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34
Download to read offline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
제 11 장 기둥
11.1 소개
기존의 해석시 고려조건
-강도 (strength)
-강성 (stiffness)
-처짐
-변형률
가늘고 긴 부재가 압축하중을 받는 경우
 횡방향 굽힘발생
 압축강도에 도달하기 전에 굽힘에 의해 파괴
 좌굴 (Buckling)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
11.2 좌굴과 안정성
이상형 구조물 (좌굴 모델)에 대한 해석
스프링에 의해 봉을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하는 모멘트: 복원모멘트
축방향 압축력: 횡방향 변위를 증가시키려는 경향
 두 힘의 비교에 의하여 구조물의 안정(stable)/불안정(unstable)이 결정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
 임계하중
안정/불안정 조건 사이의 전이하중  임계하중 (critical load) crP
복원 모멘트: 2B RM  
하중에 의한 모멘트:
2
L
P
 
 
 
평형방정식: 0
2
B
L
M P
 
  
 
 2 0
2
R
PL
 
 
  
 
i) 0  (보가 완전하게 곧은 상태)
ii)
4 R
crP
L

 ;  의 크기에 무관
crP P ; 구조물은 안정 (복원 모멘트가 하중에 의한 모멘트보다 더 큼)
crP P ; 구조물은 불안정 (복원 모멘트가 하중에 의한 모멘트보다 더 작음)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
 요약
1) 0 crP P 
안정. 구조물은 완전히 곧은 위치로 돌아감
2) crP P
불안정. 완전히 곧은 상태에서는 평형이지만,
조금만 건드려도 좌굴이 일어남
3) crP P
중립평형. 안정/불안정의 경계, 현위치에 멈춤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
11.3 양단이 핀으로 지지된 기둥
이상기둥의 해석
- 처음에 완전하게 곧은 모양
- 기둥은 결함이 전혀 없음
- 하중은 단면 도심에 정확히 작용
0 crP P  ; 곧은 위치로 안정평형
crP P ; 중립평형상태
crP P ; 불안정평형상태  아주 작은 교란에도 좌굴이 발생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7
 기둥좌굴에 대한 미분방정식
기둥이 왼쪽으로 좌굴될 경우
자유물체도의 평형에서 0M Pv   M Pv 
기둥이 오른쪽으로 좌굴될 경우
( ) 0M Pv    M Pv  (왼쪽의 경우와 동일)
굽힘모멘트 방정식 EIv M Pv   
 0EIv Pv  
Note-1: 9/10 장의 경우와 동일한 미분방정식을 사용
Note-2: 9/10 장에서는 M 은 하중만의 함수 (변형에 무관)
Note-3: 좌굴해석시의 M 은 처짐 자체의 함수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8
 미분방정식의 해
2 P
k
EI
 로 정의하면 미분방정식은
2
0v k v  
이 식의 일반해는 1 2sin cosv C kx C kx 
경계조건 (0) 0v   2 0C 
경계조건 ( ) 0v L   1 sin 0C kL 
해-1) 1 0C  ; 자명한 해 (trivial solution)  곧은 위치에서 평형상태에 있는 이상기둥
해-2) sin 0kL   0, , 2 ,kL   
0kL  은 자명한 해 이므로 1, 2, 3,kL n n  
즉
2 2
2
1, 2, 3,
n EI
P n
L

  , 이때 처짐곡선 방정식은 1 sin 1, 2, 3,
n x
v C n
L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9
 임계하중
임계하중은 1n  일 때 얻어짐.
2
2cr
EI
P
L

 , 이때의 모드형상 (좌굴형상)은 1 sin
x
v C
L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0
Note
1. 1C 은 기둥 중앙점에서의 처짐을 나타냄
2. 1C 의 값은 작은 값이나, 불확정적임.
3. 제 1 모드에서 양단 핀 고정  기둥좌굴의 기본형
4. 이상형 탄성기둥에 대한 임계하중  Euler 하중
5. 고차모드에 대한 좌굴은 관심대상이 아님
6. 우측 그림의 B 점 아래에서 안정.
 일반적 유의사항
- 임계하중은 EI 에 비례, 길이의 제곱에 반비례
- 비례한도/항복하중이 커져도 좌굴과는 무관
- E 혹은 I 를 증가시키면 임계하중 증가
- 1 2I I 이면 1-1평면에서 좌굴발생
- 이 경우 2I (작은 값)을 계산에 사용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1
 임계응력
2 2
2 2
( / )
cr
cr
P EI E
A AL L r
 
    ,
여기서
I
r
A
 로 정의함
세장비 (slenderness ratio) =
L
r
- 세장비는 기둥의 치수에만 좌우됨.
- 임계응력: 하중이 임계치에 도달하는 순간의
평균압축응력
- 임계응력 vs 세장비의 그래프 구성 가능
이 그래프는 비례한도보다 작은 경우에서만 사용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2
 큰 처짐, 결함 및 비탄성 거동의 영향
- Hooke 의 법칙을 따르는 완벽한 보의 경우  임계하중의 식을 사용
- 이상기둥의 이론은 v에 대한 선형화된 식을 사용 하였슴  작은 처짐에만 사용 가능
- 곡률에 대한 정확한 식 (9-2 절의 식 9-13)을 사용하면 임계하중은 곡선 B 를 따름.
- 초기 결함을 가지는 보 (곡선 C 를 따름)
o 초기에 작은 형태의 곡률을 가짐
o 시초부터 처짐을 발생시킴
o 처음에는 직선 A 에 접근함
o 나중에는 B 에 접근함
- 비례한도 초과응력, non-Hookean 재료
o 곡선 D 를 따라 움직임
o 처음에는 C 를 따라 움직임
o 나중에는 비탄성 거동 곡선을 따름.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3
 기둥의 최적형상
- 굽힘모멘트가 큰 부분을 보강하여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 같은 크기의 재료인 경우 단면적의 형상에 따라 임계하중이 다름
- 최적의 단면은 정삼각형!! (원형의 경우에 비하여 21% 더 큰 임계하중)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4
 예제 11-1
문제
기둥 ABC ; 양단 핀 지지
그림의 평면에 중간 지지점 B
3
29 10 ksiE   , 42 ksipl 
WF(W8 28) 강철, 25 ftL 
안전계수 2.5n  를 사용하여 allowP 구하기
풀이
부록 E-1 에서 WF(W8 28) 의 상수는
4 4 2
1 298.0 in , 21.7 in , 8.25 inI I A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5
a) 그림의 평면 내에서 좌굴이 생기는 경우 (굽힘은 2-2 축에 대하여 발생함)
이 경우는 횡지지점 사이의 거리가 / 2 12.5 ftL  가 됨.
2 2 2 3 4
2 2
2 2 2
4 4 (29 10 ksi)(21.7 in )
276 k
( / 2) [(25 ft)(12 in/ft)]
cr
EI EI
P
L L
   
   
b) 그림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좌굴이 생기는 경우 (굽힘은 1-1 축에 대해 발생함)
이 경우는 중간 지지점 B 의 영향이 없으며 횡 지지점 사이의 거리는 25 ftL  가 됨.
2 2 3 4
1
2 2
(29 10 ksi)(98.0 in )
312 k
[(25 ft)(12 in/ft)]
cr
EI
P
L
  
  
- 기둥의 임계하중은 276 kcrP  (두 값 중 작은 값)
- 더 큰 임계하중에 대한 응력은 pl2
312 k
37.8 ksi<
8.25 in
cr
cr
P
A
    ; 비례한도 이내이므로 O.K.
- 허용하중은 allow
276 k
110 k
2.5
crP
P
n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6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7
11.4 그 밖의 지지조건을 갖는 기둥
지지점의 조건이 다른 경우도 pin-pin column 의 해석 절차와 동일함
1) 좌굴상태를 가정한 기둥에 대해 굽힘모멘트에 대한 식을 구함
2) 굽힘모멘트 방정식 ( )EIv M  을 이용하여 처짐곡선의 미분방정식 수립
3) 미분방정식을 풀어 일반해를 구함
4) 처짐 v 와 기울기 v 에 관련된 경계조건 적용
5) 임계하중과 좌굴된 기둥의 처짐모양 구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8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9
 하단은 고정되고 상단이 자유로운 기둥 (Fix-Free Column)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0
( )EIv M P v   
2 2
v k v k    여기서
2 P
k
EI

1 2sin cosHv C kx C kx 
Pv 
1 2sin cos
P
H
v C kx C kx
vv
  

경계조건 (0) 0v   2C  
경계조건 (0) 0v   1 0C 
따라서 (1 cos )v kx  ; 처짐 곡선의 형상만 보여주며,  은 임의의 미소 크기를 가짐.
경계조건 ( )v L   cos 0kL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1
해-1) 0  자명해 (trivial solution); 기둥은 곧은 상태 유지, 좌굴은 일어나지 않음
해-2) cos 0kL   1, 3, 5,
2
n
kL n

  
임계하중
2 2
2
1, 3, 5,
4
cr
n EI
P n
L

  
좌굴 모드형상 1 cos 1, 3, 5,
2
n x
v n
L


 
   
 

최저 임계하중은 1n  일 때
2
2
4
cr
EI
P
L


이 때 모드형상은 1 cos
2
x
v
L


 
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2
 기둥의 유효 길이
길이가 L 인 fix-free column 은
길이가 2L 인 pin-pin column 과 동일함. (그림 참조)
이 경우의 2L 은 유효길이 (effective length) eL
처짐곡선 내의 변곡점 (모멘트가 0) 사이의 거리  eL
Fix-free column 의 경우 2eL L
유효길이를 이용하여 임계하중을 표현하면,
2
2cr
e
EI
P
L


