강사 자격 직업훈련교사 또는 해당 분야에서 훈련생을 가르칠 수 있는 전문지식이 있는 사람으로 인정되는 사람 선수지식 조건 기본적인 인터넷/스마트폰 사용 능력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이메일, 게시판 사용, 채팅) 능력, 오피스 등을 통한 문서작성 능력 필요 학습자 수준 온라인 교육에 대한 관심과 경험 정도에 따라 3단계로 구분 1. 관심 단계: 온라인 훈련과정을 가르치는 데 관심이 있는 교수자 2. 참여 단계: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에 직접 참여하려는 교수자 3. 향상 단계: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또는 운영에 대한 경험을 갖고 있으며, 자신의 수업을 개선하고자 하는 교수자 • 교사와 강사는 자격의 유무에 따라 구분되는 용어(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 • 내용전문가(교수자)와 튜터(강사)의 역할을 구분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교수자의 역할에 포함하여 다룸* 학습 대상 정의 28
  • 29.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Analysis 2. 학습자 분석 온라인 교육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가지고 직접 교육훈련에 활용해 보고자 하는 교수자 온라인 훈련과정을 직접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거나 운영할 예정인 교수자 온라인 훈련과정을 이미 운영한 경험이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온라인에서 가르치기 원하는 교수자 관심 단계 참여 단계 향상 단계 학습 대상 수준별로 필요한 교육적 지원 온라인 교육훈련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정보 제공 온라인 훈련과정을 실제로 어떻게 만들고 운영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법에 관한 교육 제공 + 적용 연습 온라인을 통한 교육훈련의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맞춤형 코칭 29
  • 30.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과제분석 Analysis 온라인 직업훈련 프로세스와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 분석 30
  • 31.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과제분석 Analysis 프로세스 및 과업 교수자 역할 역할 설명 훈련 준비 및 계획 훈련 과정 기획 교수설계자 온라인 교육훈련과 관련된 요구를 분석하고 온라인 교육과정을 기획한다. 훈련 과정 설계 및 개발 온라인 교수학습환경과 매체 특성을 고려하여 교재 내용과 학습활동을 설계하고,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한다. 내용전문가 강의자료 개발자 운영 계획 및 준비 교수자 개발된 프로그램(콘텐츠)를 활용한 세부적인 훈련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훈련 실시 학습 안내 학습 안내자 온라인 학습 진행 및 방법에 대해 안내한다. 학습 활동 지원 상호작용 촉진자 현장 실무와 관련한 학습활동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개인 및 집단 학습활동을 촉진하고 지원한다. 정보 제공 내용촉진자 학습자가 학습내용에 대한 개별적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학습자 개인별로 필요한 보충/심화학습자료를 제공하는 등의 도움을 제공한다. 피드백 피드백 제공자 학습자의 질문 및 학습활동 결과 등에 대한 피드백을 신속하게 제공한다. 평가 훈련생 평가 평가 전문가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대한 평가 계획을 수립하여 공정하게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에 대해 피드백 한다. 훈련 효과 평가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 수업 개선에 반영한다. 관리 및 촉진 온라인 학습지도 학습 지도자 효율적인 온라인 학습방법을 안내하고, 온라인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의 학습 문제를 진단하고 조언한다. 역량 개발 전문성 개발 연구자 교육 전문가로서 지속적으로 교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다. 업무관리 - 온라인 교수학습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협업 등을 통해 업무 과부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온라인 직업훈련 프로세스와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 분석 31