유효길이는 보통 eL KL 로 표현됨. (fix-free 의 경우 2K  )
이 경우는
2
2
( )
cr
EI
P
KL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3
 회전되지 않도록 양단이 고정된 기둥 (fix-fix column)
1
2
eL L (그림참조)
1
2
K 
2 2
2 2
4
( )
cr
EI EI
P
KL L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4
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핀으로 지지된 기둥 (Fix-pin column)
이 경우는 기하학적 대칭 조건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관찰에 의해 eL (혹은 K )를 구할 수 없음
 처짐곡선의 미분방정식을 풀어서 구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5
A 점에서의 반력은 수직반력 P , 수평반력 R , 모멘트 반력 0M 이며,
이중에 0M RL 임을 전체 구조물에서 확인.
하단으로부터 x 떨어진 곳의 좌굴된 기둥에서의 굽힘모멘트는
0 ( )M M Pv Rx Pv R L x      
따라서, ( )EIv M Pv R L x     
2 P
k
EI
 로 하고 정리하면,
2
( )
R
v k v L x
EI
   
1 2sin cos ( )
H
P
R
v C kx C kx L x
P
v
v
   


경계조건: (0) 0 (0) 0 ( ) 0v v v L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6
 2 1 1 20 0 tan 0
RL R
C C k C kL C
P P
     
해-1) 1 2 0C C R   ; 자명해 (trivial solution); 기둥은 곧은 상태 유지, No Buckling
해-2) 처음 두 식에서 R 소거  1 2 0C kL C  또는 2 1C C kL  , 이 식을 마지막 식에 대입
 좌굴방정식이 구해짐. tankL kL ; 이 식은 수치해법으로 풀면 (해석적인 해는 없음)
4.4934kL 
따라서
2
2 2
20.19 2.046
cr
EI EI
P
L L

 
- Fix-pin column 은 예상대로 Pin-pin column 과 Fix-fix column 사이의 임계하중.
- 식을 비교하여, 0.699 0.7eL L L 
- 모드형상은 2 1C C kL  과 1 0RC k
P
  을 일반해에 대입하여,
- 1[sin cos ( )]v C kx kL kx k L x   
제한: 처짐이 작아야함, Hooke 의 법칙을 따르는 경우만 유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7
 요약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8
 예제 11-2
문제
3.25 mL  , 100 mmd  , 100 kNP 
안전계수 3n  ,을 고려하여 두께 t 구하기.
pl( 72 GPa, 480 MPa)E  
풀이
기둥은 fix-pin 으로 모델링함.
이 경우
2
2
2.046
cr
EI
P
L


4 4
( 2 )
64
I d d t

    
100 mm 0.1 md   이므로
4 4
(0.1 m) (0.1 m 2 )
64
I t

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9
기둥은 다음의 하중에 의해 설계되어야 함. 3(100 kN) 300 kNcrP nP  
2 9
4 4
2
2.046 (72 10 Pa)
300,000 N (0.1 m) (0.1 m 2 )
(3.25 m) 64
t
   
     
 
 0.006825 m 6.83 mmt   
보조계산
4 4 6 4
( 2 ) 2.18 10 mm
64
I d d t

      
2 2 4
( 2 ) 1,999 mm
4
A d d t

      , 33.0 mm
I
r
A
 
98L
r
 (가느다란 기둥), 15d
t
 (국부 좌굴 방지 범위에 들어감)
cr 2
300 kN
150 MPa
1999 mm
crP
A
    , 이 값은 비례한도 pl 480 MPa  보다 작으므로
Euler 좌굴이론을 이용한 임계하중에 대한 계산은 유효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0
11.5 편심 축하중을 받는 기둥
- 이상기둥
1) 임계하중 도달시 까지는 곧은 상태
2) 임계하중 도달 후 급격한 굽힘 (불확정한 크기)
- 편심기둥
1) 하중이 작용하면 즉시 굽힘 발생 (확정된 크기)
2) 하중이 커지면 처짐량도 증가
0 ( )EIv M M P v Pe Pv      
2 2
v k v k e  
여기서
2 Pk
EI

1 2sin cos
P
H
v C kx C kx e
vv
  

경계조건 (0) 0 ( ) 0v v L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1
 2 1
(1 cos )
tan
sin 2
e kL kL
C e C e
kL

     
처짐곡선 방정식은
tan sin cos 1
2
kL
v e kx kx
 
    
 
기둥 중앙에서의 처짐은
tan sin cos 1 sec 1
2 2 2 2 2
L kL kL kL kL
v e e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2
2
cr cr
P P P
k
EI P L L P
 
   
cr
P
kL
P

sec 1
2 cr
P
e
P


  
    
   
( P 에 대한 비선형식)
1) 0 when 0e  
2) 0 when 0P  
3) when crP P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2
 최대 굽힘모멘트
max ( )M P e  
max sec sec
2 2 cr
kL P
M Pe Pe
P
 
    
 
 다른 단부 조건
- Fix-Free 의 경우는 2eL L 로 하면 앞의 식을
그대로 사용가능
- Fix-Pin 의 경우는 0.699eL L 로 하여도 앞의 식을 사용할 수 없음
이 경우는 미분방정식을 다시 수립하여 해석하여야 함
- Fixed End 에 편심이 있으면 그 영향이 없음.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3
 예제 11-3
문제
B 단에 편심 0.45 in, 1500 lbe P  ,
1.2 in, 0.6 inh b 
0.12 inallow  일 때 최대 허용길이 maxL =?
6
( 16 10 psi)E  
풀이
3 3
4(1.2 in)(0.6 in)
0.02160 in
12 12
hb
I   
2 2 4 2
2 2 2
(16,000,000 psi)(0.02160 in ) 852,700 lb-in
4 4 4
cr
EI
P
L L L
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4
이 값을
sec 1
2 cr
P
e
P


  
    
   
에 대입하면,
2
1500 lb
0.12 in (0.45 in) sec 1
2 852,700 / L
  
    
   
0.2667 sec(0.06588 ) 1L 
 max 10.0 inL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5
11.6 기둥에 대한 시컨트 공식
최대응력  기둥의 중앙점에 발생
(압축력에 의한 응력과 굽힘응력의 합성응력)
max
max
M cP
A I
  
여기에 max sec
2 cr
P
M Pe
P
 
   
 
,
2 2
2 ,cr
EIP I Ar
L
  ( r 은 회전반지름)
등등을 대입하면
max 2
sec 1 sec
2 2
P Pec L P P ec L P
A I r EA A r r EA

    
          
     
 시컨트 공식 (secant formula)
여기서 편심비 (eccentricity ratio)는 2
ec
r (0~3 사이의 값, 보통 1 보다 작은 값)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6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7
 0e  인경우 임계하중에 상응하는 최대응력은 임계응력이 됨. (위 그림에서 Euler’s Curve)
2 2
2 2
( / )
cr
cr
P EI E
A AL L r
 
    (11-61)
 시컨트 공식에 대한 논의
- 세장비
L
r 가 증가함에 따라, 특히
L
r 값의 중간 구간에서 하중-지지능력이 급격히 감소
 길고 가느다란 기둥은 짧고 뭉툭한 기둥보다 덜 안정적임
- 하중-지지능력은 편심 e 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
 이러한 영향은 긴 기둥보다 짧은 기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큼.
- 시컨트 공식은 2eL L 로 하면 Fix-Free Column 에서도 적용 가능
(그러나 다른 단부 조건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 기둥은 항상 결함이 있으므로 편심비 2
ec
r 를 적절히 가정하여 사용함.
(구조용 강재의 경우 0.25)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8
 예제 11-4
문제
W14 82 WF 기둥, 25 ftL  , 중앙하중 1 320 kP  , 편심하중 2 40 kP  , 편심위치 13.5 in
(a) 30,000 ksiE  인 경우 시컨트공식을 이용한 최대압축응력 구하기
(b) 항복응력 42 ksiY  일 때 항복에 대한 안전계수는?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9
풀이
(a) 최대압축응력:
두개의 조합 하중은 그림 (c)와 같이 편심 1.5 ine  , 크기 360 kP  인 하중과 등가.
부록 표 E-1 으로부터
2 14.31 in24.1 in 6.05 in 7.155 in
2
A r c   
시컨트공식에 필요한 상수 계산
2 2 2
360 k (1.5 in)(7.155 in)
14.94 ksi 0.2932
24.1 in (6.05 in)
P ec
A r
   
6
2
(25 ft)(12 in/ft) 360 k
49.59 497.9 10
6.05 in (30,000 ksi)(24.1 in )
L P
r EA

    
시컨트 공식에 대입하면,
max 2
1 sec (14.94 ksi)(1 0.345) 20.1 ksi
2
P ec L P
A r r EA

  
       
   

오목한 쪽의 기둥 중간 높이에서 발생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0
(b) 항복에 대한 안전계수
42 ksiY  을 최대응력으로 하는 하중 YP 를 구하여야 한다.
Note: 처음의 하중 P 에 (a)에서 구한 max/Y  의 곱으로는 구해지지 않음
 시컨트 공식은 하중에 대해서 비선형 식이기 때문.
즉 2
1 sec
2
Y Y
Y
P Pec L
A r r EA

  
    
   
을 YP 에 대해 풀어야 함
2 2
49.59
42 ksi 1 0.2932sec
24.1 in 2 (30,000 ksi)(24.1 in )
Y YP P  
    
   
 1012 k 1 0.2932sec 0.02916Y YP P  
  이 식을 수치적으로 풀면 716 kYP 
716 k
1.99
360 k
YP
n
P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1
11.7 탄성 및 비탄성 기둥의 거동
Euler 곡선이 유효한 세장비의 하한값은
2 2
2 2
( / )
cr
cr
P EI E
A AL L r
 
    에서
임계응력이 비례한도와 같은 경우이다.