  • 32.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과제분석 Analysis 직업훈련 분야 온라인 교수자 역할별 필요 역량 분석 프로세스 및 과업 교수자 역할 역할별 필요 역량 출처 훈련 준비 및 계획 훈련 과정 기획 교수 설계자 요구분석, 학습자 분석(학습자 특성과 선수지식 분석), 환경분석 Thach(1995), 홍순정 (2014), 한승연 (2012), 홍효정 (2015), Bailie (2006) 훈련 과정 설계 및 개발 기획 능력, 교수학습이론, 교수설계 프로세스 이해, 학습에 대한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의 활용, 학습 과부하를 피하는 기술, 동기유발 전략, 상호작용 설계, 다양한 교수법의 이해와 활용 Thach(1995), Abdulla (2004), Smith(2005), Varvel (2007), Bailie (2006),한승연(2012), Mahboub(2016) 내용 전문가 교과 내용 지식, 수업목표에 따른 강의 분량의 적절한 분배, 내용의 효과적인 계열화, 풍부한 실무/현장 사례의 적용 Thach(1995), 홍순정 (2004), Bailie(2006), Varvel(2007), 한승연(2012), 홍효정 (2015) 강의 자료 개발자 미디어 속성에 대한 이해, 언어 유창성, 글쓰기 기술, 텍스트 레이아웃 스킬, 교수학습에 필요한 정보와 매체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프레젠테이션 기술, 교수학습자료 제작 능력, 온라인에 맞게 콘텐츠를 변형하는 기술 Thach(1995), Abdulla (2004), 홍순정(2004), Smith(2005), Varvel (2007), 한승연(2012), 홍효정(2015) 운영 계획 및 준비 교수자 명확한 온라인 수업계획서, 참여 및 채점기준의 정의 Varvel(2007), Shank(2004), Smith(2005) 훈련 실시 학습 안내 학습 안내자 수업을 개관하고 안내, 학습자의 기대를 이끌어냄(동기부여) , 명확한 운영 정책의 안내, 라포 형성 Shank(2004), Smith (2005), Varvel(2007), 한승연(2012), 홍효정(2015) 학습 활동 지원 상호 작용 촉진자 학습자간 다양한 협력학습을 촉진하는 기술, 학습활동 상호작용 촉진, 다양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모범사례의 활용, 유머의 활용, 직접 실습과 적용을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갈등을 관리, 사회적 실재감, 따뜻하고 매력적인 분위기 형성, 지식 공유를 촉진, 온라인 공간의 사회․심리적 환경, 물리적 환경의 이해, 학습 분위기를 조성 Thach(1995), Abdulla(2004), Shank(2004), Smith(2005), Bailie(2006), Varvel(2007), 홍효정(2015), Mahboub(2016) 정보 제공 내용 촉진자 웹을 학습자원으로 활용, 자료검색 기술, 질문을 통한 학습자 이해도 확인, 내용에 대한 이해를 촉진 Abdulla(2004), Smith (2005), Bailie(2006), 한승연(2012), Mahboub(2016) 피드백 피드백 제공자 신속한 피드백 제공, 피드백 스킬, 과제수행에 대한 컨설팅 제공, 성찰 촉진 Thach(1995), Shank (2004), Smith(2005), Bailie(2006), 한승연 (2012) 32
  • 33.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과제분석 Analysis 직업훈련 분야 온라인 교수자 역할별 필요 역량 분석 프로세스 및 과업 교수자 역할 역할별 필요 역량 출처 평가 훈련생 평가 평가 전문가 명확한 평가 기준의 제시, 다양한 온라인 평가 방법의 이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 태도, 평가 설계, 평가 실시 기술, 루브릭 활용 및 채점 기술,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 제공 Thach(1995), 홍순정 (2004), Abdulla (2004), Shank(2004), Smith(2005), Bailie (2006), Varvel(2007), Mahboub(2016) 