2
c pl
L E
r


 
 
  (C 점에 해당)
- AB 구간: 아주 짧은 보
 재료의 항복과 파쇄에 의한 파괴
- BC 구간: 중간 길이 보
 비탄성 좌굴에 의한 파괴
임계하중은 오일러 하중보다 작음
- CD 구간: 긴 기둥  오일러 법칙을 따름.
- Secant formula line: CD 구간과 달리 P 가 감소하여도 max pl  은 항상 유지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2
11.8 비탄성 좌굴
중간길이의 기둥
 오일러 하중에 도달하기 이전에 응력은 비례한도에 도달함
 비탄성 좌굴 이론이 필요함
 접선계수 이론
비례한도 위의 점 A 점에서 접선계수 (tangent modulus)는
t
d
E
d


 (비례한도 이내에서는 탄성계수 E 와 동일)
곧은 상태에서 A 점의 응력으로부터 변형이 되므로
2
2
1
t
d v M
dx E I


  
굽힘 모멘트 M Pv  이므로
0tE Iv Pv  (앞 식에서 E 를 tE 로 바꾼 식)
이 식을 풀면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3
2
2
(11 67)t
t
E
P
L

 
그리고
2
2
( / )
t t
t
P E
A L r

  
접선계수 tE 는
P
A
  에 따라 변하므로,
1) tP 를 추정값 1P 을 정함 (이 하중은 pl A 보다 큰 값임)
2)
1
1
P
A
 
3) 응력 변형률 선도에서 tE 를 구함
4)
2
2
(11 67)t
t
E
P
L

  에서 새로운 tP 의 추정값을 구함.
위의 과정을 반복함.
Note: L 대신 eL 를 이용하여 다른 지지점 조건에서도 사용 가능.
Note: 우측 그림에 세장비에 대한 값을 도시.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4
 감소계수 이론
- 곧은 위치를 벋어나기 시작할 때  압축응력
P
A 에 새로 생기는 굽힘응력이 더해짐
- 오목한 쪽; 압축 굽힘응력이 더해지므로 재료는 tE 를 따름
- 볼록한 쪽; 인장 굽힘응력이 더해지므로 하중제거 커브를 따르므로 E 를 따름.
 두가지 재료로 구성된 보와 같은 거동을 함.  tE 와 E 의 중간값 rE 의 기둥처럼 거동함
rE : 감소계수 (reduced modulus); 응력의 크기 및 단면 모양에 좌우됨. (2 중 계수 로도 불리움)
예-1) 직사각형 단면 기둥
 
2
4 t
r
t
EE
E
E E


예-2) WF 보에서 강한 축에 대한 굽힘에서는
2 t
r
t
EE
E
E E


2
2
r
r
E
P
L

 그리고
2
2
( / )
t r
r
P E
A L r

  
접선계수 이론과 마찬가지로 반복 시행을 통하여 구해짐.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5
 센리 (Shanley) 이론
- tP 과 rP 은 crP 보다 작은 값이므로 기둥이 오일러
좌굴과 유사한 방법으로 비탄성 좌굴을 이으키는
것은 불가능함.
- 처진 모양이 하중변화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중립 평형 대신 계속 증가하는 축하중을 가진
기중을 고려하여야 함.
- 이 경우 중립평형 대신 하중-처짐 사이 명확한
관계를 가지는 기둥을 고려하여 해석함
 Shanley 이론
- Note-1: Shanley 이론은 비탄성 좌굴의 정설로 입증됨
- Note-2: 그러나 계산상의 실용적인 이유로 접선계수 하중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임.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6
11.9 기둥설계 공식
1. 허용응력 allow 를 예측
2. 주어진 축하중 P 를 예측된 허용응력으로 나누어 단면적 A 의 근사값 계산
3. 계산/단편 도표에서 기둥을 선정  기둥의 크기/형상 결정
4. 기둥의 치수로부터 적절한 설계공식을 선택하고 allow 를 결정
5. allow allowP A 에서 allowP 를 구하여 실제하중 P 와 비교
6. 이 과정을 2-3 회 반복하면 적절한 기둥을 설계할 수 있음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7
 구조용 강재 (AISC 표준)
AISC (Americal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Formula
세장비 /L r 이 클 때, 최대응력은 Euler 하중을 근거로 함.
즉
2
max 2
( / )
E
KL r

  , 여기서 KL 은 유효길이임. (11-74)
(이 식은 max pl  인 경우만 유효함)
WF 단면과 같은 압연 강판은 잔류응력을 고려하여 다음 식을 사용함.
max 0.5 Y  (11-75)
(11-74), (11-75)로부터 임계세장비를 구하면
2
2
c Y
KL E
r


 
 
 
(11-76)
식 (11-74)는 세장비가  / c
KL r 보다 큰 경우 유효하며, 무차원화하면
22
max
2 2
( / )
( / ) 2( / )
c
cY Y
KL rE KL KL
KL r KL r r r
 
 
 
    
 
; Euler 곡선 (11-77)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8
 / / c
KL r KL r 인 비탄성조굴 구간에서는 다음 실험식을 사용함
2
max
2
( / )
1
2( / )
c
cY
KL r KL KL
KL r r r


 
    
 
(11-78)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9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0
최대응력에서 허용응력을 얻기위한 AISC 안전계수는
3
1 3
5 3( / ) ( / )
3 8( / ) 8( / ) cc c
KL r KL r KL KL
n
KL r KL r r r
 
     
 
(11-79)
2
23
1.92
12 c
KL KL
n
r r
 
    
 
(11-80)
(안전계수는 / 0KL r  일 때 0 에서  / / c
KL r KL r 일 때 23/12 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후 고정)
허용응력은 최디응력 max 를 안전계수로 나누어 구함
2
2
1
( / )1
1
2( / )
allow c
cY
KL r KL KL
n KL r r r


   
     
  
(11-81)
2
2
2
( / )
2 ( / )
allow c
cY
KL r KL KL
n KL r r r


 
   
 
(11-82)
Note: AISC 에서는 / 200KL r  으로 제한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1
 알루미늄 (알루미늄 협회의 시방서)
10Y
allow
Y
KL
S
n r

    ; 항복 응력에 근거 (11-83a)
1 2
1
allow c c
u
KL KL
B D S S
n r r

 
    
 
; 접선계수 이론에 근거 (11-83b)
2
22
( / )
allow
u
E KL
S
n KL r r

   ; Euler 공식에 근거 (11-83c)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2
1. 합금 2014-T6; 1 20, 55S S 
30.7 0.23 ksi 0 55allow
KL KL
r r

 
    
 
(11-84a)
2
54,000 ksi
55
( / )
allow
KL
KL r r
   (11-84b)
2. 합금 6061-T6; 1 20, 66S S 
20.2 0.126 ksi 0 66allow
KL KL
r r

 
    
 
(11-85a)
2
51,000 ksi
66
( / )
allow
KL
KL r r
   (11-85b)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3
 목재 (미국 삼림 및 종이 협회의 목재 건축에 대한 설계시방서)
- 제재목, 합판, 둥근 막대기, 파일등
- 품종, 등급등이 중요 인자.
기둥 단면에 작용, 목재 결에 평행한 압축 허용응력  cF로 표시
허용축하중: allow allow cP A F A   (11-86)
허용응력:
* *
c c P C PF F C C F C   (11-87)
 설계응력 cF ; 목재의 특정 품종 및 등급에 대한 압축설계응력
 조정계수
*
C ; 하중 작용 기간, 젖음 조건, 및 고온을 포함한 실제 사용조건에 따른 계수
 기둥안정성계수 PC ; 유사한 좌굴에 관한 고려사항에 근거한 계수
2* * *
1 ( / ) 1 ( / ) /
2 2
cE c cE c cE c
P
F F F F F F
C
c c c
  
   
 
(11-89)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4
Euler 좌굴계수: 2
( / )
cE
cE
e
K E
F
L d

 , cEK 는 좌굴계수 /eL d 는 목재세장비, E 는 조정된 탄성계수
1. 기둥은 직사각형 단면의 제재목 또는 합판
2. 조정계수
*
1.0C  , c allow c PF F C  
*
CF F , allow c c PP F A F C A  (11-92)
3. 제재목: 0.8c  , 합판: 0.9c 
4. 제재목: 0.3cEK  , 합판: 0.418cEK 
5. E E 
2
( / )
cE
cE
e
K E
F
L d
 (11-93)
* 2
( / )
cE cE
c c e
F K E
F F L d
   (11-94)
2
1 1
2 2
PC
c c c
    
   
 
(11-95)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5
 예제 11-5
문제
W10 60 WF 단면의 pin-pin column, 29,000 ksiE  , 36 ksiY 
(a) 기둥의 길이 20 ftL  이면 허용 축하중은?
(b) 기둥이 축하중 200 kP  을 받으면 최대 허용길이는?
풀이
AISC 공식을 사용함.
부록 표 E-1 에서 작은 회전 반지름은 2.57 inr  , 단면적
2
17.6 inA 
임계 세장비는 식 (11-76)에서
2 2
2 2 (29,000 ksi)
126.1
36 ksic Y
KL E
r
 

 
 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6
(a) 허용 축하중
이 경우 세장비는
(20 ft)(12 in/ft)
93.4
2.57 in
L
r
 
임계값보다 작으므로 식 (11-79), (11-81)을 사용함
3 3
1 3 3
5 3( / ) ( / ) 5 3(93.4) (93.4)
1.89
3 8( / ) 8( / ) 3 8(126.1) 8(126.1)c c
KL r KL r
n
KL r KL r
      
2 2
2 2
1
( / )1 1 (93.4)
1 1 0.384
2( / ) 1.89 2(126.1)
allow c
Y
KL r
n KL r


   
       