훈련 효과 평가 데이터 분석 능력, 훈련결과를 평가하고 훈련과정 개선에 활용 관리 및 촉진 온라인 학습 지도 학습 지도자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을 평가하고, 개인적인 학습목표를 획득할 수 있도록 도움, 학습자에게 온라인 학습 방법을 지도함, 학습자들이 적절한 학습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 능동적 학습(Active Learning)의 이해, 학습자와 교수자의 접촉을 독려, 학습자 모니터링, 조언/상담 Shank(2004), 홍순정(2004), Smith(2005), Varvel(2007) 공통 역량 전문성 개발 연구자 전문가 의식, 자신의 교육철학에 대한 실천적 성찰능력, 최신 동향과 쟁점에 대한 정보를 얻고 기술과 지식을 지속적으로 향상, 스스로 평생학습자가 되기, 강의에 대한 열정, 자기성찰과 변화 의지 홍순정(2004), Smith(2005), 한승연(2012), 홍효정(2015) 업무 관리 - 시간관리 기술, 업무 과부하를 관리하는 기술, 협업능력 Smith(2005), Varvel(2007), 한승연(2012) 교육적 역량 - 학습자 중심의 교수철학, 성인학습자에 대한 이해, 학습스타일에 대한 이해, 원격교육에 대한 이해, 원격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Thach(1995), 홍순정 (2004), Abdulla (2004), Bailie(2006), 한승연(2012) 기술적 역량 - 기본적인 웹/모바일 기술에 대한 이해 및 활용 능력, LMS의 기능 이해 및 활용 능력 Thach(1995), Smith (2005), 한승연(2012), 홍효정(2015), Mahboub(2016) 관리적 역량 - 개인정보보호, 저작권 준수, 커뮤니케이션 스킬 Smith(2005), 한승연(2012) 기타 - 다양성 인정, 접근성, 윤리성, 학습자에 대한 존중과 배려, 학습에 대한 개방성, 교수학습과 관련한 협력적 과정을 이해 홍순정(2004), Smith (2005), Bailie(2006), Varvel(2007), 한승연 (2012), 홍효정(2015) 33
  • 34.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Design 1. 교육목표 도출 온라인 직업훈련 과정 개발의 확대 요구 직업훈련 품질 향상을 위한 교수역량 강화 요구 새로운 온라인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요구 내용전달자가 아닌 조력자/ 촉진자로서의 역할 전환 요구 현장적용력 제고를 위한 새로운 훈련방식 적용 요구 교강사들의 온라인 학습에 대한 부정적 인식 교수역량과 관련한 향상훈련 기회 부족 온라인 기술의 교육적 활용 역량 부족 온라인 훈련과정에서 학습자 활동 및 상호작용 부족 전통적인 교수자 중심의 내용 전달식 강의 및 평가방식 온라인 훈련에 대한 인식개선과 참여 의지 향상 온라인을 통해 교수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온라인 기술을 교육훈련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 강화 학습자 중심의 학습활동 및 상호작용 촉진 역량 강화 기존 교수법에 대한 성찰과 훈련방식 혁신 역량 강화 교육적 요구 현재 상태 프로그램 목표 34
  • 35.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2. 교육과정 체제 구성 온라인 교육에 대한 가치와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온라인 기술을 직업훈련에 활용할 수 있다. 온라인 학습환경에 대한 이해와 온라인 교수전략을 익혀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과 운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 훈련교사로서의 전문가 의식을 가지고 지속적인 교수역량 개발을 통해 수업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교육목적 교육 내용 온라인 교육의 개념과 특징, 효과 교육훈련에 활용되는 온라인 기술의 이해 온라인 교수학습의 특징과 온라인 교수법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운영 절차와 방법 온라인 과정개발(교재 개발, 강의촬영 등) 온라인 과정 운영(학습안내, 학습활동 지원) 온라인 과정개발 및 운영 시 업무관리 온라인에서의 학습자 평가 전략 훈련과정 평가와 수업 개선 최신 교수법의 이해와 적용 온라인 훈련 교사로서의 자질과 전문성 개발 단계별 교육과정 구성 온라인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교수자를 위한 기초 이해 과정 온라인에서 가르쳐본 경험을 가지고 있는 교수자를 위한 1:1 코칭 기반 심화 과정 온라인 훈련과정을 실제로 개발하고 운영하려는 교수자를 위해 온라인 훈련과정의 기획, 설계, 개발, 운영 과정을 실습 프로젝트를 통해 직접 수행하면서 필요한 역량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무 과정 기초 과정 실무 과정 전문 과정 Design 35