  
0.384 0.384(36 ksi) 13.8 ksiallow Y   
2
(13.8 ksi)(17.6 in ) 243 kallow allowP A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7
(b) 최대허용길이
축하중 200 kP  일때 최대 길이를 구하기 위해 길이를 예측하고 시행착오법 사용함.
Note: (a)에서 243 kallowP  일 때 20 ftL  이므로, 이경우 길이는 20 ftL  보다 커야 한다.
초기 길이를 25 ftL  로 가정함.
이 길이에 대한 세장비는,
(25 ft)(12 in/ft)
116.7
2.57 in
L
r
 
임계값보다 작으므로 식 (11-79), (11-81)을 사용함
3 3
1 3 3
5 3( / ) ( / ) 5 3(116.7) (116.7)
1.925
3 8( / ) 8( / ) 3 8(126.1) 8(126.1)c c
KL r KL r
n
KL r KL r
      
2 2
2 2
1
( / )1 1 (116.7)
1 1 0.299
2( / ) 1.915 2(126.1)
allow c
Y
KL r
n KL r


   
       
  
0.299 0.299(36 ksi)=10.8 ksiallow Y  
따라서 길이 25 ftL  에 대응하는 축하중은
2
(10.8 ksi)(17.6 in ) 190 kallow allowP A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8
이 하중은 주어진 하중 200 kP  보다 작다.  허용길이는 25 ftL  보다 작다.
유사한 방법으로 시행 착오에 의하여,
24.0 ftL  201 kallowP 
24.5 ftL  194 kallowP 
25.0 ftL  190 kallowP 
보간법에 의해 , 200 kallowP  에 대응하는 기둥의 최대허용길이는 max 24.1 ftL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9
 예제 11-6
문제
축하중 240 kNP  , 길이 3.6 mL  , 지름 160 mmd  ,
사용 재료는 강재: 200 GPaE  , 250 MPaY 
강재의 요구되는 최소두께 mint 구하기.
Fix-Free Column 조건으로 가정함.
풀이
AISC 공식을 사용함.
Fix-Free Column, 2(3.6 m) 7.2 meL KL  
임계 세장비는 식 (11-76)에서
2 2
2 2 (200 GPa)
125.7
250 MPac Y
KL E
r
 

 
 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0
첫번째 시행:
7.0 mmt  로 가정함.
4 4 4 4 6 4
( 2 ) (160 mm) (146 mm) 9.866 10 mm
64 64
I d d t
 
            
2 2 2 2 2
( 2 ) (160 mm) (146 mm) 3365 mm
4 4
A d d t
 
           
6 4
2
9.866 10 mm
54.15 mm
3365 mm
I
r
A

  
기둥의 세장비는
2(3.6 m)
133.0
54.15 mm
KL
r
 
  
 
임계값보다 큰 값이므로 식 (11-80), (11-82)를 사용함
2 1.92n 
2 2
2 2
2 2
( / ) (125.7)
0.2326
2 ( / ) 2(1.92) (133.0)
allow c
Y
KL r
n KL r n
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1
0.2326 0.2326(250 MPa) 58.15 MPaallow Y   
2
(58.15 MPa)(3365 mm ) 196 kNallow allowP A  
이 하중은 요구되는 하중 240 kNP  보다 작은 값이므로, 더 큰 두께값 t 를 사용해야함.
추가적인 시행.
7.0 mmt  196 kNallowP 
8.0 mmt  220 kNallowP 
9.0 mmt  243 kNallowP 
보간법에 의해 , 8.9 mmt  가 하중 240 kNP  에 대응 됨을 알 수 있다.
 min 8.9 mmt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2
 예제 11-7
문제
유효길이 16.0 inL  의 알루미늄 관 (합금 2014-T6)
축하중 5.0 kP  , 두께 t 가 바깥지름 d 의 1/10일 경우
요구되는 최소 바깥지름 d 구하기
풀이
1K  로 하고, 관의 세장비가 55보다 작다고 가정함
 식 (11-84a)를 사용함
30.7 0.23 ksiallow
KL
r

 
   
 
(c)
단면적은
2 2 2 2 2
( 2 ) (0.8 ) 0.2827
4 4
A d d t d d d
 
           
 2 2
5.0 k 17.69
0.2827
P
A d d
  , 이 값을 allow 로 하여 식 (c)에 대입하면,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3
2
17.69
30.7 0.23 ksi
KL
d r
 
   
 
(e)
여기서
4 4 4 4 4
( 2 ) (0.8 ) 0.02898
64 64
I d d t d d d
 
           
4
2
0.02898
0.3202
0.2827
I d
r d
A d
  
16.0 in 49.97 in
0.3202
L
r d d
 
이 값을 (e)에 대입하면,
2
17.69 49.97
30.7 0.23
d d
 
   
 
즉
2
30.7 11.49 17.69 0d d  
 0.97 ind 
확인: 이 값으로 세장비를 계산하면,
49.97 in
51.5
0.97 in
L
r
 
세장비는 55보다 작으므로, 처음 가장은 유효함.  min 0.97 ind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4
 예제 11-8
문제
직사각형 형상의 목재 (Pin-Pin Column)
압축설계응력 11 MPacF  , 탄성계수 13 GPaE  인 미송.
(제재목, 상수 0.8c  , 0.3cEK  )
(a) 1.8 m, 120 mm, 160 mmL b h   일때 allowP 구하기
(b) 100 kN, 120 mm, 160 mmP b h   일때 maxL 구하기
(c) 기둥이 정사각형, 125 kN, 2.6 mP L  일때 minb 구하기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5
풀이
(a) 허용축하중은 식 (11-92)로부터
allow c c PP F A F C A  을 이용하여야 한다.
여기서 11 MPacF  ,
3 2
(120 mm)(160 mm) 19.2 10 mmA bh   
안정성계수 PC 를 구하기 위해 세장비를 계산하면,
1.8 m
15
120 mm
eL
d
  (여기서 d 는 단면의 작은 쪽 치수임)
* 2 2
(0.3)(13 GPa)
1.5758
( / ) (11 MPa)(15)
cE cE
c c e
F K E
F F L d
     (11-94)
2 2
1 1 1 1.5758 1 1.5758 1.5758
0.8212
2 2 1.6 1.6 0.8
PC
c c c
        
         
   
(11-95)
따라서
3 2
(11 MPa)(0.8212)(19.2 10 mm ) 173 kNallow c PP F C A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6
(b) 최대허용길이
식 (11-92)에서 allow c PP F C A 에서 3 2
100 kN
0.47348
(11 MPa)(19.2 10 mm )
allow
P
c
P
C
F A
  

이 값을 식 (11-95)에 대입하고 0.8c  로 하면
2
1 1
0.47348
1.6 1.6 0.8
PC
    
    
 
시행오차법으로 수치적으로 풀어서 0.55864 
이 값을 식 (11-94)에 대입하면,
2
0.55864
( / )
cE
c e
K E
F L d
  

(0.3)(13 GPa)
25.19
(0.55864) (0.55864)(11 MPa)
cE
c
K EL
d F
  
25.19 (25.19)(120 mm) 3.02 mL d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7
(c) 정사각형 단면의 최소 폭 minb 은 (a)의 절차를 사용하여 시행착오법으로 구함.
(1) b 의 시행 값(trial value)을 정함
(2) 세장비 / 2.6 /L d b 을 계산한다.
(3) 식 (11-94)로부터 비  를 계산한다.
2
2 2
(0.3)(13 GPa)
52.44
( / ) (11 MPa)(2.6 / )
cE
c e
K E
b
F L d b
   
(4)  를 식 (11-95)에 대입하여 PC 을 계산한다.
2
1 1
2 2
PC
c c c
    
   
 
(5) 식 (11-92)에서 하중을 계산한다.
2 2
(11 MPa)( )( ) 11,000c P P PP F C A C b C b  
(6) 계산된 P 값을 주어진 하중 125 kN 과 비교한다.
P 가 125 kN 보다 작으면 더 큰 b 를 선택하고
P 가 125 kN 보다 더 크면 더 작은 b 를 선택한다.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8
(1) 130 mm 0.130 mb   을 시행 값으로 정하면
(2) 세장비 / 2.6 / 20L d b 
(3)
2
52.44 0.88637b  
(4) 0.64791PC 
(5)
2
11,000 120.4 kNPP C b 
(6) 계산된 P 값을 주어진 하중 125 kN 보다 작으므로 더 큰 132 mm 0.132 mb   를 선택함.
계속 반복하면,
0.132 mb  126.3 kNP 
0.131 mb  123.4 kNP 
: min 0.132 m 132 mmb   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Cours r.d.m btps3
Cours r.d.m btps3Cours r.d.m btps3
Cours r.d.m btps3
sabdou
 
Cours processus- production
Cours processus- productionCours processus- production
Cours processus- production
Amine Chahed
 
Exercices coprrigés sur les torseurs
Exercices coprrigés sur les torseursExercices coprrigés sur les torseurs
Exercices coprrigés sur les torseurs
m.a bensaaoud
 
poster fyp ismail - complete PDF
poster fyp ismail - complete PDFposter fyp ismail - complete PDF
poster fyp ismail - complete PDF
ismail mat
 
Chap compression simple 1
Chap compression simple 1Chap compression simple 1
Chap compression simple 1
Zahir Hadji
 
Les organes d’assemblages filetés
Les organes d’assemblages filetésLes organes d’assemblages filetés
Les organes d’assemblages filetés
jean
 
Polycopie rdm 1_licence_2_genie_civil_harichan_z
Polycopie rdm 1_licence_2_genie_civil_harichan_zPolycopie rdm 1_licence_2_genie_civil_harichan_z
Polycopie rdm 1_licence_2_genie_civil_harichan_z
m.a bensaaoud
 
Chapitre 9 flexion simple
Chapitre 9 flexion simpleChapitre 9 flexion simple
Chapitre 9 flexion simple
Mouna Souissi
 
40872913 formulaire-de-rdm
40872913 formulaire-de-rdm40872913 formulaire-de-rdm
40872913 formulaire-de-rdm
Athanas Konin
 

What's hot (20)

Cours r.d.m btps3
Cours r.d.m btps3Cours r.d.m btps3
Cours r.d.m btps3
 
Cours processus- production
Cours processus- productionCours processus- production
Cours processus- production
 
OUVRAGE RDM 2020.pdf
OUVRAGE RDM 2020.pdfOUVRAGE RDM 2020.pdf
OUVRAGE RDM 2020.pdf
 
Exercices coprrigés sur les torseurs
Exercices coprrigés sur les torseursExercices coprrigés sur les torseurs
Exercices coprrigés sur les torseurs
 
Cours_BAEL.pdf
Cours_BAEL.pdfCours_BAEL.pdf
Cours_BAEL.pdf
 
Modal mass
Modal massModal mass
Modal mass
 
All fluids-assignments
All fluids-assignmentsAll fluids-assignments
All fluids-assignments
 
Polycopie rdm ii_licence_2_genie_civil_harichan_z
Polycopie rdm ii_licence_2_genie_civil_harichan_zPolycopie rdm ii_licence_2_genie_civil_harichan_z
Polycopie rdm ii_licence_2_genie_civil_harichan_z
 
Chapitre 5 rdm
Chapitre 5 rdmChapitre 5 rdm
Chapitre 5 rdm
 
Cours rdm
Cours rdmCours rdm
Cours rdm
 
Crane
CraneCrane
Crane
 
poster fyp ismail - complete PDF
poster fyp ismail - complete PDFposter fyp ismail - complete PDF
poster fyp ismail - complete PDF
 
Chap compression simple 1
Chap compression simple 1Chap compression simple 1
Chap compression simple 1
 
Les organes d’assemblages filetés
Les organes d’assemblages filetésLes organes d’assemblages filetés
Les organes d’assemblages filetés
 
Polycopie rdm 1_licence_2_genie_civil_harichan_z
Polycopie rdm 1_licence_2_genie_civil_harichan_zPolycopie rdm 1_licence_2_genie_civil_harichan_z
Polycopie rdm 1_licence_2_genie_civil_harichan_z
 
Chapitre 9 flexion simple
Chapitre 9 flexion simpleChapitre 9 flexion simple
Chapitre 9 flexion simple
 
Énergétique
Énergétique Énergétique
Énergétique
 
Cahier Meca 4 ST Part 1/2
Cahier Meca 4 ST Part 1/2Cahier Meca 4 ST Part 1/2
Cahier Meca 4 ST Part 1/2
 
40872913 formulaire-de-rdm
40872913 formulaire-de-rdm40872913 formulaire-de-rdm
40872913 formulaire-de-rdm
 
Design methods for torsional buckling of steel structures
Design methods for torsional buckling of steel structuresDesign methods for torsional buckling of steel structures
Design methods for torsional buckling of steel structures
 