  • 36.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기초과정 과정 개요 학습대상 온라인 교육에 관심이 있는 직업훈련 교·강사 과정소개 온라인 교육에 관심이 있는 교수자를 위한 기초 이해 과정으로 온라인 교육이 무엇이며, 온라인상에서 학습자들을 어떻게 교육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이고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학습목표 1. 온라인 교육이 무엇이며 면대면에서 가르치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 2. 온라인 교수학습을 위한 콘텐츠가 어떤 형태와 방식으로 제작되는지 설명할 수 있다. 3. 온라인 학습을 돕기 위해 교수자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 4. 내 수업과 관련이 있는 온라인 콘텐츠를 찾아보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도출해 볼 수 있다. 5. 직업훈련 분야의 온라인 교육의 가치와 전망을 이해하고, 온라인에서 가르칠 수 있는 역량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학습방법 온라인 100% (콘텐츠 학습 + 토론 활동) 학습기간 2주, 총 6시간(주당 3시간 학습 분량) 평가방식 토론 참여, 형성평가(시험), 총괄평가(시험) 36
  • 37.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기초과정 학습 플로우 과정 입과 Week1 과정 수료 콘텐츠 학습 학습평가 학습활동 Week2 오리엔테이 션 Ch.01 Ch.07Ch.02 … Ice-breaking 형성평가 총괄시험 토론 및 과제 37
  • 38.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기초과정 주차별 강의계획 주차 모듈명 학습 콘텐츠 학습활동 학습 시간 학습 평가 1 오리엔테이션 1) 과정 및 강사소개 2) 오리엔테이션 자기소개 & Ice-breaking - 형성 평가 (시험) 1. 온라인 교육이란 무엇인가? 1) 온라인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2) 온라인 교육의 특징과 장단점 3) 직업훈련에서의 온라인 교육 사례 [토론] 직업훈련에서 의 온라인 교육 사례를 조사하고 그 가치와 효과에 대해 토론하기 1h 2. 온라인에서 가르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 1) 온라인과 면대면 학습환경의 차이 2) 온라인 교수학습의 특징 3)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과 중요성 1h 3. 온라인 강의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1)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작 유형 2) 1인 콘텐츠 제작방식 3) 전문적인 제작방식 1h 2 4. 온라인 학습자를 지도하는 방법 1) 온라인 학습이 어려운 이유 2) 온라인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해 교수자가 해야 할 일 [과제] 자신의 수업과 관련한 이러닝 콘텐츠를 찾아보고 수업에 활용 아이디어 제시하기 1h 총괄 평가 (시험) 5. 온라인 콘텐츠를 수업에 활용하는 방법 1) 직업훈련 관련 온라인 콘텐츠 찾아보기 2)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사례 1h 6. 온라인 교육의 가치와 전망 1) 직업훈련에서의 온라인 교육의 가치와 전망 2) 온라인 교수역량 개발의 필요성 1h 38
  • 39.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실무과정 과정 개요 학습대상 온라인에서 처음 가르치고자 하는 직업훈련 교·강사 중 기초 과정을 이수한 사람 과정소개 온라인 훈련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원하는 교수자를 위한 실무 과정으로서, 실습 프로젝트를 자신이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을 온라인 강의로 만들어 보는 실습과 온라인에서 학습자를 가르치기 위한 동기유발, 학습활동, 학습평가 등을 수행하는 실습을 통해 효과적인 온라인 교수자로서 필요한 역량을 습득할 수 있다. 학습목표 1.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프로세스와 교수자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과 과업을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2. 효과적인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 및 온라인 기술과 관련한 기초지식을 이해할 수 있다. 3. 실제 자신이 가르치는 내용을 온라인 강의로 제작해보는 실습 프로젝트를 통해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을 위해 교수자가 알아야 할 실무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4.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해 운영 단계에서 교수자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이해하고, 이를 위한 실무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5. 훈련 만족도와 훈련성과를 높이기 위한 수업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인 수업 혁신과 교수역량 개발에 대한 실천 의지를 가질 수 있다. 학습방법 온라인 100% (콘텐츠 학습 + 실습 프로젝트 + 토론 활동) 학습기간 12주, 36시간(주당 3시간) 평가 토론 참여, 수행과제 포트폴리오 평가, 형성평가(시험), 총괄평가(시험) 39
  • 40.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실무과정 학습흐름 구성 과정수료 Module1 Module2 Module3 Module 4 사전 준비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온라인 훈련 과정 운영 리뷰&업그레이드 오리엔테이션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사전 지식 콘텐츠 학습 학습 준비 프로젝트 1 프로젝트 2 리뷰/성찰 평가 개인활동 그룹활동 분석 기획 개발 평가 실행 설계 업무 관리 운영 시작 학습 활동 평가 개선 학습 지도 업무 관리 토론 토론 최신 교육훈련 트렌드와 전문성 발전방안 동료 모니터링/멘토링 동료 모니터링/멘토링 모듈 형성평가 모듈 형성평가모듈 형성평가 총괄평가 40
  • 41.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실무과정 주차별 강의계획 주차 모듈명 학습 콘텐츠 학습활동 학습 시간 학습 평가 1 오리엔테이션 1) 과정 및 강사소개 2) 오리엔테이션 자기소개 & Ice- breaking - 모듈 형성 평가사전 준비 1. 성공적인 온라인 훈련과정을 위한 조건 1) 성공적인 온라인 훈련과정의 특징 2) 성공적인 온라인 훈련과정을 위한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과 자질 3) 온라인 교수자에게 필요한 역량 [토론] 성공적인 온라인 교수자가 되기 위해 어떤 역량을 개발해야 할 지에 대해 토론 1h 2.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육학 핵심 개념 1) 성인학습자의 특성 2) 온라인 교육을 위한 학습이론 3) 온라인 수업 설계를 위한 교수이론 2h 2 3. 온라인 교수학습을 위한 기술의 이해 1) 학습관리 시스템(LMS)의 이해 2) 온라인 콘텐츠를 위한 기술과 멀티미디어 원리의 이해 3) 온라인 상호작용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이해 [프로젝트 준비]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소그룹 구성 및 퍼실리테이터 배치, 개인별로 아이디어 구상하고 어떤 온라인 과정을 개발할지에 대한 각자의 계획과 관련해 토론하기 1h 4.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 프로세스와 프로젝트 안내 1)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 체제와 프로세스 2)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 시 참여자별 역할과 교수자 업무 3) 프로젝트 수행 안내 3)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협업방법 4) 효율적인 업무관리 방법과 시간관리 전략 2h 41