Lecture note 108

  • 1.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 제 11 장 기둥 11.1 소개 기존의 해석시 고려조건 -강도 (strength) -강성 (stiffness) -처짐 -변형률 가늘고 긴 부재가 압축하중을 받는 경우  횡방향 굽힘발생  압축강도에 도달하기 전에 굽힘에 의해 파괴  좌굴 (Buckling)
  • 2.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 11.2 좌굴과 안정성 이상형 구조물 (좌굴 모델)에 대한 해석 스프링에 의해 봉을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하는 모멘트: 복원모멘트 축방향 압축력: 횡방향 변위를 증가시키려는 경향  두 힘의 비교에 의하여 구조물의 안정(stable)/불안정(unstable)이 결정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  임계하중 안정/불안정 조건 사이의 전이하중  임계하중 (critical load) crP 복원 모멘트: 2B RM   하중에 의한 모멘트: 2 L P       평형방정식: 0 2 B L M P         2 0 2 R PL          i) 0  (보가 완전하게 곧은 상태) ii) 4 R crP L   ;  의 크기에 무관 crP P ; 구조물은 안정 (복원 모멘트가 하중에 의한 모멘트보다 더 큼) crP P ; 구조물은 불안정 (복원 모멘트가 하중에 의한 모멘트보다 더 작음)
  • 3.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  요약 1) 0 crP P  안정. 구조물은 완전히 곧은 위치로 돌아감 2) crP P 불안정. 완전히 곧은 상태에서는 평형이지만, 조금만 건드려도 좌굴이 일어남 3) crP P 중립평형. 안정/불안정의 경계, 현위치에 멈춤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 11.3 양단이 핀으로 지지된 기둥 이상기둥의 해석 - 처음에 완전하게 곧은 모양 - 기둥은 결함이 전혀 없음 - 하중은 단면 도심에 정확히 작용 0 crP P  ; 곧은 위치로 안정평형 crP P ; 중립평형상태 crP P ; 불안정평형상태  아주 작은 교란에도 좌굴이 발생함
  • 4.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7  기둥좌굴에 대한 미분방정식 기둥이 왼쪽으로 좌굴될 경우 자유물체도의 평형에서 0M Pv   M Pv  기둥이 오른쪽으로 좌굴될 경우 ( ) 0M Pv    M Pv  (왼쪽의 경우와 동일) 굽힘모멘트 방정식 EIv M Pv     0EIv Pv   Note-1: 9/10 장의 경우와 동일한 미분방정식을 사용 Note-2: 9/10 장에서는 M 은 하중만의 함수 (변형에 무관) Note-3: 좌굴해석시의 M 은 처짐 자체의 함수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8  미분방정식의 해 2 P k EI  로 정의하면 미분방정식은 2 0v k v   이 식의 일반해는 1 2sin cosv C kx C kx  경계조건 (0) 0v   2 0C  경계조건 ( ) 0v L   1 sin 0C kL  해-1) 1 0C  ; 자명한 해 (trivial solution)  곧은 위치에서 평형상태에 있는 이상기둥 해-2) sin 0kL   0, , 2 ,kL    0kL  은 자명한 해 이므로 1, 2, 3,kL n n   즉 2 2 2 1, 2, 3, n EI P n L    , 이때 처짐곡선 방정식은 1 sin 1, 2, 3, n x v C n L    
  • 5.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9  임계하중 임계하중은 1n  일 때 얻어짐. 2 2cr EI P L   , 이때의 모드형상 (좌굴형상)은 1 sin x v C L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0 Note 1. 1C 은 기둥 중앙점에서의 처짐을 나타냄 2. 1C 의 값은 작은 값이나, 불확정적임. 3. 제 1 모드에서 양단 핀 고정  기둥좌굴의 기본형 4. 이상형 탄성기둥에 대한 임계하중  Euler 하중 5. 고차모드에 대한 좌굴은 관심대상이 아님 6. 우측 그림의 B 점 아래에서 안정.  일반적 유의사항 - 임계하중은 EI 에 비례, 길이의 제곱에 반비례 - 비례한도/항복하중이 커져도 좌굴과는 무관 - E 혹은 I 를 증가시키면 임계하중 증가 - 1 2I I 이면 1-1평면에서 좌굴발생 - 이 경우 2I (작은 값)을 계산에 사용함
  • 6.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1  임계응력 2 2 2 2 ( / ) cr cr P EI E A AL L r       , 여기서 I r A  로 정의함 세장비 (slenderness ratio) = L r - 세장비는 기둥의 치수에만 좌우됨. - 임계응력: 하중이 임계치에 도달하는 순간의 평균압축응력 - 임계응력 vs 세장비의 그래프 구성 가능 이 그래프는 비례한도보다 작은 경우에서만 사용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2  큰 처짐, 결함 및 비탄성 거동의 영향 - Hooke 의 법칙을 따르는 완벽한 보의 경우  임계하중의 식을 사용 - 이상기둥의 이론은 v에 대한 선형화된 식을 사용 하였슴  작은 처짐에만 사용 가능 - 곡률에 대한 정확한 식 (9-2 절의 식 9-13)을 사용하면 임계하중은 곡선 B 를 따름. - 초기 결함을 가지는 보 (곡선 C 를 따름) o 초기에 작은 형태의 곡률을 가짐 o 시초부터 처짐을 발생시킴 o 처음에는 직선 A 에 접근함 o 나중에는 B 에 접근함 - 비례한도 초과응력, non-Hookean 재료 o 곡선 D 를 따라 움직임 o 처음에는 C 를 따라 움직임 o 나중에는 비탄성 거동 곡선을 따름.
  • 7.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3  기둥의 최적형상 - 굽힘모멘트가 큰 부분을 보강하여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 같은 크기의 재료인 경우 단면적의 형상에 따라 임계하중이 다름 - 최적의 단면은 정삼각형!! (원형의 경우에 비하여 21% 더 큰 임계하중)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4  예제 11-1 문제 기둥 ABC ; 양단 핀 지지 그림의 평면에 중간 지지점 B 3 29 10 ksiE   , 42 ksipl  WF(W8 28) 강철, 25 ftL  안전계수 2.5n  를 사용하여 allowP 구하기 풀이 부록 E-1 에서 WF(W8 28) 의 상수는 4 4 2 1 298.0 in , 21.7 in , 8.25 inI I A  
  • 8.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5 a) 그림의 평면 내에서 좌굴이 생기는 경우 (굽힘은 2-2 축에 대하여 발생함) 이 경우는 횡지지점 사이의 거리가 / 2 12.5 ftL  가 됨. 2 2 2 3 4 2 2 2 2 2 4 4 (29 10 ksi)(21.7 in ) 276 k ( / 2) [(25 ft)(12 in/ft)] cr EI EI P L L         b) 그림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좌굴이 생기는 경우 (굽힘은 1-1 축에 대해 발생함) 이 경우는 중간 지지점 B 의 영향이 없으며 횡 지지점 사이의 거리는 25 ftL  가 됨. 2 2 3 4 1 2 2 (29 10 ksi)(98.0 in ) 312 k [(25 ft)(12 in/ft)] cr EI P L       - 기둥의 임계하중은 276 kcrP  (두 값 중 작은 값) - 더 큰 임계하중에 대한 응력은 pl2 312 k 37.8 ksi< 8.25 in cr cr P A     ; 비례한도 이내이므로 O.K. - 허용하중은 allow 276 k 110 k 2.5 crP P n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6
  • 9.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7 11.4 그 밖의 지지조건을 갖는 기둥 지지점의 조건이 다른 경우도 pin-pin column 의 해석 절차와 동일함 1) 좌굴상태를 가정한 기둥에 대해 굽힘모멘트에 대한 식을 구함 2) 굽힘모멘트 방정식 ( )EIv M  을 이용하여 처짐곡선의 미분방정식 수립 3) 미분방정식을 풀어 일반해를 구함 4) 처짐 v 와 기울기 v 에 관련된 경계조건 적용 5) 임계하중과 좌굴된 기둥의 처짐모양 구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8
  • 10.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19  하단은 고정되고 상단이 자유로운 기둥 (Fix-Free Column)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0 ( )EIv M P v    2 2 v k v k    여기서 2 P k EI  1 2sin cosHv C kx C kx  Pv  1 2sin cos P H v C kx C kx vv     경계조건 (0) 0v   2C   경계조건 (0) 0v   1 0C  따라서 (1 cos )v kx  ; 처짐 곡선의 형상만 보여주며,  은 임의의 미소 크기를 가짐. 경계조건 ( )v L   cos 0kL 
  • 11.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1 해-1) 0  자명해 (trivial solution); 기둥은 곧은 상태 유지, 좌굴은 일어나지 않음 해-2) cos 0kL   1, 3, 5, 2 n kL n     임계하중 2 2 2 1, 3, 5, 4 cr n EI P n L     좌굴 모드형상 1 cos 1, 3, 5, 2 n x v n L            최저 임계하중은 1n  일 때 2 2 4 cr EI P L   이 때 모드형상은 1 cos 2 x v L     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2  기둥의 유효 길이 길이가 L 인 fix-free column 은 길이가 2L 인 pin-pin column 과 동일함. (그림 참조) 이 경우의 2L 은 유효길이 (effective length) eL 처짐곡선 내의 변곡점 (모멘트가 0) 사이의 거리  eL Fix-free column 의 경우 2eL L 유효길이를 이용하여 임계하중을 표현하면, 2 2cr e EI P L   유효길이는 보통 eL KL 로 표현됨. (fix-free 의 경우 2K  ) 이 경우는 2 2 ( ) cr EI P KL  
  • 12.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3  회전되지 않도록 양단이 고정된 기둥 (fix-fix column) 1 2 eL L (그림참조) 1 2 K  2 2 2 2 4 ( ) cr EI EI P KL L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4 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핀으로 지지된 기둥 (Fix-pin column) 이 경우는 기하학적 대칭 조건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관찰에 의해 eL (혹은 K )를 구할 수 없음  처짐곡선의 미분방정식을 풀어서 구함.
  • 13.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5 A 점에서의 반력은 수직반력 P , 수평반력 R , 모멘트 반력 0M 이며, 이중에 0M RL 임을 전체 구조물에서 확인. 하단으로부터 x 떨어진 곳의 좌굴된 기둥에서의 굽힘모멘트는 0 ( )M M Pv Rx Pv R L x       따라서, ( )EIv M Pv R L x      2 P k EI  로 하고 정리하면, 2 ( ) R v k v L x EI     1 2sin cos ( ) H P R v C kx C kx L x P v v       경계조건: (0) 0 (0) 0 ( ) 0v v v L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6  2 1 1 20 0 tan 0 RL R C C k C kL C P P       해-1) 1 2 0C C R   ; 자명해 (trivial solution); 기둥은 곧은 상태 유지, No Buckling 해-2) 처음 두 식에서 R 소거  1 2 0C kL C  또는 2 1C C kL  , 이 식을 마지막 식에 대입  좌굴방정식이 구해짐. tankL kL ; 이 식은 수치해법으로 풀면 (해석적인 해는 없음) 4.4934kL  따라서 2 2 2 20.19 2.046 cr EI EI P L L    - Fix-pin column 은 예상대로 Pin-pin column 과 Fix-fix column 사이의 임계하중. - 식을 비교하여, 0.699 0.7eL L L  - 모드형상은 2 1C C kL  과 1 0RC k P   을 일반해에 대입하여, - 1[sin cos ( )]v C kx kL kx k L x    제한: 처짐이 작아야함, Hooke 의 법칙을 따르는 경우만 유효
  • 14.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7  요약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8  예제 11-2 문제 3.25 mL  , 100 mmd  , 100 kNP  안전계수 3n  ,을 고려하여 두께 t 구하기. pl( 72 GPa, 480 MPa)E   풀이 기둥은 fix-pin 으로 모델링함. 이 경우 2 2 2.046 cr EI P L   4 4 ( 2 ) 64 I d d t       100 mm 0.1 md   이므로 4 4 (0.1 m) (0.1 m 2 ) 64 I t      
  • 15.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29 기둥은 다음의 하중에 의해 설계되어야 함. 3(100 kN) 300 kNcrP nP   2 9 4 4 2 2.046 (72 10 Pa) 300,000 N (0.1 m) (0.1 m 2 ) (3.25 m) 64 t              0.006825 m 6.83 mmt    보조계산 4 4 6 4 ( 2 ) 2.18 10 mm 64 I d d t         2 2 4 ( 2 ) 1,999 mm 4 A d d t        , 33.0 mm I r A   98L r  (가느다란 기둥), 15d t  (국부 좌굴 방지 범위에 들어감) cr 2 300 kN 150 MPa 1999 mm crP A     , 이 값은 비례한도 pl 480 MPa  보다 작으므로 Euler 좌굴이론을 이용한 임계하중에 대한 계산은 유효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0 11.5 편심 축하중을 받는 기둥 - 이상기둥 1) 임계하중 도달시 까지는 곧은 상태 2) 임계하중 도달 후 급격한 굽힘 (불확정한 크기) - 편심기둥 1) 하중이 작용하면 즉시 굽힘 발생 (확정된 크기) 2) 하중이 커지면 처짐량도 증가 0 ( )EIv M M P v Pe Pv       2 2 v k v k e   여기서 2 Pk EI  1 2sin cos P H v C kx C kx e vv     경계조건 (0) 0 ( ) 0v v L 
  • 16.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1  2 1 (1 cos ) tan sin 2 e kL kL C e C e kL        처짐곡선 방정식은 tan sin cos 1 2 kL v e kx kx          기둥 중앙에서의 처짐은 tan sin cos 1 sec 1 2 2 2 2 2 L kL kL kL kL v e e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2 2 cr cr P P P k EI P L L P       cr P kL P  sec 1 2 cr P e P               ( P 에 대한 비선형식) 1) 0 when 0e   2) 0 when 0P   3) when crP P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2  최대 굽힘모멘트 max ( )M P e   max sec sec 2 2 cr kL P M Pe Pe P           다른 단부 조건 - Fix-Free 의 경우는 2eL L 로 하면 앞의 식을 그대로 사용가능 - Fix-Pin 의 경우는 0.699eL L 로 하여도 앞의 식을 사용할 수 없음 이 경우는 미분방정식을 다시 수립하여 해석하여야 함 - Fixed End 에 편심이 있으면 그 영향이 없음.
  • 17.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3  예제 11-3 문제 B 단에 편심 0.45 in, 1500 lbe P  , 1.2 in, 0.6 inh b  0.12 inallow  일 때 최대 허용길이 maxL =? 6 ( 16 10 psi)E   풀이 3 3 4(1.2 in)(0.6 in) 0.02160 in 12 12 hb I    2 2 4 2 2 2 2 (16,000,000 psi)(0.02160 in ) 852,700 lb-in 4 4 4 cr EI P L L L 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4 이 값을 sec 1 2 cr P e P               에 대입하면, 2 1500 lb 0.12 in (0.45 in) sec 1 2 852,700 / L             0.2667 sec(0.06588 ) 1L   max 10.0 inL  
  • 18.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5 11.6 기둥에 대한 시컨트 공식 최대응력  기둥의 중앙점에 발생 (압축력에 의한 응력과 굽힘응력의 합성응력) max max M cP A I    여기에 max sec 2 cr P M Pe P         , 2 2 2 ,cr EIP I Ar L   ( r 은 회전반지름) 등등을 대입하면 max 2 sec 1 sec 2 2 P Pec L P P ec L P A I r EA A r r EA                         시컨트 공식 (secant formula) 여기서 편심비 (eccentricity ratio)는 2 ec r (0~3 사이의 값, 보통 1 보다 작은 값)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6
  • 19.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7  0e  인경우 임계하중에 상응하는 최대응력은 임계응력이 됨. (위 그림에서 Euler’s Curve) 2 2 2 2 ( / ) cr cr P EI E A AL L r       (11-61)  시컨트 공식에 대한 논의 - 세장비 L r 가 증가함에 따라, 특히 L r 값의 중간 구간에서 하중-지지능력이 급격히 감소  길고 가느다란 기둥은 짧고 뭉툭한 기둥보다 덜 안정적임 - 하중-지지능력은 편심 e 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  이러한 영향은 긴 기둥보다 짧은 기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큼. - 시컨트 공식은 2eL L 로 하면 Fix-Free Column 에서도 적용 가능 (그러나 다른 단부 조건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 기둥은 항상 결함이 있으므로 편심비 2 ec r 를 적절히 가정하여 사용함. (구조용 강재의 경우 0.25)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8  예제 11-4 문제 W14 82 WF 기둥, 25 ftL  , 중앙하중 1 320 kP  , 편심하중 2 40 kP  , 편심위치 13.5 in (a) 30,000 ksiE  인 경우 시컨트공식을 이용한 최대압축응력 구하기 (b) 항복응력 42 ksiY  일 때 항복에 대한 안전계수는?
  • 20.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39 풀이 (a) 최대압축응력: 두개의 조합 하중은 그림 (c)와 같이 편심 1.5 ine  , 크기 360 kP  인 하중과 등가. 부록 표 E-1 으로부터 2 14.31 in24.1 in 6.05 in 7.155 in 2 A r c    시컨트공식에 필요한 상수 계산 2 2 2 360 k (1.5 in)(7.155 in) 14.94 ksi 0.2932 24.1 in (6.05 in) P ec A r     6 2 (25 ft)(12 in/ft) 360 k 49.59 497.9 10 6.05 in (30,000 ksi)(24.1 in ) L P r EA       시컨트 공식에 대입하면, max 2 1 sec (14.94 ksi)(1 0.345) 20.1 ksi 2 P ec L P A r r EA                  오목한 쪽의 기둥 중간 높이에서 발생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0 (b) 항복에 대한 안전계수 42 ksiY  을 최대응력으로 하는 하중 YP 를 구하여야 한다. Note: 처음의 하중 P 에 (a)에서 구한 max/Y  의 곱으로는 구해지지 않음  시컨트 공식은 하중에 대해서 비선형 식이기 때문. 즉 2 1 sec 2 Y Y Y P Pec L A r r EA              을 YP 에 대해 풀어야 함 2 2 49.59 42 ksi 1 0.2932sec 24.1 in 2 (30,000 ksi)(24.1 in ) Y YP P             1012 k 1 0.2932sec 0.02916Y YP P     이 식을 수치적으로 풀면 716 kYP  716 k 1.99 360 k YP n P    
  • 21.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1 11.7 탄성 및 비탄성 기둥의 거동 Euler 곡선이 유효한 세장비의 하한값은 2 2 2 2 ( / ) cr cr P EI E A AL L r       에서 임계응력이 비례한도와 같은 경우이다.  2 c pl L E r         (C 점에 해당) - AB 구간: 아주 짧은 보  재료의 항복과 파쇄에 의한 파괴 - BC 구간: 중간 길이 보  비탄성 좌굴에 의한 파괴 임계하중은 오일러 하중보다 작음 - CD 구간: 긴 기둥  오일러 법칙을 따름. - Secant formula line: CD 구간과 달리 P 가 감소하여도 max pl  은 항상 유지됨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2 11.8 비탄성 좌굴 중간길이의 기둥  오일러 하중에 도달하기 이전에 응력은 비례한도에 도달함  비탄성 좌굴 이론이 필요함  접선계수 이론 비례한도 위의 점 A 점에서 접선계수 (tangent modulus)는 t d E d    (비례한도 이내에서는 탄성계수 E 와 동일) 곧은 상태에서 A 점의 응력으로부터 변형이 되므로 2 2 1 t d v M dx E I      굽힘 모멘트 M Pv  이므로 0tE Iv Pv  (앞 식에서 E 를 tE 로 바꾼 식) 이 식을 풀면
  • 22.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3 2 2 (11 67)t t E P L    그리고 2 2 ( / ) t t t P E A L r     접선계수 tE 는 P A   에 따라 변하므로, 1) tP 를 추정값 1P 을 정함 (이 하중은 pl A 보다 큰 값임) 2) 1 1 P A   3) 응력 변형률 선도에서 tE 를 구함 4) 2 2 (11 67)t t E P L    에서 새로운 tP 의 추정값을 구함. 위의 과정을 반복함. Note: L 대신 eL 를 이용하여 다른 지지점 조건에서도 사용 가능. Note: 우측 그림에 세장비에 대한 값을 도시.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4  감소계수 이론 - 곧은 위치를 벋어나기 시작할 때  압축응력 P A 에 새로 생기는 굽힘응력이 더해짐 - 오목한 쪽; 압축 굽힘응력이 더해지므로 재료는 tE 를 따름 - 볼록한 쪽; 인장 굽힘응력이 더해지므로 하중제거 커브를 따르므로 E 를 따름.  두가지 재료로 구성된 보와 같은 거동을 함.  tE 와 E 의 중간값 rE 의 기둥처럼 거동함 rE : 감소계수 (reduced modulus); 응력의 크기 및 단면 모양에 좌우됨. (2 중 계수 로도 불리움) 예-1) 직사각형 단면 기둥   2 4 t r t EE E E E   예-2) WF 보에서 강한 축에 대한 굽힘에서는 2 t r t EE E E E   2 2 r r E P L   그리고 2 2 ( / ) t r r P E A L r     접선계수 이론과 마찬가지로 반복 시행을 통하여 구해짐.
  • 23.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5  센리 (Shanley) 이론 - tP 과 rP 은 crP 보다 작은 값이므로 기둥이 오일러 좌굴과 유사한 방법으로 비탄성 좌굴을 이으키는 것은 불가능함. - 처진 모양이 하중변화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중립 평형 대신 계속 증가하는 축하중을 가진 기중을 고려하여야 함. - 이 경우 중립평형 대신 하중-처짐 사이 명확한 관계를 가지는 기둥을 고려하여 해석함  Shanley 이론 - Note-1: Shanley 이론은 비탄성 좌굴의 정설로 입증됨 - Note-2: 그러나 계산상의 실용적인 이유로 접선계수 하중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임.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6 11.9 기둥설계 공식 1. 허용응력 allow 를 예측 2. 주어진 축하중 P 를 예측된 허용응력으로 나누어 단면적 A 의 근사값 계산 3. 계산/단편 도표에서 기둥을 선정  기둥의 크기/형상 결정 4. 기둥의 치수로부터 적절한 설계공식을 선택하고 allow 를 결정 5. allow allowP A 에서 allowP 를 구하여 실제하중 P 와 비교 6. 이 과정을 2-3 회 반복하면 적절한 기둥을 설계할 수 있음
  • 24.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7  구조용 강재 (AISC 표준) AISC (Americal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Formula 세장비 /L r 이 클 때, 최대응력은 Euler 하중을 근거로 함. 즉 2 max 2 ( / ) E KL r    , 여기서 KL 은 유효길이임. (11-74) (이 식은 max pl  인 경우만 유효함) WF 단면과 같은 압연 강판은 잔류응력을 고려하여 다음 식을 사용함. max 0.5 Y  (11-75) (11-74), (11-75)로부터 임계세장비를 구하면 2 2 c Y KL E r         (11-76) 식 (11-74)는 세장비가  / c KL r 보다 큰 경우 유효하며, 무차원화하면 22 max 2 2 ( / ) ( / ) 2( / ) c cY Y KL rE KL KL KL r KL r r r              ; Euler 곡선 (11-77)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8  / / c KL r KL r 인 비탄성조굴 구간에서는 다음 실험식을 사용함 2 max 2 ( / ) 1 2( / ) c cY KL r KL KL KL r r r            (11-78)
  • 25.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49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0 최대응력에서 허용응력을 얻기위한 AISC 안전계수는 3 1 3 5 3( / ) ( / ) 3 8( / ) 8( / ) cc c KL r KL r KL KL n KL r KL r r r           (11-79) 2 23 1.92 12 c KL KL n r r          (11-80) (안전계수는 / 0KL r  일 때 0 에서  / / c KL r KL r 일 때 23/12 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후 고정) 허용응력은 최디응력 max 를 안전계수로 나누어 구함 2 2 1 ( / )1 1 2( / ) allow c cY KL r KL KL n KL r r r                (11-81) 2 2 2 ( / ) 2 ( / ) allow c cY KL r KL KL n KL r r r           (11-82) Note: AISC 에서는 / 200KL r  으로 제한함