  • 42.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실무과정 주차별 강의계획 주차 모듈명 학습 콘텐츠 학습활동 학습 시간 학습 평가 3 훈련과 정 개발 1.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준비 1) 온라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체제적 교수설계 모형 2) 온라인 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학습자 분석, 환경분석 3) 유사교육과정 벤치마킹하기 [수행과제1-1] 가르치려는 내용과 관련한 온라인 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요구분석,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을 수행하고 강의계획서 작성하기 1H 프로젝 트 참여 및 결과물 평가 + 모듈 형성 평가 2. 온라인 훈련과정 기획하기 1) 교육목표 설정하기 2) 학습내용 설계하기 3) 교수방법 선정하기 4) 강의계획서 작성하기 2H 4 3. 온라인 훈련과정 설계하기 1) 온라인 교수학습모형의 종류와 특징 2) 모듈별 학습흐름 구성하기 3) 온라인 학습활동 및 학습지원 전략 설계 3) 교수설계전략안 작성 및 검토 [수행과제1-2] 교수설계자와 협업하여 교수설계 전략안 개발하기 3H 5 4.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하기(1) 원고 개발 1) 콘텐츠 개발 유형별 원고 개발 형식 2) 원고 작성을 위한 자료수집 3) 온라인 원고 작성방법 4) 온라인 콘텐츠 개발 시 알아야 할 저작권과 윤리적 이슈 [수행과제1-3] 온라인 콘텐츠용 원고 작성하기 3H 6 4.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하기(2) 강의 촬영 1) 동영상 강의 유형과 방법 2) 매력적인 PPT 강의 교안 작성 3) 메시지 전달과 학습몰입을 높이는 강의 전략 4) 동영상 강의 촬영 준비사항과 유의사항 5) 다양한 유형별 강의 촬영 방법: 실습, 장비시 등 [수행과제1-4] 스튜디오 동영상 강의 촬영 실습과 전문가 & 동료 코칭 3H 7 4. 온라인 훈련과정 개발하기(3) 스토리보드 1) 온라인 콘텐츠의 개발 형태 2) 스토리보드의 구성과 형식 3) 온라인상에서의 학습활동, 상호작용 구현 전략 4) 작성된 스토리보드 검토 방법 [수행과제1-5] 스토리보드 검수하기(유사분야 샘플 보드와 검토 가이드 제공) 3H 8 5. 온라인 훈련과정을 위한 평가 개발하기 1) 학습자 평가의 개념과 유형 2) 온라인 학습자 평가전략 3) 시험 출제 원리와 방법 4) 과제 출제 원리와 방법 [수행과제1-6] 온라인 평가 (시험/과제) 출제하기 2H 6. 온라인 훈련과정 운영 준비 1) 온라인 콘텐츠 품질관리와 교수자의 역할 2) 보편적 학습설계와 온라인 콘텐츠 접근성(accessibility) 3) 훈련과정 운영 전 점검사항 1H 42
  • 43.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실무과정 주차별 강의계획 주차 모듈명 학습 콘텐츠 학습활동 학습 시간 학습 평가 9 훈련과 정 운영 1. 온라인 오리엔테이션과 라포형성 1) 온라인 훈련과정 개설과 교수자의 준비사항 2) 온라인 학습에서 오리엔테이션의 중요성과 교수자가 할 일 3) 학습자와의 라포형성 - 온라인 아이스브레이킹 전략 4)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배려, 다양성 존중하기 [수행과제2-1] 자신의 교육과정에 맞는 효과적인 오리엔테이션 전략 수립하기 3H 프로젝 트 참여 및 결과물 평가 + 모듈 형성평 가 10 2. 온라인 학습자에 대한 학습 동기부여와 학습지도 1) 학습자 모니터링과 학습 독려 2) 학습 스타일에 따른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전략 3) 학습자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질문 활용과 학습자료 제공하기 4) 학습과제 수행 지원 및 피드백 5) 온라인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를 돕는 방법 [수행과제2-2] 학습의 어려움을 겪는 온라인 학습자의 모의 상황에 대해 적절한 학습지도 방안을 제시하기 3H 11 3. 온라인 상호작용과 학습활동 전략 1) 온라인 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의 중요성 2) 온라인 상호작용의 유형과 촉진 전략 3) 온라인 지식공유를 촉진하고 토론 활성화하기 4) 효과적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사이버 매너 5)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문제해결: 학습 분위기를 해치는 문제 학습자에 대한 대응, 갈등 해결 등 [수행과제2-3]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발생한 문제 상황에 대처방법 제시하기 3H 12 4. 온라인 학습자 평가하기 1) 학습자 평가의 원칙 2) 평가자의 태도와 윤리적 문제 3) 과제 채점 및 피드백 방법 4) 루브릭을 활용한 평가방법 [수행과제2-4] 루브릭을 적용한 과제 및 채점기준 개발하기 1H 마무리 1. 강의평가와 수업 개선하기 1) 온라인 강의평가의 의미와 중요성 2) 온라인 강의평가 결과를 통한 수업 개선 사례와 전략 1H 총괄 평가2.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하기 1) 4차 산업혁명과 직업훈련의 미래 2) ICT 기반의 새로운 훈련방식을 적용한 수업혁신 사례 3) 직업훈련 교수자로서의 전문성 개발 전략 1H 43
  • 44.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전문과정 과정 개요 학습대상 온라인에서 가르쳐본 경험이 있는 직업훈련 교·강사 과정소개 자기수업컨설팅을 통해 자신의 온라인 수업과 교수자로서의 자기자신의 역량을 진단하고. 개선전략 수립을 통해 실제적인 온라인 수업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1:1 코칭에 기반한 심화과정이다. 학습목차 1. 현재의 자신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성찰과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찾고 이를 개선할 수 있다. 2. 온라인 교수자로서의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교수역량 개발을 위한 자기개발을 실천할 수 있다. 3. 액티브 러닝, 플립러닝, 프로젝트 기반 학습 등 새로운 교수법과 기법 활용을 통해 수업을 혁신할 수 있다. 학습방법 온라인 100% (콘텐츠 학습 + 라이브세미나 + 실습 프로젝트 + 1:1 코칭) 학습기간 10+1주, 30시간(주당 3시간) 평가 수행과제에 대한 포트폴리오 평가 44
  • 45.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전문과정 학습흐름 구성 과정수료 현황 진단 분석 문제해결 업그레이드 과정 입과 코치 온라인 훈련교사 동료교수자 사전진단 사후진단 온라인 훈련교사로서 철 학, 역량, 자기이해 학습내용과 매체 (교육과정과 콘텐츠) 수업목표 수업구성 학습환경과 과정 (운영 환경 및 전략) 온라인 학습자(학습 성과, 참여도, 만족도) 학습동기 Contents • 온라인 수업과 수업컨설팅 • 내 수업 되돌아보기 (성찰 및 거시분석) • 내 수업 들여다보기 • 수업분석 도구를 활용한 수업문제 발견하기 • 온라인 수업 개선전략 수립 & Redesign • 교수역량 강화 코칭 • 새로운 수업전략 적용을 통한 업그레이드 • 지속적인 전문성 강화계획 수업행위 (Video) 수업내용 수업매체 상호작용 학습평가 교수역량 강화 훈련 & 코칭 교육과정 재설계 훈련과정 운영 전략 Redesign 콘텐츠 개선 전략 능동학습 전략 적용하기 프로젝트 학습 적용하기 플립러닝 적용하기 자기성찰 & 지속적인 자기계발 계획 수립 45
  • 46.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전문과정 주차별 강의계획 주차 모듈명 학습 콘텐츠 라이브 세미나 학습활동 1:1코칭 학습 시간 1 준비 하기 1. 자기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중요성 2. 자기수업컨설팅의 절차와 방법, 사례 3. 온라인 자기수업컨설팅 진행 안내 오리엔테이션& Ice- breaking 온라인 교수역량 사전진단 (온라인) 진단 결과 개별 피드백/상담 3H 2 1단계 현황 진단 1. 내 수업 되돌아보기의 목적과 활동 안내 2. 온라인 교수자로서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 3. 학습자 관점에서 내 수업 진단하기 내 수업 진단 단계 활동안내와 라이브코칭 [수행과제1] 자기 자신, 학습자, 학습 내용, 매체, 학습환경 관점에서 현재 자기 수업 문제 진단하기 (거시분석) (온라인) 수행과제에 대한 개별 피드백/코칭 3H 3 4. 학습내용과 매체 관점에서 내 수업 진단하기 5. 학습환경 관점에서 내 수업 진단하기 온라인 수업 분석 전략 활동안내와 라이브코칭 3H 4 2단계 수업 분석 1. 내 수업의 문제를 찾기 위한 자료와 분석도구 활용 2. 수업구성과 일관성 분석 3. 수업자료와 매체 분석 - [수행과제2] 수업분석 도구를 활용한 자기 수업 문제 분석 (미시분석) (온라인) 수행과제에 대한 개별 피드백/코칭 3H 5 4. 학습자의 수업만족과 학습몰입을 위한 동기유발 전략 분석 5. 상호작용 및 커뮤니케이션 관점의 분석 온라인 수업 분석 전략 활동안내와 라이브코칭 3H 6 3단계 문제 해결 1. 수업의 문제와 원인 분석 2. 수업 개선 목표 수립 3. 교육과정(커리큘럼) 개선 전략과 사례분석 문제해결 목표 수립 및 개선 활동 안내 및 라이브코칭 [수행과제3] 수업 개선 목표 도출하기 (온라인) 수행과제에 대한 개별피드백/코칭 3H 7 4. 온라인 콘텐츠 개선전략 - 콘텐츠 구성과 설계전략 - 동영상 강의 개선 방안: 메시지 전달력과 매력 더하기 - [수행과제4] 온라인 콘텐츠 개선전략 도출하기 (현장 코칭) 스튜디오에서 1:1 강의 비디오 코칭 3H 46