  • 26.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1  알루미늄 (알루미늄 협회의 시방서) 10Y allow Y KL S n r      ; 항복 응력에 근거 (11-83a) 1 2 1 allow c c u KL KL B D S S n r r           ; 접선계수 이론에 근거 (11-83b) 2 22 ( / ) allow u E KL S n KL r r     ; Euler 공식에 근거 (11-83c)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2 1. 합금 2014-T6; 1 20, 55S S  30.7 0.23 ksi 0 55allow KL KL r r           (11-84a) 2 54,000 ksi 55 ( / ) allow KL KL r r    (11-84b) 2. 합금 6061-T6; 1 20, 66S S  20.2 0.126 ksi 0 66allow KL KL r r           (11-85a) 2 51,000 ksi 66 ( / ) allow KL KL r r    (11-85b)
  • 27.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3  목재 (미국 삼림 및 종이 협회의 목재 건축에 대한 설계시방서) - 제재목, 합판, 둥근 막대기, 파일등 - 품종, 등급등이 중요 인자. 기둥 단면에 작용, 목재 결에 평행한 압축 허용응력  cF로 표시 허용축하중: allow allow cP A F A   (11-86) 허용응력: * * c c P C PF F C C F C   (11-87)  설계응력 cF ; 목재의 특정 품종 및 등급에 대한 압축설계응력  조정계수 * C ; 하중 작용 기간, 젖음 조건, 및 고온을 포함한 실제 사용조건에 따른 계수  기둥안정성계수 PC ; 유사한 좌굴에 관한 고려사항에 근거한 계수 2* * * 1 ( / ) 1 ( / ) / 2 2 cE c cE c cE c P F F F F F F C c c c          (11-89)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4 Euler 좌굴계수: 2 ( / ) cE cE e K E F L d   , cEK 는 좌굴계수 /eL d 는 목재세장비, E 는 조정된 탄성계수 1. 기둥은 직사각형 단면의 제재목 또는 합판 2. 조정계수 * 1.0C  , c allow c PF F C   * CF F , allow c c PP F A F C A  (11-92) 3. 제재목: 0.8c  , 합판: 0.9c  4. 제재목: 0.3cEK  , 합판: 0.418cEK  5. E E  2 ( / ) cE cE e K E F L d  (11-93) * 2 ( / ) cE cE c c e F K E F F L d    (11-94) 2 1 1 2 2 PC c c c            (11-95)
  • 28.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5  예제 11-5 문제 W10 60 WF 단면의 pin-pin column, 29,000 ksiE  , 36 ksiY  (a) 기둥의 길이 20 ftL  이면 허용 축하중은? (b) 기둥이 축하중 200 kP  을 받으면 최대 허용길이는? 풀이 AISC 공식을 사용함. 부록 표 E-1 에서 작은 회전 반지름은 2.57 inr  , 단면적 2 17.6 inA  임계 세장비는 식 (11-76)에서 2 2 2 2 (29,000 ksi) 126.1 36 ksic Y KL E r       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6 (a) 허용 축하중 이 경우 세장비는 (20 ft)(12 in/ft) 93.4 2.57 in L r   임계값보다 작으므로 식 (11-79), (11-81)을 사용함 3 3 1 3 3 5 3( / ) ( / ) 5 3(93.4) (93.4) 1.89 3 8( / ) 8( / ) 3 8(126.1) 8(126.1)c c KL r KL r n KL r KL r        2 2 2 2 1 ( / )1 1 (93.4) 1 1 0.384 2( / ) 1.89 2(126.1) allow c Y KL r n KL r                  0.384 0.384(36 ksi) 13.8 ksiallow Y    2 (13.8 ksi)(17.6 in ) 243 kallow allowP A   
  • 29.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7 (b) 최대허용길이 축하중 200 kP  일때 최대 길이를 구하기 위해 길이를 예측하고 시행착오법 사용함. Note: (a)에서 243 kallowP  일 때 20 ftL  이므로, 이경우 길이는 20 ftL  보다 커야 한다. 초기 길이를 25 ftL  로 가정함. 이 길이에 대한 세장비는, (25 ft)(12 in/ft) 116.7 2.57 in L r   임계값보다 작으므로 식 (11-79), (11-81)을 사용함 3 3 1 3 3 5 3( / ) ( / ) 5 3(116.7) (116.7) 1.925 3 8( / ) 8( / ) 3 8(126.1) 8(126.1)c c KL r KL r n KL r KL r        2 2 2 2 1 ( / )1 1 (116.7) 1 1 0.299 2( / ) 1.915 2(126.1) allow c Y KL r n KL r                  0.299 0.299(36 ksi)=10.8 ksiallow Y   따라서 길이 25 ftL  에 대응하는 축하중은 2 (10.8 ksi)(17.6 in ) 190 kallow allowP A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8 이 하중은 주어진 하중 200 kP  보다 작다.  허용길이는 25 ftL  보다 작다. 유사한 방법으로 시행 착오에 의하여, 24.0 ftL  201 kallowP  24.5 ftL  194 kallowP  25.0 ftL  190 kallowP  보간법에 의해 , 200 kallowP  에 대응하는 기둥의 최대허용길이는 max 24.1 ftL  
  • 30.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59  예제 11-6 문제 축하중 240 kNP  , 길이 3.6 mL  , 지름 160 mmd  , 사용 재료는 강재: 200 GPaE  , 250 MPaY  강재의 요구되는 최소두께 mint 구하기. Fix-Free Column 조건으로 가정함. 풀이 AISC 공식을 사용함. Fix-Free Column, 2(3.6 m) 7.2 meL KL   임계 세장비는 식 (11-76)에서 2 2 2 2 (200 GPa) 125.7 250 MPac Y KL E r       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0 첫번째 시행: 7.0 mmt  로 가정함. 4 4 4 4 6 4 ( 2 ) (160 mm) (146 mm) 9.866 10 mm 64 64 I d d t                2 2 2 2 2 ( 2 ) (160 mm) (146 mm) 3365 mm 4 4 A d d t               6 4 2 9.866 10 mm 54.15 mm 3365 mm I r A     기둥의 세장비는 2(3.6 m) 133.0 54.15 mm KL r        임계값보다 큰 값이므로 식 (11-80), (11-82)를 사용함 2 1.92n  2 2 2 2 2 2 ( / ) (125.7) 0.2326 2 ( / ) 2(1.92) (133.0) allow c Y KL r n KL r n     
  • 31.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1 0.2326 0.2326(250 MPa) 58.15 MPaallow Y    2 (58.15 MPa)(3365 mm ) 196 kNallow allowP A   이 하중은 요구되는 하중 240 kNP  보다 작은 값이므로, 더 큰 두께값 t 를 사용해야함. 추가적인 시행. 7.0 mmt  196 kNallowP  8.0 mmt  220 kNallowP  9.0 mmt  243 kNallowP  보간법에 의해 , 8.9 mmt  가 하중 240 kNP  에 대응 됨을 알 수 있다.  min 8.9 mmt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2  예제 11-7 문제 유효길이 16.0 inL  의 알루미늄 관 (합금 2014-T6) 축하중 5.0 kP  , 두께 t 가 바깥지름 d 의 1/10일 경우 요구되는 최소 바깥지름 d 구하기 풀이 1K  로 하고, 관의 세장비가 55보다 작다고 가정함  식 (11-84a)를 사용함 30.7 0.23 ksiallow KL r          (c) 단면적은 2 2 2 2 2 ( 2 ) (0.8 ) 0.2827 4 4 A d d t d d d                2 2 5.0 k 17.69 0.2827 P A d d   , 이 값을 allow 로 하여 식 (c)에 대입하면,
  • 32.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3 2 17.69 30.7 0.23 ksi KL d r         (e) 여기서 4 4 4 4 4 ( 2 ) (0.8 ) 0.02898 64 64 I d d t d d d               4 2 0.02898 0.3202 0.2827 I d r d A d    16.0 in 49.97 in 0.3202 L r d d   이 값을 (e)에 대입하면, 2 17.69 49.97 30.7 0.23 d d         즉 2 30.7 11.49 17.69 0d d    0.97 ind  확인: 이 값으로 세장비를 계산하면, 49.97 in 51.5 0.97 in L r   세장비는 55보다 작으므로, 처음 가장은 유효함.  min 0.97 ind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4  예제 11-8 문제 직사각형 형상의 목재 (Pin-Pin Column) 압축설계응력 11 MPacF  , 탄성계수 13 GPaE  인 미송. (제재목, 상수 0.8c  , 0.3cEK  ) (a) 1.8 m, 120 mm, 160 mmL b h   일때 allowP 구하기 (b) 100 kN, 120 mm, 160 mmP b h   일때 maxL 구하기 (c) 기둥이 정사각형, 125 kN, 2.6 mP L  일때 minb 구하기
  • 33.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5 풀이 (a) 허용축하중은 식 (11-92)로부터 allow c c PP F A F C A  을 이용하여야 한다. 여기서 11 MPacF  , 3 2 (120 mm)(160 mm) 19.2 10 mmA bh    안정성계수 PC 를 구하기 위해 세장비를 계산하면, 1.8 m 15 120 mm eL d   (여기서 d 는 단면의 작은 쪽 치수임) * 2 2 (0.3)(13 GPa) 1.5758 ( / ) (11 MPa)(15) cE cE c c e F K E F F L d      (11-94) 2 2 1 1 1 1.5758 1 1.5758 1.5758 0.8212 2 2 1.6 1.6 0.8 PC c c c                        (11-95) 따라서 3 2 (11 MPa)(0.8212)(19.2 10 mm ) 173 kNallow c PP F C A    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6 (b) 최대허용길이 식 (11-92)에서 allow c PP F C A 에서 3 2 100 kN 0.47348 (11 MPa)(19.2 10 mm ) allow P c P C F A     이 값을 식 (11-95)에 대입하고 0.8c  로 하면 2 1 1 0.47348 1.6 1.6 0.8 PC             시행오차법으로 수치적으로 풀어서 0.55864  이 값을 식 (11-94)에 대입하면, 2 0.55864 ( / ) cE c e K E F L d     (0.3)(13 GPa) 25.19 (0.55864) (0.55864)(11 MPa) cE c K EL d F    25.19 (25.19)(120 mm) 3.02 mL d   
  • 34.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7 (c) 정사각형 단면의 최소 폭 minb 은 (a)의 절차를 사용하여 시행착오법으로 구함. (1) b 의 시행 값(trial value)을 정함 (2) 세장비 / 2.6 /L d b 을 계산한다. (3) 식 (11-94)로부터 비  를 계산한다. 2 2 2 (0.3)(13 GPa) 52.44 ( / ) (11 MPa)(2.6 / ) cE c e K E b F L d b     (4)  를 식 (11-95)에 대입하여 PC 을 계산한다. 2 1 1 2 2 PC c c c            (5) 식 (11-92)에서 하중을 계산한다. 2 2 (11 MPa)( )( ) 11,000c P P PP F C A C b C b   (6) 계산된 P 값을 주어진 하중 125 kN 과 비교한다. P 가 125 kN 보다 작으면 더 큰 b 를 선택하고 P 가 125 kN 보다 더 크면 더 작은 b 를 선택한다. 재료역학 강의노트 제 11 장: 기둥 Mechanics of Materials, 7th ed., James M. Gere & Barry J. Goodno Page 11-68 (1) 130 mm 0.130 mb   을 시행 값으로 정하면 (2) 세장비 / 2.6 / 20L d b  (3) 2 52.44 0.88637b   (4) 0.64791PC  (5) 2 11,000 120.4 kNPP C b  (6) 계산된 P 값을 주어진 하중 125 kN 보다 작으므로 더 큰 132 mm 0.132 mb   를 선택함. 계속 반복하면, 0.132 mb  126.3 kNP  0.131 mb  123.4 kNP  : min 0.132 m 132 mmb   