  • 47.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 내용 및 결과 3. 교육과정 세부 설계 #전문과정 주차별 강의계획 주차 모듈명 학습 콘텐츠 라이브 세미나 학습활동 1:1코칭 학습 시간 7 3단계 문제 해결 4. 온라인 콘텐츠 개선전략 - 콘텐츠 구성과 설계전략 - 동영상 강의 개선 방안: 메시지 전달력과 매력 더하기 - [수행과제4] 온라인 콘텐츠 개선전략 도출하기 (현장 코칭) 스튜디오에서 1:1 강의 비디오 코칭 3H 8 5. 온라인 학습지원 및 학습활동 개선전략과 사례분석 6. 온라인 학습자 평가 다양화와 개선전략 - [수행과제5] 온라인 학습 활동 및 평가 개선전략 도출하기 (온라인) 수행과제에 대한 개별피드백/코칭 3H 9 4단계 업그레이 드 1. 액티브 러닝 전략 활용 - 액티브 러닝의 개념 - 액티브 러닝의 사례 - 온라인에서 액티브 러닝을 적용하기 위한 전략 수업혁신 전략 안내 및 라이브 코칭 [수행과제4] 새로운 수업전략을 내 수업에 적용해보기 (온라인) 수행과제에 대한 개별 피드백/ 코칭 3H 10 2. 프로젝트 기반 학습 적용하기 -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개념과 특징 -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과 적용 사례 - 온라인에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전략 - 3H 11 3. 수업혁신을 위한 전략 1) 플립러닝 활용하기 2) 가상훈련, 온라인 실험과 수업 활용 사례 3) 학습데이터의 활용과 온라인 수업 개선 전략 전체 과정 리뷰 및 후속 활동 안내 온라인 교수자 역량 사후진단 (온라인) 사후 진단 결과에 대한 피드백/ 코칭 3H - 후속 활동 과정 학습 완료 후 +1~3개월 뒤에 개선전략 적용 결과에 대해 교수자와 오프라인 미팅을 갖고, 개선결과를 함께 리뷰한 후 1:1 코칭 제공 - 47
  • 48. 이러닝학과 7기 김주영(surfrider@naver.com) 4. 결론 및 시사점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 49. 연구의 의미 교수자가 온라인 교육훈련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을 제시하고 객관화1 온라인 직업교육훈련의 교육 효과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수자 역량 강화를 통한 교수학습 품질향상 전략 방안 제안2 49 결론 및 시사점
  • 50.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의 기대효과 결론 및 시사점 교강사들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 향상 및 참여 의자 강화 온라인 직업훈련 활성화를 위한 교수 전문성 향상 기회를 갖기 어려웠던 직업훈련 교강사에 대한 전문성 강화 기회 확대 온라인을 통한 교수자 전문성 강화 01 일방적인 콘텐츠 전달 방식에서 벗어나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활성화 온라인 직업훈련 콘텐츠 질 개선 02 03 ‘학습자 중심'에 기초하고 있는 온라인의 관점을 환기함으로써 교수자의 교육철학과 관점을 환기 학습자 중심으로의 관점 변화 04 50
  • 51. 직업훈련 교•강사를 위한 온라인 교수역량 프로그램 설계 연구의 한계점 결론 및 시사점 51 온라인 교수역량과 관련한 국내 연구 부족, 국내 온라인 직업훈련 맥락에서 이루어진 연구 확대 필요 해외 선행연구 기반으로 내용 구성 국내 직업훈련 교강사 대상으로 온라인 교수역량 진단과 교육요구 설문조사 등의 과정 필요 문헌연구 기반의 분석과정 온라인 교육에 관한 충분한 전문지식을 가진 숙련된 온라인 교수자가 부족.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는 온라인 교수학습전문가를 통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함 전문가 패널의 한계 01 02 03
  • 52. Thank you Insert the title of your subtitl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